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40185A -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활성제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의 용도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활성제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185A
KR20190040185A KR1020197001104A KR20197001104A KR20190040185A KR 20190040185 A KR20190040185 A KR 20190040185A KR 1020197001104 A KR1020197001104 A KR 1020197001104A KR 20197001104 A KR20197001104 A KR 20197001104A KR 20190040185 A KR20190040185 A KR 2019004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boronol
composition
human
pharmaceutical composition
unit d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나 비기니
Original Assignee
아비오젠 파르마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오젠 파르마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아비오젠 파르마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4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18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for throat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바이러스 사멸제로서의 키보르놀의 용도로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활성제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의 용도
본 발명은 인간 아데노바이러스(human Adenovirus), 인간 리노바이러스(human Rhinovirus) 또는 인간 코로나바이러스(human Coronavirus)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활성제로서의 키보르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감염은, 위생적인 관점에서, 이것이 입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경제적 및 사회적 관점에서, 이것이 약물 소비와 건강 검진의 직접적인 비용, 및 직장 및 학교에의 결석에 기인한 간접적인 비용에 책임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 관리 자원의 측면에서 큰 투자에 대한 책임도 있기 때문에, 유의한 영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들 사이에서, 특히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의 경우 또는 공기 오염의 존재 하에서, 호흡기 감염이 발견되는 빈도는 매우 높다.
이러한 감염들의 확산과 접촉감염의 극도의 용이함은 또한, 이들이 종종 자연적으로, 특히 노인과 어린이와 같은 가장 연약한 개체(individual)에서 유행성이고, 특히 면역억제(immunosuppressed)된 개체에서 재발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건강 관리 기관은 분명히 제네랄 프랙티셔너 외래 환자 클리닉(General Practitioner's outpatient Clinic)으로, 이곳은 추가적인 진단 시험으로 넘어갈지 말지 또는 임상적 기준, 역학적 기준 및 심각성 기준(gravity criteria)에 기반한 경험적 치료를 이행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선두에 있다.
1995년에 미국에서 수행된 조사에서, 상기도(upper respiratory way)의 감염은 제네럴 프랙티셔너 및 이머전시 클리닉(General Practitioner's and Emergency clinic) 전에, 3천 7백만 건의 건강 검진 및 미국 국제 메디컬 케어 조사 자료(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에 따라 항생제로 치료된, 복잡하지 않은 상기도로 감염된 환자의 52%와 함께 건강 검진의 주요 원인이었다.
사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러한 감염의 치료 방법은 정확하게는, 특히 이러한 질환들이 세균의 존재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및 진균과 같은 다양한 다른 유형의 미생물들의 동시의 존재로 인해 복잡한 병인론(aetiology)을 갖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필요성 없이 투여된 대부분의 경우에, 항생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염을 야기하는 바이러스들 중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인간 아데노바이러스(human adenovirus),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인간 리노바이러스(human rhinovirus),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메타뉴모바이러스(metapneumovirus), 인간 코로나바이러스(human coronarovirus),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특히,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인간 코로나바이러스는 또한, 호흡기와 눈 수준 둘 다에서 다양한 정도의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소아과 인구 및 면역손상(immunocompromised)/면역억제된 환자들 또는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서,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때때로 상당히 심각한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치료적 프로파일(profile) 하에서, 지금까지 이러한 바이러스들의 각각의 치료를 위한 구체적인 치료법은 없고, 보다 더 심각한 경우를 위한 포괄적인 대증요법(symptomatic therapy)과 특정 약물, 종종 스테로이드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감염들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료 방법은 정확하게는, 바이러스에 대한 그들의 불활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필요성 없이 투여된 대부분의 경우에, 항생제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들은 상기 병리학에서 종종 만연하는 병원체이고, 이러한 남용은 또한 오늘날 세균 내성의 심각한 문제를 유발해왔으며, 이러한 문제가 많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므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의 현상의 개시를 막기 위해, 치료적인 대안이 또한 조사되어왔는데, 이는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또는 벤지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benzydamine hydrochloride)에 기반한 구강세척제 또는 정제, 또는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과 같은 NSAID,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다른 분자들과 같은 같은 경구 소독제의 사용을 제공한다.
