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101A - Chair assembly for the lower limbs exerci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ir assembly for the lower limbs exercis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6101A KR20190036101A KR1020170124931A KR20170124931A KR20190036101A KR 20190036101 A KR20190036101 A KR 20190036101A KR 1020170124931 A KR1020170124931 A KR 1020170124931A KR 20170124931 A KR20170124931 A KR 20170124931A KR 20190036101 A KR20190036101 A KR 20190036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s
- base member
- support
- members
- screw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title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61H2201/1276—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by the other leg or 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운동기구의 의자 좌부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케이싱 본체측에 마련된 페달과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전,후진동작 및 높낮이 동작이 조절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의 선단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 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 및 상기 제1,2힌지핀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 및 의자 좌부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an undergarment exercising apparatus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as to adjust a forward / backward movement and a height operation for adjusting a distance from a pedal provided on a casing main body side according to a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cycle comprising: a casing main body disposed on an upper end of a base member and having both side pedals rotatably;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the lower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i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member; A second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membe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in at a lower end thereof;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by connecting pins and to which a seat portion of the chair is seated and coupled; And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and the seat back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receiving member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지운동기구의 의자 좌부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케이싱 본체측에 마련된 페달과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전,후진동작 및 높낮이 동작이 조절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ssembly for an undergarment exercis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assembly for an undergarment exercise apparatus, To a chair assembly for an underground exercise machine, the structure of which is improved.
일반적인 상하지 연동운동 장치는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페달과 손으로 움겨쥘 수 있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general upright and down-link motion device comprises a pair of pedals with feet on which the feet are seated and a pair of handles on which the hands can be gripped.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에 양 발을 거치하고 핸들을 양손으로 감싸쥔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힘을 가압하는 경우 각각의 페달 및 핸들이 기 설정된 궤적을 따라 왕복하면서 팔과 다리를 동시에 운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for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holding both hands on the pedal and holding the handle with both hands, each of the pedals and the handle reciprocates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while simultaneously moving the arms and the legs.
통상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은 상체 또는 하체를 분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팔과 다리를 동시에 운동함으로서 운동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효과적인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exercise using the normal exercising apparatus separates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while the exercise of the upper and lower exercises simultaneously increases the amount of exercise by exercising the arms and legs as described above and also enables an effective whole body exercise.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를 이용하여 신체가 부자유한자나 노약자들의 재활치료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the body to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incompetent person or the elderly person by using the above-mentioned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motion device.
다만, 종래의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는 건강한 일반인을 상대로 운동량을 증가시키는데에 초점이 맞춰져 페달 및 핸들이 단순한 직선 또는 호 형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왕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운동에 사용되는 신체부위가 제한적이어서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사용해야 하는 재활치료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exercises are focused on increasing the amount of exercise for a healthy general person, and the pedal and the handle are configured to reciprocate with a simple straight or arc-shaped trajectory, so that the body part used for the exercise is limited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apply to rehabilitation therapy in which muscles of various regions were to be used.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5545호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등록일자 : 2012.02.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샤프트;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의 양 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타단에 형성되는 페달이 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하지 링크; 일단이 상기 하지 링크와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에는 핸들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지 링크; 상기 제2샤프트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회전부재는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각 상지 링크와 제2샤프트핀에 의해 연결되는 편심 회전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편심 회전 링크는 상기 하지 링크의 페달이 소정 구간안에서 왕복하도록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하지 링크의 회동 운동에 따라 상기 상지 링크의 핸들이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연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As a prior art for improving this, a frame,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15545, entitled "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exercis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registered on Feb. 26, 2012); A first shaft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 second shaft install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frame; A pair of base links rotatably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so that the pedals formed at the other end are rotatable along a trajectory of an arc; A pair of upper link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be linked with the lower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ormed with a handle; And a pair of rotary members fixedly mounted on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and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second shaft, wherein each of the rotary members includes an eccentric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link and the second shaft pin at an eccentric position, Wherein the eccentric rotation link restricts a pivot range of the pedal of the base link so as to reciprocate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and causes the handle of the upper link to draw a closed curve locus according to a pivot motion of the base link, .
