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29231A -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231A
KR20190029231A KR1020170116560A KR20170116560A KR20190029231A KR 20190029231 A KR20190029231 A KR 20190029231A KR 1020170116560 A KR1020170116560 A KR 1020170116560A KR 20170116560 A KR20170116560 A KR 20170116560A KR 20190029231 A KR20190029231 A KR 2019002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nozzle
bidet
passage
bidet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표
진성월
박종현
송민수
이왕준
김동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9231A/ko
Priority to CN201780059724.5A priority patent/CN109790707A/zh
Priority to PCT/KR2017/010593 priority patent/WO2018062804A1/ko
Priority to JP2019516474A priority patent/JP6779374B2/ja
Publication of KR2019002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2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비데 노즐 커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커버는 비데 노즐(111a)을 수용하도록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통로(111)와, 세정 노즐(112a)을 수용하도록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 통로(112)를 가진 노즐 수용 본체(110) 및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커버(12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20)는 상기 제1 통로(111)를 커버하는 제1 커버(121) 및 상기 제1 커버(121)와 별도 형성되며,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제2 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BIDET NOZZLE COVER AND BIDET DEVICE WITH BIDET NOZZLE COVER}
본 출원은 비데 노즐 커버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어, 비데 본체에 구비되는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시켜 항문 세정, 여성 국부 세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좌변기의 물 내림 시 수분이 노즐을 수용하는 노즐 수용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 수용 본체를 커버하는 커버가 비데에 설치되어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커버는 하나의 커버가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모두 커버하는 구조이어서 세정 노즐만 이용함에도 세정 노즐에 침착된 오염물이 비데 노즐에 이염되는 현상 등이 발생하였다.
실제로도,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커버하는 커버가 한 개뿐이라면, 하나의 커버에서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 두 개의 노즐 모두를 커버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인식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분에 쉽게 노출되는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커버하는 비데 노즐 커버의 위생 향상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14063호 (2006.04.14)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53005호 (2011.03.24)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즐을 커버하는 커버가 각각 비데 노즐을 커버하는 커버와 세정 노즐을 커버하는 커버로 분리된 비데 노즐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비데 노즐(111a)을 수용하도록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통로(111)와, 세정 노즐(112a)을 수용하도록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 통로(112)를 가진 노즐 수용 본체(110) 및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커버(12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20)는 상기 제1 통로(111)를 커버하는 제1 커버(121) 및 상기 제1 커버(121)와 별도 형성되며,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제2 커버(122)를 포함하는, 비데 노즐 커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는 비데 본체(10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비데 본체(1000)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의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데 본체(1000)의 하측 일단에 상기 커버(120)가 장착되는 장착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돌기(133)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20)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133)에 결합하는 상기 슬라이딩 홈(123)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상기 장착부(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상기 슬라이딩 홈(123)이 형성된 커버 헤드(1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121)와 상기 제2 커버(122)는 각각 상기 커버 헤드(124)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121)와 상기 제2 커버(122)는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커버(121)와 상기 제2 커버(122)가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헤드(124)의 후면(125)에는 상기 후면(125)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125a, 125b)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30)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결합 홈(135a, 135b)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7.2mm 내지 8.8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데 노즐(111a)과 상기 세정 노즐(112a)의 외면 일단을 커버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노즐 커버(113a, 113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 커버(113a, 113b)는 상기 비데 노즐(111a)과 상기 세정 노즐(112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전술한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데 노즐 커버가 각각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커버하므로 각 노즐에 침착된 오염물이 다른 노즐에 이염되지 않아 위생적이다.
둘째, 각 노즐의 말단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분리 가능한 노즐 커버가 형성되어 수분에 쉽게 부식되지 않으며, 별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셋째, 노즐 간 거리가 종래 비데와 다르게 더 이격되어 노즐 커버를 손으로 분리할 때 인접한 노즐이 분리 작업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넷째, 비데 노즐 커버가 비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손쉽게 세척이 가능하다.
다섯째, 비데 노즐 커버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비데 본체에 장착됨으로써 고정력이 향상되고, 분리시에도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수용 본체와 덕트 수용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건조 덕트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비데 노즐 커버와 비데 건조 덕트가 각각 비데 본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의 이동에 따라 비데 노즐 커버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사용자가 좌변기(1)에 착석한 것을 가정하면, 사용자의 위쪽 부분이 상측, 아래쪽 부분이 하측이며,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이 전방, 등쪽 방향이 후방이고, 사용자의 왼손이 위치한 부분이 좌측, 오른손이 위치한 부분이 우측인 것으로 설명한다.
