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19060A -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 - Google Patents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060A
KR20190019060A KR1020187033332A KR20187033332A KR20190019060A KR 20190019060 A KR20190019060 A KR 20190019060A KR 1020187033332 A KR1020187033332 A KR 1020187033332A KR 20187033332 A KR20187033332 A KR 20187033332A KR 20190019060 A KR20190019060 A KR 2019001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propyl alcohol
propylene
boiling point
water
meth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108B1 (ko
Inventor
카츠미 이테니시
마나부 카마모토
?수케 호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Publication of KR2019001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1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0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addition of hydroxy groups to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e.g. with the aid of H2O2
    • C07C29/0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addition of hydroxy groups to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e.g. with the aid of H2O2 by hydration of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74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29/76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C07C29/80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02Mono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10Monohydroxylic acyclic alcohols containing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프로필렌에 물을 직접 수화시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으로서, 반응기 내에 있어서 프로필렌과 물을 반응시킬 때에, 반응기 내에서의 프로필렌 및 물의 비율을,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물을 1300~2100질량부로 하고,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을, 20분 초과 50분 이하로 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
본 발명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새로운 제조 방법, 및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관한 것이다.
이소프로필 알코올(2-프로판올이라고도 칭해진다)은, 물과 유기 용매 모두를 용해하는 성질을 갖고 있어, 도료나 잉크용 용제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특히,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전자 디바이스의 세정 및 건조에도 사용되고 있어, 앞으로도 사용량의 증가가 기대되고 있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으로는, 아세톤을 환원하는 아세톤 환원법; 농황산을 사용하여 프로필렌을 에스테르화한 후, 가수 분해하는 간접 수화(水和)법; 촉매 존재하에서 프로필렌을 직접 수화하는 직접 수화법;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직접 수화법은, 간접 수화법과 비교하여 황산 등의 무기산(鑛酸)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기 때문에, 최근에는 직접 수화법에 의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가 주류가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는, 직접 수화법의 공업화된 프로세스로, 고정상(固定床) 촉매법과 용액 촉매법이 기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상 촉매법의 기상법으로 Veba Chemie법, 고정상 촉매법의 기액 혼상법으로 Deutsche Texaco법, 용액 촉매법의 액상법으로 도쿠야마소다법(德山曹達法)의 3 종류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Veba Chemie법의 제조 프로세스는, 반응기, 스크러버(미반응 프로필렌 회수), 저비탑(低沸塔), 공비탑(共沸塔), 및 탈수탑(脫水塔)의 공정순으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합성하고, 분리 및 정제하는 것이다. Veba Chemie법에서는, 물과 프로필렌의 원료 공급비를 등량으로 반응시키므로, 미반응이 되는 물의 양이 적어, 반응 혼합물 중에 포함되는 물이 적어진다. 그러므로, Veba Chemie법에서는, 미반응 물이 회수되지 않고, 폐수로 처리된다.
또한, Deutsche Texaco법의 제조 프로세스는, 반응기, 분리기(미반응 프로필렌 회수), 저비탑, 공비탑, 및 탈수탑의 공정순으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합성하고, 분리 및 정제하는 것이다. Deutsche Texaco법에서는, 반응기에 있어서, 스티렌계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촉매로 사용하므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유래하는 황산이 반응 혼합물 중에 포함되게 된다. 그 후, 공비탑에 있어서, 황산을 포함하는 물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분리하고, 황산을 포함하는 물을 회수하지만, 황산을 포함하는 물을 그대로 원료로 재이용하면,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황산이 농축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Deutsche Texaco법에서는, 황산을 포함하는 물을 회수한 후, 회수한 물에 포함되는 황산을 중화 및 탈염에 의해 제거한다.
또한, 도쿠야마소다법의 제조 프로세스는, 반응기, 분리기(미반응 프로필렌 회수), 공비탑, 저비탑, 탈수탑, 회수탑, 및 고비탑의 공정순으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합성하고, 분리 및 정제하는 것이다. 도쿠야마소다법에서는, 공비탑의 탑 바닥에서 물을 회수하고, 회수한 물을 원료로 재이용한다.
