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37579A - 데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데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79A
KR20190037579A KR1020170127072A KR20170127072A KR20190037579A KR 20190037579 A KR20190037579 A KR 20190037579A KR 1020170127072 A KR1020170127072 A KR 1020170127072A KR 20170127072 A KR20170127072 A KR 20170127072A KR 20190037579 A KR20190037579 A KR 20190037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individual
connecting member
decks
flexible conn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선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우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우드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우드선
Priority to KR102017012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579A/ko
Publication of KR2019003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7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개별 데크와 이 개별 데크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개별 데크 및 신축성 연결부재는 폭방향 양 단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결속수단 혹은 결속구조를 가져 개별 데크와 신축성 연결부재가 이 결속수단 혹은 결속구조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이때, 신축성 연결부재는 폭방향으로 주름을 가져 폭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면 이 주름을 이용한 탄성적 신축 변형을 통해 그 폭(너비)를 바꾸거나, 신축성 연결부재가 매개하는 두 개별 데크가 서로 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데크 구조물 설치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노면의 경사가 있거나 굽은 도로를 이루는 경우에도 별도의 개별 데크 가공을 할 필요이 융통성 있게 데크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 어셈블리{deck assembly}
본 발명은 합성목재 등으로 제작되어 주택 베렌다, 등산로, 탐방로, 산책로 등에 설치되는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틀 위에 개별 데크를 설치하여 데크 구조물을 형성하는 작업을 융통성 있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데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주택의 베렌다, 옥외의 자연환경 파괴를 줄일 수 있는 탐방로나 산책로, 등산로를 조성하기 위해 데크 구조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데크는 지면이나 얕은 수면의 지반에 주로 철제로 이루어진 받침틀을 형성하고, 그 받침틀 위에 개별 테크 혹은 개별 패널을 다수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132호의 도1 등에는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를 하고, 기초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주로 금속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동바리)를 설치하고, 이 수직부재 위에 수평부재(멍에:sleepers)를 도로 폭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수평부재 위에 다른 수평수재(장선: bridging joist)를 도로 진행 방향으로 설치하고, 이렇게 형성된 받침틀 구성 위에 바닥판을 이룰 합성목재 개별 데크들을 설치하여 데크 구조물로서 데크 도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개별 데크는 여러 재질의 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지만 근래에 합성 목재 개별 데크가 많이 사용된다.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는 미크론(micron) 단위의 미세한 목분을 폴리올레핀계 고분자가 완전히 둘러싸고 있어 습기와 수분에 매우 강하며, 천연목재와 고분자간의 결합으로 목재의 장점과 고분자의 장점을 모두 갖춘 신개념 재료로 최근에는 건축용 내장재 및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개별 데크를 받침틀에 고정, 설치하여 데크 구조물을 형성할 때 통상적 개별 데크는 합성목재로 소정의 폭,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 혹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어느 하나의 개별 데크와 이웃한 또 다른 개별 데크를 연결하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데크에는 요홈을 형성하고, 또 다른 데크에는 요홈에 삽입되는 요철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 데크 시공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시공 방법은 시공 후 중간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여 중간 부분을 교체할 경우에는 시공된 데크 전체를 해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경우, 개별 데크를 받침틀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고정나사만으로 개별 데크를 체결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보행시 발에 충격이 가서 보행감이 나빠지고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고, 보행자의 무게에 따른 충격과 반복 하중이 개별 데크, 받침틀 및 고정나사에 그대로 전달되어 구조물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20296호(2008.04.01.)에는 바닥재를 지지하도록 폭 방향으로 돌출단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아이빔과, 아이빔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면서 바닥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마감재 및 버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재의 설치구조에서, 폭 방향의 돌출단과 수평 및 수직을 이루도록 두 개의 면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단과 수평을 이루는 일면은 바닥재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돌출단과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며, 타면은 돌출단과 수직을 이루며 하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되면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단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와, 체결부재가 관통하고 가이드 브라켓의 일면과 돌출단 상면 