사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들은 대증적(symptomatic)인데, 이는 또한 바이러스성이고, 이중에서 종종 정확히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인간 코로나바이러스인, 하나 이상의 병원체들의 동시의 존재와 관련된, 동일한 것에 잠재하는 원인을 해결하지 않은 채 고통스러운 증상에 따라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현저한 바이러스 사멸 활성을 갖는 분자, 특히 상기 바이러스들에 대한 바이러스 사멸 활성을 갖는 분자를 식별할 필요성이 여전히 느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remedy)으로서, 인간 신체가 또한 잘 견디는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의 제 1 항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therapeutic treatment)에서, 바이러스 사멸제(virucidal agent)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의 사용에 의해 성취되며,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제 10 항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보르놀 및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사멸성(virucidal)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방식으로 나타낸 구현예로부터 그리고 첨부되는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실시예 1의 용액과 함께 수득된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에 대한 바이러스 역가(viral titer)의 추이를 도시하고;
도 2는 실시예 1의 용액과 함께 수득된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바이러스 역가의 추이를 도시하며;
도 3은 실시예 1의 용액과 함께 수득된 인간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바이러스 역가의 추이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바이러스 사멸제로서의 키보르놀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및 인간 코로나바이러스는 개체의 면역학적 상태에 뿐만 아니라 또한 연령에 따라, 구체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질환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병리학의 예는, 급성 및 만성 편도염(tonsillitis), 인두염(pharyngitis), 후두염(laryngiti), 비인두염(nasopharyngitis) 및 앙기나(angina)와 같은 감기 질환(cold disease)과 구강 및 상기도의 질환이고, 또한 특정한 경우에서는, 어린이의 열성 급성 호흡기 질환(febrile acute respiratory disease), 급성 호흡기 감염(acute respiratory infection; ARI), 결막염(conjunctivitis), 후두기관염(laryngotracheitis), 폐렴(pneumonia), 급성 소포 결막염(follicular conjunctivitis), 유행각막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 급성 인두결막열(pharyngoconjunctival fever; PCF), 기관지염(bronchitis), 만성 기관지염(bronchitis), 영아 위창자염(infantile gastroenteritis), 위장관의 질환, 비뇨생식관의 질환(급성 출혈방광염[haemorrhagic cystitis]), 신경계의 질환(수막염[meningitis], 뇌염[encephalitis]), 파종 감염(disseminated infection)(면역손상[immunocompromised] 및 면역적격[immunocompetent]된 어린이, 장기이식된 성인), 중증급성호흡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후두기관기관지염(laryngotracheobronchitis)(크루프[Croup]),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지역사회-획득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입원한 어린이에서)와 같은 더 복잡한 질환이다. 또한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결과적으로, 천식(asthma), 만성폐쇄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COPD), 및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과 같은 만성 폐 질환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IUPAC 명 4,5-디메틸-2-[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인 키보르놀 또는 6-이소보르닐-3,4-크실레놀(6-isobornyl-3,4-xylenol)은 보르난(bornane)의 페놀 유도체로,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1
또한, 하기에 제공된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해질 바와 같이, 키보르놀은 바이러스 역가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상당한 바이러스 감소를 야기할 수 있어서,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또는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하여 바이러스 살균제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특히, 키보르놀은 그러므로,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및 앙기나와 같은, 전형적으로 감기, 구강 및 상기도의 질환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간 아데노바이러스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이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 키보르놀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바이러스 사멸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키보르놀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기, 구강의 장애(disorder) 또는 상기도의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들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바이러스 사멸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키보르놀"은 4,5-디메틸-2-[(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의 모든 광학 이성체(optical isomer), 기하 이성체(geometric isomer) 및 입체이성체(stereoisomer)뿐 아니라, 거울상체(enantiomer), 라세미 혼합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diastereomer)의 혼합물과 같은 이의 혼합물도, 또한, 이의 모든 다형태(polymorphic forms)뿐만 아니라 무정형(amorphous) 및 결정질(crystalline), 또한 공-결정질(co-crystalline) 뿐만 아니라 무수 형태, 수화된 형태 및 용매화물 형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키보르놀은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S,2R,4R)-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 또는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R,2S,4S)-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이다.
두 개의 단일 입체이성체는 종래의 거울상체 분리 기술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하기에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이들은 키랄팍(Chiralpak) AD-H 키랄 컬럼, 250 x 20 mm, 5 μm를 사용하여, 및 용리액(eluent)으로서 n-헥산/이소프로판올 90:10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수득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키보르놀은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S,2R,4R)-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 및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R,2S,4S)-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키보르놀은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S,2R,4R)-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 및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4,5-dimethyl-2-[(1R,2S,4S)-1,7,7-trimethylbicyclo[2.2.1]heptan-2-yl]phenol)의 라세미 혼합물(racemic mixture)이다.