그러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물 존재하에서는 물과 공비 혼합물을 형성하므로,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조 프로세스만으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는 물의 제거가 어렵고, 물 및 물에 용해된 불순물의 제거가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증류 공정의 개량이 시도되어 왔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증류 공정만으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는 금속 양이온 등의 제거가 어려우므로, 증류 공정의 후공정으로 여과 공정을 추가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필터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증류 공정의 개량 이외의 방법으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정제하는 방법으로, 제올라이트계 입자나 실리카계 입자의 분자체(分子篩) 효과를 이용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아세톤 환원법에 있어서도, 수소화 촉매의 반응 조건을 개량하여, 선택률이나 전화율(轉化率)을 개선함으로써, 반응 목적물 이외의 부생물을 억제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저감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특히, 특허문헌 4에는,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및 2-메틸펜탄-2, 4-디올이 저감되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 1에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불순물 농도(질량 기준)는, 4-메틸-2-펜타놀이 1 ppm, 2-메틸펜탄-2, 4-디올이 21 ppm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4에 기재되어 있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으로는, 불순물이 한층 더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할 수 없어, 추가적인 불순물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수 ppm 정도의 불순물이 포함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세정 공정에 사용하면, 세정 및 건조 후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유래하는 잔사가 전자 디바이스의 표면에 남아버리므로, 불순물이 매우 적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표 2003-53583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공평 07-11607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표 2015-524818호 공보 특허문헌 4: 국제 공개 제 2009/104597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유기 합성 화학 협회지, Vol. 35(9), 761-766(1977)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정제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불순물 농도로는, 최근의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하여, 불순물 농도를 더욱 저감 가능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불순물 농도가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으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직접 수화법, 간접 수화법, 또는 아세톤 환원법으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합성하고, 합성 반응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증류 공정이나 여과 공정으로 정제하는 것 만으로는, 합성 반응 시의 부생물에 유래한 수 ppm 정도의 불순물이 정제 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러한 수 ppm 정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다대한 설비 비용이나 에너지 비용을 들이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불순물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큰 과제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검토를 수행했다. 그 결과,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 중에서, 특히 유의해야 하는 불순물은,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고비등점 화합물이며, 이들 고비등점 화합물 중에서도, 원료가 되는 프로필렌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프로필렌 올리고머를 경유하는 고비등점 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고비등점 화합물 중에서도, 1, 2-프로판디올,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4-메틸-2-펜타논, 3-메틸-2-펜타논, 2-헥사논, 3, 3-디메틸-2-부탄올, 2, 3-디메틸-2-부탄올, 2-메틸-2-펜타놀, 3-메틸-3-펜타놀, 2-메틸-3-펜타놀,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펜타놀, 2, 2-디메틸-1-부탄올, 2-에틸-1-펜타놀, 2-메틸-1-펜타놀, 3-메틸-1-펜타놀, 4-메틸-1-펜타놀, 2-메틸-2, 4-펜탄디올, 2, 3-디메틸-2, 3-부탄디올 등의 고비등점 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특히, 탄소수가 5~12인 고비등점 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직접 수화법의 프로필렌과 물을 반응시키는 반응 공정에 있어서, 고비등점 화합물의 원료가 되는 프로필렌 올리고머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물을 프로필렌에 대하여 과잉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프로필렌과 물의 반응 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반응 공정에 있어서 프로필렌 올리고머가 관여하는 고비등점 화합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이러한 반응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 혼합물로부터 프로필렌을 회수하는 회수 공정, 회수 공정에서 프로필렌이 회수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낮은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하는 제 1 증류 공정, 및 제 1 증류 공정에서 저비등점 화합물이 제거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제 2 증류 공정을 거침으로써, 수 ppm 정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다대한 설비 비용이나 에너지 비용을 들이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불순물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반응기 내에서의 프로필렌 및 물의 비율을,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물을 1300~2100질량부로 하고,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滯在時間)을, 20분 초과 50분 이하로 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수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프로필렌 올리고머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고비등점 화합물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프로필렌에 물을 직접 수화시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으로서, 프로필렌 및 pH가 2.5~4.5인 물을 반응기에 공급하는 원료 공급 공정; 상기 반응기 내에 있어서, 프로필렌과 물을 반응시키는 반응 공정; 상기 반응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 혼합물로부터 프로필렌을 회수하는 회수 공정; 상기 회수 공정에서 프로필렌이 회수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낮은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하는 제 1 증류 공정; 상기 제 1 증류 공정에서 저비등점 화합물이 제거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얻는 제 2 증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 내에서의 프로필렌 및 물의 비율이,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물이 1300~2100질량부이며, 상기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이, 20분 초과 50분 이하인,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20 ppb 이하인,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수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프로필렌 올리고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프로필렌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20 ppb 이하인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필렌에 물을 직접 수화시키는 반응에 있어서 부생물의 생성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합성 반응 후의 정제 공정에 걸리는 부하가 작아져,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증류 공정이나 여과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이하, 「본 개시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한다.)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 공급 공정, 반응 공정, 프로필렌을 회수하는 회수 공정,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하는 제 1 증류 공정, 및 물을 회수하는 제 2 증류 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료 공급 공정]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되는 원료는, 프로필렌 및 물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가 되는 프로필렌을 회수 탱크에 수용하고, 회수 공정에서 회수한 프로필렌과 회수 탱크에서 혼합하여, 반응기에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원료가 되는 물을 회수 탱크에 수용하고, 제 2 증류 공정에서 회수한 물을 회수 탱크에서 혼합하여, 반응기에 공급한다.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료가 되는 프로필렌으로는, 일반적으로 공업제품으로 입수 가능한 순도가 95질량% 이상인 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고, 순도가 98질량% 이상인 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중에 에틸렌, 부텐, 펜텐, 헥센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이 포함되면, 그들이 반응 공정에 있어서 수화 반응을 받아 불순물이 되므로, 원료가 되는 프로필렌의 순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로필렌의 전화율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99질량%를 초과하는 고순도의 프로필렌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원료가 되는 프로필렌의 순도는, 95~99질량%일 수도 있고, 98~99질량%일 수도 있다.