사이로는 탄성체가 압축력을 받으면서 설치된 구조를 가져 보행시 편리함과 부드러움을 유도할 수 있는 바닥재의 설치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데크 구조물의 개별 데크가 일일이 체결부재를 조립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번거로우면서도 보행자의 반복하중에 의해 빈번히 체결부재에 파손현상이 발생하며 잦은 보수작업이 요구되는바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 탄성체만으로 효과적인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별 데크를 요홈과 요철(홈과 돌기)를 이용하여 결합할 때 데크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도로가 좌우로 굽는 경우가 많거나, 상하로 높낮이가 달라 작지만 불규칙한 경사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개별 데크와 개별 데크를 단순히 연결하는 작업만으로는 커버가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런 경우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4991호는 데크 로드 시공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런 방법도 데크 소모가 많고 제작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2132 :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7197 :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54154호 : 데크의 연결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4519 : 바닥테크용 완충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4991 : 합성 목재 데크 로드 시공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데크 구조물 형성시의 문제점을 경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 구조물 설치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탐방로 등을 형성할 때 노면의 경사가 있거나 굽은 도로를 이루는 경우에도 별도의 개별 데크 가공을 할 필요나 여러 형태의 개별 데크를 준비할 필요가 없이 융통성 있게 데크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개별 데크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에도 이를 보완하여 보행자가 위험을 느끼지 않고, 이탈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데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데크 구조물에서 부분 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데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크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데크와 이 개별 데크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개별 데크 및 신축성 연결부재는 폭방향 양 단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결속수단 혹은 결속구조를 가져 개별 데크와 신축성 연결부재가 이 결속수단 혹은 결속구조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신축성 연결부재는 폭방향으로 주름을 가져 폭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면 이 주름을 이용한 탄성적 신축 변형을 통해 그 폭(너비)를 바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속구조는 신축성 연결부재나 개별 데크의 폭방향 양 단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요철)나 이 돌기에 결합되는 홈(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돌기의 끝단 및 홈의 막힌 단부에는 두께 혹은 직경이 확대된 해드부 및 확장부가 설치되어 돌기-홈 결합시 걸림턱 작용을 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개별 데크는 전체적으로 길이, 폭,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플레이트나 기둥 형으로 이루어져 홈이나 돌기는 폭방향 양 단면에 형성될 수 있고, 신축성 연결부재는 개별 데크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는 골이나 산이 형성하는 주름선을 적어도 하나 가지는(개별 데크와 신축성 부재가 차례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주름진)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 단부에 돌기나 홈을 가지는 것으로 폭방향(연결 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작용시켜 신축성 연결부재의 주름을 이용한 탄성적 신축 변형을 통해 신축성 연결부재 자체의 폭(너비)를 바꿀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 어셈블리는 가령, 서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의 개별 데크, 데크와 데크 사이에 개입되면서 각 데크와 결합되어 데크와 데크를 연결하는 신축성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이 신축성 연결부재는 개별 데크 길이 방향으로 주름선을 가지는(개별 데크 연결 방향으로 주름진) 것으로, 연결 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작용하여 연결부재의 탄성적 신축 변형을 통해 개별 데크 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이런 경우, 신축성 연결부재는 이것으로 연결된 두 개별 데크 사이의 인력이나 압력을 데크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달리하여 두 개별 데크가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연결부재는 투수나 통기를 위한 통공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연결부재는 실리콘 고무나 우레탄 고무, 기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신축성 연결부재는 개별 데크의 사이뿐 아니라 하부에도 함께 설치되어 개별 데크에 대한 완충작용을 함께 수행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된 완충부를 가져 개별 테크 하부에서 적어도 일정 구간 겹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신축성 연결부재의 완충부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다른 신축성 연결부재의 완충부와 그 단부에서 상호 체결될 수 있고, 그 체결 수단으로는 연장부 단부에 자체 형성된 홈이나 돌기가 사용되거나, 이들을 체결해주는 별도의 나사나 핀과 같은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구조물을 설치할 때 개별 데크 사이에 개재되는 신축성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개별 데크 사이 간격을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구조물을 설치할 때 개별 데크 길이 방향으로 일 단과 타단의 개별 데크 사이의 간격을 달리할 수 있어서 데크 도로와 같은 구조물에서 도로 진행방향으로 좌우로 굽은 부분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성 연결부재를 이용하므로 서로 인접한 두 개별 데크의 평면들이 