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690A -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 Google Patents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6690A KR20190036690A KR1020170125879A KR20170125879A KR20190036690A KR 20190036690 A KR20190036690 A KR 20190036690A KR 1020170125879 A KR1020170125879 A KR 1020170125879A KR 20170125879 A KR20170125879 A KR 20170125879A KR 20190036690 A KR20190036690 A KR 201900366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ushion layer
- foamed cushion
- foamed
- polyolef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with aliphatic 1-olefins contain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잔류압입율이 낮은 발포쿠션층을 쿠션 바닥장식재에 포함함으로 인하여,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이 대폭 개선되고, 바닥장식재의 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The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includes a 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low residual indentation rate,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cushioning and restoring force, And a cushioning flooring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ing layer.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주거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바닥장식재는 건강은 물론 친환경 및 차음 성능을 부여해줄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ed, and flooring materials closely related to residential life have been using materials that can provide health and sound and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환경에서 층간 소음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 법규(주택건설법 등)도 점차 강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층간 소음을 개선하기 위해 쿠션성이 높은 제품에 대해 점차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Especially,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an apartment, the interlayer noise problem is becoming a social issue, and the related laws (the Housing Construction Act, etc.) are gradually being strengthen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layer noise, Is increasing.
또한, 고령 인구가 증대됨에 따라 바닥장식재에 쿠션성을 부여하여 발바닥이 아프지 않고, 넘어져도 충격을 완화해줄 수 있는 바닥장식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Also,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flooring materials that provide cushioning properties to flooring materials, which do not hurt the soles of the floor and can alleviate the impact even when falling.
그 일예로,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5494호로 공개된 바닥장식재는 쿠션성을 가지는 탄성발포층을 포함하도록 하여 층간 소음, 충격 완화 등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For example, the flooring material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65494 conventionally includes an elastic foam layer having cushioning property to solve the interlayer noise, shock reduction, and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바닥장식재의 탄성발포층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수지와 디옥틸프탈레이트 같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주요 성분으로 하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바닥장식재에 가구나 냉장고와 같이 하중이 무거운 제품을 장기간 안치하였다가 이들을 다른 장소로 이동 시 탄성발포층의 눌림복원력이 좋지 않아 그 흔적이 바닥장식재 표면에 잔류함으로서 외관상 미감을 크게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elastic foam layer of the conventional floor coverings is mainly made of a phthalate plasticizer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and dioctyl phthalate, it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he flooring material is heavy load such as furniture or refrigerator When they are moved to another place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ilience of the elastic foam layer is poor and the marks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floor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이고,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이 우수한 쿠션 바닥장식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excellent cushioning and restoring for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친환경적이고,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이 우수한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amed cushion layer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excellent in cushioning and restoring force, and a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발포쿠션층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 flooring comprising a foamed cushion lay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고무(A) 60-90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4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C) 1-15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쿠션층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foamed product (C) comprising reacting 100 parts by weight of a mixed resin comprising 60 to 90% by weight of a polyolefin rubber (A) and 10 to 40% by weight of a polyolefin resin (B) 15 parts by weight of a foamed cushion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더 포함하는 발포쿠션층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amed cushion layer further comprising a polyolefin-based film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또한, 본 발명은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발포쿠션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ushioning flooring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the printing layer and the transparent layer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또한, 본 발명은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발포쿠션층, 인쇄층, 투명층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a cushioning flooring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the printing layer and the transparent layer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1) 발포쿠션층을 형성하는 단계;1) forming a foamed cushion layer;
2) 발포쿠션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2) forming a printing layer on the foamed cushion layer;
3) 인쇄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3) forming a transparent layer on the printing layer.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은 PVC 수지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폴리올레핀계 고무를 포함하여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이 대폭 개선되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더 포함함으로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co-friendly because it does not contain a PVC resin and a phthalate plasticizer, and has greatly improved cushioning and restoring force including a polyolefin rubber, and further includes a polyolefin resin, thereby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
또한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은 발포쿠션층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면에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내열성 및 가공성이 더욱 개선된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when the polyolefin-based film is inclu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발포쿠션층을 포함 시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이 대폭 개선되며,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쿠션 바닥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oamed cushion layer is included, the cushioning and restoring force is remarkably improved, and the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having the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쿠션 바닥장식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쿠션 바닥장식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의 쿠션 바닥장식재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기재한 순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where the cushioning flooring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onfigurations that can be selectively included. Fig.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including 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20)은 폴리올레핀계 고무(A) 60-90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4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C) 1-15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쿠션층 조성물로 제조된 것으로, 단일층 구조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oamed cushio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무(A)는 발포쿠션층의 눌림복원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1)이거나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한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2)일 수 있다.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the polyolefin-based rubber (A) is used for improving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of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is a copolymer (a1)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or a copolymer of an alpha olefin other than propylene and propylene a2).