또한, 반응 공정에서 필요한 촉매는, 미리 원료가 되는 물에 첨가해 둘 수 있다. 촉매로는, 몰리브덴계 무기 이온 교환체, 텅스텐계 무기 이온 교환체 등의 각종 폴리 음이온의 촉매를 들 수 있다. 촉매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촉매 중에서도, 반응 활성의 관점에서, 인텅스텐산(リンタングステン酸), 규텅스텐산(ケイタングステン酸), 및 규몰리브덴산(ケイモリブデン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촉매는, 원료가 되는 물의 pH를 pH계로 측정하고, 25℃에서의 pH가 2.5~4.5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가 되는 물의 pH가 2.5~4.5의 범위 내가 되도록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프로필렌의 전화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높은 선택률을 얻는데 최적인 반응 조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부생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측정한 pH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를 첨가함으로써 pH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pH가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용이하게 pH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pH 범위이면, 산에 의한 배관이나 반응기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도 억제할 수 있다.
[반응 공정]
반응 공정에서의 프로필렌의 직접 수화 반응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하기 반응을 반응기 내에서 수행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는다.
C3H6+H2O→CH3CH(OH)CH3
비특허문헌 1에서는, 고정상 촉매법의 기상법으로 Veba Chemie법, 고정상 촉매법의 기액 혼상법으로 Deutsche Texaco법, 용액 촉매법의 액상법으로 도쿠야마소다법이 예시되고 있지만, 본 개시의 제조 방법은, 용액 촉매법의 개량 방법이다. 따라서, 반응 조건으로는, 반응 압력을 150~250 atm, 바람직하게는 180~250 atm으로 하고, 반응 온도를 200~300℃, 바람직하게는 250~2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조건이 이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부생물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공업적인 생산이 가능한 수율 및 촉매의 내구성을 양립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반응 공정에서의 프로필렌의 직접 수화 반응에서는, 상술한 화학 반응식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로필렌 1 mol과 물 1 mol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코올 1 mol이 생성된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프로필렌과 물은 등량이면 되지만,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서는, 프로필렌에 대하여 물을 과잉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물을 1300~2100질량부로 한다. 반응기 내에서의 프로필렌 및 물의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프로필렌 올리고머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수율을 높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한 물의 양은, 1500~200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한 물의 비율이 1300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프로필렌 올리고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어려워,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불순물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한 물의 비율이 2100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공정 후의 회수 공정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선택률 향상에 기여하지 않는 물이 대량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프로필렌의 회수 공정이나 증류 공정의 각 단위 조작에 있어서, 필요해지는 열에너지가 커져, 비용의 관점에서 불리해진다. 프로필렌을 회수한 후의 반응 혼합물 중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는, 5.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순도 및 수율이 모두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응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반응 혼합물 중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 및 순도를 모두 향상시키기 위해,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을, 20분 초과 50분 이하로 한다. 물의 체재 시간은, 25~40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40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이 20분 미만인 경우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수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한편,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이 5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생물이 증가함으로써,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선택률이 저하되어,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순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즉,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이 길어지면, 미반응 프로필렌이 올리고머화되고, 추가로 수산기나 케톤기가 부가되거나 미반응 프로필렌이 불순물로서의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과 반응한다. 또한, 합성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반응하여 2량체가 되거나 원료인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 올리고머가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부가된다. 이러한 순차적(逐次的)인 부반응이 진행됨으로써, 부생물이 증가한다고 추측된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은, 다음 식으로 정의되는 시간이며, 원료가 되는 물의 공급량, 및 반응기의 용적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의 체재 시간(min)=반응기의 용적(m3)÷물의 공급량(m3/min)
본 개시에서의 반응기 내의 반응은 고온 고압하에서 수행되므로, 물의 밀도가 불분명하다. 그러므로, 반응기 내에 공급되는 물(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110℃)의 유량을 기준으로 하여, 물의 공급량을 산출한다.