상기 키보르놀은 경구(oral), 비강(nasal), 비강내(intra-nasal), 설하(sublingual), 협측(buccal), 근육내(intramuscular), 정맥내(intravenous), 경피(transdermal), 피하(sub-cutaneous), 국소(topical), 직장(rectal), 또는 안구(ocular)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보르놀은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키보르놀은 1일 당 15 내지 56 mg의 용량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 당 18 내지 48 m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일 당 24 내지 36 m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일(day)"은 24±2 시간의 기간을 의미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키보르놀은 10 m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 m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unit dose)의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용량은 1일에 3 내지 8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에 4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고, 각각의 횟수는 1 내지 9개의 단위 용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단위 용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단위 용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개의 단위 용량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보르놀 및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간 아데노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이다.
키보르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은 그러므로, 급성 및 만성 편도염, 후두염, 인두염, 비인두염 및 앙기나와 같은, 감기 및 입과 상기도의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앙기나는 인두(pharynx)의 상관(upper tract), 턱(jaw), 편도(tonsil) 및 연구개(soft palate)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보르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은 그러므로, 감기, 입과 상기도의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및 앙기나의 치료적 또는 예방적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상기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은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 또는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은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 및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현예예서, 상기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은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 및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의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구강세척제(mouthwash), 스프레이, 구강붕해성 고체 제제(orodispersible solid preparation), 츄잉 껌(chewing gum), 시럽, 사탕, 겔, 페이스트(paste), 안약, 캡슐, 미소-캡슐(micro-capsule), 정제, 미니-정제(mini-tablet), 미소-정제(micro-tablet), 펠렛(pellet), 다입자체(multiparticulate), 미소화된 미립자(micronized particulate), 알약(pill), 분말(powder), 과립(granule), 미소-과립(micro-granule), 좌제, 로션, 연고, 팅크(tincture), 또는 크림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이것은 키보르놀을 최종 약학 조성물의 부피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종 약학 조성물의 부피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종 약학 조성물의 부피에 대하여 3 중량% 이하로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10 m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 m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의 단위 용량은 1일에 3 내지 8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에 4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고, 각각의 횟수는 1 내지 9개의 단위 용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단위 용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단위 용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개의 단위 용량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oral), 비강(nasal), 비강내(intra-nasal), 설하(sublingual), 협측(buccal), 근육내(intramuscular), 정맥내(intravenous), 경피(transdermal), 피하(sub-cutaneous), 국소(topical), 직장(rectal), 또는 안구(ocular)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emulsion)의 형태로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의 형태인 약학 조성물은 스프레이 또는 구강세척제로서 조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 내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또는 구강세척제로 조제되고,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또는 구강세척제로 조제되고, 최종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 100 mL 당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종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 100 mL 당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종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의 100 mL 당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스프레이로서 조제된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100 mL 당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스프레이로서 조제된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100 mL 당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스프레이로서 조제된 현탁액의 형태이고, 상기 약학 조성물은 10 m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 m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으로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용량은 1일에 3 내지 8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에 4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고, 각각의 횟수는 1 내지 9개의 단위 용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단위 용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단위 용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개의 단위 용량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현탁액의 형태이고, 스프레이로서 조제되며, 약학 조성물 100 mL 당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며, 1일에 4 내지 6회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구강붕해성 고체 제제, 츄잉-껌, 사탕, 캡슐, 미소-캡슐, 정제, 미니-정제, 미소-정제, 펠렛, 다입자체, 미소화된 미립자, 알약, 분말, 과립, 미소과립 또는 좌제와 같은 고체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키보르놀을 600 mg 이하로 포함하는 고체 형태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예를 들어 pH 조절제, 등장성 조절제(isotonicity adjuster), 안정제,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보존제, 증점제, 유화제, 항산화제, 용매, 조-용매 및 향미제(flavour)이다.
바람직한 pH 조절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붕산, 붕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인산 및 이들의 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나트륨(시트르산 완충액) 및 중탄산나트륨이다.
등장성 조절제 중에서, 염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안정제 중에서, 만니톨, 덱스트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킬레이트제 중에서, 나트륨 EDTA(sodium EDTA)와 같은 EDTA 또는 이의 염이 바람직하다.
