KR20190042446A - Flatbed knitting machine - Google Patents
Flatbed knitt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2446A KR20190042446A KR1020180117256A KR20180117256A KR20190042446A KR 20190042446 A KR20190042446 A KR 20190042446A KR 1020180117256 A KR1020180117256 A KR 1020180117256A KR 20180117256 A KR20180117256 A KR 20180117256A KR 20190042446 A KR20190042446 A KR 201900424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knitting
- pattern
- glove
- dr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8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41000203475 Neopanax arbo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24 fore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4—Pattern drum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4—Jacquard cards or mechanisms
- D04B15/86—Jacquard cards or mechanisms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선침 드럼의 연속하는 복수 단에 동일한 길이의 선침 패턴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편성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횡편기(10)는, 각 선침 드럼(21, 22)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기구(23, 24)와, 미리 설정된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 및 선침 드럼(21, 22)의 선침 패턴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선침 드럼(21, 22)을 각변위시키도록 구동기구(23, 24)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의 제어수단(25)을 포함한다. 선침 드럼(21, 22)에는, 복수의 노치홈(26)에 대하여 동일한 패턴으로 선침핀(27)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복수의 사양의 편성포를 선침 드럼(21, 22)의 교환이나 선침 패턴의 변경 없이 편성할 수 있다.(assign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ft knitting machine in which the knitting efficiency is not lowered without setting a stitch pattern of the same length at a plurality of successive stages of the stitch drum.
(Solution)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driving mechanisms 23 and 24 capable of individually driving each of the front needle bed drums 21 and 22 and knitting data of a predetermined knitting fabric and preliminary drums 21 and 22 And control means 25 such a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 mechanisms 23 and 24 so as to angularly displace each of the predetermined-contact drums 21 and 22 based on the data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needle pins 27 in the same pattern for the plurality of notch grooves 26 in the needle bar drums 21 and 22 so that the number of knitting yarns , 22 can be knitted without exchanging or changing the needle-touch patter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 설치되는 선침 드럼(選針 drum)으로 편침(編針)을 선택하면서 장갑이나 양말을 통모양으로 편성하는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achine which is provided with a needle bed facing forward and backward and knitting a glove or a sock into a tubular shape while selecting a knitting needle as a needle drum provided on each needle bed, To a flat knitting machine.
종래부터 5개의 손가락을 각각 수용하는 손가락부를 갖는 작업용 편성장갑이나 발가락부를 갖는 양말 등을 편성하기 위하여, 통모양의 횡편포(flat knitted fabric)를 편성하는 장갑 편성기나 양말 편성기로서의 횡편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횡편기에서는, 전후로 대향하는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편성캠(編成cam)으로 편침을 구동한다. 예를 들면 캐리지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에는 앞쪽 니들베드,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에는 뒤쪽 니들베드와 같이 편성캠에 순방향(順方向)이 설정되어 있어, 니들베드를 교대로 사용한다. 순방향에서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은, 각 니들베드에 설치하는 선침 드럼에 의하여 선택된다. 역방향에서는, 선택되어 있는 편침이라도 편성캠의 작용을 받지 않는다. 캐리지나 선침 드럼의 구동은, 공통의 구동원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전후의 선침 드럼은 함께 회전한다. 본건의 출원인은,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인력(人力)을 이용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1 참조).Conventionally, in order to knit a work knitting glove having fingers respectively holding five fingers or a sock having a toe portion, a glove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tubular flat knitted fabric or a knitting machine for a sock knitting machine is used have. In these flat knitting machines, knitting cams are driven by knitting cams mounted on carriages which are provided with front and rear opposite needle beds and which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s. For example, the forward direction is set in the knitting cam such as the front needle bed for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back needle bed for the movement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needle beds are used alternately. The knitting needles used in the knit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re selected by the needling drums provided in the respective needle beds. In the reverse direction, even the selected knitting needle does not receive the action of the knitting cam. The driving of the carry and the needle bed drums is performed by a common driving source, and the front and back throat drums rotate together.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proposed a fla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utilizing a human force as a common driving source (see Patent Document 1).