상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1)은 에틸렌과 탄소수 3-20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알파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일 수 있다. The copolymer (a1)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of alpha olefins include propylene, 1-butene, 1-pentene, 1-octene, 1-octene, 1-decene, 1-dodecene, 1-tetradecene, 1-hexadecene, 1-octadecene, It can be more than a species. Preferably an ethylene / 1-octene copolymer or an ethylene / 1-butene copolymer.
상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1)는 용융지수(MFR, 2.16 kg, 190℃)가 0.5 내지 10g/10min 또는 3-8g/10min이고, 용융점(Tm)이 50-65℃ 또는 55-60℃이고, 유리전이온도가(Tg) -70~10℃ 또는 -6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1)는 에틸렌 함량이 50-95몰%, 또는 65-90몰%일 수 있다.The copolymer (a1)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has a melt index (MFR, 2.16 kg, 190 占 폚) of 0.5 to 10 g / 10 min or 3-8 g / 10 min and a melting point (Tm) of 50 to 65 占 폚 or 55 to 60 ° 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Tg) -70 to 10 ° C. or -60 to 0 ° C. Further, the copolymer (a1)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may have an ethylene content of 50-95 mol%, or 65-90 mol%.
상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1)의 용융지수, 용융점, 유리전이온도 또는 에틸렌 함량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 가공성과,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 등의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은바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melt index, melting poin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ethylene content of the copolymer (a1) of ethylene and alpha-olefin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workability, cushioning property and restoring force are poor, .
상기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한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2)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20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알파올레핀의 예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이소택틱 프로필렌 반복단위에 에틸렌이 랜덤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The copolymer (a2) of an alpha olefin other than propylene and propylene may be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or an alpha olefin having 4 to 20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of alpha olefins include ethylene, 1-butene, 1-pentene, 1-hexene, 4-methyl-1-pentene, 1-octene, 1-decene, 1-dodecene, 1-tetradecene, 1-hexadecene, 1-octadecene, And the like. Preferably, ethylene is randomly copolymerized with the isotactic propylene repeating unit.
상기 프로필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2)는 용융지수(MFR, 2.16 kg, 190℃)가 0.5 내지 10g/10min 또는 1-8g/10min이고, 연화점(Vicat Softening Temperature)이 45-90℃ 또는 50-8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2)는 프로필렌의 반복 단위를 60중량%-95중량%, 또는 80-95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copolymer (a2) of propylene and an alpha olefin has a melt index (MFR, 2.16 kg, 190 DEG C) of 0.5 to 10 g / 10 min or 1-8 g / 10 min and a Vicat Softening Temperature of 45 to 90 DEG C or 50 -85 < 0 > C. Also, the copolymer (a2) of propylene and an alpha olefin may contain 60 wt% to 95 wt% or 80-95 wt% of propylene repeating units.
상기 프로필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2)의 용융지수, 연화점, 프로필렌 함량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 가공성과,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 등의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은바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melt index, softening point and propylene content of the copolymer (a2) of the propylene and the alpha olefin are outside the above range,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workability, cushioning property and restoring force are not preferable, and the above range is preferable.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무는 혼합수지 내 60-90중량%, 바람직하게는 65-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포함 시 유연성,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 포함 시 내열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the polyolefin-based rubber may be contained in the mixed resin in an amount of 60 to 90% by weight, preferably 65 to 80% by weight.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ensure flexibility, cushioning and restoring force,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heat resistance and workability are lowered.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B)는 발포쿠션층의 내열성 및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The polyolefin resin (B)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is used for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of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may be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polypropylene may be homopolypropylene, a polypropylene random copolymer, or a polypropylene block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상기 폴리에틸렌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polyethylene may be high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polyethylene or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or a mixture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삼원중합체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polyolefin-based resin may be a polypropylene-ethylene random copolymer, a polypropylene-ethylene-butene random terpolymer, or a low-density polyethylene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flexibility.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MFR, 2.16 kg, 230℃)가 1 내지 30g/10min 또는 6 내지 10g/10min 이고, 용융점(Tm)이 130 내지 170℃ 또는 140-160℃일 수 있다. The polypropylene may have a melting point (MFR, 2.16 kg, 230 ° C) of 1 to 30 g / 10 min or 6 to 10 g / 10 min and a melting point (Tm) of 130 to 170 ° C or 140 to 160 ° C.
상기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MFR, 2.16 kg, 190℃)가 1 내지 30g/10min 또는 6 내지 10g/10min 이며, 용융점(Tm)이 90 내지 120℃ 또는 95-115℃ 일 수 있다.The polyethylene may have a melt index (MFR, 2.16 kg, 190 캜) of 1 to 30 g / 10 min or 6 to 10 g / 10 min and a melting point (Tm) of 90 to 120 캜 or 95 to 115 캜.