[회수 공정]
상기 반응 공정에서 생성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수상(水相)에 녹은 상태로 반응기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회수 공정에 있어서 압력 및 온도를 내려, 수상에 용해되어 있는 프로필렌을 기체로 추출하여, 프로필렌을 회수한다. 이 회수 공정에는, 미반응 프로필렌의 분리기로 확립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회수한 프로필렌은, 원료 공급 공정에서의 프로필렌의 회수 탱크에 재투입되어, 원료로 재이용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응 공정, 증류 공정 등에서 큰 열에너지가 필요해지므로, 회수한 프로필렌을 열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제 1 증류 공정]
제 1 증류 공정에서는, 회수 공정에서 프로필렌이 회수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낮은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증류 조작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서는, 물이 과잉이 되는 조건에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합성하고 있으므로, 수상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낮은 저비등점 화합물(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아세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등)이, 종래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물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분리한 후에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하는 편이, 증류탑에 필요한 에너지의 관점에서는 유리하지만,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물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분리하기 전에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한다.
[제 2 증류 공정]
제 2 증류 공정에서는, 제 1 증류 공정에서 저비등점 화합물이 제거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증류 조작을 수행한다. 물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공비 온도는 80℃이며, 제 2 증류 공정에서는, 탑정에서 약 13질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추출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탈수를 수행한다. 한편, 탑저에서는 과잉으로 투입된 물을 추출하여, 회수한다.
제 2 증류 공정에서 회수된 물은, 전공정인 제 1 증류 공정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낮은 저비등점 화합물이 제거되어 있어,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원료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회수된 물을, 원료 공급 공정에서의 물의 회수 탱크에 재투입하여, 물이 과잉이 되는 합성 조건에서 프로필렌과 반응시킴으로써, 부생물이 저감된 고순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할 수 있다.
[기타 공정]
제 2 증류 공정에서 얻어진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추가로, 탈수 공정 및 정제 공정을 거침으로써, 보다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탈수 및 정제 외에, 필터 공정으로 금속이나 무기 입자를 제거할 수도 있고, 이온 교환 수지탑으로 금속 이온을 제거할 수도 있다. 증류 후에 유기 화합물 이외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등의 세정에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반응 공정에서의 부생물의 발생이 억제되는 결과, 반응 공정 후의 정제 공정, 즉 증류 공정이나 여과 공정에 과대한 부하를 주지 않고, 종래의 제조 방법보다 불순물의 농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20 ppb 이하이다.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불순물로서의, 1, 2-프로판디올, 3-메틸-2-펜타논, 2-헥사논, 3, 3-디메틸-2-부탄올, 2, 3-디메틸-2-부탄올, 2-메틸-2-펜타놀, 3-메틸-3-펜타놀, 2-메틸-3-펜타놀,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펜타놀, 2, 2-디메틸-1-부탄올, 2-에틸-1-펜타놀, 2-메틸-1-펜타놀, 3-메틸-1-펜타놀, 4-메틸-1-펜타놀, 2-메틸-2, 4-펜탄디올, 및 2, 3-디메틸-2, 3-부탄디올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20 pp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동시에, 탄소수가 5~12인 불순물로서의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20 pp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동시에, 탄소수가 5~30인 불순물로서의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500 pp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불순물이 고도로 저감되어 있으므로, 여러가지 세정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전자 디바이스용 세정액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불순물은, 세정 공정 후의 건조 공정에서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 전자 디바이스 표면에 남기 쉽지만,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세정 및 건조 후에, 전자 디바이스 표면에 남는 잔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예를 들어, 상술한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로서의 고비등점 화합물은, 직접 수화 반응의 부반응에 기인하는 부생물에 유래한다고 추정된다. 즉,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탄소수가 3인 프로필렌을 원료로 하여 합성되므로, 프로필렌의 2량체를 생성하는 부반응,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2량체가 생성하는 부반응 등의 부반응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특히 탄소수가 6, 9, 12인 탄화수소 화합물이 불순물로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부반응의 반응장(場)에는 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부생물에 수산기나 케톤기가 도입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6, 9, 12인 탄화수소 화합물에 수산기가 도입된 알코올이나, 케톤기가 도입된 케톤이 불순물로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수율만을 추구하여, 반응 공정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가 최대가 되도록 반응 조건을 조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얻어지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 불순물이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반응 공정 후의 증류 공정에 의해, 불순물의 농도를 질량 기준으로 1 ppm 정도까지 저감시키는 것은 가능했지만, 증류 공정만으로 불순물의 농도를 더 저감시키는 것은 어려웠다.