선침 드럼의 외주(外周)에는, 원주방향의 환상(環狀)의 홈이 니들베드의 각 편침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축방향의 노치홈이 각 환상의 홈을 복수 단(段)으로 나눈다. 각 단의 노치홈에는, 각 편침에 대응하는 위치에 1바늘용의 선침핀을 착탈하거나 편성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바늘의 구간만큼의 길이를 갖는 선침핀을 착탈하여, 요철로 나타나는 선침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의 도5 및 도6 참조). 각 환상의 홈에는, 편침의 미부(尾部)에 형성되는 버트(butt)의 출몰을 제어하는 제어잭( 制御jack)이 슬라이딩된다. 선침 패턴은, 제어잭을 통하여 편침의 버트의 니들홈에 대한 출몰에 반영되고, 편성캠에 의하여 버트의 구동 여부를 선택한다. 선침 드럼은, 캐리지가 왕복을 반복하여 편성을 진행시킬 때에, 간헐적으로 일방(一方)으로 돈다. 전후의 선침 드럼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원을 설치하여, 다른 부분과는 독립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편성기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다만 전후의 선침 드럼은 함께 회전한다.An annular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knitting needle of the needle b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eedle bar drum, and the notch groove in the axial direction divides each annular groove into a plurality of stages. The needle pins of each step ar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notch groov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knitting needles by attaching or detaching a needle pin for a needle or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needle pi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section of a plurality of needles continuou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See, for example, FIG. 5 and FIG. 6 of Patent Document 2). In each of the annular grooves, a control jack for controlling the appearance of a butt formed on the tail portion of the knitting needle is slid. The needle stop pattern is reflected through the control jack in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of the butt of the knitting needle with respect to the needle groove, and selects whether or not the button is driven by the knitting cam. The throat drum intermittently turns to one side when the carriage repeatedly reciprocates to advance the knitting. There has been proposed a glove knitting method in which a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front and rear needle rollers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driven independently of other parts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3). However, the front and rear needle rollers rotate together.
도6은, 장갑 편성기로 편성하는 장갑의 형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장갑에 있어서는, 소지부터 검지까지 4개의 손가락부(1, 2, 3, 4)를 순차적으로 편성하고, 4지 몸통(4 finger palm)(5)을 편성하고, 엄지의 손가락부(6)를 편성하고 5지 몸통(7)을 편성한다.6 shows the shape of the glove knitted with the glove knitting machine in a simplified manner. The four
도7은, 도6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선침 드럼에, 선침핀에 의하여 설정되는 요철을 원주방향으로 전개한 선침 패턴의 예를 나타낸다. 이 선침 패턴에 의하여,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의 프론트 스티치가 표면에 나타나는 표준적인 4지 몸통 사양의 장갑이 편성된다. 도8은, 턴 글러브(turn glove)라고 불리며, 편성 후에 뒤집어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사양의 장갑의 선침 패턴을 나타낸다. 뒤집는 것은 표면을 백 스티치로 하여 고무 등을 코팅하기 위함이고, 손가락 분기부에서의 간격을 없애기 위한 관계상, 도8(a)에 나타내는 뒤쪽 니들베드에서의 손가락부(1, 2, 3, 4)의 편성이 도7과 비교하여 조금 다르다. 도9는, 오픈 핑거(open finger)라고 불리며, 각 손가락부(1, 2, 3, 4, 6)가 개구(開口)되어 있어, 장착하면 손가락 끝이 노출되는 사양의 장갑의 선침 패턴을 나타낸다. 각 도면의 선침 패턴에 있어서, 세로방향은 환상의 홈, 가로방향은 노치홈에 각각 대응하고, (a)는 뒤쪽 니들베드, (b)는 앞쪽 니들베드의 선침 패턴을 각각 나타내고, (a)에서는 하측에서 상측, (b)에서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이 진행된다. 각 단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부분에는, 봉상(棒狀)의 긴 선침핀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부분에서는, 플레인 스티치의 편성포가 편성된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stencil pattern in which the irregularities set by the stencil fin are expa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stencil drum used for knitting the gloves of Fig. 6. With this needle patting pattern, a glove with a standard four-finger body design in which a front stitch of a plain stitch appears on the surface is knitted. 8 is a turn glove, which shows a gloved needle touch pattern of a specification that is supposed to be used after being knitted after being knitted. In order to coat the rubber or the like with the surface of the back needle bed in the back needle bed as shown in Fig. 8 (a), the
도7, 도8 및 도9의 선침 패턴은, 캐리지의 이동범위의 변화를 공통으로 하여 편성할 수 있다. 그러나 손가락부(1, 2, 3, 4)에서 4지 몸통(5), 엄지의 손가락부(6), 5지 몸통(7)까지의 선침 패턴은, 별개로 준비하여야만 한다. 예를 들면 도7(a)에 나타내는 손가락부(1)의 선침 패턴은, 편성시작부(1a), 테이퍼부(1b), 통모양부(1c), 종단부(1d)를 구비한다. 편성코스수는 통모양부(1c)에서 많아진다.7, Fig. 8, and Fig. 9 can be knitted by chang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carriage in common. However, the touch patterns from the
일단 설정한 선침 패턴은, 선침핀이 견고하게 장착되어 탈락방지를 도모하고 있기 때문에 교환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최초에 선침 패턴을 설정할 때에, 예를 들면 편성시작부(1a), 테이퍼부(1b), 통모양부(1c)에서 편성폭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하는 구간에 봉상의 선침핀을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면, 여러 길이의 선침핀을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종단부(1d)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1바늘용의 선침핀을 다수 배열하는 것은 번거롭다.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predetermined stitch pattern once set because the stitch pin is firmly mounted to prevent the stitch pin from falling off. It is also possible to use needle-shaped needle pins in a section which is knitted continuously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1a, the taper portion 1b, and the cylindrical portion 1c when the needle needle pattern is first set If it is assum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several long pins. It is troublesome to arrange a plurality of needle pins for one needle as used in the terminal end 1d.