보존제 중에서, 벤질 알코올, 메틸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 소르브산 및 이의 염이 바람직하다.
증점제 중에서,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바람직하다.
유화제 중에서,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가 바람직하다.
항산화제 중에서, 나트륨 메타비설파이트(sodium metabisulphite), 칼륨 메타비설파이트(potassium metabisulphite), 나트륨 설파이트(sodium sulphite), 부틸화된 하이드록시 아니솔(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부틸화된 하이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나트륨(sodium ascorbate)이 바람직하다.
용매 중에서, 물이 바람직하다.
조-용매 중에서,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터와 같은 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예를 들어 천연 전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전분, 락토오스, 글루코스, 수크로스, 나트륨 사카린, 만니톨, 소르비톨, 카프릴로카프로일 폴리옥실-8 글리세라이드, 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미정질 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황산칼슘(calcium sulfate),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말토덱스트린, 젤라틴, 트래거캔트 고무, 아라비아 고무, 잔탄검, 탈크, 실리카(silica), 콜로이드성 실리카, 침강 실리카(precipitated silica),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마그네슘 라우릴 설페이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에서 기재된 모든 약학 조성물들은 투여 경로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키보르놀의 사용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이롭다고 확인된 모든 양태들은 상기에 기재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약학 조성물, 단위 용량 및 그들의 개별적인 사용에 대하여 또한 유사하게 바람직하고 이롭다고 간주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 기재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키보르놀, 약학 조성물, 단위 용량 및 개별적인 사용의 용도의 바람직한 양태의 모든 조합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해될 수 있다.
하기는 설명적인 목적을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작용 실시예(working example)들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키보르놀 바이러스 사멸 효능 시험
실험을 ATCC로부터의 다음과 같은 균주(strain)를 사용함으로써 수행하였다:
- VR-5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 균주: 아데노이드 75,
- VR-286 피코르나바이러스(Picornaviridae), 리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A,
- VR-740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표적 바이러스들의 분리를 위해 사용된 세포주는:
· ATCC CCL-2 헬라(HeLa) - 자궁경부 선암종(Cervical Adenocarcinoma) - 인간 (호모 사피엔스), 요약하면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 및 인간 리노바이러스의 연구를 위한 '헬라', 및
· ATCC CCL-171 MRC-5-폐 섬유모세포(Fibroblast)-인간 (호모 사피엔스), 요약하면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의 연구를 위한 'MRC-5' 이다.
키보르놀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은 UNI EN 14476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는데, 이는 "경수 또는 물에 희석될 때 물리적으로 안정한 균질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도구, 표면 또는 손에 대한 화학적 소독제(disinfectant) 또는 방부제(antiseptic)의 바이러스 사멸 활성"을 가리키고, 적절히 조정하였으며, 또한 키보르놀이, 세포 배양에 독성 효과를 갖는다고 이미 알려진 알코올(에탄올)에 가용성이라는 것을 고려하였다.
그러므로, 용액 및 현탁액 조건 두 가지를 또한 모두 시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키보르놀이 상이한 용매에 희석된 제제(preparation)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여러 번의 시험 후에, 용매로서 라브라솔®(Labrasol®), 즉, 카프릴로카프로일 폴리옥실-8 글리세라이드(caprylocaproyl polyoxyl-8 glyceride)를 이용함으로써, 그리고 용매에 키보르놀을 제제화함으로써 신뢰할 만한 방법이 수립되었다.
바이러스 사멸 활성 실험실 시험
3개 바이러스의 각각에 대하여, 다음으로 구성된 혼합물 10 mL와 함께 3번의 반복 검증을 수행하였다:
· 1 mL 라브라솔® ("클린(clean)" 시험) 또는 소 태아 혈청 1 mL("더트(dirt)" 시험);
· 세포 배양물에 비-독성인 농도에서의 각각의 희석물(8%, 3%, 0.5%)에 대해 8 mL 키보르놀: 각각 10-3, 10-2 및 10-1 이고, 0.008 g/100mL, 0.030 g/100mL 및 0.05 g/100mL에 대응한다. 희석물은 라브라솔®에서 제조되었다;
· 알려진 역가의 바이러스 1 mL.
