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28937A -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937A
KR20190028937A KR1020170115855A KR20170115855A KR20190028937A KR 20190028937 A KR20190028937 A KR 20190028937A KR 1020170115855 A KR1020170115855 A KR 1020170115855A KR 20170115855 A KR20170115855 A KR 20170115855A KR 20190028937 A KR20190028937 A KR 2019002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calcium
concentrated water
sodium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준환
이승우
채수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937A/ko
Publication of KR2019002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9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해수 담수화 농축수에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 양이온이 매우 높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어 이를 그대로 방류하는 경우 환경오염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H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농축수로부터 마그네슘과 칼슘을 순차적으로 침전분리시킨다. 그리고 분리된 마그네슘과 칼슘을 현탁액으로 형성한 후 이산화탄소를 각각 주입하여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으로 침전시켜 제거한다. 그리고 칼슘과 마그네슘이 제거된 후 소듐이 풍부한 농축수에는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를 공급하여 탄산수소나트륨 형태로 침전시켜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담축수 내 금속 이온의 농도를 10,000ppm 이하로 저감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담수화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Method for treating seawater desalination concentrates using pH control}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농축수 내 이온을 저감시켜 농축수 배출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서는 염수를 역삼투압 방식 등을 거쳐 담수로 생산하게 되는데, 염수 중 대략 50% 정도만 담수로 전환되며, 나머지 50%는 농축수로 발생한다. 여기서, 농축수는 원래의 바닷물이나 염수보다 훨씬 높은 농도로 금속 양이온이 농축되어 있는 폐수를 의미한다.
농축수에는 소듐, 마그네슘, 칼슘 등의 금속이 녹아서 이온 형태로 존재하데, 소듐은 대략 20,000mg/L, 마그네슘은 2,200mg/L, 칼슘은 800mg/L의 농도를 보인다.
이렇게 이온이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농축수에 대하여 환경규제기준이 마련될 전망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배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지만, 미국, 스페인 등 담수화 플랜트가 활발하게 운용되고 있는 해외에서는 배출 기준이 조만간 도입될 예정이며, 대략 수천~10,000ppm 수준으로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농축수 배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농축수를 다시 바닷물과 섞어 농도를 낮춘 후에 배출하는 방법으로 농축수를 처리하고 있다. 이에 담수화 농축수 내 이온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로부터 칼슘, 마그네슘 및 소듐을 침전시켜 제거함으로써, 농축수 내 이온 함유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은,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을 포함하여 금속 양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해수 담수화 설비 농축수로부터 금속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농축수를 전기투석하여 나트륨을 포함한 1가 양이온이 함유된 농축수와 칼슘 및 마그네슘을 포함한 2가 양이온이 함유된 농축수를 상호 분리하는 전처리단계; 및 상기 전처리단계 후 상기 농축수에 암모니아 용액을 혼합하고,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농축수 내 나트륨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침전시켜 분리제거하는 나트륨 제거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농축수 내 금속 이온의 농도는 10,0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트륨 제거단계에서 탄산수소나트륨과 함께 형성되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부터 암모니아를 다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분리된 2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농축수의 pH를 제1범위로 상승시켜 마그네슘을 고체 상태로 침전시킨 후, 상기 농축수로부터 마그네슘 침전물을 분리하는 마그네슘 분리단계; 마그네슘이 분리된 상기 농축수의 pH를 상기 제1범위 보다 높은 제2범위로 조정하여 칼슘을 고체 상태로 침전시킨 후, 상기 농축수로부터 칼슘 침전물을 분리하는 칼슘 분리단계; 상기 마그네슘 침전물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탄산마그네슘을 침전시키는 마그네슘처리단계; 및 상기 칼슘 침전물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탄산칼슘을 침전시키는 칼슘처리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슘처리단계 및 칼슘처리단계에서는, 마그네슘 및 칼슘 침전물에 각각 물을 공급하여 수용액을 형성시킨 후 상기 