일방의 니들베드에 대하여 선침 패턴을 변경하기 위해서 선침 드럼의 단을 진행시키는 타이밍은, 전후의 선침 드럼이 함께 돌더라도 영향이 없도록 설정되고, 그와 같은 타이밍의 대기시간이 필요해져 편성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전후의 선침 드럼이 함께 돌기 때문에, 선침 패턴을 변경할 필요가 없더라도 단이 진행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통모양부(1c)의 최후의 2단과 같이, 연속하는 다음 단도 동일한 길이의 선침 패턴으로 설정하여 둔다. 이 때문에 선침 패턴 전체적으로 필요한 단수가 많아져, 필요한 선침핀의 수도 많아져 버린다.The timing for advancing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drum in order to change the stitch pattern with respect to one needle bed is set so as not to affect even if the preceding stitch drum rotates together and a waiting time for such timing is required, . 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back throat drums run together, there is a case where the stage is advanced even though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stitch pattern. In such a case, as in the last two stages of the tubular portion 1c, the successive next stages are also set to the stencil pattern of the same length. As a result, the required number of stages of the entire throttling pattern increases, and the number of required throttling pins increases.
본 발명의 목적은, 선침 드럼의 연속하는 복수 단에 동일한 길이의 선침 패턴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 선침 드럼을 회전시킬 타이밍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편성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경우가 없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ft knitting machine in which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same needle length pattern at a plurality of consecutive steps of the needle selection drum and there is no need to wait for timing to rotate the needle selection drum so that knitting efficiency is lowered .
본 발명은,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 설치하는 선침 드럼(選針 drum)의 외주(外周)에 설정하는 선침 패턴(選針 pattern)의 요철로 편침(編針)을 선택하면서 장갑이나 양말을 통모양의 편성포(編成布)로서 편성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is provided with a needle bed facing forward and backward and which is provided with a needle pattern which is set on the outer periphery of a needle selection drum provided on each needle bed BACKGROUND OF THE
각 선침 드럼을 개별적으로 회전구동 가능한 구동기구와,A drive mechanism capable of rotatingly driving each of the predetermined throat drums,
미리 설정된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 및 선침 드럼의 선침 패턴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선침 드럼을 각변위(角變位)시키도록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mechanism to angularly displace each of the pre-set drums based on the knitting data of the knitting fabric set in advance and the data of the stitch pattern of the stitch drum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knitt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선침 드럼을 순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chanism is capable of driving the front needle drum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선침 패턴은, 상기 편성포로서 편성 가능한 복수의 사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ncil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specifications that can be knitted as the knitted fabric.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사양은, 표준사양과, 턴 글러브 사양(turn glove 仕樣)과, 오픈 핑거 사양(open finger 仕樣)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pecifications include at least any one of a standard specification, a turn glove specification, and an open finger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사양은, 4지 몸통 사양(4 finger palm 仕樣)과, 3지 몸통 사양(3 finger palm 仕樣)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pecifications include at least one glove of a four finger palm specification and a three finger palm specific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양 니들베드의 선침 드럼은 개별적으로 회전구동하도록 제어가 가능하여, 일방의 니들베드에서의 편성 중에 타방의 니들베드의 선침 드럼만을 각변위시켜 다음 선침 패턴으로 바꿀 수 있다. 일방의 니들베드에서는 편성 중의 선침상태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선침 드럼의 연속하는 복수 단에 동일한 길이의 선침 패턴을 설정하지 않아도 좋고, 타방의 니들베드만으로 각변위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어, 편성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needle rollers of both needle beds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rotationally driven individually, so that only the front needle drum of the other needle bed can be angularly displaced to change to the next needle cloth pattern during knitting in one needle bed.