서로 각도를 가지고 만나게 되는, 데크 주행로의 경사진 부분을 형성할 때에도 신축성 연결부재를 상하로 쉽게 구부릴 수 있으므로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데크 사이의 틈을 신축성 연결부재가 커버하게 되므로 개별 데크 사이로 공간이 보이고 보행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문제가 없고, 개별 데크 틈 사이로 이탈물이 낙하하는 이탈물을 회수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로 결합될 신축성 연결부재 및 개별 데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2는 도1의 신축성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두 개별 데크가 일정 각을 이루는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도1의 신축성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신축성 연결부재 및 개별 데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데크 어셈블리가 받침틀에 결합되어 데크 도로를 이루는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이에 대한 부분적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결합된 신축성 연결부재 및 개별 데크들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결합되어 테그 어셈블리를 이루는 신축성 연결부재 및 개별 데크들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8은 도7의 데크 어셈블리를 확장하면서 받침틀의 장선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데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신축성 연결부재와 개별 데크를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2는 이들이 결합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이들을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개별 데크(110, 120)를 폭방향(x방향) 연속으로 설치하여 데크 구조물로서 도로를 형성한다고 전제하면, 개별 데크(110, 120)는 데크 구조물이 이루는 도로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도로 방향(x 방향)의 전 후단, 즉, 개별 데크의 폭방향(x방향) 양 단면에 결합구조(홈이나 돌기 등), 여기서는 홈(115))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결합구조는 이 양 단면의 두깨 방향(z방향) 중간 높이에 개별 데크 길이 방향(y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신축성 연결부재(210)는 개별 데크(110, 120)에 비해 얇은 두께와 작은 폭을 가지고, 길이는 동일하되 길이 방향(y방향)으로 뻗는 골(213)과 산(211)이 주름선을 형성하는, 폭방향(x방향)으로 주름진 혹은 굴곡진 합성수지 혹은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연결부재의 폭 방향 양 단부에는 개별 데크의 양 단면에 형성된 결합구조인 홈(115)에 끼워지는 돌기(215)가 구비된다.
따라서, 데크 어셈블리 내에서 인접한 두 개별 데크(110, 120)는 하나의 신축성 연결부재(21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때, 신축성 연결부재(210)는 폭방향(x방향)으로 압축력 혹은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원래의 주름진 형태에서 주름이 더 심하게 지거나 혹은 펴지면서 폭이 어느 정도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고, 압축력이나 인장력이 사라지면 원래의 폭 및 주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축성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인접한 두 개별 데크(110, 120)의 사이의 거리(간격)은 줄어들거나 확대될 수 있다.
아울러, 개별 데크의 길이 방향 일 단에서의 인장 혹은 압축 정도가 다른 일단에서의 인장 혹은 압축의 정도가 다르면 두 개별 데크(110, 120) 사이의 거리는 개별 데크 길이 방향 양 단에서 각각 다르게 되어 두 개별 데크는 영(0)이 아닌 사이각, 가령 1도 내지 10도 정도의 사이각을 이루게 된다. 즉, 개별 데크의 일측 단부에서는 인장력이 커서 주름이 펴지면서 개별 데크 사이가 벌어지고, 다른 단부에서는 인장력이 작아서 주름골 사이가 작아지면서 개별 데크 사이가 좁아지고, 결국 두 개별 데크 사이의 간격이 개별 데크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면서 두 개별 데크는 0이 아닌 일정한 사이각(θ)을 이루게 된다.
이 데크 어셈블리에서 개별 데크와 신축성 연결부재 사이의 결속구조를 이루는 홈과 돌기에서, 돌기의 끝단 및 홈의 막힌 단부에는 두께 혹은 직경이 확대된 해드부(215') 및 확장부(115')가 설치되어 돌기-홈 결합시 걸림턱 작용을 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참조번호 117, 127은 개별 데크를 장선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나 나사못과 같은 고정부재를 표시하며 이는 곧 그 고정부재가 삽입될 고정홀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데크 어셈블리가 받침틀의 장선(310, 320)에 설치되는 하나의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바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접한 개별 데크들(110, 120, 130)이 다소 과장되어 표시된 사이각을 가진 상태로 개별 데크가 도로 방향으로 하나씩 더 설치되어 가면 인접된 개별 데크 사이의 사이각이 누적되면 도4에서 보이듯이 데크로 이루어지는 도로는 점차 더 큰 각도로 굽어지는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을 통해 직선 구간(A, C)과 함께 곡선 구간(B)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도5를 앞선 도1 및 도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신축성 연결부재(210)는 주름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기(215)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215)의 폭방향(x방향) 끝단은 도1에서 보듯이 개별 데크와 결합될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해드부(215')를 가지고, 개별 데크(110)의 폭 방향 양 단면에 형성된 홈(115)도 해드부(215')를 수용하기 위해 홈 입구보다 홈 바닥이 더 넓게 형성되어 확장부(115')를 이룬다. 주름은 적어도 하나의 골(213) 또는 산(211)을 가짐으로써 형성된다. 골이나 산을 이루는 주름선은 대략 개별 데크 길이 방향(y방향)으로 뻗는 형태를 보인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투수를 위한 통공을 가질 수 있다. 신축성 연결부재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위에서 볼 때 통공도 정원을 이루지만, 인장력이 작용될 때에는 인장력에 비례하여 연결부재의 폭방향으로 장축을 가진 타원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런 신축성 연결부재는 실리콘 고무나 우레탄 고무, 기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변형이 용이하므로 주름 간격이 줄거나 늘 수 있고, 주름이 없는 경우라도 인장력을 받을 때 폭 방향 길이가 소폭 늘어나고 압축될 때 길이가 소폭 줄어들 수 있다.