상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 또는 용융점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 내열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melt index or melting point of the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is outside the above range, the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are deteriorated.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B)는 상기 혼합수지 내 10-40중량%, 바람직하게는 20-3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포함 시 내열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 초과 포함 시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이 좋지 않은 바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yolefin-based resin (B) may be contained in the mixed resin in an amount of 10-40 wt%, preferably 20-35 wt%.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are deteriorated. When the content is above the above range, the cushioning property and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are poor.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에서 상기 발포제(C)는 발포쿠션층을 발포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 sulfonyl hydrazide), p-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드(p-toluene sulfonyl hydrazide), 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드(benzene sulfonyl hydaraz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the foaming agent (C) is used for foaming and forming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includes azodicarbonamide, p, p'-oxybisbenzenesulfonylhydrazide (p, p ' benzene sulfonyl hydrazide, p-toluene sulfonyl hydrazide, benzene sulfonyl hydrazide, and the like.
상기 발포제(C)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 내에 상기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 또는 3-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포함 시 발포의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 포함 시 발포가 과대하여 열린 셀(open cell)이 발생하여 쿠션성, 눌림복원력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The foaming agent (C) may contain 1-15 parts by weight or 3-1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If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foaming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open cells are generated due to excessive foaming,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cushioning property and restoring force.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충전제, 활제, 가교제 및 상용화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filler, a lubricant,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patibilizer.
상기 충전제는 발포쿠션층의 기계적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탄산칼슘, 탈크, 목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격이 저렴한 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발포쿠션층 조성물 내에 상기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00중량부, 또는 30-8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포함 시 기계적 물성이 보강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초과 포함 시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ler may further optionally include other additives to reinfor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For example, calcium carbonate, talc, wood fiber, or the like may be used. Preferably, calcium carbonate having a low cost may be used. The filler may be contained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0-100 parts by weight, or 30-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reinforcing effec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is insufficient,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cushioning property and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are lowered.
상기 활제는 발포쿠션층의 성형 시 롤러 또는 금형 등의 설비와 점착을 방지하고 슬립성을 향상시키며, 용융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스테아린산 등의 고급지방산 또는 PE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The lubricant may be selectively contained in order to improve workability by preventing adhesion with a roller or a mold during molding of the foamed cushion layer and improving slipperiness and controlling melt viscosity. The lubricant may be a higher fatty acid such as stearic acid, PE wax can be used.
상기 활제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 내에 상기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또는 1-4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포함 시 가공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ubricant may be contained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1-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is insignificant. If the above range is exceed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상기 가교제는 상기 혼합수지의 가교반응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유기 과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t-부틸퍼옥사이드(t-butyl peroxid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in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mixed resin. As the crosslinking agent, organic peroxides may b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dicumyl peroxide, t-butyl peroxide, and the like.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 내에 상기 혼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10중량부 또는 0.1-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포함 시 가교 반응의 개시가 되지 않아 가교 효과를 구현할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 포함 시 가교도 지나치게 높아 쿠션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001-10 parts by weight or 0.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crosslinking reaction can not be started because the crosslinking reaction is not initiated. When the crosslinking reaction is exceeded, crosslinking is too high and cushioning is deteriorated.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올레핀 주쇄에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anhydride)이 그래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patibilizer may be used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The compatibilizing agent may be a modified polyolefin resin grafted with a dicarboxylic acid or its anhydride to the polyolefin main cha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 내에 상기 혼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20중량부 또는 1-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포함 시 상용성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 초과 포함 시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거나 불필요한 원가 상승을 유발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mpatibilizing agent may be included i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5 to 20 parts by weight or 1-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patibility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amount is above the above range, curing of the resin occurs or unnecessary increase in cost is caused.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핵제, 가소제, 난연제, 점착부여제, 안료 등의 기타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may optionally be cu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a typical technician And other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nucleating agents, plasticizers, flame retardants, tackifiers, pigments and the like, and the kind and content thereof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의 상기 발포쿠션층(20)의 두께는 0.5-10mm, 1-6mm, 또는 1-5mm일 수 있다. 상기 발포쿠션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 시 쿠션성 및 눌림복원력 효과를 가질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 시 바닥장식재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시공성이 저하되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foamed
본 발명의 상기 발포쿠션층(20)은 선택적으로 내열성을 증가시켜 이후 쿠션 바닥장식재 제조공정에서 열합판시 예열을 위한 히팅 드럼에 달라붙지 않도록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발포쿠션층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amed
그 일 예시로, 도 2는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20)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제1 실시예의 발포쿠션층(2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을 더 포함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oamed