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same needle needle pattern at a plurality of consecutive steps of the needle selection drum and the timing of angular displacement can be adjusted only by the needle bed of the other needle nee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grad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하는 편성포의 코스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편성폭이 되는 부분은, 웨일방향으로 떨어져 있더라도 같은 선침 패턴을 반복하여 선침에 이용하기 때문에, 연속하지 않은 떨어져 있는 단에 대한 동일한 선침 패턴의 설정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knitting width at the same position in the course direction of the knitting fabric to be knitted is repeatedly used for needle selection even when the knitting pattern is separated in the wale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same stitch patter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침 드럼의 단수(段數)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복수의 사양의 편성포를 선침 드럼의 교환이나 선침 패턴의 변경 없이 편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knit a knitted fabric of a plurality of specifications without changing the pre-set drum or changing the pre-set pattern by effectively using the number of steps of the pre-set drum.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준사양, 턴 글러브 사양 또는 오픈 핑거 사양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장갑을 동일한 선침 패턴을 이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love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the turn glove specification, or the open finger specification can be knitted using the same stitch patter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4지 몸통 사양 또는 3지 몸통 사양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장갑을 동일한 선침 패턴을 이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love of the four-pillar body design or the three-pillar body design can be knitted using the same stitch patter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 2에서 사용하는 횡편기(10)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선침 드럼(22)에 의한 편침(14)의 선침상태의 차이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우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사용되는 선침 패턴(30)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사용되는 선침 패턴(40)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5는, 도4의 선침 패턴(40)으로 편성할 수 있는 장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의 4지 몸통 사양의 장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6의 4지 몸통 사양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선침 패턴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8은, 턴 글러브 사양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선침 패턴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9는, 오픈 핑거 사양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선침 패턴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1 is a right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ain portion of a
Fig. 2 is a partial right side view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staple state of the knitting
3 is a developed view showing the stinging
4 is a developed view showing the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love which can be knitted with the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love having a conventional four-pillar torso specification.
Fig. 7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 stitch pattern for knitting a glove of the four-pillar body specification of Fig. 6; Fig.
Fig. 8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 stitch pattern for knitting gloves of a turn glove specification. Fig.
Fig. 9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 stitch pattern for knitting gloves of an open finger specification. Fig.
이하에, 도1 및 도2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1, 2에서 사용하는 횡편기(橫編機)(10)의 주요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의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된 참조부호를 붙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사용되는 선침 패턴(選針 pattern)(30)을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사용되는 선침 패턴(40)을 나타낸다. 도5는, 도4의 선침 패턴(40)으로 편성할 수 있는 장갑의 예를 나타낸다.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ain portion of a