종래 하지 재활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94685호 "하지 훈련 운동기구"(등록일자 : 2015.02.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연결대에 탑재된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연결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과; 사용자의 하지가 안착되고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의 회전력으로 사용자의 하지를 강제 운동시키는 하지 받침대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크랭크 운동력으로 전환시켜 상기 하지 받침대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제1연동수단;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하지 받침대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2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동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판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지 받침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크랭크 운동되는 연동바와, 상기 하지 받침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연결바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동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편심 회전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 둘레에 접촉되고 편심캠의 편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바 및 상기 전달바의 회동 동작을 상기 하지 받침대의 각도 조절력으로 전환시켜 상기 지지블록으로 전달하기 위한 조절판으로 구성된 것이다.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conventional non-rehabilitation apparatus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94685 entitled " Lower Training Workout Organization "(Registered on Feb. 20, 2015). A driving shaft rotatably driven by a rotational driving force of a driving motor mounted on a connecting rod of the frame; A rotation shaft that is rotatably driven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a drive shaft driven by the drive motor through a connecting means; A lower pedestal on which a user's lower limb is seated and forcibly moving the user's lower limb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haft and the rotary shaft; A plurality of first interlock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to a cranking force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undercarriage; And a plurality of second interlock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shaft to the lower pedestal, wherein the first interlocking means comprises a rotary plate provided at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drive shaft, and on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rotary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edestal and crank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haft; a connecting ba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edestal; and a support Wherein the second interlocking means comprises eccentric cams provide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at both side ends of the rotary shaft, a transfer bar which contacts the periphery of the eccentric cam and transmits the eccentric rotational force of the eccentric cam,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bar is switched to the angle adjusting force of the lower pedestal and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ing block It consists of a control panel.
그런데, 종래의 상,하지 재활운동기구는 하지를 크랭크 운동시키는 사이클 운동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의자를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페달과 사용자의 간격 및 의자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exercises have adopted a cycle exercise method in which the lower limb is cranked. However, since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chair is not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user's interval and chair height.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지운동기구의 의자 좌부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케이싱 본체측에 마련된 페달과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전,후진동작 및 높낮이 동작이 조절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a pedal provided on a casing main body side and a pedal And to provide a chair assembly for an undergarment exerciser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operation and the elevation operation are adjus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의 선단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 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 및 상기 제1,2힌지핀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 및 의자 좌부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torcycle comprising: a casing body disposed on an upper end of a base member and having both side pedals rotatably;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the lower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i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member; A second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membe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in at a lower end thereof;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by connecting pins and to which a seat portion of the chair is seated and coupled; And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and the seat back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receiving member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do.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도록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과, 상기 제1지지링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단턱을 갖는 대경부가 형성되고 대경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에 연동 회전되도록 조립스크류로 결합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제1지지링의 일측과 상기 조작핸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링과, 상기 제1지지링의 타측과 상기 단턱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링, 및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 사이의 베이스부재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지지링이 마련된 고정바로 구성된다.The adjustment means includes a first support ring fixed to the inside of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so as to be rotatably pin-coupled to the hollow and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 large diameter portion which is coupled to penetrate through the hollow of the first support ring, A manipulation handle coupled to the manipulation handle by an assembly screw such that the manipulation handle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crew shaft; a manipulation handle interposed between the manipulation handle and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ring, A second coupling ring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ring and the step and coupled to penetrate the screw shaft,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crew shaft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Fixed configuration is immediately provided.
상기 제1힌지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1고정관과, 상기 제2힌지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2고정관을 더 구비한다.A first fixing pip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inge pin and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base member and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ing members, And a second fixing pip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ing members.
상기 고정바의 보강을 위해 상기 제1고정관과 상기 고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된 것이다.And a connection bar for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ipe and the fixing bar to reinforce the fixing bar.