이에 반해,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반응기 내에서의 프로필렌 및 물의 비율을,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물을 1300~2100질량부로 하고,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을, 20분 초과 50분 이하로 함으로써,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수율을 유지하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정제 프로세스에 대한 부하를 과중하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고순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조 방법의 조건을 조정하면,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총량을 보다 적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동시에, 탄소수가 5~12인 불순물로서의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의 합계를, 바람직하게는 1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b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ppb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ppb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불순물로서의, 탄소수가 10 이하인 유기산 골격을 갖는 염 및 그 유도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반응 공정 후의 제 1 증류 공정 및 제 2 증류 공정에 있어서, 저비등점 화합물이 계외로 배출되므로, 고비등점 화합물뿐 아니라 저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도 저감시킬 수 있다. 저비등점 화합물의 일례로는, 원료인 프로필렌에 불순물로 포함되어 있는 탄소수가 4 또는 5인 직쇄상 탄화수소 화합물, 예를 들어, 부탄, 펜탄, 헥산 등의 직쇄상 알칸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다른 예로는, 원료인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프로필렌 올리고머 및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농도를 나타내는 「%」, 「ppm」, 및 「ppb」는, 모두 질량 기준이다.
<농축 방법>
본 개시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불순물이 저감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측정 대상이 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농축하여, 분석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아래에 농축 방법을 나타내지만, 필요에 따라, 하기 조작을 반복하여, 농축의 배율을 변경할 수도 있다.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축 조건으로, 예를 들어, 정밀 증류 장치에서, 증류탑의 탑정온도(塔頂溫度)를 약 82℃로 하고, 24시간, 증류를 수행한다. 정밀 증류 장치에서의 이론단수(理論段數)는 2~30단이며, 이 범위의 단수이면, 증류 및 농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약 82℃에서 24시간 증류를 수행함으로써, 76배로 농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석 목적물의 산화를 막기 위해, 정밀 증류 장치 안은, 미리 질소를 유통시켜, 불활성 분위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류 동안, 증류 후의 유출액(留出液)을 저장하는 액체 집합부에도 질소를 유통시켜,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밀 증류 장치의 환류비를 크게 올리고, 탑정으로부터의 유출액을 얻음으로써 증류 및 농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바이알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넣어, 액면 상부에 질소를 유통시킴으로써, 추가로 고비등점 화합물을 10배로 농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밀 증류 장치와 바이알에서의 농축을 조합한 경우, 76×10=760이 되어, 760배의 농축에 상당한다.
<불순물의 측정 방법>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
본 개시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는 고비등점 화합물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계(이하, 「GC-MS」라고 한다.)를 사용하여, 아래에 나타낸 측정 조건에서 측정했다.
-측정 조건-
장치: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사 제품, 7890A/5975C
분석 칼럼:SUPELCO WAX-10(60 m×0.25 mm, 0.25 μm)
칼럼 온도:35℃(2분간 유지)→5℃/분으로 승온→100℃→10℃/분으로 승온→240℃(6분간 유지)
캐리어 가스:헬륨
캐리어 가스 유량:2mL/분
주입구 온도:240℃
시료 주입법:펄스드스플릿레스(pulsed splitless)법
주입 시 펄스압:90 psi(2분)
스플릿벤트 유량:50mL/분 (2분)
가스 세이버 사용:20mL/분 (5분)
트랜스퍼 라인 온도:240℃
이온원(源), 사중극 온도:230℃, 150℃
스캔 이온:m/Z=25~250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농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얻어진 차트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긴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탄소수가 5~30인 고비등점 유기물의 농도가 검출 하한인 500 ppb 이하라고 평가할 수 있다.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
상기 정성 분석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차트에 피크가 확인된 경우는, 그 피크의 질량 스펙트럼으로부터 라이브러리 검색을 수행하여, 구조를 특정했다. 그 다음, 그 특정된 고비등점 유기물의 표준 물질을 준비하고, 미리 정량된 표준 물질의 피크 면적과 비교함으로써,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고비등점 유기물의 농도를 선택 이온 검출법(SIM)에 의해 정량했다.
-SIM 모니터 이온-
그룹 1 개시 시간:12.7분, m/Z:31, 43, 75(드웰 60)
그룹 2 개시 시간:13.5분, m/Z:45, 56, 75, 59(드웰 45)
그룹 3 개시 시간:16.0분, m/Z:42, 43, 56(드웰 60)
그룹 4 개시 시간:22.0분, m/Z:45, 56, 59, 72(드웰 45)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
본 개시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는 저비등점 화합물은, GC-MS를 사용하여, 아래에 나타낸 측정 조건에서 측정했다.
