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25153A -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153A
KR20190025153A KR1020170110333A KR20170110333A KR20190025153A KR 20190025153 A KR20190025153 A KR 20190025153A KR 1020170110333 A KR1020170110333 A KR 1020170110333A KR 20170110333 A KR20170110333 A KR 20170110333A KR 20190025153 A KR20190025153 A KR 2019002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ire net
net
wire
partitio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704B1 (ko
Inventor
한남수
Original Assignee
한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수 filed Critical 한남수
Priority to KR102017011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7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이나 해안, 또는 도로 주변의 경사면 등에 설치되는 식생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 형태의 철망 좌우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되는 외부철망(110);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철망(110)의 전후 양측 단부의 외벽과 다수의 내부격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칸막이철망(210); 상기 칸막이철망(210) 각각의 테두리에 용접되어 다수의 칸막이철망(210)을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철근(230);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외부철망(110)을 덮는 본체부직포(120); 상기 칸막이철망(210)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칸막이철망(210)을 덮는 칸막이부직포(220); 및, 흙과 씨앗이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철근(23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상기 칸막이철망(210)이 설치된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고압으로 포설되는 녹생토(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Non Woven Fabric Type Vegetation Wire Net and Afforest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호안이나 해안, 또는 도로 주변의 절개지 경사면 등에 설치되는 식생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절곡된 외부철망(110) 내부에 칸막이철망(210)을 설치한 후 씨앗이 포함된 녹생토(410)를 고압으로 포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식생용 철망을 제공함으로써 포설된 흙의 유실 방지와 함께 시공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의 신설이나 기타 경사면을 절토하게 되면 자연 지형을 절개함으로 인하여 절개지 경사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절개사면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기위한 녹화공법으로 시드스프레이, 볏짚공법, 녹생토공법, 매트리스 개비온을 이용한 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공법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녹생토 공법은 토목공사가 완료되어 정비된 절개지 경사면에 녹생토가 흘러내리지 않고 흡착될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사면에 능형망(철망)을 덮고 앙카핀을 설치하여 능형망을 지면에 고착시킨 후, 그 상부에 녹화토와 씨앗을 배합한 녹생토를 고압으로 포설하여 일정한 두께(10 내지 15㎝)가 형성되도록 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녹생토 공법은 지표면에 초본류의 식생이 활착되어도 폭우로 인한 홍수 등에 의하여 지표면이 쉽게 유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지표면이 유실된 경우에는 보수공사를 위하여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육면체 형태의 4각 철망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자갈을 채우거나 각종 식생백을 채우는 형태로 시공되고 있다. 아울러 도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4각 철망 내부에 채워진 식생백 상부에 씨앗발아대 등을 설치한 후 덮개철망을 결속한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4각 철망 형태의 각종 매트리스 공법은 식생은 가능하나 식생백 각각의 봉제 공정 및 식생백을 하나 씩 4각 철망 내부에 적치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바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출원 제10-2011-0128576호
특허출원 제10-2014-0109635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을 위한 녹생토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식생용 철망 및 녹화공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제작 및 시공과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성과 편의성의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식생용 철망 및 녹화공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별도로 앵커를 타설하여 고정시키는 과정과 포설된 토양의 다짐과정이 생략된 새로운 식생용 철망 및 녹화공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호안이나 해안, 또는 도로 주변의 경사면 등에 설치되는 식생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 형태의 철망 좌우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되는 외부철망(110);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철망(110)의 전후 양측 단부의 외벽과 다수의 내부격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칸막이철망(210); 상기 칸막이철망(210) 각각의 테두리에 용접되어 다수의 칸막이철망(210)을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철근(230);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외부철망(110)을 덮는 본체부직포(120); 상기 칸막이철망(210)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칸막이철망(210)을 덮는 칸막이부직포(220); 및, 흙과 씨앗이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철근(23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상기 칸막이철망(210)이 설치된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고압으로 포설되는 녹생토(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별도로 식생백을 제작하여 그 내부에 흙을 채운 후 봉제하는 작업 및 식생백을 철망 내부에 개별적으로 적치하는 과정이 불필요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외부철망(110)은 현장 여건에 맞추어 적절히 절곡하여 현장맞춤 사용이 가능하고, 칸막이철망(210)은 연결철근(230)으로 용접하여 하나로 연결된 제품을 현장에 제공하여 사용함으로써 육면체 형태의 4각 철망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외부철망(110)과 칸막이철망(210)을 결속한 후 그 내부공간에 씨앗이 포함된 녹생토(410)를 장비를 이용하여 고압 포설하여 채움으로써 흙 포설 후 수반되던 다짐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고, 신속한 포설이 가능하다.