상기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은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조성은 발포쿠션층과의 접착력을 위해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의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동일하거나 동등 수준의 물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상기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의 두께는 10-200㎛, 또는 15-15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 시 내열성 및 가공성 상승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초과 시 내열성 및 가공성 상승효과 대비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쿠션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의 상기 발포쿠션층(20)의 잔류압입율은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 시 눌림복원력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 범위의 잔류압입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idual indentation rate of the foam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발포쿠션층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쿠션 바닥장식재(1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쿠션 바닥장식재(1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 구체적으로는 도 3의 쿠션 바닥장식재는 도 1의 발포쿠션층(20)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1a)를, 도 4의 쿠션 바닥장식재는 도 2의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이 구비된 발포쿠션층(20)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1b)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1a, 1b)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1a, 1b)는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발포쿠션층(20), 인쇄층(50) 및 투명층(60)을 포함한다. The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에서 상기 인쇄층(50)은 바닥장식재에 다양한 인쇄무늬를 형성하여 장식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전사인쇄, 그라비아인쇄 또는 스크린인쇄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사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인쇄층(50)의 두께는 그 두께를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얇게 형성되므로 그 두께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바닥장식재의 총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얇아 그 두께를 무시할 수 있다. Since the thickness of the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층(50)은 인쇄무늬가 형성된 필름 또는 종이 등을 합지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에서 상기 투명층(60)은 하부의 인쇄층(50)을 보호하면서 인쇄층(50)의 인쇄무늬가 표현될 수 있도록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중 선택된 하나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투명 필름일 수 있다. The
상기 투명층(60)의 두께는 10-500㎛, 15-100㎛, 또는 20-50㎛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6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 시 필름으로 가공되는데 어려움이 있어 생산 수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 시 필름의 모듈러스(modulus)가 증가하여 투명층(60)이 바닥장식재의 표면층으로 적용시 바닥장식재의 치수안정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1a, 1b)는 선택적으로 발포쿠션층(20) 하부에 바닥장식재의 전체적인 휨(curling) 밸런스를 잡아주기 위해 형성된 밸런스층(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상기 밸런스층(10)은 상기 발포쿠션층(20)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20) 하부에 구비된 폴리올레핀계 필름(21b)과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밸런스층(10)의 두께는 0.05-0.3mm, 또는 0.1-0.2㎜일 수 있으며, 상기 밸런스층(1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 시 바닥 장식재의 휨 밸런스를 잡아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 시 바닥장식재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1a, 1b)는 선택적으로 발포쿠션층(20) 상부에 치수보강을 부여하는 치수보강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이러한 치수보강층(40)은 PVC 졸 또는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함침처리된 유리섬유,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치수보강층(40)은 0.2-0.5mm, 또는 0.3-0.4㎜일 수 있다. 상기 치수보강층(4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 시 바닥장식재의 치수안정성을 보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 시 바닥장식재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1a, 1b)는 선택적으로 발포쿠션층(20)과 치수보강층(40) 사이에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간지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The
상기 간지층(30)은 상기 발포쿠션층(20)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20) 상부에 구비된 폴리올레핀계 필름(21a)과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간지층(30)의 두께는 0.03-0.7mm 또는 0.05-0.60㎜일 수 있다. 상기 간지층(3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발포쿠션층(20)과 치수보강층(4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할 경우 바닥장식재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1a, 1b)는 선택적으로 바닥장식재의 표면에 초기 오염방지 기능, 즉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 위해 투명층(60) 상부에 형성된 표면코팅층(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The
상기 표면코팅층(70)은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코팅액을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다만, 열경화성 화합물의 경우, 표면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을 가할 때, 열에 의하여 그 하부에 위치되는 다른 층들, 특히 투명층(60)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광경화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일 예로, 광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n the case of a thermosetting compound, it is preferable to use a photo-curable compound becau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other layers positioned below the heat-sensitive layer, in particular, the
상기 표면코팅층(70)은 연필 경도에 의하여 측정된 표면 경도가 7H 이상인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 표면의 표면 경도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H 내지 8H 범위에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The
상기 표면코팅층(70)의 두께는 10-50㎛, 또는 20-40㎛일 수 있다. 상기 표면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 시 바닥장식재의 표면에 초기 오염방지 기능,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상기 범위 초과 시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발포쿠션층(20), 인쇄층(50), 투명층(60)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ushioning flooring comprising a foamed cushion layer (20), a printed layer (50) and a transparent layer (60)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1)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1) forming a foamed
2) 발포쿠션층(20) 상에 인쇄층(50)을 형성하는 단계;2) forming a
3) 인쇄층(50) 상에 투명층(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을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기재한 순서도이다. 3) forming a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로 T-die 압출성형 또는 캘린더 성형하여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한 후 이를 발포오븐에서 발포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step of forming the foamed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발포쿠션층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T-die 공압출성형하여 예비 발포쿠션층 및 예비 발포쿠션층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면에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후, 이를 발포오븐에서 발포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tep of forming the foamed
또는, 상기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발포쿠션층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각각 캘린더 성형 또는 T-die 압출성형하여 예비 발포쿠션층과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열합판하고, 그 후 발포오븐에서 발포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tep of forming the foamed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인쇄층(50)을 형성하는 단계는 발포쿠션층(20) 상에 전사인쇄, 그라비아인쇄 또는 스크린인쇄하거나 인쇄무늬가 인쇄된 필름 또는 종이를 합지하여 인쇄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또는,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인쇄층(50)을 형성하는 단계는, 발포쿠션층(20) 상에 인쇄층(50)을 형성하지 않고, 별도로 치수보강층(40)을 형성한 후 상기 치수보강층(40) 상에 전사인쇄, 그라비아인쇄 또는 스크린인쇄하거나 인쇄무늬가 인쇄된 필름 또는 종이를 합지하여 인쇄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인쇄층(50) 상에 투명층(60)을 형성하는 단계는 투명필름을 제조한 후 이를 인쇄층(50)이 형성된 발포쿠션층(20) 또는 치수보강층(40)과 열합판하는 단계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발포쿠션층(20)을 발포성형하기 전에, 간지층(30) 또는 밸런스층(10)을 더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를 각각 발포쿠션층(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시켜 열합판 한 후, 발포성형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ushioning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prepar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투명층(60)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투명층(60) 상부에 광경화조성물을 코팅하고, 자외선 조사시키는 것에 의하여 광경화조성물을 경화시켜 표면코팅층(7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ushioning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oating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on the
상기 밸런스층(10), 간지층(30) 및 투명층(60)은 T-die 압출성형, 캘린더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The
상기 각 층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각 층의 제조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사항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기재하지 않는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layer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e of each layer may be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 repeated description is not describ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Example
<예비 <Preliminary 발포쿠션층의Foamed cushion layer 제조> Manufacturing>
실시예Example 1 One