-측정 조건-
장치: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사 제품, 7890A/5975C
분석 칼럼:SUPELCO WAX-10(60 m×0.25 mm, 0.25 μm)
칼럼 온도:35℃(2분간 유지)→5℃/분으로 승온→100℃→10℃/분으로 승온→240℃(6분간 유지)
캐리어 가스:헬륨
캐리어 가스 유량:2mL/분
주입구 온도:240℃
시료 주입법:스플릿법
스플릿비:1대 10
트랜스퍼 라인 온도:240℃
이온원, 사중극 온도:230℃, 150℃
스캔 이온:m/Z=25~250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농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얻어진 차트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짧은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저비등점 유기물의 농도가 검출 하한인 5000 ppb 이하라고 평가할 수 있다.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
고비등점 화합물의 정량 분석과 마찬가지로, 상기 정성 분석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차트에 피크가 확인된 경우는, 그 피크의 질량 스펙트럼으로부터 라이브러리 검색을 수행하여, 구조를 특정했다. 그 다음, 그 특정된 저비등점 유기물의 표준 물질을 준비하고, 미리 정량된 표준 물질의 피크 면적과 비교함으로써,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저비등점 유기물의 농도를 선택 이온 검출법(SIM)에 의해 정량했다.
-SIM 모니터 이온-
m/Z:29(아세트알데하이드 분석)
m/Z:58(아세톤,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분석)
<실시예 1>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원료인 프로필렌으로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순물로 39972 ppm의 프로판, 20 ppm의 에탄, 8 ppm의 부텐, 0.1 ppm 이하의 펜텐, 및 0.1 ppm 이하의 헥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준비했다. 또한, 원료의 물로는, 촉매인 인텅스텐산을 첨가하여 pH를 3.0으로 조정한 것을 준비했다.
도 1에 나타낸 제조 공정에 따라, 10 L의 내용적을 갖는 반응기에, 110℃로 가온한 물을 18.4 kg/h(밀도 920 kg/m3이므로, 20 L/h)의 공급량으로 투입하는 동시에, 프로필렌을 1.2 kg/h의 공급량으로 투입했다(원료 공급 공정).
이 때의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은 30분이며,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물을 1500질량부 공급하고 있는 것이 된다. 반응기 내에서의 반응 온도를 280℃, 반응 압력을 250 atm으로 하여, 프로필렌과 물을 반응시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얻었다(반응 공정).
이어서, 반응 공정에서 생성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140℃까지 냉각하고, 압력을 18 atm으로 감압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에 포함되는 물에 용해되어 있는 프로필렌을 기체로 회수했다(회수 공정). 회수한 프로필렌은, 원료로 재이용하기 위해, 프로필렌의 회수 탱크에 투입했다.
프로필렌을 회수한 반응 혼합물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전화율은 84.0%이며, 프로필렌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은 99.2%이며,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는 7.8%였다.
이어서, 증류탑을 이용하여, 프로필렌 회수 후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낮은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했다(제 1 증류 공정).
이어서, 증류탑의 탑저(塔底)에서 반응 혼합물을 추출하고, 증류탑을 이용하여, 물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분리했다(제 2 증류 공정).
탑저에서 추출하여 회수한 물은, 온도를 110℃, 압력을 1.5 atm의 조건으로 하고, 원료로 재이용하기 위해, 물의 회수 탱크에 투입했다. 또한, 회수한 물의 pH가 3.0을 유지하도록, 인텅스텐산을 첨가하여, 조정을 수행했다.
한편, 탑정에서 추출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물이 약 13% 포함되어 있으므로, 탈수를 수행하는 증류 공정, 추가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정제하기 위한 증류 공정을 수행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얻었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불순물의 분석]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정량했다. 그 결과,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0.3 ppm의 1-프로판올 및 4 ppm의 터셔리 부탄올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긴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5~30인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상술한 농축 방법에 따라 농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피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량을 수행하기 위해,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마찬가지로, 불순물로서의, 1, 2-프로판디올, 3-메틸-2-펜타논, 2-헥사논, 3, 3-디메틸-2-부탄올, 2, 3-디메틸-2-부탄올, 2-메틸-2-펜타놀, 3-메틸-3-펜타놀, 2-메틸-3-펜타놀,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펜타놀, 2, 2-디메틸-1-부탄올, 2-에틸-1-펜타놀, 2-메틸-1-펜타놀, 3-메틸-1-펜타놀, 4-메틸-1-펜타놀, 2-메틸-2, 4-펜탄디올, 및 2, 3-디메틸-2, 3-부탄디올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한편,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짧은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0.5 ppm, 아세톤의 농도는 0.2 ppm, 프로피온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 ppm이었다.
그리고, 고비등점 화합물로 포함되는 터셔리 부탄올은, 원료인 프로필렌에 포함되는 부텐에 유래하는 것이지만, 비등점이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동일한 82.4℃이므로, 분리할 수 없었다.