넷째, 녹생토(410) 포설 후 상부부직포(320)를 덮은 후 상부부직포(320)와 본체부직포(120), 상부부직포(320)와 칸막이부직포(220)를 초음파로 열융착시킴으로써 포설된 녹생토(410)의 유실을 방지하고 개별적으로 제작된 식생백이 설치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코아네트(330)와 덮개철망(310)을 덮은 후 덮개철망(310)과 외부철망(110) 상단부를 상호 결속시키고, 외부철망(1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경사면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앵커작업 없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기술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의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호안이나 해안, 또는 도로 주변의 경사면 등에 설치되는 식생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구성이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외부철망(110)은 평면 형태의 철망 좌우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된 형태의 구조로서, 외부철망(110)을 구성하는 망의 규격은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체부직포(120)는 외부철망(110)의 내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철망(110)을 덮는데, 이러한 본체부직포(120)는 외부철망(110)과 함께 포설되는 녹생토(410)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체부직포(120)에는 녹생토(410)의 유실이 방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수의 식생구멍(11)이 천공되어 외부와 산소, 수분, 영양분 등의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칸막이철망(210)은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외부철망(110)의 전후 양측 단부의 외벽과 다수의 내부격벽을 형성하게 된다.
연결철근(230)은 이러한 칸막이철망(210) 각각의 테두리에 용접되어 다수의 칸막이철망(210)을 하나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부철망(110)의 규격에 맞추어 미리 제작된 칸막이철망(210)을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설치하고 결속선(도시 생략)으로 결속하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결속 위치와 간격은 외부철망(110)의 규격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칸막이부직포(220)는 칸막이철망(210) 각각에 설치되어 칸막이철망(210)을 덮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칸막이부직포(220)는 칸막이철망(210)과 함께 내부격벽을 형성하여 외부철망(110) 내부에 포설된 녹생토(410)가 구획된 격실 내부에 안정적으로 머물게 하여 녹생토(410)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철망(110) 내부에 칸막이철망(210)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칸막이부직포(220)를 칸막이철망(210)에 설치하는데, 이러한 칸막이부직포(220)에도 본체부직포(12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식생구멍(11)이 천공된다.
녹생토(410)는 흙과 씨앗이 혼합된 것으로서, 칸막이철망(210)이 설치된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고압으로 포설되어 외부철망(110)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이와 같이 고압의 포설장비를 이용하여 녹생토(410)를 채우게 됨으로써 포설 후 별도의 다짐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고압의 포설장비는 현재 상용화된 장비 가운데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각 장비의 메뉴얼에 따라 포설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부부직포(320)는 녹생토(410)가 채워진 외부철망(110)의 상부면을 덮게되는데, 이러한 상부부직포(320)는 본체부직포(120) 및 칸막이부직포(220) 각각에 열융착되어 고정된다.
열융착은 초음파융착기, 레이저융착기, 근적외선열융착기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융착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부부직포(320)와 본체부직포(120)가 맞닿는 부위, 상부부직포(320)와 칸막이부직포(220)가 맞닿는 부위에 녹생토와 같은 이물질이 없어야 된다. 따라서, 녹생토(410) 포설 작업시 본체부직포(120)와 칸막이부직포(220) 상단을 따라 "∧"형 단면을 가진 보호덮개(22)를 설치하고, 포설이 완료된 후 상부부직포(320)를 열융착하기 전에 보호덮개(22)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부부직포(320)에도 다수의 식생구멍(11)이 천공된다.