1. 비데 장치의 설명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50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50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데 장치(5000)는 좌변기(1)에 고정 설치되는 비데 본체(1000)와, 비데 본체(1000)의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3000)와, 시트(30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덮개(4000) 및 비데 본체(1000) 측면에 장착되는 조작부(2000)를 포함한다.
조작부(2000)에는 수압, 수온,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의 위치, 살균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2. 비데 노즐 커버의 설명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커버(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커버(100)는 비데 본체(1000)의 하부의 전방 측에 장착된다. 비데 노즐 커버(100)가 위치하는 비데 본체(1000)의 내부에는 비데 노즐(111a)가 세정 노즐(112a)이 수용되어 있다.
비데 노즐(11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는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게 되고, 세정 노즐(11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는 항문을 세정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비데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커버(100)는 노즐 수용 본체(110) 및 커버(120)를 포함한다.
노즐 수용 본체(110)는 제1 통로(111)와 제2 통로(112)가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통로(111)에는 비데 노즐(111a)이 수용되고, 제2 통로(112)에는 세정 노즐(112a)이 수용된다.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액튜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는 이미 알려진 기술인 바, 그 작동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120)는 비데 본체(1000)에 장착되어 노즐 수용 본체(110)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비데 본체(1000)의 하부 전방 측에는 커버(12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30)가 형성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120)는 장착부(130)에 장착되는 커버 헤드(124), 커버 헤드(124)에 결합되어 제1 통로(111)와 제2 통로(112)를 각각 커버하는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를 포함한다.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는 각각 제1 통로(111)와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부분이며, 제1 통로(111)와 제2 통로(112)에 수용된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을 커버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인식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는 다른 색을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20)는 비데 장치(5000)를 사용하거나 좌변기(1)의 물내림 시, 수분이 노즐 수용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좌변기(1)의 물을 내리는 경우는, 소변이나 대변을 보고 난 후 내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커버(120)가 없다면, 소변이나 대변이 포함된 물이 노즐 수용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어, 세균이 번식하거나 비데 노즐(111a)이나 세정 노즐(112a)에 침착되어 오염을 유발한다. 커버(120)는 이러한 소변이나 대변이 포함된 물의 유입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한다.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는 별개로 구비되어 커버 헤드(124)에 결합된다. 일 예로서,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커버 헤드(124)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는 제1 통로(111)와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제1 위치 및 노즐 수용 본체(110)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세정을 위해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이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는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고, 세정을 마치고 노즐 수용 본체(11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다(도 9 참조).
종래의 비데 장치에서는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한 번에 커버하도록 커버가 1개뿐이었으나, 본 출원에서는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각각 커버하도록 커버가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로 이루어지는 점이 종래와 상이하다.
비데 노즐(111a) 또는 세정 노즐(112a)을 통한 세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노즐에 이물질이 포함된 물과, 노즐의 표면에 남아있는 세정 잔여물 등이 잔존하게 된다.
세정 작업 수행 시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를 밀어올려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노즐의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커버에 침착되는데, 본 출원에서는 제1 커버(121)와 제2 커버(122)가 각각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을 커버하게 되므로, 하나의 커버를 사용할 때 보다 더 위생적으로 비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남자인 경우 비데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세정 기능만 사용할 것인데, 커버가 1개인 경우라면 세정 기능만 사용하더라도 커버 전체가 오염된다. 본 출원은 2개의 커버가 각각의 노즐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오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은 종래의 비데와 다르게 서로 더 이격되어 있는 형태이다. 종래의 비데 장치에서는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이 서로 1mm 내지 2mm 이격되어 있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은 서로 7.2mm 내지 8.8mm 이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8mm 이격되어 있는 형태이다. 즉, 제1 통로(111)와 제2 통로(112)가 서로 7.2mm 내지 8.8mm, 더 구체적으로, 8mm 이격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는,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 각각에 묻은 오염물이 다른 노즐에 이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의 전방 측에는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의 외면 일단을 커버하는 노즐 커버(113a, 113b)가 형성된다(도 9 참조). 노즐 커버(113a, 113b)는 물에 쉽게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물에 접촉되더라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커버(113a, 113b)는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의 전방 측 일단을 커버하기 때문에, 오염물이 가장 많이 침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노즐 커버(113a, 113b)는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각 노즐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노즐 커버(113a, 113b)을 손으로 파지한 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노즐 커버(113, 113b)는 별도의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노즐 커버(113a, 113b)를 노즐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손으로 노즐 커버(113a, 113b)를 파지하여 회전 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커버(1000)는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을 소정 거리 이격시켜 노즐 커버(113a, 113b)의 파지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하였다. 비데 노즐(111a)과 세정 노즐(112a)이 너무 가까이 위치하면, 노즐 커버(113a, 113b)의 파지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가 비데 본체(1000)에 결합되어, 노즐 수용 본체(110)를 커버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데 본체(1000)의 전방 하측 일단에는 커버(120)가 장착되는 장착부(130)가 형성된다.