도1에 나타내는 횡편기(10)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11) 및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12)를 구비한다. 앞쪽 니들베드(11) 및 뒤쪽 니들베드(12)는,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13)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한다. 앞쪽 니들베드(11) 및 뒤쪽 니들베드(12)에는, 선단(先端)의 훅(hook)이 니들베드 갭(13)으로 진퇴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침(編針)(14)이 각각 설치된다. 편침(14)은, 도면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된다. 또한 편침(14)은 뒤쪽 니들베드(12) 측만을 나타내고, 앞쪽 니들베드(11) 측은 생략한다. 편침(14)은, 기단측(基端側)이 니들잭(needle jack)(15)에 접속된다. 니들잭(15)에는, 편침(14)이 니들베드 갭(13)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버트(制御 butt)(16)가 형성된다. 제어버트(16)가 니들홈으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면 선침상태가 된다. 이 선침상태는 선침잭(17)에 의하여 제어된다. 선침잭(17)에는 선침 볼록부(18)가 형성된다. 선침상태의 제어버트(16)는, 캐리지(carriage)(20)에 탑재되는 편성캠(編成cam)의 작용을 받는다. 캐리지(20)는, 앞쪽 니들베드(11) 및 뒤쪽 니들베드(12)에서 니들홈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표면을 향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이동한다. 편침(14) 및 니들잭(15)은, 일체(一體)로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The
앞쪽 니들베드(11) 및 뒤쪽 니들베드(12)에는, 선침 드럼(選針 drum)(21, 22)이 각각 설치된다. 각 편침(14)은, 선침 드럼(21, 22)의 외주(外周)에 설정하는 선침 패턴에 의하여 선택된다.The
횡편기(10)는, 각 선침 드럼(21, 22)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기구(23, 24)와, 미리 설정된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 및 선침 드럼(21, 22)의 선침 패턴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선침 드럼(21, 22)을 각변위(角變位)시키도록 구동기구(23, 24)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의 제어수단(25)을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구동기구(23, 24)는, 각 선침 드럼(21, 22)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맞물리는 기어를 통하여 회전구동하는 구동원이 되는 모터를 각각 포함한다. 회전구동력의 전달은, 모터를 각 선침 드럼(21, 22)에 직접 연결하거나 벨트 및 풀리를 통해서 할 수도 있다. 각 선침 드럼(21, 22)은, 원주방향의 일방(一方)이 되는 순방향 및 타방(他方)이 되는 역방향으로 각각 각변위하도록 구동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23, 24)가 클러치(clutch)를 포함하도록 하여, 구동원이 되는 모터를 공용으로 할 수도 있다. 선침 드럼(21, 22)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홈(26)이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의 피치(pitch)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원주방향의 환상(環狀)의 홈은, 축방향으로 니들홈에 대응하는 일정한 피치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선침잭(17)에 있어서의 선침 볼록부(18)의 선단은 환상의 홈에 끼워진다. 노치홈(26)에는 선침핀(27)을 착탈할 수 있다. 노치홈(26) 중의 하나는, 확대하여 인발홈(引拔 groove)(28)으로 한다.The
도2는, 도1의 선침 드럼(22)에 의한 편침(14)의 선침상태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1의 선침 드럼(21)에 의해서도 동일한 선침이 이루어진다. 도2(a)는, 선침 볼록부(18)의 선단이 노치홈(26)에 장착되어 있는 선침핀(27)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선침 볼록부(18)의 선단이 환상의 홈의 저부(底部)로부터 부상하기 때문에, 제어버트(16)도 니들홈으로부터 부상하여, 편침(14)이 선침상태가 된다.Fig. 2 shows the difference in the staple state of the
도2(b)는, 선침 볼록부(18)의 선단이 선침 드럼(22)에 형성되는 인발홈(28)에 수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인발홈(28)의 부분에서는 선침 볼록부(18)가 환상의 홈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선침 드럼(22)을 축방향으로 빼서 선침 패턴의 변경 등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선침 드럼(22)의 연속하는 복수 단(段)에 동일한 길이의 선침 패턴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인발홈(28)을 형성할 여유가 있다.2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ading end of the predetermined
도2(c)는, 선침 볼록부(18)의 선단이 선침 드럼(22)의 노치홈(26)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노치홈(26)에 선침핀(27)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선침 볼록부(18)의 선단이 환상의 홈으로 가라앉고, 선침잭(17)을 통하여 제어버트(16)도 니들홈으로 가라앉은 상태가 된다.2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ading end of the predetermined
이하의 실시예1, 2에서는 각종 사양의 장갑을 편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양말용의 선침 패턴을 준비하면, 마찬가지로 복수 사양의 양말을 편성하는 것도 가능하다.Examples 1 and 2 below describe the case of knitting gloves of various specifications, but it is also possible to knit socks of plural specifications in the same manner by preparing the needle-like pattern for socks.
(실시예1)(Example 1)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사용되는 선침 패턴(30)을 나타낸다. 도3(a)는 선침 드럼(22)에, 도3(b)는 선침 드럼(21)에 각각 설정된다. 선침 패턴(30)의 손가락부(31, 32, 33, 34), 4지 몸통(4 finger palm)(35), 엄지의 손가락부(36) 및 5지 몸통(37)을 사용하면, 도7, 도8 및 도9에 나타내는 선침 패턴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지에서 엄지의 방향으로 장갑을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a)의 손가락부(31)는, 편성시작부(31a), 테이퍼부(31b) 및 종단부(31c)를 구비하고, 통모양부(1c)에 상당하는 부분은 생략하고 있다. 게다가 편성시작부(31a)는, 도9의 오픈 핑거(open finger) 사양의 장갑을 편성시작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도7(a)의 손가락부(1)의 편성시작부(1a)는, 테이퍼부(31b)에서 최종단의 부분을 이용한다. 이 경우에, 편성시작 후에 선침 드럼(22)을 역방향으로 각변위시켜, 도중의 단을 스킵(skip)하고 테이퍼부(31b)의 최초의 단으로 이행(移行)하고, 다음 단의 변경은 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각변위하면서 손가락부(31)의 편성을 계속한다. 4지 몸통(35) 및 5지 몸통(37)은, 1단의 분량을 복수 코스의 편성에 이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4지 몸통 사양의 장갑을 편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4지 몸통 사양의 장갑은, 종래의 장갑 편성기에 의하여 표준적으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턴 글러브(turn glove) 사양이나 오픈 핑거 사양과 구별하기 위하여 표준사양의 장갑으로서 나타낸다. 종단부(31c)는, 턴 글러브 사양의 장갑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선침 패턴(30)에는, 4지 몸통으로서의 표준사양과, 턴 글러브 사양과, 오픈 핑거 사양의 3개의 사양의 장갑을 포함시킬 수 있다. 특정한 사양에만 사용하는 부분을 포함시키지 않으면, 사양의 수를 줄이는 것은 용이하다.Fig. 3 shows the