폴리올레핀계 고무(Vistamaxx 3980, Exxon Mobile) 7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수지(SEETEC R3410, LG화학) 3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5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7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하여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7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based rubber (Vistamaxx 3980, Exxon Mobile) and 3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based resin (SEETEC R3410, LG Chem) were mixed with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7 parts by weight of azodicarbonamide, And 2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were kneaded in a Banbury mixer to prepare a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이후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180℃에서 T-die 압출성형하여 1.2mm 두께의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하였다. The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T-die extrusion molding at 180 ° C to prepare a pre-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mm.
실시예Example 2 2
폴리올레핀계 고무(Vistamaxx 3980, Exxon Mobile) 7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수지(SEETEC R3410, LG화학) 3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5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7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하여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7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based rubber (Vistamaxx 3980, Exxon Mobile) and 3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based resin (SEETEC R3410, LG Chem) were mixed with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7 parts by weight of azodicarbonamide, And 2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were kneaded in a Banbury mixer to prepare a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이와 별도로 폴리올레핀계 수지(SEETEC R3410, LG화학)를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한 후,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180℃에서 3중 T-die 공압출성형하여 1.2mm 두께의 예비 발포쿠션층과 및 그 상하부에 100㎛ 두께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이 일체로 형성된 총 두께 1.4mm의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하였다. Separately, the polyolefin resin (SEETEC R3410, LG Chem) was charged into a hopper and melted.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and the polyolefin resin were co-extruded at 180 ° C in a T-die to prepare a 1.2 mm- A pre-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4 mm in which a 100 mu m-thick polyolefin-based film was integrally formed on the cushion lay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was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PVC 수지 100중량부에, 디옥틸프탈레이트 70중량부, 탄산칼슘 5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7중량부, 바륨-아연계 열안정제 5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하여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70 parts by weight of dioctyl phthalate,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7 parts by weight of azodicarbonamide, 5 parts by weight of barium-zinc-based heat stabilizer and 2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were knead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PVC resin , Layer composition.
이후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180℃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1.2mm 두께의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하였다. The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was calender molded at 180 ° C to prepare a pre-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m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폴리올레핀계 수지(SEETEC R3410, LG화학)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5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7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하여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7 parts by weight of azodicarbonamide and 2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were kneaded in 100 parts by weight of polyolefin resin (SEETEC R3410, LG Chem) in a Banbury mixer to prepare a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이후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180℃에서 T-die 압출성형하여 1.2mm 두께의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하였다. The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T-die extrusion molding at 180 ° C to prepare a pre-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m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폴리올레핀계 고무(Vistamaxx 3980, Exxon Mobile) 3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수지(SEETEC R3410, LG화학) 7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5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7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하여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based rubber (Vistamaxx 3980, Exxon Mobile), and 7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based resin (SEETEC R3410, LG Chem.) Were mixed with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7 parts by weight of azodicarbonamide, And 2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were kneaded in a Banbury mixer to prepare a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이후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180℃에서 T-die 압출성형하여 1.2mm 두께의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하였다. The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T-die extrusion molding at 180 ° C to prepare a pre-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m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폴리올레핀계 고무(Vistamaxx 3980, Exxon Mobile) 4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수지(SEETEC R3410, LG화학) 6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5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7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하여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 rubber (Vistamaxx 3980, Exxon Mobile) and 6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 resin (SEETEC R3410, LG Chem.) Were mixed with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7 parts by weight of azodicarbonamide, And 2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were kneaded in a Banbury mixer to prepare a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이후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180℃에서 T-die 압출성형하여 1.2mm 두께의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하였다.The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T-die extrusion molding at 180 ° C to prepare a pre-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m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폴리올레핀계 고무(Vistamaxx 3980, Exxon Mobile) 5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수지(SEETEC R3410, LG화학) 5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50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7중량부, 스테아린산 2중량부를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하여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7 parts by weight of azodicarbonamide, 5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based rubber (Vistamaxx 3980, Exxon Mobile) and 5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 resin (SEETEC R3410, And 2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were kneaded in a Banbury mixer to prepare a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이후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170℃에서 T-die 압출성형하여 1.2mm 두께의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하였다.Then,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T-die extrusion molding at 170 ° C to prepare a pre-foamed cush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mm.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5 의 발포쿠션층 조성을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DOP)Plasticizer
(DOP)
(CaCO3)Filler
(
(ADCA)blowing agent
(ADCA)
(Stearic acid)Lubricant
(Stearic acid)
(Ba-Zn)Heat stabilizer
(Ba-Zn)
구조Pre-foamed cushion layer
rescue
총 두께 Pre-foamed layer
Total thickness
<< 발포쿠션층의Foamed cushion layer 물성 측정>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와 같이 제조된 예비 발포쿠션층의 시편을 210~220℃ 오븐에서 2~4분간 열처리하여 발포 배율 약 200~300%의 발포쿠션층을 얻었다. The specimen of the pre-foamed cushion layer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as heat-treated in an oven at 210 to 220 ° C for 2 to 4 minutes to obtain a foamed cushion layer having an expansion ratio of about 200 to 300%.