커버(120)는 장착부(130)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장착부(130)의 측면(131)에는 측면(131)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돌기(133)가 형성된다.
장착부(130)에 장착되는 커버(120)의 커버 헤드(124)에는 슬라이딩 돌기(1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홈(123)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20)는 장착부(130)에 대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결합되며, 슬라이딩 돌기(133)와 슬라이딩 홈(123)이 서로 맞물리면서 커버(120)가 장착부(130)에 고정된다.
또한, 커버 헤드(124)의 후면(125)에는 후면(125)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125a, 125b)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장착부(130)에는 결합 돌기(125a, 125b)가 결합되는 결합 홈(135a, 135b)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커버(120)가 장착부(130)에 대해 최대 슬라이딩 가능한 위치까지 하측으로 이동한 경우, 커버(120)의 결합 돌기(125a, 125b)가 장착부(130)의 결합 홈(135a, 135b)에 삽입되어, 커버(120)의 장착부(130)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3. 비데 건조 덕트의 설명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건조 덕트(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건조 덕트(200)는 비데 노즐 커버(100)와 마찬가지로 비데 본체(1000)의 하부의 전방 측에 장착된다. 비데 건조 덕트(200)가 위치하는 비데 본체(1000)의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미도시)가 수용되어 있다. 이는 종래의 비데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건조 덕트(200)는 덕트 수용 본체(210) 및 덕트 커버(220)를 포함한다.
덕트 수용 본체(210)는 송풍기(미도시)에서 발생된 유체의 흐름이 배출되도록 덕트(211)가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덕트 커버(220)는 덕트(211)를 일부 커버하는 부분이다. 비데 장치(5000)를 사용하거나, 물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경우 수분이 덕트 커버(220)에 유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덕트 커버(220)의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덕트 커버(220)는 비데 본체(10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 커버(220)는 상부 커버(221) 및 하부 커버(222)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221)와 하부 커버(22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덕트 커버(220)의 장착부(230) 장착 시, 덕트 커버(220)와 장착부(230)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어 유체가 오로지 송풍구(224)를 통하여서만 흐를 수 있다.
상부 커버(221)는 덕트 커버(220)가 비데 본체(1000)에 장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하부 커버(222)는 상부 커버(221)와 연결되며, 덕트(211)와 연통하는 송풍구(224)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커버(222)에는 덕트(211)를 통과한 유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복수의 풍향 변경 부재(225)가 형성된다. 이는 비데 건조 덕트(200)가 비데 본체(1000)의 중심선(C)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좌변기(1)에 착석하면, 세정 대상이 되는 항문이나 여성 국부는 비데 본체(1000)의 중심선(C)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 수용 본체(110) 또한 비데 본체(1000)의 중심선(C)에 위치한다. 따라서, 비데 건조 덕트(200)는 중심선(C)이 아닌 이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하지만, 건조 대상이 되는 항문이나 여성 국부는 중심선(C)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유체의 이동 방향을 중심선(C) 방향으로 변경하지 않는다면 항문이나 여성 국부를 제대로 건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부 커버(222)에는 비데 건조 덕트(200)가 장착되는 장착부(230)가 비데 본체(1000)의 중심선(C)으로부터 이격된 소정 거리와 비례하게 상부 커버(221)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복수의 풍향 변경 부재(225)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풍향 변경 부재(225)는 비데 장치(5000)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심선(C)에 대해 우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덕트(211)를 통과한 유체가 풍향 변경 부재(225)를 통과하면서 이동 방향이 중심선(C) 쪽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풍향 변경 부재(225)는 기결정된 제1 폭을 가지며, 하부 커버(222)의 상면(226)으로부터 하면(227)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풍향 변경 부재(225a),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며, 제1 풍향 변경 부재(225a)와 연결되어 하면(227)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풍향 변경 부재(225b)를 포함한다. 제2 풍향 변경 부재(225b)는 제1 풍향 변경 부재(225a)보다 더 큰 폭을 가져 제1 풍향 변경 부재(225a)만이 형성된 것과 비교하였을 때, 유체의 이동 방향을 더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각각의 풍향 변경 부재(225)는 인접한 풍향 변경 부재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 커버(22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풍향 변경 부재(225)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부분이 유체의 송풍 출구인 송풍구(224)이다.