본 발명은 조작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른 스크류축의 전,후진 동작시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제1,2힌지핀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긴 사용자의 경우 양측 페달과의 간격을 멀리하도록 스크류축을 후진동작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짧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양측 페달과의 간격을 가깝게 스크류축을 전진동작시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 좌부의 높낮이가 베이스부재에 대한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tilted forward or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crew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crew shaft to move backwar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pedals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edals and to adjust the screw shaft to move closer to the two pedals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eat portion of the chai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right and left support members relative to the base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조절수단이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의 내측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갖는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과, 상기 제1지지링의 제1체결공 내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조작핸들이 마련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 사이의 베이스부재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지지링이 마련된 고정바로 구성되므로, 스크류축의 회전동작으로 제1,2지지링을 체결된 상태에서 전,후진동작됨에 따라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기울기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스크류축에 형성된 수나사산의 리드 치수를 적합하도록 선택함에 따라 의자 좌부의 높낮이 및 페달과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ment means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and has a first support ring having a first fastening hole having an female screw thread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second support ring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A screw shaft having a male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have an operation handle at one end thereof and a screw shaf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memb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and the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ing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ings are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l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ings are engaged, The tilt angle of the member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lead dimension of the male screw thread formed on the screw shaft is selected so as to have the advantage of precis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port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pedal .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힌지핀을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1,2고정관을 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1,2힌지핀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를 제1,2힌지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tubes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to the left and right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by weld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can be reinforced while easily supporting the pin and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또, 본 발명은 제1고정관과 고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구비되므로, 고정바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Further, since the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ipe and the fixing bar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fixing bar can be firmly reinfor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하지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의자 어셈블리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조절수단의 스크류축과 제1지지링의 중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발명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우측 제1받침부재의 전방 기울어짐, 기립 및 후방 기울어짐 상태일 때 간격차와 높이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1 is a front view of an undergarment exercise mechanism to which a chair assembly for an undergarment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chai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screw shaft of the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portant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ring;
6 is a state of us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are inclined forward by the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of us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are vertically erected by the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ate of us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are inclined rearward by the inventive adjustment means;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ap difference and a height difference when the first right-side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ward tilting, standing and backward tilting states.
본 발명에 따른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부재(100)의 선단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 페달(210)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싱 본체(2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3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3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342)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5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350); 및 상기 제1,2힌지핀(342,344)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350) 및 의자 좌부(50)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1 to 9, a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 본체(200)의 좌,우 양측에는 양측 페달(2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싱 본체(200)로부터 후단측으로 이격된 베이스부재(100)에 의자 좌부(50)가 상기 받침판(35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된다.1, both
상기 케이싱 본체(200)에는 페달(210)의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페달운동 지지기구(미도시)가 마련된다.The casing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는 베이스부재(10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원호형태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위가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는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서, 베이스부재(10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원호 형태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위가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The left and right
상기 받침판(350)은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가 연결핀(342)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The
