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175A -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valve for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 Google Patents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valve for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8175A KR20190028175A KR1020170115297A KR20170115297A KR20190028175A KR 20190028175 A KR20190028175 A KR 20190028175A KR 1020170115297 A KR1020170115297 A KR 1020170115297A KR 20170115297 A KR20170115297 A KR 20170115297A KR 20190028175 A KR20190028175 A KR 20190028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 hydraulic cylinder
- opening
- hydraulic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2706 hydrosta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5845 chatteri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46 reduc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15B7/10—Compensation of the liquid content in a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1—Valves for interconnecting the fluid chambers of an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의 입출력시 발생되는 체적유량 차이를 자동으로 보상하되 푸시바의 길이에 따른 성능변화 및 중립상태에서의 누설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저속 및 고속 영역에서의 응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compensating for a difference in volume flow generated during input / output of a hydraulic cyli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having improved responsiveness and productivity in low speed and high speed regions.
일반적으로, 편로드 유압실린더는 사출성형기, 선박 조타용 실린더, 수문구동 시스템, 중량물의 양중 장치 등 큰 추력이 필요한 성형기계 및 기계장치의 작동부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편로드 실린더는 실린더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일단에 로드가 연결된 피스톤을 포함한다. In general, the single-rod hydraulic cylinder is widely applied as an operating part of a molding machine and a machine, which require a large thrust, such as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 ship steering cylinder, a hydrometric drive system, Such a single-rod cylinder includes a piston to which a rod is connected at one end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side the cylinder body.
폐회로로 구성된 전기유압 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EHA, Electro Hydrostatic Actuator)는 대부분 편로드 유압실린더를 액츄에이터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편로드 실린더에서 피스톤의 삽입 및 인출시 로드의 체적으로 인한 체적유량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보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Electrohydrostatic actuators (EHA) composed of closed circuits mostly use single-rod hydraulic cylinders as actuators. In such a single rod cylinder, there is a volume flow difference due to the volume of the rod when inserting and withdrawing the piston, and compens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여기서, 전기유압 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EHA,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유압장치는 전기모터, 양방향형 유압펌프, 저유기, 액츄에이터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때, 전기모터의 속도제어 및 토크제어를 통해 시스템에 요구되는 작동유의 유량/압력이 제어되고 전기모터의 회전을 정/역방향으로 전환함에 따라 피스톤의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Here, the hydraulic apparatus of an electrohydrostatic actuator (EHA) includes an electric motor, a bidirectional hydraulic pump, a low-electric actuator,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flow rate / pressure of the operating fluid required in the system is controlled through the speed control and the torque control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direction of the piston can be controlled by switching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in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상세히, 종래의 전기유압 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는 양방향형 유압펌프의 양단에 구비된 한쌍의 공급라인이 실린더몸체의 양단에 연결되고, 공급라인 사이에 한쌍의 파일럿 체크밸브 및 저유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파일럿 체크밸브는 하나의 공급라인과 연결되되, 파일럿관에 의해 다른 하나의 공급라인과 연결됨에 따라 양방향형 유압펌프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개폐되며, 저유기 및 각 공급라인 사이의 작동유 흐름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In detail, in a conventional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a pair of supply lines provided at both ends of a bi-directional hydraulic pump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a cylinder body, and a pair of pilot check valves and a low organic gas are provided between supply lines. At this time, each of the pilot check valves is connected to one supply line, and is opened / clos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idirectional hydraulic pump as it is connected to another supply line by a pilot pipe, The operating oil flow direction can be switched.
이에 따라, 피스톤의 확장시 로드의 체적으로 인한 작동유의 부족분이 저유기로부터 실린더몸체의 헤드측으로 공급되고, 피스톤의 수축시 로드의 체적으로 인한 작동유의 초과분이 실린더몸체의 헤드측으로부터 저유기에 저장된다. As a result, a shortage of the hydraulic oil due to the volume of the rod due to the volume of the rod upon expansion of the piston is supplied to the head side of the cylinder body from the low oil level, and an excess of hydraulic oil due to the volume of the rod at the time of contraction of the piston is stored do.
그러나, 종래에는 각 파일럿 체크밸브의 개폐 상태가 파일럿관에 부하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전환되므로 전기모터의 저속회전시 회전방향 전환시점으로부터 각 파일럿 체크밸브의 개폐 상태가 전환되기까지 일정한 지연시간이 요구되어 응답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since the open / close state of each pilot check valve is switched by the pressure of the operating oil loaded on the pilot pipe, there is a constant delay time until the open / close state of each pilot check valve is switc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ponse is low.