(실시예2)(Example 2)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선침 드럼(22, 21)에 사용되는 선침 패턴(40)을 도4(a), (b)에 각각 나타낸다. 도5는, 도4의 선침 패턴(40)으로 편성할 수 있는 장갑의 예를 나타낸다. 선침 패턴(40)은, 검지에서 약지까지의 손가락부(41, 42, 43), 3지 몸통(44), 소지의 손가락부(45), 4지 몸통(46), 엄지의 손가락부(47) 및 5지 몸통(48)에 대응한다. 5지 몸통(48)에 계속되는 2단에는, 편침을 하나씩 걸러 사용하고 다음 단은 전단(前段)에서 사용하지 않은 위치의 편침을 사용하기 위한 편성시작부(49)가 추가되어 있다. 선침 패턴(40)을 선택적으로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도5(a)에 나타내는 3지 몸통 사양의 장갑이나 도5(b)에 나타내는 4지 몸통 사양의 장갑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손가락부(41)의 종단부(41c)를 사용하지 않으면, 3지 몸통 사양 및 4지 몸통 사양이면서 턴 글러브의 사양이 되는 장갑도 각각 편성할 수 있다. 즉 선침 패턴(40)에는, 4지 몸통 사양 및 3지 몸통 사양의 양방의 장갑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3지 몸통(44)을 형성하지 않으면 3지 몸통 사양은 제외되도록 사양의 수를 줄여, 어느 하나의 사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Fig. 4 (a) and Fig. 4 (b) show the
또한 편성시작부(49)를 사용하여 편성을 시작하면, 다음에 5지 몸통(48)의 선침 패턴을 연속으로 사용하여, 지름이 일정한 원통모양의 편성포로서 암 커버(arm cover)를 편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편성시작부(49)나 도3(a)의 편성시작부(31a)와 같은 선침 패턴은, 예를 들면 각 코스에서 미스(miss)와 니트(knit)가 반복되고, 다음의 코스에서는 전(前) 코스의 미스에는 니트, 전 코스의 니트에는 미스가 대응하도록 반복되는 인터로크 편성(interlock knitting)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도중의 스티치를 미스로 하는 미스 패턴도, 연속하는 단에 다른 선침 패턴을 설정함으로써 편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터로크 편성이나 미스 패턴은, 암 커버, 4지 몸통, 5지 몸통 등에 있어서도 편성폭의 전체 또는 일부에 편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갑의 여러 가지 사양에 한정되지 않고 양말이나 다른 아이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인터로크 편성이나 미스 패턴 등은, 종래의 일방향으로만 도는 선침 드럼에 선침 패턴을 설정하는 장갑 편성기 등에서 코스마다 단을 변경하여야만 한다면, 필요한 단수가 많아져 선침 드럼에 수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선침 드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When knitting is started using the
상기와 같이 실시예1, 2에서는, 앞쪽 니들베드(11) 및 뒤쪽 니들베드(12)의 선침 드럼(21, 22)을 전후 독립적으로 각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각변위가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대기시간을 둘 필요가 없다. 또한 정역(正逆)의 방향이나 단의 스킵을 포함하여 각변위시킴으로써, 선침 패턴에 복수의 사양을 혼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사양의 편성포를 선침 드럼(21, 22)의 교환이나 선침 패턴의 변경 없이 편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구동기구(23, 24)가 구동원으로서 공통의 모터를 사용하고, 클러치로 전후 독립하여 정방향으로만 각변위시킬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일방의 니들베드,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11)에서 편성하는 중에 타방의 니들베드인 뒤쪽 니들베드(12)의 선침 드럼(22)을 각변위시켜 다음의 선침 패턴을 준비하면서, 앞쪽 니들베드(11)의 선침 드럼(21)은 클러치를 끊어 정지시켜 두면 좋다. 양 니들베드의 선침 드럼(21, 22)을 연동하여, 편성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필요한 복수 단에 동일한 길이의 선침 패턴을 설정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다만 횡편기(10)로서는, 스티치 억제간(stitch 抑制杆)이나 루퍼(looper) 등에 대하여, 편성할 사양에 대응하는 것이 구비되어 있을 것을 전제로 한다.Even when the driving
10 : 횡편기
11 : 앞쪽 니들베드
12 : 뒤쪽 니들베드
13 : 니들베드 갭
14 : 편침
16 : 제어버트
17 : 선침잭
21, 22 : 선침 드럼
23, 24 : 구동기구
25 : 제어수단
26 : 노치홈
27 : 선침핀
28 : 인발홈
30, 40 : 선침 패턴10:
11: Front needle bed
12: rear needle bed
13: needle bed gap
14: Knitting needles
16: Control Butt
17: Tie-down jack
21, 22: Thumb drum
23, 24: drive mechanism
25: control means
26: Notch groove
27:
28: Drawing groove
30, 40: Thinning pattern
Claims (5)
각 선침 드럼을 개별적으로 회전구동 가능한 구동기구와,
미리 설정된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 및 선침 드럼의 선침 패턴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선침 드럼을 각변위(角變位)시키도록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A knitting needle is provided with a needle bed facing forward and backward and a needle pattern set on the outer periphery of a needle drum provided on each needle bed. In a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glove or a sock as a tubular knitted fabric,
A drive mechanism capable of rotatingly driving each of the predetermined throat drum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mechanism to angularly displace each of the pre-set drums based on the knitting data of the knitting fabric set in advance and the data of the stitch pattern of the stitch drum