코아네트(330)는 상부부직포(320)의 상부를 덮는다.
코아네트(330)는 상부부직포(320)와 함께 식생이 활착될 때까지 녹생토(410)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초기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기간 수분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코아네트(330)는 부식되어 유기화될 때(개략 5년 정도 소요)까지 자외선으로부터 상부부직포(320)를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유기화되면서 식물의 발육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코아네트(330)는 론카펫(lawn carpet)이나 야자껍질 등으로 제작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황마 등으로 만든 쥬트네트(jute net)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덮개철망(310)은 코아네트(330)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철망(110)의 상단부와 결속되어 박스형태의 식생용 철망을 완성하면서 내부 구성물들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제1단계
경사면의 정지작업을 수행한 후 좌우 양측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다수의 외부철망(110)을 상호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과정이다.
(2) 제2단계
외부철망(110)의 내부면을 따라 본체부직포(120)를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본체부직포(120)는 각각의 외부철망(110)마다 개별적으로 1장씩 설치할 수도 있고,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 배열된 다수 개의 외부철망(110)을 따라 1장의 본체부직포(120)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수의 본체부직포(120)를 연속적으로 깔 경우 이웃하는 본체부직포(120)가 서로 일정 폭만큼 겹쳐지도록 배열하여 녹생토(410)의 유실을 방지한다.
(3) 제3단계
칸막이부직포(220)가 부착된 칸막이철망(210)을 외부철망(110) 내측에 설치하고 결속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외부철망(110)의 내부공간에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격실과 전후 방향 외벽이 형성된다.
이러한 격실은 상부만 개방되고 전후좌우 및 하부는 모두 철망과 부직포로 둘러싸인 구조가 된다.
(4) 제4단계
씨앗이 포함된 녹생토(410)를 고압으로 포설하여 외부철망(110)과 칸막이철망(210)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채우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외부철망(110) 내부의 모든 격실이 녹생토(410)로 채워지게 된다.
(5) 제5단계
녹생토(410)가 포설된 외부철망(110) 상부에 상부부직포(320)를 덮고, 본체부직포(120)와 칸막이부직포(220)를 열융착하는 과정이다.
상부부직포(320)를 덮은 후 상부부직포(320)와 맞닿는 본체부직포(120)의 상단부 및 칸막이부직포(220)의 상단부를 열융착하여 상부부직포(320)와 하나로 연결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부직포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녹생토(410)로 채워져 부직포 식생백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6) 제6단계
상부부직포(320)의 상부에 코아네트(330)를 덮고, 코아네트(330)의 상부에 덮개철망(310)을 덮은 후 덮개철망(310)과 외부철망(110)의 상단부를 결속선으로 결속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경사면 녹화공법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본 부호는 본 발명에 관한 도면에만 적용되며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1 및 도2와는 무관하다.
110:외부철망
120:본체부직포
210:칸막이철망
220:칸막이부직포
230:연결철근
310:덮개철망
320:상부부직포
330:코아네트
410:녹생토
11:식생구멍
22:보호덮개

Claims (6)

  1. 호안이나 해안, 또는 도로 주변의 경사면 등에 설치되는 식생용 철망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 형태의 철망 좌우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되는 외부철망(110);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철망(110)의 전후 양측 단부의 외벽과 다수의 내부격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칸막이철망(210);
    상기 칸막이철망(210) 각각의 테두리에 용접되어 다수의 칸막이철망(210)을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철근(230);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외부철망(110)을 덮는 본체부직포(120);
    상기 칸막이철망(210)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칸막이철망(210)을 덮는 칸막이부직포(220); 및,
    흙과 씨앗이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철근(230)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상기 칸막이철망(210)이 설치된 상기 외부철망(110)의 내부에 고압으로 포설되는 녹생토(4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과 포함된 식생용 철망.
