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26195A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195A
KR20190026195A KR1020170112624A KR20170112624A KR20190026195A KR 20190026195 A KR20190026195 A KR 20190026195A KR 1020170112624 A KR1020170112624 A KR 1020170112624A KR 20170112624 A KR20170112624 A KR 20170112624A KR 20190026195 A KR20190026195 A KR 2019002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eyeglass
frame
hinge portion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유환
Original Assignee
(주)월드트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트렌드 filed Critical (주)월드트렌드
Priority to KR102017011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195A/ko
Publication of KR2019002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19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힌지구조체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안경테(1)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일단이 개방된 개방단턱(13)을 가진 수용홈(11)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10); 상기 안경다리(2)의 일단에 위치하고, 개방단턱(13)을 통해 수용홈(11)에 삽입하는 삽입돌부(21)를 구비하는 제2힌지부(20); 및 상기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제1ㅇ2힌지부(10)(20)가 상호 결합하도록 삽입돌부(21)의 일측에 절단면(31)을 구비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에 있어서 용접이나 다른 추가공정을 사용하지 않는 간소한 결합수단의 구성으로도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충분히 결합하여 하나의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Hinge structure of combination with glasses a spectacles frame and bow on a pair of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에 있어서 용접이나 다른 추가공정을 사용하지 않는 간소한 결합수단의 구성으로도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충분히 결합하여 하나의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은 렌즈가 설치되는 안경테와 안경을 착용하기 위한 안경다리, 그리고 안경다리를 안경테에서 펼칠 때나 안경테에 밀착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 사이에 힌지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경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무게가 가벼운 합성수지 및 티타늄 등의 경량금속 또는 스테인레스, 금속박판으로 안경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사출하고 힌지를 조립하는 구성이 시도되고 있으나, 안경테와 안경다리에 힌지를 결합하고 안경용 볼트를 체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안경용 볼트가 체결되는 부분이 균열 또는 파손이 쉽게 되는 등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안경용 볼트에 의한 체결식 힌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안경용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안경테 또는 안경다리에 힌지를 클립식으로 결합하는 구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2-0000165호에 의하면 "안경테(1)의 양측 단부에 경첩 부착부(2)를 형성하여 스프링경첩(3)의 고정부(31)는 경첩부착부에 고정하고 스프링경첩의 가동부(32)는 안경다리측에 배치하여 힌지축(4)으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안경경첩의 가동부(32) 외측면에 탄성체금속편(33)으로 되어 안경다리쪽으로 돌출되어 돌출부 끝에서 다시 안경경첩쪽으로 굽어지는 절곡부(33a)를 형성하여 가동편(33b)을 형성하고, 가동편 끝단에 걸림턱(33c)을 형성한 결합탄편(30)과, 안경경첩에 부착되는 내측단에 상기 결합탄편(3a)이 수용되게 결합홈(5a)을 형성하여 결합홈 내측벽(5b)에 결합탄편의 걸림턱(33c)이 결합되도록 통공부(5c)를 형성시킨 안경다리(5)로 이루어지는 안경다리와 안경경첩의 결합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또한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비싸고 조립하는데 용이하지 못하며, 특히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안경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2-0000165호 "안경다리와 안경경첩의 결합구조"(2012.01.0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에 있어서 용접이나 다른 추가공정을 사용하지 않는 간소한 결합수단의 구성으로도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충분히 결합하여 하나의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일단이 개방된 개방단턱을 가진 수용홈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 상기 안경다리의 일단에 위치하고, 개방단턱을 통해 수용홈에 삽입하는 삽입돌부를 구비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제1ㅇ2힌지부가 상호 결합하도록 삽입돌부의 일측에 절단면을 구비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에 반대로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힌지부의 수용홈과 제2힌지부의 삽입돌부는 서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개방단턱의 폭길이, 절단면이 형성된 삽입돌부의 폭길이가 수용홈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고, 안경다리를 접은 상태에서 개방단턱으로 삽입돌부의 절단면이 접하도록 수용하여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에 있어서 용접이나 다른 추가공정을 사용하지 않는 간소한 결합수단의 구성으로도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충분히 결합하여 하나의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구조체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구조체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제1힌지부(10), 제2힌지부(20), 결합수단(3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힌지부(10)는 상기 안경테(1)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일단이 개방된 개방단턱(13)을 가진 수용홈(11)을 구비한다. 