풍향 변경 부재(225)는 제2 폭보다 큰 제3 폭을 가지며, 제2 풍향 변경 부재(225b)와 연결되어 하면(227)을 향해 연장되는 제3 풍향 변경 부재(225c) 및 제3 폭보다 큰 제4 폭을 가지며, 제3 풍향 변경 부재(225c)와 연결되어 하면(227)을 향해 연장되는 제4 풍향 변경 부재(225c)를 더 포함한다.
제2 풍향 변경 부재(225b), 제3 풍향 변경 부재(225c) 및 제4 풍향 변경 부재(225d)를 비데 장치(5000)의 전방에서 바라보면, 계단 형상을 띈다. 하부 커버(222)는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계단 형상이 아닌 예를 들어 제2 풍향 변경 부재(225b)만이 존재하는 경우, 제2 풍향 변경 부재(225b)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이 쉽게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이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부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덕트(211)를 통과한 유체의 이동 방향을 더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비데 본체(1000)의 하부 전방 측에는 덕트 커버(22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230)가 형성된다.
덕트 커버(220)는 장착부(230)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장착부(230)의 측면(231)에는 측면(231)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돌기(233)가 형성된다.
장착부(230)에 장착되는 덕트 커버(220)의 상부 커버(221)에는 슬라이딩 돌기(2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홈(223)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종래 비데 장치의 덕트 커버는 덕트 커버에 형성된 걸림 후크가 덕트 수용 본체에 걸리어 결합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덕트 커버를 비데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 덕트 커버에 좌변기(1) 내부로 빠지는 현상이 다수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덕트 커버(220)가 비데 본체(10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덕트 커버(220)를 비데 본체(100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좌변기(1) 내부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덕트 커버(220)는 장착부(230)에 대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결합되며, 슬라이딩 돌기(233)와 슬라이딩 홈(223)이 서로 맞물리면서 덕트 커버(220)가 장착부(230)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 커버(221)의 후면(228)에는 후면(228)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228a)가 형성되며, 장착부(230)에는 결합 돌기(228a)가 결합되는 결합 홈(238)이 형성된다.
덕트 커버(220)가 장착부(230)에 대해 최대 슬라이딩 가능한 위치까지 하측으로 이동한 경우, 덕트 커버(220)의 결합 돌기(228a)가 장착부(230)의 결합 홈(238)에 삽입되어, 덕트 커버(220)의 장착부(230)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좌변기
100: 비데 노즐 커버
110: 노즐 수용 본체
111: 제1 통로
111a: 비데 노즐
112: 제2 통로
112a: 세정 노즐
120: 커버
121: 제1 커버
122: 제2 커버
123: 슬라이딩 홈
124: 커버 헤드
125: 후면
125a, 125b: 결합 돌기
130: 장착부
133: 슬라이딩 돌기
135a, 135b: 결합 홈
200: 비데 건조 덕트
210: 덕트 수용 본체
220: 덕트 커버
221: 상부 커버
222: 하부 커버
224: 송풍구
225: 풍향 변경 부재
228: 후면
228a: 결합 돌기
230: 장착부
238: 결합 홈
1000: 비데 본체
2000: 조작부
3000: 시트
4000: 덮개
5000: 비데 장치

Claims (11)

  1. 비데 노즐(111a)을 수용하도록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통로(111)와, 세정 노즐(112a)을 수용하도록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 통로(112)를 가진 노즐 수용 본체(110); 및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커버(12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20)는 상기 제1 통로(111)를 커버하는 제1 커버(121) 및 상기 제1 커버(121)와 별도 형성되며,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제2 커버(122)를 포함하는,
    비데 노즐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는 비데 본체(10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비데 본체(1000)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의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비데 노즐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 본체(1000)의 하측 일단에 상기 커버(120)가 장착되는 장착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돌기(133)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20)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133)에 결합하는 상기 슬라이딩 홈(123)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비데 노즐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상기 장착부(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데 노즐 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상기 슬라이딩 홈(123)이 형성된 커버 헤드(1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121)와 