또한, 상기 받침판(350)은 상기 의자 좌부(50)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나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가 체결되도록 복수의 결합공(352)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수단(400)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도록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42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단턱(434)을 갖는 대경부(432)가 형성되고 대경부(432)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430)과,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에 연동 회전되도록 조립스크류(436)로 결합되는 조작핸들(435)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일측과 상기 조작핸들(435)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의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링(45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타측과 상기 단턱(434)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링(460)과,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 사이의 베이스부재(100)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430)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445a)이 형성된 제2지지링(445)이 마련된 고정바(44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adjusting means 400 includes a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축(430)은 일단부에 형성된 소경부(433)와, 타단부에 형성되고 소경부(433)보다 직경이 더 큰 대경부(432) 및 상기 소경부(433)와 대경부(432)의 경계 부위에 형성된 단턱(434)으로 구성된다.5, the
상기 제1,2결합링(450,460)은 스크류축(430)의 전,후진 동작시 제1지지링(420)측에 전,후진 동작력을 전달하도록 제1,2결합링(450,460)의 직경이 상기 제1지지링(420)의 중공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The first and
상기 제2결합링(460)은 타측이 단턱(434)에 의해 지지되어 스크류축(430)의 후진 동작시 후진 동작력이 단턱(434)을 통해 전달되어 제1지지링(420)을 후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 제2지지링(445)은 고정바(440)의 상부에 좌,우 양측으로 마련된 지지브라켓(442)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442)에 관통되는 지지핀(447)의 단부가 제2지지링(445)의 외주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공에 끼워져 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지지핀(447)은 상기 지지브라켓(442)의 외측에 마련된 너트부재(446)에 체결되도록 외주면 일부가 나사산이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지지공에 끼워지는 부위의 외주면은 나사산이 아닌 민패형의 환봉 형태로 형성된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링(420)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환형 구조로서, 외주면 양측에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고정브라켓(410)에 관통된 고정핀(415)의 단부가 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고정핀(415)은 고정브라켓(410)과 제1지지링(420)의 사이에 너트 형태의 스페이서부재(417)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재(417)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일부위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링(420)의 외주에 핀 결합되는 부위는 민패 형의 환봉 구조로 형성된다.The
상기 스크류축(430)은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타단부가 제1지지링(420)에 체결되도록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2지지링(445)에 관통되도록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스페이서부재(417)와 너트부재(446)는 고정핀(415)과 지지핀(447)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 조작핸들(435)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손잡이(437)가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고정바(440)는 하부가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용접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마련된 제2지지링(445)의 제2체결공(445a)의 내주면에 스크류축(430)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low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은 상기 제1힌지핀(33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를 연결하는 제1고정관(510)과, 상기 제2힌지핀(334)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를 연결하는 제2고정관(520)을 더 구비한다. The first fixing pipe (310A, 310B)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hinge pin (332)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and connects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ing members And a second fixing pipe 320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상기 제1,2고정관(510,520)은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또한, 상기 고정바(440)의 보강을 위해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관(510)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바(440)에 고정되도록 연결된 연결바(530)가 더 구비된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 조절 및 의자 좌부(5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사용자가 손잡이(437)를 파지한 상태로 조작핸들(43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435)과 연결된 스크류축(430)이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전진동작되고, 스크류축(430)과 같이 이동되는 조작핸들(435)에 의해 제1지지링(420)이 제1결합링(450)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전진동작되어 제1지지링(420)측에 전진 동작력이 전달되며, 이로 인해 제1지지링(420)의 전진동작시 전진동작력이 고정브라켓(410)과 고정핀(415)을 통해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측에 전달되므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제1,2힌지핀(342,344)을 기준으로 전방의 케이싱 본체(200)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의자 좌부(50)와 양측 페달(2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과 아울러,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manipulates the
이때, 전진동작되는 스크류축(430)은 제2지지링(445)이 고정바(44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2지지링(445)을 통과하면서 전진됨에 따라 스크류축(430)의 전진시 연동동작되는 조작핸들(435)과 제1결합링(450)에 의해 제1지지링(420)이 스크류축(430)의 전진동작에 따라 같이 연동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고정브라켓(410)에 관통된 고정핀(415)이 핀 결합된 제1지지링(420)의 구조상 스크류축(430)의 전진력을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에 전달하게 되며, 제1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기울어지게 됨과 아울러,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도 받침판(350)을 매개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힌지핀(334)을 기준으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같이 전방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로 인해, 제1지지링(420)과 제2지지링(445)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한다.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이때, 제1,2지지링(420,445)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제1지지링(420)은 핀 결합된 고정핀(415)에 회전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핀(415)을 기준으로 제1지지링(420)이 회전된다.At this ti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이와 반대로, 조작핸들(435)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435)과 연결된 스크류축(430)이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로 타방향 회전되면서 후진동작되고, 스크류축(430)의 단턱(434)에 지지되어 스크류축(430)의 후진동작시 같이 연동 후진되는 제2결합링(460)에 의해 제1지지링(420)이 연동 후진되며, 이로 인해 제1지지링(420)의 후진동작시 후진동작력이 고정브라켓(410)과 고정핀(415)을 통해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측에 전달되어 제1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가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세워지면서 받침판(350)을 매개로 연결된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제2힌지핀(334)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기립된다.7, when the operation handle 435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이에 따라, 제1,2힌지핀(342,344)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졌던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후방측으로 회전되면서 의자 좌부(50)와 양측 페달(21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에서의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앞서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의자 좌부(50)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된다.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ing
이후에, 상기한 기립상태 후에도 계속 조작핸들(435)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435)과 연결된 스크류축(430)이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로 타방향 회전되면서 후진동작되고, 제1지지링(420)이 제2결합링(460)을 매개로 스크류축(430)과 같이 연동 후진됨에 따라 제1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받침판(350)을 매개로 연결된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제2힌지핀(334)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1,2힌지핀(342,344)을 기준으로 앞서 설명한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보다 더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후방측으로 회전되면서 의자 좌부(50)와 양측 페달(21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의 의자 좌부(50)의 높이보다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8, the