수용액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탄산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을 형성하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형성된 침전물과 수용액을 고액분리하여 얻어진 물은 상기 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거나 또는 담수화 공정의 원수로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나트륨을 침전시킨 후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농축수는 담수화 공정의 원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수산화나트륨을 획득하여 pH 조절제로 재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해수 담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 내 소듐, 칼슘, 마그네슘을 각각 고체 상태로 침전시켜 제거함으로써 농축수의 TDS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적어도 금속 내 양이온의 농도를 10,000ppm 이하로 저감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부수적으로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대기 오염 방지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방법의 구체적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로부터 마그네슘, 칼슘 및 소듐을 제거하여 농축수의 양이온 함유량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농축수에는 금속 양이온이 풍부하게 녹아 있다. 예컨대 국내 담수화 플랜트 단일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농축수에는 칼슘 800mg/L, 마그네슘 2,200mg/L, 소듐 20,000mg/L(2%)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농도는 높지 않지만 칼륨, 리튬 등이 녹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축수의 금속 농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마그네슘, 칼슘 및 소듐을 고체 상태로 침전시켜 제거함으로써 농축수의 TDS를 저감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방법의 구체적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농축수 내 2가 양이온인 마그네슘과 칼슘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농축수 내 2가 양이온을 최대한 탄산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금속 탄산화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출발물질에는 특정 양이온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석회석에는 칼슘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며, 사문석에는 마그네슘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그러나 농축수에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모두 금속 탄산화에 유의미한 수준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다양한 이온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모두 탄산화시키기 위해서는 특별한 공정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서는 농축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pH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금속별로 탄산화를 수행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2가 양이온이 함유된 농축수의 pH를 제1범위로 높여 농축수 내 마그네슘을 수산화물/수화물 형태로 침전시킨다. 여기서 제1범위는 마그네슘이 침전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pH10~11.5의 범위로 맞춘다. pH를 높이기 위한 알카리용액은 다양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다. 농축수의 pH를 제1범위로 맞추면 마그네슘은 Mg(OH)2로 침전되면, 여과를 거쳐 농축수와 마그네슘 침전물을 상호 분리한다. 마그네슘 침전물은 물에 투입하여 현탁액 상태로 보관한다. 마그네슘 침전물이 물에 투입되면 마그네슘은 다시 녹아서 현탁액 내에 존재한다.
그리고 마그네슘이 분리된 후의 농축수에는 알카리 용액을 투입하여 pH를 제2범위로 상승시킨다. 여기서 제2범위는 칼슘이 침전될 수 있는 범위로서, 제1범위보다 높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pH 11.5 초과 13.5 이하의 범위로 맞춘다. 여기서도 알카리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이 사용된다. pH를 제2범위로 올라가면, 농축수 내 칼슘은 Ca(OH)2로 침전된다. 침전된 칼슘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과를 거쳐 농축수로부터 분리해 내며, 물을 투입하여 현탁액 상태로 보관한다. 물이 투입되면 칼슘은 다시 녹아서 이온 상태로 유지된다.
이제 마그네슘이 녹아 있는 현탁액과 칼슘이 녹아 있는 현탁액 각각에 대하여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탄산화를 수행한다. 가스상의 이산화탄소가 탄산이온으로 전환되어, 탄산화 되는 과정은 아래의 반응 (A-E)을 거치게 된다.
즉, 반응(A)와 같이 가스상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되고, 용해된 이산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아래의 반응(B)와 같이 탄산을 형성한다.
CO2(g) → CO2(aq) ... (A)
CO2(aq) + H2O → H2CO3 ... (B)
그리고 탄산은 아래의 반응(C), 반응(D)를 통해 수소와 탄산 이온(CO3 2-)으로 분해된다.
H2CO3 → H+ + HCO3 - ... (C)
HCO3 - → H+ + CO3 2- ... (D)
탄산 이온이 형성된 상태에서 마그네슘과 칼슘이 각각 공급되면 아래의 반응(E),(F)와 같이 탄산마그네슘이 형성되어 고체 상태로 침전된다.