Wherein the flat knitting machine comprises a flat knitting machine.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선침 드럼을 순방향 및 역방향의 쌍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mechanism is capable of driving the front needle drum in both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선침 패턴은, 상기 편성포로서 편성 가능한 복수의 사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eedle point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specifications that can be knitted as the knitted fabric.
상기 복수의 사양은, 표준사양과, 턴 글러브 사양(turn glove 仕樣)과, 오픈 핑거 사양(open finger 仕樣)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specifications include at least one glove of a standard specification, a turn glove specification, and an open finger specification.
상기 복수의 사양은, 4지 몸통 사양(4 finger palm 仕樣)과, 3지 몸통 사양(3 finger palm 仕樣)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specifications include at least one glove of a four finger palm specification and a three finger palm spec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99958A JP2019073818A (en) | 2017-10-14 | 2017-10-14 | Flat-knitting machine |
JPJP-P-2017-199958 | 2017-10-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2446A true KR20190042446A (en) | 2019-04-24 |
KR102030651B1 KR102030651B1 (en) | 2019-10-10 |
Family
ID=6614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7256A Active KR102030651B1 (en) | 2017-10-14 | 2018-10-02 | Flatbed knitting machin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9073818A (en) |
KR (1) | KR102030651B1 (en) |
CN (2) | CN209537753U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41695A (en) * | 2019-12-27 | 2020-04-21 | 佛山市南海大欣针织业有限公司 | Roller transmission mechanism of glove machine |
KR102323158B1 (en) * | 2020-11-05 | 2021-11-05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ing 3D Printer |
KR102323161B1 (en) * | 2020-11-05 | 2021-11-05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ing 3D Printer |
KR102323156B1 (en) * | 2020-11-05 | 2021-11-05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ing 3D Prin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073818A (en) * | 2017-10-14 | 2019-05-16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knitting machine |
CN110129978A (en) * | 2019-05-31 | 2019-08-16 |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 A driving device for step-by-step needle selection |
CN111575893A (en) * | 2020-04-27 | 2020-08-25 | 泉州市甲申九鼎机械有限公司 | Yarn adjusting machine with synchronous yarn cutting and releasing device |
US11898280B2 (en) * | 2020-11-05 | 2024-02-13 |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 Clothing-manufacturing knitting machine |
KR102459385B1 (en) * | 2021-02-17 | 2022-10-31 | 주식회사 동성정밀 | Pneumatic actuator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50185A (en) * | 1932-10-15 | 1934-03-06 | Kalio Inc | Flat knitting machine |
JPH1077557A (en) | 1996-09-03 | 1998-03-24 | Ikenaga:Kk | Needle-selection controlling drum of knitting machine |
JP2733627B2 (en) * | 1990-01-22 | 1998-03-3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
KR100622783B1 (en) * | 2004-05-04 | 2006-09-14 | 주식회사 동성정밀 | Glove Knitting Machine |
JP2007126781A (en) | 2005-11-02 | 2007-05-24 | Konju In | Glove knitting machine |
CN201321528Y (en) * | 2008-12-25 | 2009-10-07 |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 Little finger low-fork device of computer glove knitting machine |
JP2010265563A (en) | 2009-05-15 | 2010-11-25 | Shima Seiki Mfg Ltd | Manually drivable flat knitting machine |
KR101506860B1 (en) * | 2014-04-04 | 2015-03-31 | 주식회사 동성정밀 | Knitting device hanving a variable needle selection drum |
CN206428392U (en) * | 2016-12-26 | 2017-08-22 |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lecting-drum for glove knitting machine drive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1767A (en) * | 2002-01-23 | 2003-08-08 | Kiyoshi Taguchi | Driving unit for automatic glove knitting machine |
CN2830442Y (en) * | 2005-08-21 | 2006-10-25 | 茅木泉 | Mechanical jacquard device of computerized glove knitting machine |
JP2010133070A (en) * | 2008-12-08 | 2010-06-17 | Shima Seiki Mfg Ltd | Flat knitting machine and knit fabric having cylindrical knitted part |
JP5431002B2 (en) * | 2009-04-03 | 2014-03-0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for tubular knitted fabric knitting |