표준 프로토콜에 의해 구체화된 "더트(dirt)" 상황에서 수행된 시험은 키보르놀에 의한 바이러스 사멸 활성의 수행능력에 대해 더 "어려운" 환경을 만드는 것을 의도했는데, 이는 활성 성분의 적용 환경에서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바와 같이, 추가의 오염 성분의 존재에 의해 이의 활성이 저하되어, 사용의 조건과 가능한한 근접하도록 재창조하고 모의 실험할 수 있도록 한다.
"더트" 상태에서 수행된 시험의 경우, 유럽 규격(European standard)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적혈구는 소 태아 혈청과 혼합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들이 시험에서 사용된 세포주에 대해 갖는 간섭 효과 때문이고, 이것은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게다가, 각각의 반복 검증에 대하여, 다음으로 구성된 음성 대조군을 사용하였다:
· 1 mL 바이러스;
· 9 mL 라브라솔® ("클린" 시험) 또는 8 mL 라브라솔® + 1 mL 소태아혈청 ("더트" 시험).
접촉 시간: 15분
이 간격 후에, 잔여의 바이러스 역가를 평가하기 위해 혼합물을 적정, 카버 미세법(Karber micromethod)에 의해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수득된 데이터는 평균 및 총 대수 표준 편차(logarithmic standard deviations)의 평가를 위하여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를 다음의 표 1 내지 6에 나타내고 바이러스 및 시험의 종류("클린"/"더트")에 의해 세분화한다.
1.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
[표 1]
"클린" 데이터(평균 총 값)
Figure pct00002
[표 2]
"더트" 데이터(평균 총 값)
Figure pct00003
2.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표 3]
"클린" 데이터(평균 총 값)
Figure pct00004
[표 4]
"더트" 데이터(평균 총 값)
Figure pct00005
3. 인간 리노바이러스
[표 5]
"클린" 데이터(평균 총 값)
Figure pct00006
[표 6]
"더트" 데이터(평균 총 값)
Figure pct00007
예비적이며 적은 수의 샘플로부터 수득되었음에도, 결과는 접촉의 15분 후에 바이러스 부하(viral load)가 이미 감소됨에 있어서, 시험된 각각의 바이러스 상에서 및 시험된 모든 농도에서 2 정도의 크기(orders of magnitude) 이상의 사멸 규모에 따라, 그리고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상에서 수행된 효능 시험의 경우에는 심지어 3.8 정도의 크기의 값에 도달한 사멸 피크에 따라, 키보르놀의 높은 효능에는 어떠한 의심의 여지도 없음을 보여준다. 바이러스 부하의 감소의 측면에서, 이러한 유의한 결과는 0.008 g/100 mL, 0.030 g/100 mL 및 0.05 g/100 mL의 키보르놀 농도 값에서 각각 수득되었고, 이는 상당히 낮은 농도 값으로 간주된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키보르놀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사실도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효과는 악화된 상태, 즉, "더트"로 표시된 시험에서 수행된 시험의 경우에서도, 바이러스 사멸제에 더 적대적인 환경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역가가 인간 리노바이러스의 경우에는 3 정도의 크기 값에 도달하고 이를 초과하는, 2 정도의 크기 이상의 평균을 입증하여, 광범위하게 입증되었다는 사실도 주목되어야 한다.
수득된 데이터는 또한 도 1 내지 3에 그래프로 처리하였고, 이들은 각각 시험된 3개 바이러스들에 대하여 바이러스 부하의 역가의 추이 곡선(trend curve)을 도시하며, 여기서 가로 좌표는 키보르놀의 작용 농도(용액의 100 mL 당 g으로 표현됨)의 대수(logarithm)를 나타내고, 세로 좌표는 바이러스 mL 당 50% 세포변셩 용량의 대수를 나타낸다.
특히, 곡선의 방정식을 수득하였는데, 이는 최적 방식으로 이들 실험 데이터들의 추이를 나타내고 시험에 사용된 것보다 더 높은 키보르놀의 농도에서의 바이러스 농도를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용액 100 mL 당 3 g에 대응하는 농도에서, 고려된 모든 바이러스에 대하여 바이러스 부하 역가(대수로 표현됨)의 감소는 처치 후의 최종 평균 역가가 0에 매우 가까우며, 적어도 2 정도의 크기임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시험은 활성 성분 키보르놀의 바이러스 사멸 효능을 평가하고 입증하도록 허용했다; 특히, 이들은 100 mL 용액 당 3 g의 키보르놀의 농도에서, 고려된 모든 바이러스에 대하여 바이러스 역가의 대부분의 총 감소를 입증하도록 허용했다.
