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19296A -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296A
KR20190019296A KR1020170103991A KR20170103991A KR20190019296A KR 20190019296 A KR20190019296 A KR 20190019296A KR 1020170103991 A KR1020170103991 A KR 1020170103991A KR 20170103991 A KR20170103991 A KR 20170103991A KR 20190019296 A KR20190019296 A KR 20190019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tomaceous earth
repellent
garlic
mites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성
Original Assignee
현대사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사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사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9296A/ko
Publication of KR2019001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29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조토와 진드기와 곤충 기피제 및 부형제 분말을 이용한 살비제 및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응애, 와구모, 닭이와 같은 진드기, 바구미나 파리와 같은 같은 해충을 인체에 무해한 환경친화성 천연물질로 기피성 살비/살충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720마이크론 이하의 규조토 95~60 중량%와 진드기 등의 곤충이 기피하는 기피제 5~20중량%로 이뤄진 기피성 살비/살충제를 특징으로 한다. 보관 중의 뭉침, 살포성을 고려하여 기피성 살비/살충제에 대하여 부형제 50~99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The natural acaricide(miticide)}
본 발명은 와구모(red-mite), 닭이(lice) 같은 진드기의 박멸, 바구미(weevil)나 파리 같은 해충 박멸용 환경친화성 살비/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규조토와 곤충이 기피하는 성향이 강한 마늘 분말 또는 그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숙주에서 효과적으로 떼어 내 죽일 수 있게 한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곡물, 채소, 과수, 목초, 서류(庶類) 등의 먹거리를 생산하기 위한 경종 작물재배에는 화학성 농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맹독성 농약은 생태계 파괴와 잔류 농약으로 인한 폐해의 심각성을 더한다.
하지만, 믿고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유기농에 있어서 안전한 해충 억제제는 거의 없다. 일례로, 식용 계란에서 닭에게 기생하는 진드기와 이(lice)를 잡기위해 일부 산란계 농가에서 맹독성 농약을 닭에게 살포한 것이 전이되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축산 경제 2016.09.09.).
닭이는 숙주에서 전생을 지내면서 충란이 깃털에 부착되어 집락을 이루며, 5~8일 내에 부화한 후 3~5번의 탈피를 거쳐 2~3주 내에 성숙하고, 여러 달을 기생한다(도면 1 참조). 닭이가 일단 계군에 들어오면 닭간의 접촉으로 전파된다. 닭이는 대개의 경우 가슴, 복부, 날개 밑에서 발견되며, 피부 부스러기를 먹으며 깃털의 연한 기저부를 공격하기도 하는 등 지속적으로 긁어 피부를 손상시키고 난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진드기는 흡혈에 따른 가금 티프스의 전파에 큰 영향을 주며, 성장 부진, 산란 감소, 질병의 전파 및 빈혈을 유발한다. 유충은 2~3일에 부화하여 탈바꿈한 후 숙주를 먹이로 하는 애벌레로 변태한다.
애벌레는 성충으로 성장하기 위해 2회 탈바꿈하고, 일주일 이내에 성충이 된다. 성충은 먹지 않고도 여러 달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한 마리가 9주를 지나면 1억 3000마리로 되어 방제에 큰 애로가 있다.
또, 외부 기생충으로 벼룩, 마렉병 바이러스, 살모넬라, 대장균, 캠필로박터균, 곰팡이와 같은 질병 원인체의 보균자인 딱정벌레, 파리 등으로 인한 피해도 크다.
와구모는 일반 곤충과 달리 거미강 진드기목에 속하며, 생태특성상 포란을 위하여 가축의 혈액이 요구되고, 가축으로 이행되어 흡혈하는 습성을 가진 탓에 살비/살충제를 사용하여 퇴치해야 하는 데, 살충제를 잘못 사용하는 점과 설령 사용한다손치더라도 현실적으로 완전 박멸이 어렵고, 잦은 사용으로 내성이 생겨 약효가 더욱 강력한 살비/살충제를 사용하거나 살포 빈도를 높일 수 밖에 없어 안타깝다. 문제는 피폐로닐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살비/살충제, 잔류 살비/살충제의 폐해이다.
이런 점에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내성이 없는 살비/살충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한편, 곡물에 더스트를 혼합하면 해충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스트로는 식물재(plant ash), 석회, 돌로마이트, 특정 형태의 규조토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규조토가 가장 효과적인 환경친화적인 살충 더스트 중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Ebeling, 1971).