도 5를 통해 데크 어셈블리를 받침틀의 장선(320)에 고정하는 하나의 방법을 좀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나타나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개별 데크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볼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개별 데크가 받침틀에 직접 고정된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개별 데크(110)가 받침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축성 연결부재(210)의 일측 돌기를 제1 개별 데크(110)의 측단면 홈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신축성 연결부재(210)의 반대쪽 돌기를 제2 개별 데크(120)의 측단면 홈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로써 기본적 단위의 데크 어셈블리가 만들어진다. 이 상태에서 제2 개별 데크(120)를 받침틀의 장선(320) 상의 정해진 위치에 놓기 위해 제1 개별 데크(110)로부터 잡아당겨 신축성 연결부재(210)가 폭방향으로 인장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개별 데크(120)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받침틀의 장선(320)에 고정한다.
이때, 제2 개별 데크의 길이 방향 양 단을 각각 제1 개별 데크로부터 필요한 만큼씩 서로 다른 인장력으로 당길 수 있고, 신축성 연결부재가 늘어난 폭이 다른 상태로 제2 개별 데크를 받침틀에 고정하여 제1 개별 데크와 제2 개별 데크가 일정한 사이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데크로 이루어진 도로를 설치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데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타나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신축성 연결부재(220)가 개별 데크(110, 120)의 측방에만 위치하는 것이 아니고 개별 데크(110, 120) 하부에 일부 겹치도록 설치된 부분인 완충부(22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서로 인접한 두 신축성 연결부재는 도로 설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장선(320)의 모든 구간을 커버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신축성 연결부재는 도1 내지 도3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부분, 즉, 주름진 플레이트와 그 폭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는 돌기뿐 아니라 개별 데크 저면에 놓이는 완충부(227)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1 신축성 연결부재의 폭방향 일측(여기서는 우측)으로 연장된 완충부와 제2 신축성 연결부재의 폭방향 일측(여기서는 좌측)으로 연장된 완충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인 끝단(227')은 두께가 절반으로 형성되어 겹쳐도 두께의 변화가 없도록 하고, 이 끝단(227')에는 결합홀(229)이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 혹은 체결부재(330)에 의해 신축성 연결부재가 장선(320)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개별 데크의 폭방향 양 단면에 있는 홈이 양 측에 있는 두 신축성 연결부재의 돌기와 결합되도록 하면 이 개별 데크는 두 신축성 연결부재의 완충부 위에 놓이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개별 데크는 하부 및 좌우측에 있는 두 신축성 연결부재에만 홈-돌기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받침틀과는 별도로 결합되지 않지만, 개별 데크와 그 좌우측의 신축성 연결부재가 위에서 볼 때 겹치는 부분에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함께 받침틀에 고정, 결합되는 경우도 당연히 고려될 수 있다.
도6의 데크 어셈블리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도로 형태의 데크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생각하면, 먼저, 받침틀의 정해진 위치에 미리 볼트 고정용 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좌우측 신축성 연결부재인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일부가 겹치게 놓아 제1 개별 데크가 설치될 자리를 마련한다. 이 상태에서 그 좌우측 신축성 연결부재가 서로 겹친 영역에서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이들을 받침틀에 형성된 제1 홀 위치에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제3 연결부재를 준비하고, 제2 및 제3 연결부재를 겹치게 놓아 제2 개별 데크가 설치될 자리를 마련한다. 이 상태에서 제2 및 제3 연결부재가 서로 겹친 영역에서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이들을 일시적, 부분적으로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를 적당히 당겨 고정부재가 받침틀에 형성된 제2 홀 위치에 오도록 한 뒤 체결부재를 제2 홀에 고정한다.