그러므로, 키보르놀은, 편도염, 인두염 및 후두염과 같은, 전형적으로 감기, 구강 및 상기도 질환과 같은,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바람직하게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바이러스 사멸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스프레이 현탁액의 형태의 약학 조성물의 제조
100 mL의 스프레이 현탁액을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 및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의 라세미 혼합물 형태인 2.0 g 키보르놀과 다음의 표 7에 나타난 부형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pct00008
이와 같이 제조된 현탁액은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치료에서 바이러스 사멸성 현탁액으로서 안정적이고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3 -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스프레이 현탁액의 형태의 약학 조성물의 제조
100 mL의 스프레이 현탁액을 4,5-디메틸-2-[(1S,2R,4R)-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 및 4,5-디메틸-2-[(1R,2S,4S)-1,7,7-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2.2.1]헵탄-2-일]페놀의 라세미 혼합물 형태인 3.0 g 키보르놀과 다음의 표 8에 나타난 부형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표 8]
Figure pct00009
이와 같이 제조된 현탁액은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치료에서 바이러스 사멸성 현탁액으로서 안정적이고 효과적이었다.
유사하게, 키보르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그러므로 감기, 입 및 상기도의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및 앙기나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험은 키보르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냈고,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분명하게, 키보르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이러한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편도염, 인두염 및 후두염과 같은, 감기, 입 및 상기도 감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5)

  1.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therapeutic treatment)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제(virucidal agent)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로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보르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아데노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인, 사용하기 위한 키보르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은 감기(cold), 구강(oral cavity)의 장애(disorder) 또는 상기도(upper airway)의 장애인, 사용하기 위한 키보르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 구강의 장애 또는 상기도의 장애는 편도염(tonsillitis), 인두염(pharyngitis), 후두염(laryngitis) 또는 앙기나(angina)인, 사용하기 위한 키보르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르놀은 경구(oral), 비강(nasal), 비강내(intra-nasal), 설하(sublingual), 협측(buccal), 근육내(intramuscular), 정맥내(intravenous), 경피(transdermal), 피하(sub-cutaneous), 국소(topical), 직장(rectal), 또는 안구(ocular)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사용을 위한 키보르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르놀은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사용을 위한 키보르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르놀은 일(day) 당 15 내지 56 mg, 바람직하게는 일 당 18 내지 48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 당 24 내지 36 mg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사용을 위한 키보르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르놀은 10 m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 m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unit dose)의 형태인, 사용을 위한 키보르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용량은 1일에 3 내지 8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에 4 내지 6회 투여되고, 각각의 횟수는 1 내지 9개의 단위 용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단위 용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단위 용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개의 단위 용량의 투여를 포함하는, 사용을 위한 키보르놀.
  10.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보르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사멸성(virucidal)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리노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아데노바이러스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5인,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은 감기, 구강의 장애 또는 상기도의 장애인,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 구강의 장애 또는 상기도의 장애는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또는 앙기나인,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세척제(mouthwash), 스프레이, 구강붕해성 고체 제제(orodispersible solid preparation), 츄잉 껌(chewing gum), 시럽, 사탕, 겔, 페이스트(paste), 안약, 캡슐, 미소-캡슐(micro-capsule), 정제, 미니-정제(mini-tablet), 미소-정제(micro-tablet), 펠렛(pellet), 다입자체(multiparticulate), 미소화된 미립자(micronized particulate), 알약(pill), 분말(powder), 과립(granule), 미소-과립(micro-granule), 좌제, 로션, 연고, 팅크(tincture), 또는 크림인,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키보르놀을 조성물의 부피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단위 용량으로 투여되며, 각각의 단위 용량은 10 m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g의 키보르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 m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단위 용량은 1일에 3 내지 8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에 4 내지 6회 투여되고, 각각의 횟수는 1 내지 9개의 단위 용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단위 용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단위 용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개의 단위 용량의 투여를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비강, 비강내, 설하, 협측, 근육내, 정맥내, 경피, 피하, 국소, 직장, 또는 안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emulsion)의 형태로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프레이 또는 구강세척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로서 조제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23. 제 1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고,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전의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또는 구강세척제로서 조제되며, 약학 조성물 100 mL 당,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24. 제 1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고, 현탁액의 형태이고, 스프레이로서 조제되며, 약학 조성물 100 mL 당, 10 g 이하의 키보르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g의 키보르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현탁액의 형태이고, 스프레이로서 조제되고, 약학 조성물 100 mL 당 3 g의 키보르놀을 포함하며, 1일에 4 내지 6회 경구 투여의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사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사멸성 약학 조성물.