Mg2 + + CO3 2- MgCO3↓ ... (E)
CA2+ + CO3 2- CaCO3↓ ... (F)
여기서 이산화탄소를 주입한다고 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담수화 플랜트에서 발생한 배가스를 직접 주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별도 포집된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지만, 대략 15% 농도의 배가스를 추가공정 없이 직적접으로 사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으면 수율이 떨어질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포집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과 비교하여 경제성/효율성의 측면에서는 배가스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그네슘과 칼슘이 탄산염 형태로 침전되면, 이들은 다시 녹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여 이산화탄소가 고정된다. 2개의 현탁액을 각각 여과하여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을 분리하면, 여과액은 담수화 공정의 원수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현탁액을 만들기 위하여 투입하는 물로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은 충전재 등의 산업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렇다면 칼슘과 마그네슘을 왜 먼저 분리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의문이 남는다. 예컨대 pH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 농축수 내에서 마그네슘이 먼저 침전되어 그 상태로 유지되고, 이후 pH를 더 높이면 칼슘이 침전되어 농축수 내에 마그네슘과 칼슘의 침전물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반응조 내에서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께 침전 및 여과한 후, 현탁액을 만들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pH의 각 단계별로 침전물을 여과하면 공정이 추가되므로 비경제적이므로 위와 같은 공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탄산화 기술에서 사용하는 출발물질은 석회석(칼슘 소스), 사문석(마그네슘 소스)과 같이 하나의 금속이 압도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금속별 분리 공정을 고려할 이유가 없었고, 단일 연속 공정으로만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발명과 같이 금속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농축수에서의 공정에 대해서는 고려할 이유가 없었다.
금속별 분리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이유는 2가지이다.
먼저 탄산화된 광물을 개별 산업원료로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은 산업적 용도가 다르므로, 이들을 원료로서 판매하기 위해서는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이 상호 분리되어 순도를 높여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두 개의 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면 추후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을 따로 분리해야 하는데, 이러한 공정은 용이하지 않다. 그렇다면 탄산칼슘이나 탄산마그네슘의 산업적 재이용 목적이 없는 경우, 즉 이산화탄소 고정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굳이 분리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금속의 탄산화 수율을 고려하면 이 역시 성립하지 않는다.
즉, 금속별 분리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두 번째 이유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께 탄산화하는 것은 수율의 측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이다. 농축수의 pH를 제1범위로 상승시키면 마그네슘이 수화물 형태로 침전되면서 농축액 내의 마그네슘 농도는 저하되지만, 칼슘은 pH가 제1범위 수준에 있으면 농도 변화는 크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충분히 예측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면 전혀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즉, 마그네슘이 탄산화 되는 것이 아니라 현탁액 내의 칼슘과 이산화탄소가 먼저 반응하여 탄산칼슘으로 석출되고, 수화물로 침전된 마그네슘은 오히려 재용해되어 농축수 내 마그네슘의 농도가 증가한다. 이후 pH를 다시 제2범위로 상승시키면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즉, 칼슘은 탄산화되면서 농축수 내 농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데, 마그네슘은 농도는 pH를 높일 때마다 저하되었다가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면 다시 올라가는 현상이 반복된다. 마그네슘의 농도는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한다. 칼슘이 모두 석출된 후에서야 마그네슘은 안정적으로 침전된다. 마그네슘과 칼슘이 함께 녹아 있는 농축수에서 마그네슘은 칼슘에 비해 쉽게 수화물로 침전되는 반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경우의 탄산화 반응은 칼슘이 더욱 우세하다. 결국 칼슘이 모두 탄산칼슘으로 전환된 후에야 마그네슘의 탄산화반응이 안정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두 개의 물질을 함께 탄산화하는 과정은 수율의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본 발명의 연구진은 마그네슘과 칼슘을 함께 탄산화하는 단일 공정을 연구하던 중에 위와 같은 현상을 발견하고, 금속별 탄산화 수율 및 산물의 산업적 재이용을 고려하여 위와 같은 광물별 탄산화 공정을 도입하게 되었다.