제1힌지부(10)는 안경의 구성 중 안경테(1)에 구비하는 것으로, 안경테(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상에 위치하고, 가운데에 수용이 가능한 수용홈(11)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수용홈(11)의 일단으로는 후술하는 제2힌지부(2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단턱(13)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수용홈(11)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10)의 일단으로 개방된 상태의 개방단턱(13)을 일체로 형성하여 개방단턱(13)을 통하여 후술하는 제2힌지부(20)가 출입이 가능하고, 개방단턱(13)과 연결된 수용홈(11) 상에 완전하게 인입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제1힌지부(10)는 안경테(1)의 양측 가장자리에 홈이 형성된 수용홈(11)을 각각 구비하고, 수용홈(11)의 일단으로 일부가 개방된 개방단턱(13)을 인접하게 구비하여 제1힌지부(10)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힌지부(20)는 상기 안경다리(2)의 일단에 위치하고, 개방단턱(13)을 통해 수용홈(11)에 삽입하는 삽입돌부(21)를 구비한다. 제2힌지부(20)는 제1힌지부(10)와 반대로 안경의 구성 중 안경다리(2)에 구비하는 것으로, 안경다리(2)의 일단 가장자리 상에 위치하면서 상술한 제1힌지부(10)의 개방단턱(13)과 일체로 구성하는 수용홈(11) 상에 삽입하도록 상ㅇ하부로 돌출된 삽입돌부(21)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제1힌지부(10)의 수용홈(11) 상에 삽입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안경다리(2)의 일단에 일정한 크기로 돌출하는 삽입돌부(21)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수용홈(11)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10)의 일단에 개방된 상태의 개방단턱(13)을 통하여 제2힌지부(20)가 탈부착하는 출입이 가능하게끔 수용홈(11)에 삽입이 가능한 돌출상태의 삽입돌부(21)를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는 안경테(1)와 안경다리(2)에 반대로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는 안경의 구성인 안경테(1)와 안경다리(2)에 구비하여 사용한다고 설명을 하였는데, 상술한 구성인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를 안경다리(2)와 안경테(1)에 반대로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는 서로 수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기에 안경테(1) 상에는 제1힌지부(10), 안경다리(2) 상에는 제2힌지부(20)로 굳이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이다.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를 구비하는데 있어 안경테(1)와 안경다리(2)에 정해진 방식은 없기 때문에 안경테(1)나 안경다리(2)의 외형에 따라 제1힌지구(10)와 제2힌지구(20)를 적절하게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힌지부(10)의 수용홈(11)과 제2힌지부(20)의 삽입돌부(21)는 서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힌지부(10) 상에는 개방단턱(12)을 포함하는 수용홈(11)을, 제2힌지부(20) 상에는 돌부가 형성된 삽입돌부(21)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구성을 서로 혼합하여 병행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1힌지부(10) 상에 개방단턱(12)을 포함하는 수용홈(11)을 상,하 방향 중 어느 방향에 구비하고 마주하는 대향지점에 동일한 수용홈(11) 대신 제2힌지부(20)에 구비하는 삽입돌부(21)를 구비하여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의 구성을 필요정도에 따라 병행하여 사용하면 효과저인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30)은 상기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제1ㅇ2힌지부(10)(20)가 상호 결합하도록 삽입돌부(21)의 일측에 절단면(31)을 구비한다. 결합수단(30)은 상술한 안경테(1)의 제1힌지부(10)와, 안경다리(2)의 제2힌지부(20)가 상호 결합할 수 있게 제2힌지부(20) 상에 구비된 삽입돌부(21)를 기준하여 일측방향으로 단면이 보이도록 절단면(31)을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합수단(30)은 개방단턱(13)의 폭길이, 절단면(31)이 형성된 삽입돌부(21)의 폭길이가 수용홈(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고, 안경다리(2)를 접은 상태에서 개방단턱(13)으로 삽입돌부(21)의 절단면(31)이 접하도록 수용하여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수단(30)을 사용하여 제1힌지부(1)와 제2힌지부(20)를 힌지 결합한 후 안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가 서로 힌지 결합하기 위한 조건으로 삽입돌부(21)의 일측 일부가 단면처리한 절단면(31)을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 제1힌지부(10)의 수용홈(11) 상에 제2힌지부(20)의 절단면(31)을 형성하지 않은 삽입돌부(21)를 수용하여 힌지 결합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삽입돌부(21)의 일측을 기준하여 일부면을 잘라내어 절단면(31)을 형성하고, 수용홈(11)과 접하는 개방단턱(13)의 인접면으로 삽입돌부(21)의 절단면(31)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여 수용하면서 힌지 결합한다.
중요한 것은 제1힌지부(10)에서 개방단턱(13)의 폭길이와, 제2힌지부(20)에서 절단면(31)이 형성된 삽입돌부(21)의 폭길이가 수용홈(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안경다리(2)를 접은 상태에서 개방단턱(13)으로 삽입돌부(21)의 절단면(31)이 서로 접하도록 수용하여 힌지 결합하여 일정한 각도 내에서만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가 분리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에 있어서 용접이나 다른 추가공정을 사용하지 않는 간소한 결합수단의 구성으로도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충분히 결합하여 하나의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안경테 2: 안경다리
10: 제1힌지부 11: 수용홈
13: 개방단턱 20: 제2힌지부
21: 삽입돌부 30: 결합수단
31: 절단면