이런 방식으로 우선 연결부재들을 받침틀에 연속하여 설치한 뒤, 이렇게 만들어진 개별 데크 자리에 개별 데크를 설치한다. 물론, 이때에는 개별 데크의 돌기가 연결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데크 어셈블리 및 데크 로드를 형성하기 위해 받침틀(장선)에 모든 홀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곧 각 개별 데크가 놓일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홀의 위치를 결정할 때에는 홀 사이의 간격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런 결정을 할 때에는 신축성 연결부재 및 개별 데크의 폭과 신축성 연결부재의 늘어날 수 있는 거리 등을 감안하여, 가장 적절한 간격으로 개별 데크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결정한다.
이상에서는 홀의 위치를 먼저 결정하여 받침틀에 홀을 사전에 형성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반대로 각각의 신축성 연결부재와 개별 데크를 하나씩 도로 방향으로 결합시키면서, 먼저 결합된 개별 데크의 위치를 결정한 뒤, 개별 데크와 신축성 연결부재가 겹친 상태로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그 위치에 고정하고, 다음으로 결합된 개별 데크의 위치를 현재의 상황을 바탕으로 새롭게 결정한 뒤 다시 체결부재로 개별 데크를 그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하여 데크 구조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가령, 이 실시예의 도7과 같은 구성에서는 먼저, 내부 공간(515)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단이 플랜지(513)를 가진 원통체(511)로 이루어진 제1 결합핀(510)이 아래로부터 제1 신축성 연결부재(220a), 제2 신축성 연결부재(220b)를 관통하고 제1 개별 데크(4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런 제1 결합핀(510)은 제1 개별 데크(410)의 길이 방향 양 단(도로 폭방향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각 신축성 연결부재(220a, 220b)와 개별 데크(410)에는 이 결합핀(510)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이 미리 형성된다.
이런 상태에서 제1 결합핀(510)은 받침틀의 장선(320) 상의 필요한 위치에 놓이고, 그 위치에 작업자가 제1 개별 데크(410)를 발로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임시로 고정된 뒤, 제1 결합핀(510) 위에서부터 제1 나사못(610)을 체결하여 제1 나사못(610)이 제1 결합핀(510)을 통과한 뒤 장선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결합핀(520)과 제3 신축성 연결부재(220c) 및 제2 개별 데크를 준비하여 앞서와 마찬가지로 제2 결합핀(520)이 아래로부터 제2 신축성 연결부재(220b), 제3 신축성 연결부재(220c)를 관통시키고 제2 개별 데크(42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결합핀(520)을 장선(320)의 다음 설치 위치에 놓는다. 이를 위해 제2 결합핀을 제1 결합핀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당기거나 제1 결합핀쪽으로 압축할 수 있고, 이때 제2 신축성 연결부재(220b)의 주름진 플레이트 부분이 변형되면서 당기거나 압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2 결합핀(520)을 통해 위로부터 제2 나사못(620)을 체결하여 제2 나사못을 장선에 고정시켜 도8과 같은 상태를 만든다.
이상의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데크 도로를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도 장선에 미리 개별 데크 위치를 계산하여 고정홀을 설치할 수도 있고, 사전에 고정홀을 설치함이 없이 그때그때의 사정에 맞게 개별 데크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에서 개별 데크를 고정한 상태로 나사못을 누르면서 회전시켜 고정홀을 만들면서 데크 어셈블리를 장선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120, 410, 420: 개별 데크 115: 홈
115': 확장부 117: 고정부재
210, 220, 220a, 220b, 220c: 신축성 연결부재
211, 221: 산 213, 223: 골
215, 225: 돌기 215', 225': 해드부
227: 완충부 227': 끝단 (완충부 끝단)
229: 결합홀
310, 320: 장선 (받침틀의 장선) 330: 체결부재(고정부재)
510, 520: 결합핀: 610, 620: 나사못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개별 데크와 상기 개별 데크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는 폭방향으로 주름을 가져 폭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면 상기 주름을 이용한 탄성적 신축 변형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개별 데크 및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는 폭방향 양 단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결속수단 혹은 결속구조를 가져 상기 개별 데크와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가 상기 결속수단 혹은 결속구조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조는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나 상기 개별 데크의 폭방향 양 단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요철)나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홈(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돌기의 끝단 및 상기 홈의 막힌 단부에는 두께 혹은 직경이 확대된 해드부 및 확장부가 설치되어 돌기-홈 결합시 걸림턱 작용을 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의 개별 데크, 상기 복수의 개별 데크 가운데 서로 인접된 두 개별 데크 사이에 개재되면서 각 개별 데크와 결합되어 상기 두 개별 데크를 결합시키는 신축성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는 상기 두 개별 데크 사이의 인력이나 압력을 데크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두 개별 데크가 0보다 큰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이루어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는 실리콘 고무나 폴리우레탄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는 상기 개별 데크의 폭방향 측방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개별 데크의 하부에 서로 겹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개별 데크를 밟을 때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연결부재의 상기 완충부는 인접한 신축성 연결부재의 완충부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어셈블리.