단일세포로 된 식물인 규조는 바다나 호수에 서식하며, 물에서 수확된 무정형 실리카 골격을 생성하는 그 껍질로 실리콘을 추출한다. 규조류가 죽을 때 작은 껍질이 가라않으며, 이들 껍질은 두꺼운 층으로 쌓인다. 규조 껍질의 퇴적물이 규조토Diatomaceous earth. DE)이며, 부드러운 백악질 암석으로 화석화되고 압착된 것이다.
규조토는 채석, 건조 및 밀링을 거쳐 상업적 용도로 제조된다. 이들 공정 중에 규조토는 함수율과 평균 입자가 대폭 감소되어 포유류에 대한 무독성 미세 더스트로 변한다.
이 규조토는 매우 안정되고, 독성이 있는 화학약품 잔류물을 생성하거나 유해한 환경에서 다른 물질 등과 반응하지 않는다.(Quqrles, 1992a). EPA(인바이어른먼틀 프로텍션 에이전시, 미국), RED(레지스트레이션 엘리저빌리티 도큐먼트스) 팩트스, 21T-1020, Sep., 1991)에 따르면 무정형 이산화규소로 설명된 규조토는 물리적 형태로 곤충을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급성 독성(카테고리 III)을 완화시키는 것이 약하고 규폐증과는 무관하다.
또, 인터내셔널 에이전시 퍼 리서치 온 캔서(IARC)에 따르면, 무정형 이산화규소는 발암물질이 아닌 그룹 3에 속한다. 무시할 수 있는 독성으로 인하여 규조토는 작물이나 수확후의 농산물, 동물, 또는 가공식품이나 저장지역에 적용할 때 법정 잔류 허용치의 요구가 면제되기도 한다(미국). 무정형 이산화규소가 식품첨가제로 사용된 사례는 제너럴리 레콘나이즈드 애즈 세이프(GRAS)가 있다(21 CRF 182.90 및 182.1711).
마늘은 양념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심혈관질환, 암 및 감기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선충 및 곤충 살충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특히 양계에서는 와구모와 채소 뿌리 파리 구제에 사용되기도 한다. 마늘과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와구모에 대한 기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노출 시간에 따른 실험을 실행한 바 있다. (Ranjbar-Bahadori.2014)
이에 따르면, 타임추출 기름(thyme essential oil)의 기피율이 89.4%인 데 비해 마늘은 95.37%로 기피율이 커 더 효과적임이 증명되었고, 산란계 농장에서 마늘 추출물로 96%의 경이적인 기피 효과가 확인된 바도 있다(Faghihzadeh Gorji.2014). 그러나, 더스트의 단순 살포는 몸안에 숨어 있는 기생충에게 영향이 적어 살비효과가 낮으며, 재오염을 일으켜 어느 순간 다시 농장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개연성이 크다. 반면에 마늘만 사용할 경우에는 기피의 지속성과 비용 및 이용면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예상된다.
기생충을 숙주에서 떼어 내기 위해서는 장기간 기피제를 투여해야 하는 데, 비용이 높은 데 비해 효과는 낮고, 종류에 따라 전이의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다.따라서, 직접 숙주에 살포하여 깃털 외부로 유인한 후 기생충이 산란하기 전에 살충할 수 있다면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문헌1] 미합중국 특허 제5,773,017호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14679호
본 발명은 응애, 와구모, 닭이, 진드기, 바구미, 파리와 같은 해충을 기피제로 숙주에서 분리하여 효과적이면서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박멸할 수 있는 환경친화성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 과제는, 규조토, 마늘 또는 그 추출물, 타임 등 진드기 등의 해충이 강한 기피성을 발휘하는 살비/살충 물질을 기재로 하고, 이 살비/살충 성분을 부형제와 혼합하여 살포하기 적합한 미분말상의 살비/살충제 조성물로 달성할 수 있다.
살비/살충제 조성물은 규조토 95~60중량%와 기피성이 강한 마늘 또는 그 추출물 5~40중량%로 이뤄지고, 이 살비/살충제 조성물에 대하여 부형제 50~99중량%를 혼합해 살포하기 적합한 600마이크론 이하로 미분화한다.
숙주에서 해충을 떼어내기 위한 기피성 살비/살충물질은 마늘, 마늘추출물, 타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부형제는 일정한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 밀기울, 왕겨, 석회석, 탄산칼슘, 규산염 광물질, 실리카 분말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한다.
이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은 블로워나 비료살포기를 이용하여 진드기, 응애, 해충 서식지나 서식이 예상되는 곳에 살포하여 예방 또는 방제한다.