또한, 전기모터의 고속회전시에는 파일럿 체크밸브 내부의 좁은 유로로 인해 작동유의 내부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었으며, 전기모터의 방향 전환시 파일럿 체크밸브의 닫힘 지연으로 인해 피스톤의 정확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electric motor rotates at a high speed, cavitation is generated in the hydraulic oil due to a narrow flow path inside the pilot check valve, and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piston due to the delay of the closing of the pilot check valve whe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is changed .
이에, 파일럿관을 대체하도록 도유구가 형성된 케이싱 내에 볼부재를 배치하고, 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한 쌍의 볼부재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도유구 및 저유기 사이의 유로가 개폐되는 기술이 고안된 바 있다. Thus, a technique has been devised in which a ball member is disposed in a casing in which a pilot hole is formed to replace the pilot tube, a pair of ball members ar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operating oil, and a channel between the pilot hole and the low- have.
그러나, 한 쌍의 볼부재 중 한쪽이 닫히면 반대편을 열도록 볼부재 사이에 푸시바가 구비되는데, 저속영역에서 상기 푸시바로 인해 저유기로 연결된 양측 유로가 모두 조금씩 개방되어 응답특성이 조악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푸시바의 길이에 따라 볼부재의 중립상태 열림 정도가 결정되는 구조적인 문제점 때문에 블록 내부에 볼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슬리브 및 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립공차로 인하여 동일한 시스템도 모두 성능의 개체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one of the pair of ball members is closed, the push bar is provided between the ball members so as to open the opposite side. In the low speed region, the both side channels connected to the low-pressure side by the push bar are slightly opened. Because of the structural problem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ball member in the neutral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ush bar, due to the assembly toleran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leeve and the cover for mounting the ball member in the block,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dividual difference occurs.
또한, 고속영역에서는 일측의 볼부재가 열리는 과정에서 저유기 반대측에 배압이 발생되어 볼부재에 심한 소음 및 누유가 발생되어, 볼부재 및 도유구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싱의 크기가 증가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lso, in the high-speed region, back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temperature side in the process of opening one side of the ball member, so that the noise and leakage are generated in the ball member and the size of the casing is increased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의 입출력시 발생되는 체적유량 차이를 자동으로 보상하되 푸시바의 길이에 따른 성능변화 및 중립상태에서의 누설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응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ompensates for a difference in volume flow generated in the input and output of a hydraulic cylinder, solves problems due to a chang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ush bar and leakage in a neutral state, An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with improved productivity is provid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유압실린더의 일측 및 타측 간의 유량 차이가 보상되도록 양방향형 유압펌프의 작동유 송출 방향에 따라 저유탱크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 및 타측 간의 작동유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와 연결되는 보상유로와 상기 보상유로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연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 및 타측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작동유가 유동되도록 도유로 및 개폐유로가 상기 연결유로의 각각의 양단부 외측 및 내측에 상호 이격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 보상밸브블록; 및 상기 도유로로 유입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각 연결유로에 대칭적인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개폐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외주부와, 외측부 수압면적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부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되 내측부 상호 간에 푸시바가 연결된 내주부를 포함하는 이중포펫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flow rate difference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hydraulic cylinder partitioned by a piston, the hydraulic fluid is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to one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An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for controlling a flow direction, comprising: a compensation flow path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a connection flow path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mpensation flow path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A compensating valve block in which an oil passage and an opening / closing passage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connecting passag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provided in a pair symmetrical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flow passages so as to be pressurized by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fluid flowing into the metering passag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slide groove portion formed therei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 And a double poppet device slidably moved in the slide groove portion by an applied pressure and including an inner peripheral portion having a push bar connected to the inner portion thereof.
여기서, 상기 외주부에는 상기 도유로와 연통상태가 유지되는 개구홀부가 형성되며 내측단에 상기 푸시바가 관통되는 협관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는 각각 외부스프링 및 내부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hole portion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the oil rail, and a narrow pipe hole through which the push bar is inserted is formed at an inner end there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an outer spring and an inner spring, .
그리고, 상기 외주부와 상기 개폐유로의 내측단 사이 및 상기 내주부와 상기 협관홀 테두리 사이에는 각각 포펫형 개폐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 poppet-like opening / closing part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art and the inn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an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part and the sipe hole.