Claims (4)

  1.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힌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일단이 개방된 개방단턱(13)을 가진 수용홈(11)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10);
    상기 안경다리(2)의 일단에 위치하고, 개방단턱(13)을 통해 수용홈(11)에 삽입하는 삽입돌부(21)를 구비하는 제2힌지부(20); 및
    상기 안경테(1)와 안경다리(2)의 제1ㅇ2힌지부(10)(20)가 상호 결합하도록 삽입돌부(21)의 일측에 절단면(31)을 구비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20)는 안경테(1)와 안경다리(2)에 반대로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10)의 수용홈(11)과 제2힌지부(20)의 삽입돌부(21)는 서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은 개방단턱(13)의 폭길이, 절단면(31)이 형성된 삽입돌부(21)의 폭길이가 수용홈(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고, 안경다리(2)를 접은 상태에서 개방단턱(13)으로 삽입돌부(21)의 절단면(31)이 접하도록 수용하여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1020170112624A 2017-09-04 2017-09-04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Ceased KR20190026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24A KR20190026195A (ko) 2017-09-04 2017-09-04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24A KR20190026195A (ko) 2017-09-04 2017-09-04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195A true KR20190026195A (ko) 2019-03-13

Family

ID=6576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624A Ceased KR20190026195A (ko) 2017-09-04 2017-09-04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1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691A (ko) 2022-02-15 2023-08-22 이화춘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240009125A (ko) * 2022-07-13 2024-01-22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안경테의 템플 힌지접속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165A (ko) 2010-06-25 2012-01-02 (주)승영기술공사 초기 우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165A (ko) 2010-06-25 2012-01-02 (주)승영기술공사 초기 우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691A (ko) 2022-02-15 2023-08-22 이화춘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240009125A (ko) * 2022-07-13 2024-01-22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안경테의 템플 힌지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3048B (zh) 眼鏡
CN202119995U (zh) 眼镜结构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JP2002014303A5 (ko)
TW201348792A (zh) 眼鏡
KR20150144522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20006724U (ko) 안경다리 조립 구조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20100031529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US10330954B2 (en) Flip-up eyeglasses
JP4564055B2 (ja) 眼鏡
KR10109921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MX2013010903A (es) Anteojos.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US20070216852A1 (en) Eyeglasses assembly
KR20090012361U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TWM594160U (zh) 眼鏡鏡腳連接組
KR200478747Y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KR20060116788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JP2010060624A (ja) 長さ調整可能なテンプル及び当該テンプルを備える眼鏡
JP5124898B2 (ja) ツーポイント眼鏡枠及びツーポイント枠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3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507

Appeal identifier: 2019101001180

Request date: 201904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1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08

Effective date: 2020050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50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0408

Decision date: 20200507

Appeal identifier: 2019101001180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20050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20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612

Appeal identifier: 2020201004372

Request date: 20200605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PJ1202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Decision date: 20200612

Request date: 20200605

Appeal identifier: 202020100437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