(잔류압입율 측정)(Residual indentation rate measurement)
상기 발포쿠션층을 KS M 3802에 명기된 바와 같이 지름 19mm의 반구형 강봉으로 222N의 하중을 가하고 5분 경과후 해제한 다음, 6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시편의 두께 변화를 통해 아래와 같이 잔류압입율을 구하였다. The foamed cushion layer was subjected to a load of 222 N with a semi-spherical steel rod having a diameter of 19 mm as specified in KS M 3802 and released after 5 minutes. After 60 minutes passed, the residual indentation rate Respectively.
잔류압입율 = (T0 - T1)/T0 X 100%Residual indentation rate = (T 0 - T 1 ) / T 0 X 100%
T0 : 가압 전 두께T0: Thickness before pressing
T1 : 가압 후 두께T1: Thickness after pressing
(냄새)(smell)
- 측정자의 관능평가에 의해 측정하였다.- Measured by sensory evaluation of the measurer.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발포쿠션층의 물성측정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oamed cushion layer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as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 표 2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발포쿠션층은 PVC 수지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아 비교예 1에 비해 냄새가 없어 친환경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2, the foamed cushion layers of Examples 1 and 2 do not contain a PVC resin and a phthalate plasticizer, so that it is confirmed that the foamed cushion layer is less odorous than Comparative Example 1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또한, 실시예 1, 2의 발포쿠션층은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기반으로 하되, 폴리올레핀계 고무를 일정 함량범위로 포함함으로 인해, PVC 수지 및 가소제로 제조된 비교예 1, 폴리올레핀계 고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폴리올레핀계 고무를 특정 함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3-5에 비해 잔류압입율이 낮아 눌림복원력이 대폭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amed cushion layers of Examples 1 and 2 are based on a polyolefin-based material, and contain a polyolefin-based rubber in a certain amount range, so that Comparative Example 1 made of a PVC resin and a plasticizer and a polyolefi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5 in which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rubber was less than the specific content, the residual pressing force was low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toring force was grea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발포쿠션층은 발포쿠션층 상부 및 하부에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더 포함한 실시예 2는 눌림복원력을 구현하면서도 실시예 1에 비해 제조 공정에서 열한판 시 예열을 위한 히팅 드럼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성이 더욱 개선된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amed cush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he polyolefin-based film on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has the effect of restoring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heating drum for pre- Can be prevented, and the workability is further improved.
1a, 1b : 쿠션 바닥장식재
10 : 밸런스층
20 : 발포쿠션층
21a, 21b : 폴리올레핀계 필름
30 : 간지층
40 : 치수보강층
50 : 인쇄층
60 : 투명층
70 : 표면코팅층 1a, 1b: Cushion Flooring
10: Balance layer 20: foamed cushion layer
21a and 21b: polyolefin film
30: laminar layer 40: dimensional reinforcing layer
50: printing layer 60: transparent layer
70: Surface coating layer
Claims (15)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무(A)는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1)이거나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한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2)인 것인 발포쿠션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olefin rubber (A) is a copolymer (a1)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or a copolymer (a2) of an alpha olefin other than propylene and propylene.
상기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1)는 용융지수(MFR, 2.16 kg, 190℃)가 0.5 내지 10g/10min이고, 용융점(Tm)이 50-65℃ 이고, 유리전이온도가(Tg) -70~10℃인 것인 발포쿠션층.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polymer (a1)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has a melt index (MFR, 2.16 kg, 190 占 폚) of 0.5 to 10 g / 10 min, a melting point (Tm) of 50 to 65 占 폚,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70 to 10 < 0 > C.