본 발명의 해충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은 순수 천연물질로만 조성돼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해충에게는 치명적 피해를 입혀 자극하는 규조토와 생화학적 자극으로 기피시켜 살충하는 마늘 분말 또는 그 추출물, 타임 등을 이용하여 농장에서 살포시 농작물 및 축산에 피해를 입히는 해충의 방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이러한 해충은 농약에 대한 내성으로 방제에 어려움과 그로 인한 맹독성 농약 사용에 따른 약해 및 잔류 위험이 있으나, 본 발명의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은 해충을 숙주에서 떼어내기 위해 천연물질을 사용 물리적, 생화학적으로 방제함으로 내성이 없고, 기존 기피제를 장시간 급여 후 살충함으로 kg당 수 만원 대의 고비용과 효과의 확실성이 없었으나 숙주외부에서 뿌려 단시간에 분리시킨 후에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고 가격도 kg당 만원 대 이하로 아주 저렴하여 경제적 효과도 크다.
도 1은 와구모의 생리주기(약 7일)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규조토와 기피물질인 마늘 또는 마늘 추출물, Thyme의 배합비율표
도 3은 바람직한 방제표
도 4는 마늘과 각종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닭 와구모 살충효과 대비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규조토(DE 100 퍼마가든)의 효능 검증
규조토의 주성분은 SiO2이며, 규산염이 함유된 광물질로서, 720마이크론 이하의 칼리브린 A(Calibrin A. 몬트릴로나이트)와 규조토로 야외에서 채취한 바구미에 대한 방제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몬트릴로나이트에서는 바구미가 살아 움직이고 있었으나, 바구미의 껍질과 마디에 규조토가 달라붙어 죽었다.
Figure pat00001
위 표에서, 환경친화적 해충용 물리적 방제제로서 규조토가 바람직한 성분임이 확인되었다. 규조토가 바구미의 등과 마디에 하얗게 달라붙어 말라 죽은 것이다.
Figure pat00002
2.기피제의 효능 검증
기피제는 건조 마늘 분말, 마늘 추출물, 타임이며,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 사용한다. 대체 가능한 기피제로는 시트로넬라 또는 그 추출물(시트로넬라 오일), 페이퍼민트와 그 혼합물, 중조 기피제 등이다.
위 표에서, 샤알레 속의 바구미가 기피제 성분이 있는 곳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죽었다.
기피성 살비 /살충 조성물
규조토는 평균입자가 720마이크론 이하이고, 16마이크론 입자는 적어도 60% 이상 포함되어 뭉치지 않고 살포되기 쉬운 미분이 되도록 한다. 규조토는 해양 규조토와 담수 규조토가 있으며, 단독 또는 혼합해 사용한다.
Figure pat00003
샤알레 속의 옥수수 먹이로 바구미를 유인한 후 정량의 규조토에 양을 달리한기피제를 혼합하여 조성한 살비/살충제를 살포하고, 경과 일별로 기피 및 살충 효과를 관찰 하였다. 12시간 경과 후 마늘 추출물 20%와 10% 혼합분은 바구미가 모두 죽었으나 타임 첨가분은 80%만 죽어 효과가 마늘 추출물보다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교예 1]
해충 방제용 조성물의 마늘과 마늘 추출물 혼합물의 제조와 농장방제실험
Figure pat00004
농가방제실험은 충남 공주시에 소재한 남산양계단지내 유림축산에 의뢰하여 실시하여 반응을 살펴보았다. 규조토 - 마늘 혼합분보다 규조토 - 마늘추출물이 기피 및 억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규조토 - 마늘 추출물을 80 : 20의 비율로 혼합한 살비/살충제는 살포한 잠시 후 와구모들이 기어 나오는 것이 관찰되었고, 살포한 다음 날엔 작업자가 와구모에 전혀 물리지 않았다고 한다.
[비교예 2]
닭 진드기(와구모)에 대한 농장방제시험
Figure pat00005
양계장에서의 와구모 방제의 경우, 살포하기 전에 주변 이물과 장애물을 없애고 하루 중 바람이나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되는 저녁 무렵에 블로워나 비료살포기로 살비/살충제를 살포한다. 와구모는 어두워지면 활동을 개시하기 때문이다.
방제 주기는 와구모의 생리주기(약 7일)에 맞춰 3주 연속 살포하고, 이 후 2~3주간 주 1회씩 살포하여 방제한다.
본 발명의 ‘목적물’인 규조토 - 마늘 또는 마늘 추출물로 된 살비/살충제의 가장 큰 특징은 물리적으로 해충의 표면을 연마하여 체액을 흡수하고 탈진시켜 억제하므로 내성이 생기지 않고, 식재료급 규조토를 사용하므로 안전하다. 기피제인 마늘 추출물, 타임을 이용하여 숙주로부터 기생충을 분리해 방제하는 데 기술적 진보성이 두드러진다.