상기 제2 커버(122)는 각각 상기 커버 헤드(124)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비데 노즐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121)와 상기 제2 커버(122)는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를 커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커버(121)와 상기 제2 커버(122)가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비데 노즐 커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헤드(124)의 후면(125)에는 상기 후면(125)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125a, 125b)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30)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결합 홈(135a, 135b)이 하나 이상 형성된,
    비데 노즐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111)와 상기 제2 통로(112)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노즐 수용 본체(110)에 관통 형성되는,
    비데 노즐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7.2mm 내지 8.8mm인,
    비데 노즐 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 노즐(111a)과 상기 세정 노즐(112a)의 외면 일단을 커버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노즐 커버(113a, 113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 커버(113a, 113b)는 상기 비데 노즐(111a)과 상기 세정 노즐(112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비데 노즐 커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KR1020170116560A 2016-09-27 2017-09-12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Ceased KR20190029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560A KR20190029231A (ko) 2017-09-12 2017-09-12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CN201780059724.5A CN109790707A (zh) 2016-09-27 2017-09-26 赋予卫生可视性的具有清洗及净身盆喷嘴分离结构的净身盆装置
PCT/KR2017/010593 WO2018062804A1 (ko) 2016-09-27 2017-09-26 위생 가시성 부여를 위한 세정 및 비데 노즐 분리구조를 갖는 비데 장치
JP2019516474A JP6779374B2 (ja) 2016-09-27 2017-09-26 衛生可視性の付与のための洗浄及びビデノズル分離構造を有するビデ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560A KR20190029231A (ko) 2017-09-12 2017-09-12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231A true KR20190029231A (ko) 2019-03-20

Family

ID=6603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560A Ceased KR20190029231A (ko) 2016-09-27 2017-09-12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92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63Y1 (ko) 2006-01-09 2006-04-14 동양매직 주식회사 세정모드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200453005Y1 (ko) 2009-03-06 2011-04-05 주식회사 노비타 노즐 세척커버가 구비된 비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63Y1 (ko) 2006-01-09 2006-04-14 동양매직 주식회사 세정모드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200453005Y1 (ko) 2009-03-06 2011-04-05 주식회사 노비타 노즐 세척커버가 구비된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5934B2 (en) Universal port for a bidet washing apparatus
KR20190029230A (ko) 비데 건조 덕트 및 비데 건조 덕트가 적용된 비데 장치
EP2966230A1 (en) Nozzle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using same
CN107949677A (zh) 便器装置
JP6779374B2 (ja) 衛生可視性の付与のための洗浄及びビデノズル分離構造を有するビデ装置
JP2009161936A (ja) 温水洗浄ノズルの掃除装置及び温水洗浄装置
KR20190029231A (ko) 비데 노즐 커버 및 비데 노즐 커버가 적용된 비데 장치
KR200453005Y1 (ko) 노즐 세척커버가 구비된 비데
JP459154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CN107002394A (zh) 自动水龙头
JP2002356889A (ja) 自動吐水機器
KR100668579B1 (ko)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JP2011160884A (ja) 乾燥装置
JP4984629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893555B2 (ja) 洗面化粧台
JP7391624B2 (ja) 水栓装置
JP7373312B2 (ja) 洗面装置
KR20130102901A (ko) 위생 소변기
JP5129538B2 (ja) 洗面化粧台
CN100575627C (zh) 冲厕装置
KR101402149B1 (ko) 남성용 비데장치
CN213204351U (zh) 一种洁身器及具有该洁身器的马桶
JP2007135906A (ja) シャワー装置
JP3225120U (ja) 男性用導尿器
JP7340437B2 (ja) 局部洗浄装置及び水洗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3062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2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