KR1020197001104A 2016-07-15 2017-07-13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활성제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의 용도 Ceased KR20190040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74507A IT201600074507A1 (it) 2016-07-15 2016-07-15 Uso di xibornolo come agente attivo nel trattamento di infezioni virali
IT102016000074507 2016-07-15
PCT/IB2017/054247 WO2018011751A1 (en) 2016-07-15 2017-07-13 Use of xibornol as active agent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185A true KR20190040185A (ko) 2019-04-17

Family

ID=5770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104A Ceased KR20190040185A (ko) 2016-07-15 2017-07-13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활성제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의 용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736856B2 (ko)
EP (1) EP3484460A1 (ko)
JP (1) JP2019520373A (ko)
KR (1) KR20190040185A (ko)
CN (1) CN109640968A (ko)
AU (1) AU2017294686B2 (ko)
BR (1) BR112019000711A2 (ko)
CA (1) CA3030657A1 (ko)
EA (1) EA201892830A1 (ko)
IT (1) IT201600074507A1 (ko)
MA (1) MA45678A (ko)
MX (1) MX2019000645A (ko)
PH (1) PH12019500103A1 (ko)
WO (1) WO2018011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95081A1 (en) * 2019-09-26 2021-04-01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Polymeric film and laminated glass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36856B2 (en) 2020-08-11
JP2019520373A (ja) 2019-07-18
MX2019000645A (es) 2019-06-13
EA201892830A1 (ru) 2019-08-30
MA45678A (fr) 2019-05-22
US20190336456A1 (en) 2019-11-07
PH12019500103A1 (en) 2019-10-28
EP3484460A1 (en) 2019-05-22
WO2018011751A1 (en) 2018-01-18
IT201600074507A1 (it) 2018-01-15
BR112019000711A2 (pt) 2019-05-14
AU2017294686B2 (en) 2019-10-31
AU2017294686A1 (en) 2019-01-31
CN109640968A (zh) 2019-04-16
CA3030657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0047B2 (ja) 抗ウイルス組成物及び使用方法
US8901172B2 (en) Method for treating an inflammation or lesion caused by a virus
US20090191288A1 (en) Composition to Treat Herpes, Pseudomonas, Staph, Hepatiti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DK169437B1 (da) Chloreret uracilnucleosid, denne forbindelse til anvendelse mod en adenovirusinfektion, anvendelse af forbindelsen til fremstilling af et lægemiddel mod en adenovirusinfektion, farmaceutiske præparater indeholdende forbindelsen samt fremgangsmåde ti l fremstilling af forbindelsen
US9662360B2 (en) Treatment of herpes, pseudomonas, staph, and hepatitis
CA2533591C (en) Method for treatment of sores and lesions of the skin
EP1372389B1 (en) Virucidal compositions
KR20190040185A (ko)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활성제로서의 키보르놀(xibornol)의 용도
CN103153312B (zh) 用于预防性治疗和治疗性治疗疱疹感染的吡罗昔康
US20060287364A1 (en) Methods of prevention of infection with HIV/AIDS, venereal disease and influenza
Togo et al. Antiviral effect of 3, 4-dihydro-1-isoquinolineacetamide hydrochloride in experimental human rhinovirus infection
RU2824607C2 (ru) 2-(имидазол-4-ил)-этанамид пентандиовой-1,5 кислоты или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ая соль для лечения covid-19 и ее симптомов
EP4431103A1 (en) Formulations comprising heparan sulfat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ral infections caused by orthocoronaviridae
US20250120929A1 (en) Method of treating virus-associated infection using acetaminophen
WO2022048180A1 (zh) 一种多肽在预防和治疗肺炎的药物中的应用
EA049313B1 (ru) Применение 2-(имидазол-4-ил)этанамид пентандиовой-1,5 кислоты для лечения covid-19
EP4247350A1 (en) Composition for use in a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CN117298149A (zh) 铟掺杂的硫磷化铜量子点在抑制冠状病毒的应用
WO2022250578A1 (ru) Применение 2-(имидазол-4-ил)-этанамид пентандиовой- 1,5 кислоты для лечения covid-19
AU2008201666A1 (en) Virucidal compositions
HK1141980B (en) Use of carrageenan for treating rhinovirus inf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