금속을 탄산화하는 방법은 기존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주로 고체 상태의 석회석, 슬래그(칼슘 소스)이나 사문석(마그네슘 소스)을 이산화탄소와 반응시키는데, 고체와 기체를 직접 반응시키는 방법과, 고체로부터 칼슘 또는 마그네슘을 용출시킨 후 이산화탄소와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경우가 탄산화반응 효율이 우수하지만, 일단 광물로부터 칼슘 또는 마그네슘을 용출시키는 과정에 에너지가 투입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서 배출되는 농축수는 금속 양이온이 이미 녹아 있는 상태이므로 탄산화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모두 만족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고체 상태의 출발물질로부터 금속을 용출시키기 위해서는 산성 용액을 사용하여 용출 후의 금속이 녹아 있는 용액은 산성을 띠게 되며, 탄산화를 위해서는 다시 용액의 pH를 염기성 용액으로 만들어야 하는 바, 알카리 용액이 투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해수 담수화 농축수는 pH 8 수준으로 배출되는 바 이러한 추가공정이 필요 없어 매우 경제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농축수로부터 마그네슘과 칼슘을 분리하고 나면, 농축수에는 1가 양이온인 소듐이 남게 된다. 소듐을 침전제거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듐이 포함되어 있는 농축수에 이산화탄소와 함께 암모니아를 공급하여 소듐을 탄산수소나트륨 형태로 합성하여 침전시킨다. 반응은 아래의 반응식에 나타내었다.
CO2 + 2NH3 → NH2COO- + NH4 + … 반응식1
NH2COO- + H2O → NH3 + HCO3 - … 반응식2
NH4 + + HCO3 - + NaCl → NaHCO3(↓) + NH4Cl … 반응식3
즉, 이산화탄소는 암모니아와 만나서 녹으면서 NH2COO-와 NH4 + 의 중간물질을 형성하고, 반응식2와 같이 다시 탄산(HCO3 -)을 형성하게 된다. 암모늄과 탄산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소듐이 풍부한 농축수(NaCl)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을 형성하면서 침전되고 염화암모늄을 함께 형성하게 된다. 탄산수소나트륨이 침전되면 여과 등의 고액분리를 거쳐 탄산수소나트륨을 제거한다.
상기한 반응을 통해 농축수 내 소듐은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침전시킬 수 있다. 위의 과정에서는 암모니아(NH3)와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요청되는데, 이산화탄소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배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배가스에는 대략 15% 정도의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만을 별도로 포집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경제성을 고려할 때 배가스를 그대로 이산화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암모니아는 계속 새로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반응식4를 이용하여 회수하고 재활용할 수 있다.
2NH4Cl + Ca(OH)2 → CaCl2 + 2NH3 + 2H2O … 반응식4
반응식4를 참고하면, 염화암모늄 용액에 수산화칼슘을 투입하면 염화칼슘과 암모니아가 만들어진다. 암모니아만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암모니아를 계속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트륨을 침전시킨 후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농축수는 담수화 공정의 원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수산화나트륨을 획득하여 후술하는 2가 양이온 제거 공정에서 pH 조절제로 재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해수 담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 내 소듐, 칼슘, 마그네슘을 각각 고체 상태로 침전시켜 제거함으로써 농축수의 TDS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적어도 금속 내 양이온의 농도를 10,000ppm 이하로 저감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부수적으로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대기 오염 방지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을 포함하여 금속 양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해수 담수화 설비 농축수로부터 금속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농축수를 전기투석하여 나트륨을 포함한 1가 양이온이 함유된 농축수와 칼슘 및 마그네슘을 포함한 2가 양이온이 함유된 농축수를 상호 분리하는 전처리단계; 및
    상기 전처리단계 후 상기 농축수에 암모니아 용액을 혼합하고,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농축수 내 나트륨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침전시켜 분리제거하는 나트륨 제거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 및 나트륨 제거단계를 거친 후 상기 농축수 내 금속 이온의 농도는 10,0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 제거단계에서 탄산수소나트륨과 함께 형성되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부터 암모니아를 다시 회수하는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분리된 2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농축수의 pH를 제1범위로 상승시켜 마그네슘을 고체 상태로 침전시킨 후, 상기 농축수로부터 마그네슘 침전물을 분리하는 마그네슘 분리단계;
    마그네슘이 분리된 상기 농축수의 pH를 상기 제1범위 보다 높은 제2범위로 조정하여 칼슘을 고체 상태로 침전시킨 후, 상기 농축수로부터 칼슘 침전물을 분리하는 칼슘 분리단계;
    상기 마그네슘 침전물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탄산마그네슘을 침전시키는 마그네슘처리단계; 및
    상기 칼슘 침전물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탄산칼슘을 침전시키는 칼슘처리단계;를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처리단계 및 칼슘처리단계에서는, 마그네슘 및 칼슘 침전물에 각각 물을 공급하여 수용액을 형성시킨 후 상기 수용액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탄산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을 형성하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형성된 침전물과 수용액을 고액분리하여 얻어진 물은 상기 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거나 또는 담수화 공정의 원수로 다시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나트륨을 침전시킨 후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농축수는 담수화 공정의 원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수산화나트륨을 획득하여 pH 조절제로 재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담수화 농축수 친환경 처리방법.