이때, 상기 푸시바의 외주에는 일측 연결유로 폐쇄시 타측 개폐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협관홀의 내측 테두리를 가압하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푸시바 및 상기 가압돌출부의 길이는 일측 연결유로의 폐쇄시 타측 내주부가 슬라이드홈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sh bar,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inner edge of the narrow hole is formed to open the other side opening / closing flow path when one connecting flow channel is closed, and the length of the push bar and the pressing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is set so as to be kept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외주부의 외면 및 상기 내주부의 외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복수개의 미트링그루브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have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양방향형 기어펌프의 초기 구동시 연결유로 중 어느 일측으로 작동유가 가압 유입되면 이중포펫장치의 내주부 외측면 수압면적에 압력이 작용하여 어느 일방향으로 신속히 이동되어 양측 개폐유로 중 대응되는 어느 하나를 신속히 폐쇄하고 반대쪽의 다른 하나는 자동 개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개폐유로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개폐되므로 고정도 제어가 가능하다. First, when the hydraulic oil is pressurized and inflow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flow path at the time of initial driving of the bidirectional gear pump, pressure acts on the pressure receiving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ouble poppet device to move quickly in either direction, And the other on the opposite side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flow path can be quickly and stab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degree of precision can be controlled.
둘째, 상기 이중포펫장치의 내주부와 외주부가 상호 2중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작동이 정지된 중립상태에서 양측 개폐유로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누설이 발생되지 않고 한쪽만 민감하게 열림이 가능하여 응답성이 개선된다. 또한, 푸시바를 이용하여 대유량의 외주부 포펫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리턴라인에서 흡입성능 개선 및 배압 형성이 방지되며 소음 및 진동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double poppet device are slidingly moved in a mutual manner, leakag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a state in which both open / close flow paths are closed in a neutral state in which operation is stopped, Improvement. In addition, since the outer barrel poppe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a large flow rate by using the push bar, su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and back pressure formation in the return line can be prevented, and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can be minimized.
셋째, 상기 내주부와 외주부가 상호 2중 슬라이딩 이동되되 실질적으로 면접촉되어 자동 조심기능이 수행되므로 작동유의 유량/방향의 급격한 전환시에도 채터링 없이 포펫부에 의한 양측 개폐유로의 개폐 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Thirdly, since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are slidingly moved in a mutual manner, they are substantially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utomatic maintenance function is performed. Therefore, even when the flow rate / direction of the operating oil is abruptly changed, . ≪ / RTI >
넷째, 상기 외주부와 상기 개폐유로의 내측단 사이 및 상기 내주부와 상기 협관홀 테두리 사이에는 각각 포펫부가 형성되므로 가공공차를 상대적으로 크게 관리하더라도 닫힌 상태에서 폐쇄성능이 우수하며 한정된 범위 내에서는 푸시바의 길이가 조금 달라도 초기누설이 없고 성능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큰 가공공차도 허용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Fourthly, poppet por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inn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an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narrowing hole rim. Therefore, even if the processing tolerance is relatively large, the closing performance is excellent in a closed state. Even if the length is slightly different, since there is no initial leakage and the performance is not changed, a relatively large machining tolerance can be tolerated, so that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다섯째, 상기 푸시바가 가공, 용접, 나사결합 등을 통해 복잡한 가공 공정 없이 연결유로의 단면적 미만의 원기둥 형태로 단순하게 제조될 수 있어 제품의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Fifth, the push bar can be simply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ross sectional area less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channel without complicated processing through processing, welding, screwing, etc.,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여섯째, 상기 내주부 및 외주부가 연결유로의 내면에 자동 조심되어 밀착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각각의 외면에 미트링그루브가 형성되므로 밀폐성능이 개선되어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Sixth, since the meat r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portions so that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portions slide smoothly even whe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portion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sealing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 