상기 프로필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a2)는 용융지수(MFR, 2.16 kg, 190℃)가 0.5 내지 10g/10min이고, 연화점(Vicat Softening Temperature)이 45-90℃인 것인 발포쿠션층.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polymer (a2) of propylene and an alpha olefin has a melt index (MFR, 2.16 kg, 190 占 폚) of 0.5 to 10 g / 10 min and a softening temperature of 45 to 90 占 폚.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B)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인 발포쿠션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olefin-based resin (B) is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MFR, 2.16 kg, 230℃)가 1 내지 30g/10min 이고, 용융점(Tm)이 130 내지 170℃인 것인 발포쿠션층.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ypropylene has a melt index (MFR, 2.16 kg, 230 占 폚) of 1 to 30 g / 10 min and a melting point (Tm) of 130 to 170 占 폚.
상기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MFR, 2.16 kg, 190℃)가 1 내지 30g/10min이며, 용융점(Tm)이 90 내지 120℃인 것인 발포쿠션층.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yethylene has a melt index (MFR, 2.16 kg, 190 占 폚) of 1 to 30 g / 10 min and a melting point (Tm) of 90 to 120 占 폚.
상기 발포쿠션층은 충전제, 활제, 가교제 및 상용화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포쿠션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amed cushion lay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filler, a lubricant,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patibilizer.
상기 발포쿠션층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포쿠션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amed cushion layer further comprises a polyolefin-based film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oamed cushion layer.
상기 발포쿠션층의 잔류압입율은 30%이하인 것인 쿠션 바닥장식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sidual indentation rate of the foamed cushion layer is 30% or less.
상기 쿠션 바닥장식재는,
상기 발포쿠션층(20) 하부에 형성된 밸런스층(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포쿠션층(20)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간지층(30), 치수보강층(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층(60) 상부에 형성된 표면코팅층(70)을 더 포함하는 것인 쿠션 바닥장식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ushion upholstery material,
And a balance layer (10) formed under the foamed cushion layer (20)
Further comprising an interlining layer (30) and a dimension enhancement layer (40) sequentially formed on the foamed cushion layer (20)
And a surface coating layer (70) formed on the transparent layer (60).
1)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
2) 발포쿠션층(20) 상에 인쇄층(50)을 형성하는 단계;
3) 인쇄층(50) 상에 투명층(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올레핀계 고무(A) 60-90중량%,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4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C) 1-15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쿠션층 조성물을 T-die 압출성형 또는 캘린더 성형하여 예비 발포쿠션층을 제조한 후 이를 발포오븐에서 발포성형하는 단계인 것인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1. A method of producing a cushioning flooring comprising a foamed cushion layer (20), a printed layer (50), and a transparent layer (60) sequentially from the bottom,
1) forming a foamed cushion layer 20;
2) forming a printing layer 50 on the foamed cushion layer 20;
3) forming a transparent layer 60 on the print layer 50,
The step of forming the foamed cushion layer 20 is carried out in such a manner that the foaming agent (C) 1 (1)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ixed resin comprising 60 to 90%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ubber (A) and 10 to 40% by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15 parts by weight of a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is subjected to T-die extrusion molding or calender molding to produce a pre-foamed cushion layer, followed by foam molding in a foam oven.
상기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T-die 공압출성형하여 예비 발포쿠션층 및 예비 발포쿠션층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면에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후, 이를 발포오븐에서 발포성형하는 단계인 것인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orming of the foamed cushion layer 20 may be performed by T-die co-extrusion molding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with a polyolefin-based resin to form a polyolefin film 21a (21a)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 , 21b)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n foam-molded in a foaming oven.
상기 발포쿠션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포쿠션층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각각 캘린더 성형 또는 T-die 압출성형하여 예비 발포쿠션층과 폴리올레핀계 필름(21a, 21b)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열합판하고, 그 후 발포오븐에서 발포성형하는 단계인 것인 쿠션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forming the foamed cushion layer 20 may be performed by calender molding or T-die extrusion molding u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composition and a polyolefin resin, respectively, to prepare a pre-foamed cushion layer and polyolefin-based films 21a and 21b , Heat-laminated the same, and then foam-molded in a foaming ov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5879A KR102187250B1 (en) | 2017-09-28 | 2017-09-28 |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5879A KR102187250B1 (en) | 2017-09-28 | 2017-09-28 |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6690A true KR20190036690A (en) | 2019-04-05 |
KR102187250B1 KR102187250B1 (en) | 2020-12-04 |
Family
ID=6610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5879A Active KR102187250B1 (en) | 2017-09-28 | 2017-09-28 |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7250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2586A (en) * | 2019-05-17 | 2020-11-25 | (주)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
KR20200132588A (en) * | 2019-05-17 | 2020-11-25 | (주)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
KR20200132728A (en) * | 2019-05-17 | 2020-11-25 | (주)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
WO2020235859A1 (en) * | 2019-05-17 | 2020-11-26 |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material |