KR1020170115855A 2017-09-11 2017-09-11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Ceased KR20190028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55A KR20190028937A (ko) 2017-09-11 2017-09-11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55A KR20190028937A (ko) 2017-09-11 2017-09-11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937A true KR20190028937A (ko) 2019-03-20

Family

ID=6603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855A Ceased KR20190028937A (ko) 2017-09-11 2017-09-11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9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0249A (zh) * 2020-03-04 2020-06-23 辽宁莱特莱德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海水淡化矿化汽水混合装置
KR20200116260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탄산염의 연속 제조방법 및 담수화 설비의 스케일 저감을 위한 해수 전처리 방법
KR20230036725A (ko) * 2021-09-08 2023-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분해 및 금속 이온 분리를 이용한 금속탄산염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260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탄산염의 연속 제조방법 및 담수화 설비의 스케일 저감을 위한 해수 전처리 방법
CN111320249A (zh) * 2020-03-04 2020-06-23 辽宁莱特莱德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海水淡化矿化汽水混合装置
KR20230036725A (ko) * 2021-09-08 2023-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분해 및 금속 이온 분리를 이용한 금속탄산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77B1 (ko) 해수 담수화 농축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처리방법
KR102093004B1 (ko) 마그네슘 함유 제련 폐수를 종합 회수하는 방법
KR102612121B1 (ko) 염의 회수를 위한 방법 및 설비
US7744761B2 (en) Desalination methods and systems that include carbonate compound precipitation
US11560318B2 (en) Facile, low-energy routes for the production of hydrated calcium and magnesium salts from alkaline industrial wastes
US9259703B2 (en) System for removing selenium from a feed stream
Rioyo et al. Research on ‘high-pH precipitation treatment’for RO concentrate minimization and salt recovery in a municipal groundwater desalination facility
US20160244348A1 (en) A method for treating alkaline brines
KR20190028936A (ko) pH 연속 조절을 통한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CA2960697C (en) Method for treating an effluent supersaturated with calcium carbonate in the presence of phosphonate precipitation-inhibiting products
US10011506B2 (en) System for removing minerals from a brine using electrodialysis
Aubé et al. The high density sludge (HDS) process and sulphate control
KR20190028937A (ko) 해수 담수화 농축수의 친환경 처리방법
CN105502765A (zh) 一种处理脱硫废水协同回收资源的系统及方法
KR101860331B1 (ko) 해수 담수화 농축수 처리방법
AU2024204987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hydromagnesite
KR20130073500A (ko) 농축해수를 이용한 해수마그네시아 제조방법
EP1928569A1 (en) A cost-effectiv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lar salt having high purity and whiteness
US11814309B1 (en) Multistage desalination process with carbon dioxide capture
CN205420021U (zh) 一种处理脱硫废水协同回收资源的系统
RU2837416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кислых шахтных вод от металлов
WO20231616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lfate recovery from saline fluids
WO2025022834A1 (ja) 二酸化炭素の固定化方法
OA18251A (en) Method for treating an effluent supersaturated with calcium carbonate in the presence of phosphonate precipitation-inhibiti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