이때, 후진동작되는 스크류축(430)은 고정바(440)에 의해 고정된 제2지지링(445)으로부터 후진되도록 회전되면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에 고정된 제1지지링(420)이 제2지지링(445)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한다.At this time, the
즉, 본 발명의 의자 좌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에 의해 베이스부재(100)에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보다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질때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낮아지는 높이차(t1)를 갖게 되며,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기울기 각도에 따른 전,후방 이동거리차(L1,L2)가 발생하게 되고, 의자 좌부(50)가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의자 좌부(50)가 후방으로 갈수록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핸들(435)의 회전 방향에 따른 스크류축(430)의 전,후진 동작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가 제1,2힌지핀(342,344)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긴 사용자의 경우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을 멀리하도록 스크류축(430)을 후진동작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짧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을 가깝게 스크류축(430)을 전진동작시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 좌부(50)의 높낮이가 베이스부재(100)에 대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또한, 본 발명은 조절수단(400)이 스크류축(430)의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동작으로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에서 전,후진동작됨에 따라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기울기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스크류축(430)에 형성된 수나사산의 리드 치수를 적합하도록 선택함에 따라 의자 좌부(50)의 높낮이 및 페달(210)과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djusting means 400 is oper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le being screwed to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힌지핀(342,344)을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연결하는 제1,2고정관(510,520)을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1,2힌지핀(342,344)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제1,2힌지핀(342,34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또, 본 발명은 제1고정관(510)과 고정바(440)를 연결하는 연결바(530)가 구비되므로, 고정바(440)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llowed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50 : 의자 좌부 100 : 베이스부재
200 : 케이싱 본체 210 : 페달
310A,310B : 좌,우측 제1받침부재 320A,320B : 좌,우측 제2받침부재
332 : 제1힌지핀 334 : 제2힌지핀
342 : 연결핀 350 : 받침판
400 : 조절수단 410 : 고정브라켓
415 : 고정핀 420 : 제1지지링
430 : 스크류축 432 : 대경부
433 : 소경부 434 : 단턱
435 : 조작핸들 436 : 조립스크류
437 : 손잡이 440 : 고정바
442 : 지지브라켓 445 : 제2지지링
445a : 제2체결공 446 : 너트부재
447 : 지지핀 450 : 제1결합링
460 : 제2결합링 510 : 제1고정관
520 : 제2고정관 530 : 연결바50: chair seat 100: base member
200: casing main body 210: pedal
310A, 310B: Left and right first supporting
332: first hinge pin 334: second hinge pin
342: connecting pin 350:
400: adjusting means 410: fixed bracket
415: fixing pin 420: first supporting ring
430: screw shaft 432:
433: small diameter portion 434:
435: Operation handle 436: Assembly screw
437: handle 440: fixed bar
442: support bracket 445: second support ring
445a: second fastening hole 446: nut member
447: Support pin 450: First coupling ring
460: second coupling ring 510: first fixing pipe
520: second fixing pipe 530: connecting bar
Claims (4)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3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3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342)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5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350); 및
상기 제1,2힌지핀(342,344)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350) 및 의자 좌부(50)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4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A casing body 200 disposed on the top of the base member 100 and having both side pedals 210 rotatabl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310A and 310B, the low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member 100 by a first hinge pin 332;
The lower end of the base member 1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member 100 at the positions spaced from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310A and 310B by the first hinge pin 332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320A and 320B;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310A and 310B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320A and 320B are connected by connection pins 342 and the chair seat 5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 combined receiving plate 35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310A and 310B and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ing members 310A and 310B and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ing members 310A and 310B and 320A and 320B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pins 342 and 344, And adjusting means (400) for adjusting the height, front and back movement of the chair assembly.
상기 조절수단(400)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도록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42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단턱(434)을 갖는 대경부(432)가 형성되고 대경부(432)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430)과,
상기 스크류축(430)의 일단부에 연동 회전되도록 조립스크류(436)로 결합되는 조작핸들(435)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일측과 상기 조작핸들(435)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의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링(45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타측과 상기 단턱(434)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링(460)과,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 사이의 베이스부재(100)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430)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445a)이 형성된 제2지지링(445)이 마련된 고정바(4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ment means 400 includes a first support ring 420 having a hollow shape fixed to the inside of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310A and 310B so as to be rotatably pinned,
A screw shaft 430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432 coupled to the hollow of the first support ring 420 and having a step 434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male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432,
An operation handle 435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screw shaft 430 by an assembly screw 436 so as to be rotated together,
A first coupling ring 450 inter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ring 420 and the manipulation handle 435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crew shaft 430 to be inserted therethrough,
A second coupling ring 460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ring 420 and the step 434 and coupled to penetrate the screw shaft 430,
The other end of the screw shaft 4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100 between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 members 310A and 310B and the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 members 320A and 320B, And a fixing bar (440)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ing ring (445)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445a) formed therein.