JP5952693B2 (en) * | 2012-09-19 | 2016-07-13 | ショーワグローブ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knitting machine and gloves |
JP2019073818A (en) * | 2017-10-14 | 2019-05-16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knitting machine |
-
2017
- 2017-10-14 JP JP2017199958A patent/JP2019073818A/en active Pending
-
2018
- 2018-09-21 CN CN201821555440.3U patent/CN209537753U/en active Active
- 2018-09-21 CN CN201811106555.9A patent/CN109667049B/en active Active
- 2018-10-02 KR KR1020180117256A patent/KR1020306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50185A (en) * | 1932-10-15 | 1934-03-06 | Kalio Inc | Flat knitting machine |
JP2733627B2 (en) * | 1990-01-22 | 1998-03-3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
JPH1077557A (en) | 1996-09-03 | 1998-03-24 | Ikenaga:Kk | Needle-selection controlling drum of knitting machine |
KR100622783B1 (en) * | 2004-05-04 | 2006-09-14 | 주식회사 동성정밀 | Glove Knitting Machine |
JP2007126781A (en) | 2005-11-02 | 2007-05-24 | Konju In | Glove knitting machine |
CN201321528Y (en) * | 2008-12-25 | 2009-10-07 |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 Little finger low-fork device of computer glove knitting machine |
JP2010265563A (en) | 2009-05-15 | 2010-11-25 | Shima Seiki Mfg Ltd | Manually drivable flat knitting machine |
KR101506860B1 (en) * | 2014-04-04 | 2015-03-31 | 주식회사 동성정밀 | Knitting device hanving a variable needle selection drum |
CN206428392U (en) * | 2016-12-26 | 2017-08-22 |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lecting-drum for glove knitting machine drive mechanism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41695A (en) * | 2019-12-27 | 2020-04-21 | 佛山市南海大欣针织业有限公司 | Roller transmission mechanism of glove machine |
KR102323158B1 (en) * | 2020-11-05 | 2021-11-05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ing 3D Printer |
KR102323161B1 (en) * | 2020-11-05 | 2021-11-05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ing 3D Printer |
KR102323156B1 (en) * | 2020-11-05 | 2021-11-05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ing 3D Prin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9073818A (en) | 2019-05-16 |
CN209537753U (en) | 2019-10-25 |
CN109667049A (en) | 2019-04-23 |
CN109667049B (en) | 2021-03-30 |
KR102030651B1 (en) | 2019-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42446A (en) | Flatbed knitting machine | |
US6857294B2 (en) | Method for knitting inta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 |
JP2023016596A (en) | Pile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using flat-knitting machine | |
KR101022353B1 (en) | Knitting method of cylindrical knitted fabric with stripe pattern and cylindrical knitted fabric with stripe pattern | |
US7293432B2 (en) | Apparatus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with interspacing | |
EP2319969B1 (en)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
EP2581478A1 (en) |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 |
JP5057711B2 (en) | Sock knitting machine | |
EP2578733A1 (en) | Knitting needle-guiding member, knitting needle, knitting method, knit fabric and gloves | |
US7437895B2 (en) | Seamless glove of high support performance | |
KR101523498B1 (en) |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 |
JPH08100356A (en) | Preparation of patterned knitted fabric and warp knitting machine | |
CN1484502A (en) | Knitted glove | |
CN110714267B (en) | Flat knitting machine | |
KR101516154B1 (en) |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 |
KR101516153B1 (en) | Flat knitting machine and tubular knitted fabric | |
KR101387960B1 (en) | Knitting method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editing of knitting data | |
KR101449912B1 (en)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
KR101356979B1 (en) | Knitting method of tubular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 |
JP2012031545A (en) | Bag-shap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 |
JP2009270216A (en) |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having bag-jacquard texture part | |
EP2431510A1 (en) | Method of knitting tubular fabric, and tubular fabric | |
EP3702501B1 (en) |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 |
JP4841488B2 (en) | Finger crotch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 |
KR102745800B1 (en) |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sinker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