  2. 제1항에서,
    상기 녹생토(410)가 포설된 상기 외부철망(110)의 상부면을 덮으면서 상기 본체부직포(120)와 상기 칸막이부직포(220)와 열융착되는 상부부직포(32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3. 제2항에서,
    상기 상부부직포(320)의 상부를 덮는 코아네트(330); 및,
    상기 코아네트(33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철망(110)의 상단부와 결속되는 덮개철망(31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본체부직포(120), 상기 칸막이부직포(220), 및 상기 상부부직포(320)에는 다수의 식생구멍(1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5. 제4항에 기재된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면의 정지작업을 수행한 후 다수의 외부철망(110)을 상호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제1단계;
    외부철망(110)의 내부면을 따라 본체부직포(120)를 설치하는 제2단계;
    칸막이부직포(220)가 부착된 칸막이철망(210)을 외부철망(110) 내측에 설치하고 결속하는 제3단계;
    씨앗이 포함된 녹생토(410)를 고압으로 포설하여 외부철망(110)과 칸막이철망(210)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채우는 제4단계; 및,
    녹생토(410)가 포설된 외부철망(110) 상부에 상부부직포(320)를 덮고, 본체부직포(120)와 칸막이부직포(220)를 열융착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6. 제5항에서,
    상부부직포(320)의 상부에 코아네트(330)를 덮고, 코아네트(330)의 상부에 덮개철망(310)을 덮은 후 덮개철망(310)과 외부철망(110)의 상단부를 결속하는 제6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1020170110333A 2017-08-30 2017-08-30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Active KR10207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333A KR102078704B1 (ko) 2017-08-30 2017-08-30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333A KR102078704B1 (ko) 2017-08-30 2017-08-30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153A true KR20190025153A (ko) 2019-03-11
KR102078704B1 KR102078704B1 (ko) 2020-02-18

Family

ID=6575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333A Active KR102078704B1 (ko) 2017-08-30 2017-08-30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4571B1 (ko) * 2021-07-01 2024-07-15 강원특별자치도 암벽착생식물 인공서식지 조성 및 복원을 위한 개비온
KR102490289B1 (ko) 2022-08-13 2023-01-18 이예순 매트리스형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273Y1 (ko) * 2006-01-31 2006-05-03 솔라원 환경기술(주)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100614927B1 (ko) * 2004-11-17 2006-08-25 길인환 제방 축조용 돌망태
KR20130004730U (ko) * 2012-01-27 2013-08-06 이덕인 매트리스형 개비온 식생포대
KR20160109831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국제철망 법면 보강구조 및 법면 보강구조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27B1 (ko) * 2004-11-17 2006-08-25 길인환 제방 축조용 돌망태
KR200415273Y1 (ko) * 2006-01-31 2006-05-03 솔라원 환경기술(주)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20130004730U (ko) * 2012-01-27 2013-08-06 이덕인 매트리스형 개비온 식생포대
KR20160109831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국제철망 법면 보강구조 및 법면 보강구조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704B1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89551C (en) Vegetation partition wire mesh including nonwoven fabric,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same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0830150B1 (ko)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25153A (ko)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US10011964B2 (en) Method for forming a ground-covering layer, and thus formed ground-covering layer
JP2003232023A (ja)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KR101898459B1 (ko) 복합포대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구조물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4467A (ko) 식생게비온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JPS6145728B2 (ko)
KR102533827B1 (ko) 하천 호안용 천연잔디 뗏장 식생포대와 식생망태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망태 호안공법
KR200486017Y1 (ko) 에코 식생블록
KR102472346B1 (ko) 친환경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090021917A (ko) 성토층 조성공법
KR102812453B1 (ko) 내부 챔버에 식물종자가 저장되는 천공 부직포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10983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KR20140123350A (ko)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KR102472349B1 (ko)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를 이용한 친환경 시공방법
JP2000045288A (ja) 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5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7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