상기 제1힌지핀(33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를 연결하는 제1고정관(510)과,
상기 제2힌지핀(334)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를 연결하는 제2고정관(5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ixing pipe 51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inge pin 332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and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irst supporting members 310A and 310B, ,
A second fixing pipe 520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inge pin 334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and connects the left and right second supporting members 320A and 320B, Wherein the chair assembly comprises:
상기 고정바(440)의 보강을 위해 상기 제1고정관(510)과 상기 고정바(440)를 연결하는 연결바(5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bar (530)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ipe (510) and the fixing bar (440) to reinforce the fixing bar (44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931A KR101984136B1 (en) | 2017-09-27 | 2017-09-27 | Chair assembly for the lower limbs exercis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931A KR101984136B1 (en) | 2017-09-27 | 2017-09-27 | Chair assembly for the lower limbs exercis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6101A true KR20190036101A (en) | 2019-04-04 |
KR101984136B1 KR101984136B1 (en) | 2019-09-03 |
Family
ID=6610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4931A Active KR101984136B1 (en) | 2017-09-27 | 2017-09-27 | Chair assembly for the lower limbs exercis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413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92964A (en) * | 2019-07-01 | 2019-09-03 | 河南科技大学 | A kind of pedal gait rehabilitation robot foot movement device |
KR20210092562A (en) * | 2020-01-16 | 2021-07-26 | 이광덕 | Variable rotation angle rehabilitation mechine |
KR102539711B1 (en) * | 2022-11-03 | 2023-06-02 | 장경원 | Exercise equipment of pilate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5978A (en) * | 1997-11-28 | 1999-06-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Sitting position exercising apparatus |
CN202136734U (en) * | 2011-06-17 | 2012-02-08 | 中山盈亮健康科技有限公司 | Exercise bike with liftable seat |
KR101115545B1 (en) | 2009-12-17 | 2012-02-22 |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 A exercise device for rehabilitation |
KR20130076917A (en) * | 2011-12-29 | 2013-07-09 | 이도영 | Exercise equipment for frozen shoulders |
CN203803036U (en) * | 2014-04-02 | 2014-09-03 | 赵昕怡 | Two-person rowing machine |
KR101494685B1 (en) | 2013-11-20 | 2015-02-23 | 신광의료기산업(주) | Apparatus f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
-
2017
- 2017-09-27 KR KR1020170124931A patent/KR1019841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5978A (en) * | 1997-11-28 | 1999-06-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Sitting position exercising apparatus |
KR101115545B1 (en) | 2009-12-17 | 2012-02-22 |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 A exercise device for rehabilitation |
CN202136734U (en) * | 2011-06-17 | 2012-02-08 | 中山盈亮健康科技有限公司 | Exercise bike with liftable seat |
KR20130076917A (en) * | 2011-12-29 | 2013-07-09 | 이도영 | Exercise equipment for frozen shoulders |
KR101494685B1 (en) | 2013-11-20 | 2015-02-23 | 신광의료기산업(주) | Apparatus f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
CN203803036U (en) * | 2014-04-02 | 2014-09-03 | 赵昕怡 | Two-person rowing machin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92964A (en) * | 2019-07-01 | 2019-09-03 | 河南科技大学 | A kind of pedal gait rehabilitation robot foot movement device |
KR20210092562A (en) * | 2020-01-16 | 2021-07-26 | 이광덕 | Variable rotation angle rehabilitation mechine |
KR102539711B1 (en) * | 2022-11-03 | 2023-06-02 | 장경원 | Exercise equipment of pilat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4136B1 (en) | 2019-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89808B2 (en) | Exercising device | |
TWI636811B (en) | Composite motion exercise machine | |
US10220246B2 (en) | Portable sit-stand elliptical exercise machine | |
KR101875512B1 (en) | 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 |
US5338272A (en) | Exercise machine | |
US5336147A (en) | Exercise machine | |
CN1933877B (en) | Variable stride exercise device | |
KR20170062015A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Leg and upper limb | |
KR20190036101A (en) | Chair assembly for the lower limbs exercising apparatus | |
TWM380146U (en) | Oval stroll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span | |
US9278253B2 (en) | Abdomen exercise bench | |
US6036624A (en) | Physical train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training of the shoulder rotators | |
WO2016020860A1 (en) |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 |
US20100120590A1 (en) | Training Apparatus | |
KR101099332B1 (en) | Fitness bike with saddle swing angle control | |
KR101515545B1 (en) | Robot for moving lower limb | |
KR101093558B1 (en) | Full body exercise equipment | |
KR20170000039U (en) |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 |
JP2021523857A (en) | Speed-adjustable labor-saving bicycle | |
TW201634086A (en) | Improved exercise device | |
KR20040088386A (en) | Health machine using pedals | |
US5441472A (en) | Pivoting thigh engaging exercise apparatus having frictional resistance | |
KR101794687B1 (en) | Handle structure for rehabilitation traning apparatus | |
JP4302395B2 (en) | Exercise equipment | |
US20130310222A1 (en) | Multi-action stationary exercis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502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