driving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 유압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의 확장과정에서 연결유로의 개폐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의 수축과정에서 연결유로의 개폐과정을 나타낸 도면. 1 illustrates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hydraulic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n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channel in an expansion process of a hydraul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channel in a process of shrinking a hydraul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 유압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hydraul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utomatic flow compensating valve of an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유량보상밸브(100)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엑츄에이터(Electro Hydrostatic Actuator, EHA) 시스템에 적용된다. 여기서,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엑츄에이터 시스템은 전기모터(5)의 속도/토크/회전방향 제어를 통해 작동유의 유량/압력/흐름방향이 제어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100)는 작동유 부족분이 저유탱크(7)로부터 공급되고 작동유 초과분이 저유탱크(7)에 저장되도록, 저유탱크(7)와 연결된 유로를 개폐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utomatic
한편, 상기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 시스템은 유압실린더(2), 자동유량보상밸브(100), 저유탱크(7), 전기모터(5), 양방향형 유압펌프(6)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hydraulic hybrid actuator system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2)는 피스톤(2c)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 일측(2a)이 제1공급라인(3)을 통해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일측 토출부와 연결되고, 내부 공간 타측(2b)이 제2공급라인(4)을 통해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타측 토출부와 연결된다. Here, the
이때, 상기 양방향형 유압펌프(6)는 내부에 전기모터(5)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가 구비되어 흡입 및 토출방향이 선택적으로 반전되는 기어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양방향형 유압펌프(6)에 연결되는 전기모터(5)의 속도/토크/회전방향 제어를 통해 작동유 송출 유량/압력/방향이 제어됨에 따라 유압실린더(2)의 동작 속도/압력/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idirectional
상세히, 상기 양방향형 유압펌프(6)가 제2공급라인(4)의 작동유를 흡입하여 제1공급라인(3)으로 송출하면 유압실린더(2)는 확장 구동되고, 양방향형 유압펌프(6)가 제1공급라인(3)의 작동유를 흡입하여 제2공급라인(4)으로 송출하면 유압실린더(2)는 축소 구동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bidirectional
즉, 작동유가 제1공급라인(3)을 통해 유압실린더(2)의 일측(2a)으로 주입되면 피스톤(2c)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유압실린더(2) 타측(2b)의 작동유가 제2공급라인(4)으로 배출된다. 또한, 작동유가 제2공급라인(4)을 통해 유압실린더(2)의 타측(2b)으로 주입되면 피스톤(2c)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유압실린더(2) 일측(2a)의 작동유가 제1공급라인(3)으로 배출된다. That is, when the working oil is injected into the one
한편, 상기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100)를 통해 저유탱크(7)와 각 공급라인(3,4)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로드(2d)의 체적으로 인해 발생된 작동유 주입량 및 배출량 간의 차이가 보상될 수 있다. 즉, 실린더의 확장시 작동유 부족분이 저유탱크(7)로부터 제2공급라인(4)으로 보충되고, 실린더의 수축시 작동유 초과분이 제1공급라인(3)으로부터 저유탱크(7)로 저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flow path between the
여기서, 상기 자동유량보상밸브(100)는 유압실린더(2)의 일측(2a) 및 타측(2b) 간의 유량 차이가 보상되도록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작동유 송출 방향에 따라 제1공급라인(3) 및 제2공급라인(4)을 저유탱크(7)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Here, the automatic
이를 통해, 상기 자동유량보상밸브는 실린더 로드의 체적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압실린더의 일측 및 타측 간의 유량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유압실린더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compensates for the flow rate difference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generated due to the volume of the cylinder rod, thereby enabling precise control of the hydraulic cylinder.
상세히, 상기 자동유량보상밸브(100)는 보상밸브블록(10)과 상기 보상밸브 블록(10) 내에서 이중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된 이중포펫장치(20,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상밸브블록(10)은 내부에 각종 유로가 관통 형성된 사각기둥형 블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utomatic
여기서, 상기 보상밸브블록(10)의 내부에는 상기 저유탱크(7)와 연결되는 보상유로(11)와, 상기 보상유로(11)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연장된 한쌍의 제1연결유로(12) 및 제2연결유로(13)가 형성된다. 세부적으로, 상기 보상유로(11)는 하단부가 저유탱크(7)와 연결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12,13)는 상기 보상유로(11)의 상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compensating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2)의 일측 및 타측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작동유가 유동되도록, 상기 각 연결유로(12,13)의 양단부 외측 및 내측에는 도유로(12a,13a) 및 개폐유로(12b,13b)가 상호 이격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여기서, 상기 도유로(12a,13a) 및 상기 개폐유로(12b,13b)는 각각 상기 유압실린더(2)의 일측(2a) 및 타측(2b)과 연통된다. 즉, 제1도유로(12a) 및 제1개폐유로(12b)는 제1공급라인(3)을 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의 일측(2a)과 연결되고, 제2도유로(13a) 및 제2개폐유로(13b)는 제2공급라인(4)을 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의 타측(2b)과 연결된다. The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유로(12a,13a) 및 개폐유로(12b,13b)가 각 공급라인(3,4)으로부터 분지된 분지라인(3a,4a)을 통해 유압실린더(2)와 직접 연통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상기 도유로(12a,13a) 및 개폐유로(12b,13b)는 양방향형 유압펌프(6)를 경유하여 각 공급라인(3,4)과 간접 연통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12,13)의 양단부는 보상밸브블록(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조의 편의상 상기 도유로(12a,13a) 및 개폐유로(12b,13b)가 형성된 전환밸브관(a1,a2)을 상기 보상밸브블록(10) 양측단에 결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전환밸브관 내부에는 상기 각 공급라인(3,4) 내지 분지라인(3a,4a)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In this case, both end portions of the