KR102281661B1 (en) * | 2020-09-24 | 2021-07-23 | 하소영 | Play mat for removing scribb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10101660A (en) * | 2020-02-10 | 2021-08-19 | 주식회사 동신포리마 | Tile type decorative flooring comprising non-slip foam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123233A (en) * | 2020-04-02 | 2021-10-13 | (주)엘엑스하우시스 | Flooring comprising nitrile rubber fre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20210123170A (en) * | 2020-04-02 | 2021-10-13 | (주)엘엑스하우시스 | Flooring comprising nitrile rubber fre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08467A (en) * | 1991-10-23 | 1993-08-20 | Sumitomo Chem Co Ltd | Multilayer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100262446B1 (en) * | 1998-07-24 | 2000-08-01 | 장용균 | Co-extruded polyolefin sheet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JP2002166510A (en) * | 2000-11-30 | 2002-06-11 | Sumitomo Chem Co Ltd | Polyolefin resin foam sheet |
KR20040065494A (en) | 2003-01-14 | 2004-07-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Flooring with soundproofing function and the method for same |
KR20150007431A (en) * | 2013-07-11 | 2015-01-21 | (주)엘지하우시스 | Eco-friendly for elastic floo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7
- 2017-09-28 KR KR1020170125879A patent/KR1021872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08467A (en) * | 1991-10-23 | 1993-08-20 | Sumitomo Chem Co Ltd | Multilayer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100262446B1 (en) * | 1998-07-24 | 2000-08-01 | 장용균 | Co-extruded polyolefin sheet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JP2002166510A (en) * | 2000-11-30 | 2002-06-11 | Sumitomo Chem Co Ltd | Polyolefin resin foam sheet |
KR20040065494A (en) | 2003-01-14 | 2004-07-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Flooring with soundproofing function and the method for same |
KR20150007431A (en) * | 2013-07-11 | 2015-01-21 | (주)엘지하우시스 | Eco-friendly for elastic floo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2588A (en) * | 2019-05-17 | 2020-11-25 | (주)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
KR20200132728A (en) * | 2019-05-17 | 2020-11-25 | (주)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
WO2020235859A1 (en) * | 2019-05-17 | 2020-11-26 |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material |
WO2020235772A1 (en) * | 2019-05-17 | 2020-11-26 |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material |
WO2020235773A1 (en) * | 2019-05-17 | 2020-11-26 |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material |
KR20200132586A (en) * | 2019-05-17 | 2020-11-25 | (주)엘지하우시스 | Tile flooring |
JP2022549313A (en) * | 2020-02-10 | 2022-11-24 | ドンシンポリマ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Tile-type decorative flooring comprising non-slip foam and method of making same |
US11987022B2 (en) | 2020-02-10 | 2024-05-21 | Dongshin Polymer Co., Ltd. | Tile-type decorative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non-slip fo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20210101660A (en) * | 2020-02-10 | 2021-08-19 | 주식회사 동신포리마 | Tile type decorative flooring comprising non-slip foam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WO2021162296A1 (en) * | 2020-02-10 | 2021-08-19 | 주식회사 동신포리마 | Tile-type decorative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non-slip fo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20210123233A (en) * | 2020-04-02 | 2021-10-13 | (주)엘엑스하우시스 | Flooring comprising nitrile rubber fre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20210123170A (en) * | 2020-04-02 | 2021-10-13 | (주)엘엑스하우시스 | Flooring comprising nitrile rubber fre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WO2022065705A1 (en) * | 2020-09-24 | 2022-03-31 | 하소영 | Scribble-removable play m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102281661B1 (en) * | 2020-09-24 | 2021-07-23 | 하소영 | Play mat for removing scribb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7250B1 (en) | 2020-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7250B1 (en) |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 |
US10704270B2 (en) | Rigid multilayer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95714B1 (en) | Polyolefin based environment-friendly flooring material that substitutes pvc | |
BE1023817B1 (en) |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substrate for a panel | |
CA2520393C (en) | Low gloss thermoformable flooring structure | |
KR102128607B1 (en) | Multi-layer solid ti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
KR20160093193A (en) | Transparent film for floor material and floor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 |
KR102073997B1 (en) | Elastic floor sheet having elastic doubler | |
US20130309514A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deco sheet having outstanding moulding properties and glossiness | |
JP2019508528A (en) | Exteri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xterior panel | |
KR20160034536A (en) | Cushion floo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930708B1 (en) | Transparent film for floor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loor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 |
KR102244035B1 (en) | A transparent layer comprising a styrene-based elastomer and a flooring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 |
KR100995452B1 (en) |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foam film for high frequency bonding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foam film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 |
KR102187247B1 (en) | A foamed cushion layer and a cushion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he foamed cushion layer | |
JP2008239635A (en) |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resin multilayer sheet | |
KR101723963B1 (en) | resin composition for backing coat of car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car mat | |
KR101875605B1 (en) | Floor mat with both side pattern | |
KR102448255B1 (en) | multi-layer floor decorative sheet | |
KR102017912B1 (en) | The cushion flooring comprising elastic layer as a surface layer | |
WO2017164339A1 (en) | Laminated foamed sheet and molded body using same | |
JP2014030963A (en) | Skin material | |
JP6935427B2 (en) | Polypropylene foam sheets and articles | |
JP2009292079A (en) | Decorative sheet | |
KR101718943B1 (en) | Decoration sheet compostion and decoration sheet using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