<실시예 2>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물의 공급량을 13.8 kg/h(밀도 920 kg/m3이므로, 15 L/h)로 하고, 프로필렌의 공급량을 0.9 kg/h로 하고,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을 40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했다.
그리고, 프로필렌을 회수한 반응 혼합물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전화율은 86.4%이며, 프로필렌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은 98.9%이며,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는 8.0%였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불순물의 분석]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정량했다. 그 결과,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0.4 ppm의 1-프로판올 및 4 ppm의 터셔리 부탄올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긴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5~30인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상술한 농축 방법에 따라 농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피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량을 수행하기 위해,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마찬가지로, 불순물로서의, 1, 2-프로판디올, 3-메틸-2-펜타논, 2-헥사논, 3, 3-디메틸-2-부탄올, 2, 3-디메틸-2-부탄올, 2-메틸-2-펜타놀, 3-메틸-3-펜타놀, 2-메틸-3-펜타놀,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펜타놀, 2, 2-디메틸-1-부탄올, 2-에틸-1-펜타놀, 2-메틸-1-펜타놀, 3-메틸-1-펜타놀, 4-메틸-1-펜타놀, 2-메틸-2, 4-펜탄디올, 및 2, 3-디메틸-2, 3-부탄디올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한편,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짧은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0.5 ppm, 아세톤의 농도는 0.2 ppm, 프로피온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 ppm이었다.
<실시예 3>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원료인 프로필렌으로서, 불순물로 19956 ppm의 프로판, 40 ppm의 에탄, 4 ppm의 부텐, 0.1 ppm 이하의 펜텐, 및 0.1 ppm 이하의 헥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했다.
그리고, 프로필렌을 회수한 반응 혼합물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전화율은 84.3%이며, 프로필렌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은 99.1%이며,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는 8.0%였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불순물의 분석]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정량했다. 그 결과,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0.3 ppm의 1-프로판올 및 2 ppm의 터셔리 부탄올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긴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5~30인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상술한 농축 방법에 따라 농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피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량을 수행하기 위해,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마찬가지로, 불순물로서의, 1, 2-프로판디올, 3-메틸-2-펜타논, 2-헥사논, 3, 3-디메틸-2-부탄올, 2, 3-디메틸-2-부탄올, 2-메틸-2-펜타놀, 3-메틸-3-펜타놀, 2-메틸-3-펜타놀,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펜타놀, 2, 2-디메틸-1-부탄올, 2-에틸-1-펜타놀, 2-메틸-1-펜타놀, 3-메틸-1-펜타놀, 4-메틸-1-펜타놀, 2-메틸-2, 4-펜탄디올, 및 2, 3-디메틸-2, 3-부탄디올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한편,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짧은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0.5 ppm, 아세톤의 농도는 0.2 ppm, 프로피온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 ppm이었다.
<실시예 4>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물의 공급량을 18.4 kg/h(밀도 920 kg/m3이므로, 20 L/h)로 하고, 프로필렌의 공급량을 0.9 kg/h로 하고,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한 물의 공급량을 200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했다.
그리고, 프로필렌을 회수한 반응 혼합물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전화율은 86.2%이며, 프로필렌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은 99.2%이며,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는 6.0%였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불순물의 분석]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정량했다. 그 결과,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0.2 ppm의 1-프로판올 및 4 ppm의 터셔리 부탄올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긴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5~30인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상술한 농축 방법에 따라 농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피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량을 수행하기 위해,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마찬가지로, 불순물로서의, 1, 2-프로판디올, 3-메틸-2-펜타논, 2-헥사논, 3, 3-디메틸-2-부탄올, 2, 3-디메틸-2-부탄올, 2-메틸-2-펜타놀, 3-메틸-3-펜타놀, 2-메틸-3-펜타놀,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펜타놀, 2, 2-디메틸-1-부탄올, 2-에틸-1-펜타놀, 2-메틸-1-펜타놀, 3-메틸-1-펜타놀, 4-메틸-1-펜타놀, 2-메틸-2, 4-펜탄디올, 및 2, 3-디메틸-2, 3-부탄디올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하한인 20 ppb 이하였다.
한편,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짧은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0.5 ppm, 아세톤의 농도는 0.2 ppm, 프로피온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 ppm이었다.
<비교예 1>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물의 공급량을 18.4 kg/h(밀도 920 kg/m3이므로, 20 L/h)로 하고, 프로필렌의 공급량을 1.5 kg/h로 하고,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한 물의 공급량을 120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했다.