한편, 상기 이중포펫장치(20,21)는 상기 도유로(12a,13a)로 유입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각 연결유로(12,13)에 대칭적인 한 쌍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중포펫장치(20,21) 각각은 외주부(32,33)와, 상기 외주부(32,33)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내주부(22,23)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상세히, 상기 외주부(32,33)는 상기 개폐유로(12b,13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원통형 슬라이드홈부(32d,33d)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주부(22,23)는 외측부 수압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부(32d,33d)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되 내측부 상호 간에는 푸시바(45)가 연결된다. Specifically, the outer
이때, 상기 외주부(32,33)는 상기 연결유로(12,13)의 전환밸브관(a1,a2)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면접촉되고, 상기 내주부(22,23)는 상기 외주부(32,33)의 내주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된다. The outer
이에 따라, 상기 연결유로(12,13)가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중포펫장치(20,21)에 의한 개폐유로(12b,13b)의 개폐가 정확하게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부(32,33)의 외면 및 상기 내주부(22,23)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복수개의 미트링그루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when the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12,13) 내부에서 상기 이중포펫장치(20,21)가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수평 이동되는 자동 조심(造心)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a self-centering function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각 외주부(32,33)에는 상기 도유로(12a,13a)와 연통상태가 유지되는 개구홀부(32c,33c)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외주부(32,33)의 내측단에는 상기 푸시바(45)가 관통되는 협관홀(32b,33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홀부(32c,33c)는 상기 외주부(32,33)의 이동시에도 항상 도유로(12a,13a)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outer
이때, 상기 푸시바(45)의 외주에는 이동시 상기 협관홀(32b,33b)의 내측 테두리을 가압하여 함께 이동시키도록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출부(46)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a
여기서, 상기 푸시바(45)는 양측 내주부(22,23)에 각각 가공 내지 볼트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출부(46)도 상기 푸시바(45)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푸시바(45)는 중앙부에서 상호 분리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바(45) 및 가압돌출부(46)의 외경은 상기 협관홀(32b,33b)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sh bars 45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a central portion and may be provided in pairs. The outer diameter of the push bars 45 and the pushing
한편, 상기 푸시바(45) 및 상기 가압돌출부(46)의 길이는 연결유로(12,13) 중 일측의 폐쇄시 타측에 배치된 내주부가 슬라이드홈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홈부(32d,33d)의 길이를 길게 할수록 상기 내주부(22,23) 및 푸시바(45)의 이동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개폐유로(12b,13b)의 개폐를 위한 이중포펫장치(20,21)의 스트로크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푸시바의 길이에 따라 중립상태에서 열림상태가 변화되어 성능차이가 있었지만 본원발명에 의하면 중립상태에서도 누설이 거의 없으며 푸시바의 길이에 따라 성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The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외주부(32,33)와 상기 내주부(22,23)의 외측단은 각각 동심을 갖는 이중관 형태로 배치된 외부스프링(52a,53a) 및 내부스프링(52b,53b)에 의해 탄발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스프링(52a,53a) 및 내부스프링(52b,53b)은 유압시스템 구동시 상기 외주부(32,33) 및 상기 내주부(22,23) 양단의 탄발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ends of the outer
그리고, 상기 외주부(32,33)와 상기 개폐유로(12b,13b)의 내측단 사이에는 외부 포펫부(32a,33a)가 형성되며, 상기 내주부(22.23)와 상기 협관홀(32b,33b) 테두리 사이에는 내부 포펫부(22a,23a)가 형성된다. 이러한 포펫부는 상대물과의 가압 접속시 작동유의 유출입을 폐쇄하도록 경사진 단면을 갖는다. 이와 같은 이중포펫 구조는 가공공차 또는 조립공차를 상대적으로 크게 관리하더라도 닫힌 상태에서 폐쇄성능이 우수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볼 밸브와 비교하여 채터링 현상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상 제1연결유로에 배치된 구성은 "제1"이라는 호칭을 추가하고 제2연결유로에 배치된 구성은 "제2"라는 호칭을 추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초기상태에서 상기 양측 외주부(32,33)는 외부스프링(52a,53a)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양측 외부포펫부(32a,33a)가 개폐단턱(12c,13c)에 접하여 개폐유로(12b,13b)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As shown in FIG. 2, since the both side outer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의 확장을 위한 연결유로의 개폐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channel for expanding a hydraul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전기모터가 유압실린더(2)의 확장을 위해 전술된 상기 실린더 로드(2d)의 체적차이로 인한 작동유 주입량 및 배출량 간의 차이가 보상되어야 한다. 즉, 유압실린더(2)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유압실린더(2)의 일측(2a)으로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양방향형 유압펌프(6)는 제2공급라인(4)의 작동유를 흡입하여 제1공급라인(3)으로 송출한다. As shown in Fig. 3, the electric motor of the bi-directional