KR1020170127072A 2017-09-29 2017-09-29 데크 어셈블리 Ceased KR20190037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72A KR20190037579A (ko) 2017-09-29 2017-09-29 데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72A KR20190037579A (ko) 2017-09-29 2017-09-29 데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79A true KR20190037579A (ko) 2019-04-08

Family

ID=6616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72A Ceased KR20190037579A (ko) 2017-09-29 2017-09-29 데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57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47B1 (ko) * 2020-07-09 2020-12-24 (주) 금룡 내구성이 증대된 잔디식재용 완충배수구조체
CN115162087A (zh) * 2022-08-02 2022-10-11 广东安水建设有限公司 一种软土质地带的拼装式市政道路及其施工方法
US11515593B2 (en) 2019-06-25 2022-11-2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30049917A (ko) * 2021-10-07 2023-04-14 (주)신화 회전형 데크
JP2024027501A (ja) * 2022-08-18 2024-03-01 美藤 雅康 木材を用いた地球温暖化防止の舗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154B1 (ko) 2005-11-14 2006-02-21 김병규 데크의 연결구조
KR101184991B1 (ko) 2012-04-27 2012-10-02 박준남 합성 목재 데크 로드 시공 방법
KR101467197B1 (ko) 2014-01-28 2014-12-0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92132B1 (ko) 2014-07-18 2015-02-11 주식회사 더우드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KR101574519B1 (ko) 2015-04-06 2015-12-04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바닥데크용 완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154B1 (ko) 2005-11-14 2006-02-21 김병규 데크의 연결구조
KR101184991B1 (ko) 2012-04-27 2012-10-02 박준남 합성 목재 데크 로드 시공 방법
KR101467197B1 (ko) 2014-01-28 2014-12-0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92132B1 (ko) 2014-07-18 2015-02-11 주식회사 더우드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KR101574519B1 (ko) 2015-04-06 2015-12-04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바닥데크용 완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5593B2 (en) 2019-06-25 2022-11-2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195247B1 (ko) * 2020-07-09 2020-12-24 (주) 금룡 내구성이 증대된 잔디식재용 완충배수구조체
KR20230049917A (ko) * 2021-10-07 2023-04-14 (주)신화 회전형 데크
CN115162087A (zh) * 2022-08-02 2022-10-11 广东安水建设有限公司 一种软土质地带的拼装式市政道路及其施工方法
CN115162087B (zh) * 2022-08-02 2023-08-22 广东安水建设有限公司 一种软土质地带的拼装式市政道路及其施工方法
JP2024027501A (ja) * 2022-08-18 2024-03-01 美藤 雅康 木材を用いた地球温暖化防止の舗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579A (ko) 데크 어셈블리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689543B1 (ko) 데크보드 조립체
KR101855368B1 (ko)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53238B1 (ko) 합성목재 연결장치와 미끄럼방지 수단이 포함된 합성목재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CN102834624B (zh) 木板铺装或地板铺装系统、及其组件
WO2008011761A1 (fr) Plancher à montage rapide et procédé d'installation correspondant
KR101492132B1 (ko)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20100120935A (ko) 합성목재데크 구조체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20544B1 (ko)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20130025095A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083698B1 (ko)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US9016016B2 (en) Insulated perimeter roof curb
KR101483908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KR101609759B1 (ko) 탈형 데크
KR20180093174A (ko) 간격결합체를 갖는 트러스 거더근 철물 및 이를 이용한 골 데크의 시공 방법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93496B1 (ko)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KR101793842B1 (ko)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KR101608627B1 (ko) 바닥 구조물
US20130061552A1 (en) Boardwalk system with tread-locating b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