진드기, 응애 또는 해충 서식지나 서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종 농업장, 축산장, 곡물 보관장 등에 살포하여 예방 또는 방제하면 위생적으로 아주 안전한 난, 닭, 쇠고기, 돈육을 생산하거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예시적인 실시태양에 의겨하여 본 발명을 기술했는 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구사할 수 있으며, 핵심 구성 요소를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규조토 95~60 중량 %와 곤충 기피성 살비/살충물질 5~40 중량%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피성 살비/살충제.
  2. 제1항에 있어서, 규조토는 평균입자가 720마이크론 이하이고, 16마이크론 입자가 적어도 60% 이상 포함된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규조토는 해양 규조토, 담수 규초토 중의 단독 또는 혼합체인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기피제는 건조 마늘 분말, 마늘 추출물, 타임, 시트로넬라, 페이퍼먼트와 그 혼합물, 중조, 유기산 중의 적어도 1종 이상인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기피성 살비/살균제에 밀기울, 왕겨, 석회석, 탄산칼슘, 규산염 광물질, 실리카 분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부형제 0.1~45중량%가 혼합된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KR1020170103991A 2017-08-17 2017-08-17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Ceased KR20190019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91A KR20190019296A (ko) 2017-08-17 2017-08-17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91A KR20190019296A (ko) 2017-08-17 2017-08-17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96A true KR20190019296A (ko) 2019-02-27

Family

ID=6556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991A Ceased KR20190019296A (ko) 2017-08-17 2017-08-17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92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885B1 (ko) 2020-01-17 2020-11-13 강현준 카프릴산을 포함하는 안정한 해충 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6835A (ko) *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닭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3017A (en) 1995-05-11 1998-06-30 Hedley Pacific Ventures Ltd. Diatomaceous earth insecticida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3017A (en) 1995-05-11 1998-06-30 Hedley Pacific Ventures Ltd. Diatomaceous earth insecticidal composition
KR19990014679A (ko) 1995-05-11 1999-02-25 제이. 피터 오메샤 규조토 살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885B1 (ko) 2020-01-17 2020-11-13 강현준 카프릴산을 포함하는 안정한 해충 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6835A (ko) *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닭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ad et al. Stored grain pests and current advances for their management
Cox Potential for using semiochemicals to protect stored products from insect infestation
Tripathi Pests of stored grains
Gahukar Potential and utilization of plant products in pest control
JP2009507901A (ja) 広範囲の殺虫性かつ殺ダニ性の組成物
Singh et al. Use of vegetable oils as biopesticide in grain protection-a review
Abdallah et al. Review on some plants as bio–pesticides
Avery Avian repellents
US6652870B2 (en) Wildlife controlla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90019296A (ko) 기피성 살비/살충제 조성물
CN110352994A (zh) 无毒杀虫剂及其制备方法
Superfine Effect of grain moisture content and storage time on efficacy of inert and botanical dusts for the control of Sitophilus zeamais in stored maize
Solangi et al. Comparative toxicity of some insecticides on 4th instar grub of Coccinella septempunctata L. under laboratory conditions
Sagheer et al. GROWTH REGULATORY ACTIVITIES OF INDIGENOUS PLANT EXTRACTS AGAINST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HERBST)(COLEOPTERA: TENEBRIONIDAE).
JP4336806B2 (ja) アリモドキゾウムシ誘引殺虫剤組成物
Muhammad et al. Callosobruchus maculatus (Fab.) control by plant products in cowpea grains under storage: A review
US8084052B1 (en) Chemic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insects
Khalequzzaman et al. Toxic Potentials of Some Plant Powders on Survival and Development of Callosobuchus maculatus (F.) and Callosobuchus chinensis L.
Nwogor et al. Evaluation of Insecticidal Efficacy of Piper Guineenseon Fish Beetle (Dermestes maculatus)
CN1792172A (zh) 无毒灭鼠药
KR102492381B1 (ko) 닭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Nancarrow et al. Dead snails leave no trails: natural pest control for home and garden
Yubak Dhoj Study on post-harvest losses of maize and their management practices in the western hills of Nepal
US20170118992A1 (en) Calcium infused compound foodstuffs targeted for consumption by and extermination of specific rodent species
Faye et al. Effectiveness of different formulations leaves of Senna occidentalis on the external stages of Callosobruchus maculatus Fabricius main pest of cowpea (Vigna unguiculata Walp) sto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1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8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