여기서, 유압실린더(2)의 일측(2a), 제1공급라인(3)의 압력이 증가되며, 제1공급라인(3)과 제1도유로(12a)를 통해 연통된 제1연결유로(12)의 압력이 증가된다. Here, the pressure of one
한편, 이때 유압실린더(2)의 타측(2b), 제2공급라인(4)의 압력은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작동유 흡입으로 인하여 압력이 저하된다.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이때, 가압된 압유는 내주부 외측의 수압면적에 작용하여 제1외주부(22)는 독립된 액츄에이터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로(12) 내측으로 편향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수압면적은 각 내주부(22)의 수평 이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면적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pressurized pressurized oil acts on the hydraulic pressure area outside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first
상세히, 상기 연결유로(12,13)에 대향 배치되는 각 내주부(22,23)의 내측단면측 수압면적은 푸시바(45)가 차지하는 단면적만큼 감소되므로, 각 내주부(22,23)의 외측단면측 수압면적이 내측단면측 수압면적보다 크다. 또한, 내주부(22,23)의 내측 단면측 수압면적은 탱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압실린더(2)가 확장 및 수축을 전환하는 과도상태에서도 내주부(22,23)의 외측단면에 압력이 작용하면 신속하게 내측으로 편향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유로(12로 작동유가 유입되는 경우 제1내주부(22)는 순간적으로 신속히 내측으로 이동된다. In detail, the pressure receiving area on the inner end face side of each of the inner
전술된 내주부(22,23)의 작동원리에 따라, 제1내주부(22)가 제1슬라이홈부(32d)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내부포펫부(22a)가 제1협관홀(32b)의 테두리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제1협관홀(32b)을 더욱 견고히 폐쇄한다. 이때, 제2내주부(23)의 외측 방향에 작용하는 압력은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흡입으로 인하여 압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전술된 제1내주부(22)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The first inner
한편, 유압실린더(2)가 확장 및 수축을 전환하는 과도상태에서도 제1내주부(22)는 상기와 같은 작동원리로 내주부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내주부(22)는 제1외주부(32)를 상기 제1내부포펫부(22a)의 협관홀(32b) 테두리 접촉부분을 통해 내측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외주부(32)의 제1외부포펫부(32a)는 제1개폐유로(12b)의 내측단(12c)에 가압 접촉되어 제1개폐유로(12b)가 신속히 폐쇄된다. The first inner
반면에, 상기 푸시바(45)의 가압돌출부(46)는 제2외주부(33)를 외측으로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제2개폐유로(13b)가 더욱 개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유압실린더(2)의 일측(2a) 내의 작동유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c)은 상기 유압실린더(2)의 타측(2b)으로 이동되며, 유압실린더(2)의 타측(2b) 작동유가 제2공급라인(4)으로 신속히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otruding
이때, 실린더 로드(2d)의 체적차이로 인해 상기 유압실린더(2)의 타측(2b)에서 배출되는 체적유량은 유압실린더(2)의 일측(2a)으로 주입되는 작동유량에 비해 적다. 따라서, 상기 저유탱크(7)로부터 작동유의 일부가 상기 제2개폐유로(13b)를 통해 제2공급배관(4)으로 자동 흡입되어 작동유량의 차이가 보상되므로 유압실린더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volum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개패유로(12b)의 폐쇄와 상기 제2개폐유로(13b)의 개방이 신속히 이루어지되, 상기 제2개폐유로(13b)의 개방을 위한 상기 푸시바(45)의 이동 스트로크를 중립상태에서 초기 누설과 무관하게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2개폐유로(13b)를 충분히 개방할 수 있어서 제2공급라인(4)에서 유량 부족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어 흡입 저항으로 인한 케비테이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음 및 진동의 발생량도 최소화할 수 있다. Thus, the first opening /
또한, 제1내주부(22)의 외측단면 수압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푸시바(45)가 이동되므로 상기 각 내부스프링(52b,53b) 및 외부스프링(52a,53a)의 탄성은 최대한 약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반대면 스프링의 힘에 의한 닫힘을 방해하는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유로(12b,13b)가 신속히 개폐되므로 고정도 제어가 가능하다. Since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의 축소를 위한 연결유로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축소과정에서도 저속구간에서는 전술된 도 3을 기준으로 설명된 바와 대칭적인 원리에 의해 불감대가 제거되고 응답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Meanwhile,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n / close state of a connection channel for reducing a hydraul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is reduction process, the dead zone can be eliminated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 can be improved by the symmetrical princi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low speed sec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2)의 축소를 위해 타측(2b)으로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양방향형 유압펌프(6)는 제1공급라인(3)의 작동유를 흡입하여 제2공급라인(4)으로 송출한다. As shown in FIG. 4, the bidirectional
이때, 유압실린더(2)의 타측(2b), 제2공급라인(4)의 작동유 압력이 증가되며, 제2공급라인(4) 및 분지유로(4a)를 통해 연통된 제2연결유로(13)의 압력이 증가된다. At this time, the operating oil pressure of the
전술된 내주부의 작동원리로 인해, 제2내주부(23)가 제2슬라이홈부(33d)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내부포펫부(23a)가 제2협관홀(33b)의 테두리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제2협관홀(33b)을 폐쇄한다. 이때, 제1내주부(22)에서의 압력은 양방향형 유압펌프(6)의 흡입으로 인한 압력이 낮으므로 전술된 제2내주부(23)의 이동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The second inner
이후, 상기 제2내주부(23)는 제2외주부(33)를 내측으로 가압이동시키고, 상기 제2외주부(33)의 제2외부포펫부(33a)는 제2개폐유로의 내측단(13c)에 가압 접촉되어 제2개폐유로(13b)를 신속히 폐쇄한다. The second inner
반면에, 상기 푸시바(45)가 이동됨에 따라 가압돌출부(46)는 제1외주부(32)를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개폐유로(12b)가 더욱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2)의 타측(2b) 내의 작동유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c)은 상기 유압실린더(2)의 일측(2a)으로 이동되며, 유압실린더(2)의 일측(2a) 작동유가 제1공급라인(3)으로 신속히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이때, 실린더 로드(2d)의 체적차이로 인해 상기 유압실린더(2)의 일측(2a)에서 배출되는 체적유량은 유압실린더(2)의 타측(2b)으로 주입되는 작동유량에 비해 크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터(2)의 일측(2a)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의 일부가 상기 제1개폐유로(12b)를 통해 저유탱크(7)로 유동되어 작동유량의 차이가 보상되므로 유압실린더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volum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one
이와 같이, 상기 제2개패유로(13b)의 폐쇄와 상기 제1개폐유로(12b)의 개방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개폐유로(12b)의 개방을 위한 상기 푸시바(45)의 스트로크를 중립상태에서 초기 누설과 무관하게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1공급라인(3)에서 배압 형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의 발생량도 최소화할 수 있다. Thus, the second cover opening /
또한, 제2내주부(23)의 외측단면 수압면적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푸시바(45)가 이동되므로 상기 각 내부스프링(52b,53b) 및 외부스프링(52a,53a)의 탄성은 최대한 약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반대편 스프링의 힘에 의한 닫힘을 방해하는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유로(12b,13b)가 신속히 개폐되므로 고정도 제어가 가능하다. Since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유압실린더
2d: 실린더 로드
3: 제1공급라인
4: 제2공급라인
5: 전기모터
6: 양방향형 유압펌프
7: 저유탱크
100: 자동유량보상밸브
10: 보상밸브블록
20,21: 이중포펫장치
22: 제1내주부
23: 제2내주부
32: 제1외주부
33: 제2외주부
45: 푸시바
46: 가압돌출부2:
3: first supply line 4: second supply line
5: Electric motor 6: Bi-directional hydraulic pump
7: Reservoir tank 100: Automatic flow compensation valve
10:
22: 1st inner housewife 23: 2nd inner housewife
32: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33: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45: push bar 46: pressure projection
Claims (5)
상기 저유탱크와 연결되는 보상유로와 상기 보상유로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연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 및 타측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작동유가 유동되도록 도유로 및 개폐유로가 상기 연결유로의 각각의 양단부 외측 및 내측에 상호 이격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 보상밸브블록; 및
상기 도유로로 유입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각 연결유로에 대칭적인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개폐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외주부와, 외측부 수압면적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부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되 내측부 상호 간에 푸시바가 연결된 내주부를 포함하는 이중포펫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 An automatic control of an electric hydraulic hybrid actuator that controls the flow direction of hydraulic oil from one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to the other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in accordance with the hydraulic oil dispensing direction of the bidirectional hydraulic pump so that the difference in flow rate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itioned by the piston is compensated. In the flow compensation valve,
And an oil passage and an opening / closing passage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assage so as to allow hydraulic oil supplied and discharg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to flow therethrough, and a compensa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a connection passag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mpensation passage, A compensation valve block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both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provided in a pair symmetrical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flow passages so as to be pressurized by the pressure of the operating oil introduced into the oil passage and having a slide groove portion formed therei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flow passage, And a double poppet device slidably moved in the slide groove part by a pressure lowered, wherein an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inner part is connected to a push bar.
상기 외주부에는 상기 도유로와 연통상태가 유지되는 개구홀부가 형성되며 내측단에 상기 푸시바가 관통되는 협관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부와 상기 내주부는 각각 외부스프링 및 내부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hole portion for maintaining the communicating state with the metering passage, and a narrow pipe hole through which the push bar passes is formed at an inner end thereof,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an outer spring and an inner spring, respectively.
상기 외주부와 상기 개폐유로의 내측단 사이 및 상기 내주부와 상기 협관홀 테두리 사이에는 각각 포펫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oppe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inn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flow path, an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narrowed pipe hole rim, respectively.
상기 푸시바의 외주에는 일측 연결유로 폐쇄시 타측 개폐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협관홀의 내측 테두리를 가압하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푸시바 및 상기 가압돌출부의 길이는 일측 연결유로의 폐쇄시 타측 내주부가 슬라이드홈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ushing protrusion for pressing an inner edge of the narrowing hol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sh bar so as to open the other side opening /
Wherein a length of the push bar and the pressing projection is set such that the other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ush bar and the press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when the one connection channel is closed.
상기 외주부의 외면 및 상기 내주부의 외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복수개의 미트링그루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의 자동유량보상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at ring groove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297A KR101965966B1 (en) | 2017-09-08 | 2017-09-08 |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valve for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297A KR101965966B1 (en) | 2017-09-08 | 2017-09-08 |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valve for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8175A true KR20190028175A (en) | 2019-03-18 |
KR101965966B1 KR101965966B1 (en) | 2019-04-04 |
Family
ID=6594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5297A Active KR101965966B1 (en) | 2017-09-08 | 2017-09-08 |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valve for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596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48251A (en) * | 2020-12-22 | 2021-04-13 | 天水锻压机床(集团)有限公司 | Automatic liquid supplementing hydraulic valve of energy accumulator for large-scale bending mach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4352A (en) * | 2005-01-13 | 2006-07-27 | Ryoei Engineering Kk | Logic valves, compound valves and hydraulic systems |
KR20120072614A (en) | 2010-12-24 | 2012-07-04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Adaptive controlled hydraulic apparatus for one side rod hydraulic cylinder |
KR101570390B1 (en) * | 2015-05-12 | 2015-11-19 | 주식회사 에프피씨 | valve unit for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
KR101692408B1 (en) * | 2016-06-27 | 2017-01-03 | 주식회사 에프피씨 | valve unit for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using poppet valve connected push-bar |
-
2017
- 2017-09-08 KR KR1020170115297A patent/KR1019659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4352A (en) * | 2005-01-13 | 2006-07-27 | Ryoei Engineering Kk | Logic valves, compound valves and hydraulic systems |
KR20120072614A (en) | 2010-12-24 | 2012-07-04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Adaptive controlled hydraulic apparatus for one side rod hydraulic cylinder |
KR101570390B1 (en) * | 2015-05-12 | 2015-11-19 | 주식회사 에프피씨 | valve unit for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
KR101692408B1 (en) * | 2016-06-27 | 2017-01-03 | 주식회사 에프피씨 | valve unit for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using poppet valve connected push-ba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48251A (en) * | 2020-12-22 | 2021-04-13 | 天水锻压机床(集团)有限公司 | Automatic liquid supplementing hydraulic valve of energy accumulator for large-scale bend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5966B1 (en) | 2019-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0390B1 (en) | valve unit for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 |
CN105358879B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transmission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US6116871A (en) | Device to reduce pulsations on a hydrostatic positive displacement unit | |
KR101692408B1 (en) | valve unit for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using poppet valve connected push-bar | |
CA2996155C (en) | Double acting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 |
CA2996161C (en) |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 |
US20100040485A1 (en) | High Pressure Dual-Action Hydraulic Pump | |
KR101577744B1 (en) |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system with unpressurized variable volume closed reservoir | |
US9222594B2 (en) |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ntrol | |
AU2020201977A1 (en) | Switching device and lubricating pump | |
KR101965966B1 (en) | automatic volumetric flow compensation valve for electro hydrostatic actuator | |
JP2010101336A (en) | Spool valve | |
KR20140022079A (en) | Servo regulator | |
KR20140110351A (en) | Neutral Valve for HST | |
JP2009228706A (en) | Impact pressure absorbing device of hydraulic control device, injection control circuit of injection device including the impact pressure absorbing device, and clamping control circuit of clamping device including the impact pressure absorbing device | |
US10800124B2 (en) | Hydraulic drive | |
US8444400B2 (en) | Hydraulic cylinder having piston-mounted bypass valve | |
JP2018044600A (en) | Selector valve device | |
US6820645B2 (en) | Unlockable non-return valve for very high system pressures | |
JPH0371586B2 (en) | ||
CN101187386A (en) | Differential valve | |
US7644646B1 (en) | Three position servo system to control the displacement of a hydraulic motor | |
JP4244346B2 (en) | Hydraulic control valve | |
KR101835691B1 (en) | Auxiliary valve for hydraulic operation | |
RU2267660C1 (en) | Electro-hydraulic servo dri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