그리고, 프로필렌을 회수한 반응 혼합물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전화율은 77.1%이며, 프로필렌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은 99.0%이며,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는 9.0%였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불순물의 분석]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정량했다. 그 결과,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0.3 ppm의 1-프로판올 및 4 ppm의 터셔리 부탄올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긴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5~30인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상술한 농축 방법에 따라 농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피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량을 수행하기 위해,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의 농도는 37 ppb이며, 2-메틸-3-펜타논의 농도는 35 ppb이며, 4-메틸-2-펜타논의 농도는 36 ppb였다.
한편,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짧은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0.5 ppm, 아세톤의 농도는 0.2 ppm, 프로피온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 ppm이었다.
이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4와 비교하여, 반응 혼합물 중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농도가 1.1~1.5배가 되어 있어, 수율이 올라 있지만, 얻어지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20 ppb를 웃돌고 있어, 실시예 1~4보다 순도가 낮았다.
<비교예 2>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물의 공급량을 9.2 kg/h(밀도 920 kg/m3이므로, 10 L/h)로 하고, 프로필렌의 공급량을 0.6 kg/h로 하고,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을 60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했다.
그리고, 프로필렌을 회수한 반응 혼합물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전화율은 88.8%이며, 프로필렌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의 선택률은 98.3%이며,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농도는 8.2%였다.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불순물의 분석]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정량했다. 그 결과,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는, 0.5 ppm의 1-프로판올 및 4 ppm의 터셔리 부탄올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긴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5~30인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상술한 농축 방법에 따라 농축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에 대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정성 분석으로 검출된 피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량을 수행하기 위해,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고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의 농도는 45 ppb이며, 2-메틸-3-펜타논의 농도는 41 ppb이며, 4-메틸-2-펜타논의 농도는 50 ppb였다.
한편, 얻어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대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성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유지 시간이 짧은 영역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5000 ppb 이하라고 평가했다.
그 다음, 농축되지 않은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술한 [저비등점 화합물의 측정 방법(정량 분석)]의 방법으로 GC-MS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0.5 ppm, 아세톤의 농도는 0.2 ppm, 프로피온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 ppm이었다.
이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1~4와 비교하여, 반응 혼합물 중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농도가 동등 정도가 되어 있어, 수율이 유지되고 있지만, 얻어지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의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는 20 ppb를 웃돌고 있어, 실시예 1~4보다 순도가 낮았다.
반응온도[℃] 반응압력[atm] 공급비
물[kg/hr]/프로필렌[kg/hr]
물의 체재시간[분] pH 원료 프로필렌
프로필렌[%] 프로판[ppm] 에탄[ppm] 부텐[ppm] 펜텐[ppm] 헥센[ppm]
실시예 1 280 250 15 30 3 96 39972 20 8 0.1 이하 0.1 이하
실시예 2 280 250 15 40 3 96 39972 20 8 0.1 이하 0.1 이하
실시예 3 280 250 15 30 3 98 19956 40 4 0.1 이하 0.1 이하
실시예 4 280 250 20 30 3 96 39972 20 8 0.1 이하 0.1 이하
비교예 1 280 250 12 30 3 96 39972 20 8 0.1 이하 0.1 이하
비교예 2 280 250 15 60 3 96 39972 20 8 0.1 이하 0.1 이하
프로필렌전화율[%] 2-프로판올선택률[%] 반응혼합물중 2-프로판올 농도[%] 2-프로판올의 분석 결과
저비등점 화합물 고비등점 화합물
1-프로판올[ppm] 터셔리 부탄올[ppm] 아세트알데하이드[ppm] 아세톤[ppm] 프로피온알데하이드[ppm] 4-메틸-2-펜탄올[ppb] 2-메틸-3-펜타논[ppb] 4-메틸-2-펜타논[ppb]
실시예 1 84.0 99.2 7.8 0.3 4 0.5 0.2 1 20이하 20이하 20이하
실시예 2 86.4 98.9 8.0 0.4 4 0.5 0.2 1 20이하 20이하 20이하
실시예 3 84.3 99.1 8.0 0.3 2 0.5 0.2 1 20이하 20이하 20이하
실시예 4 86.2 99.2 6.0 0.2 4 0.5 0.2 1 20이하 20이하 20이하
비교예 1 77.1 99.0 9.0 0.3 4 0.5 0.2 1 37 35 36
비교예 2 88.8 98.3 8.2 0.5 4 0.5 0.2 1 45 41 50
2016년 6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2016-120761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5)

  1. 프로필렌에 물을 직접 수화시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제조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으로서,
    프로필렌 및 pH가 2.5~4.5인 물을 반응기에 공급하는 원료 공급 공정;
    상기 반응기 내에 있어서, 프로필렌과 물을 반응시키는 반응 공정;
    상기 반응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 혼합물로부터 프로필렌을 회수하는 회수 공정;
    상기 회수 공정에서 프로필렌이 회수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낮은 저비등점 화합물을 제거하는 제 1 증류 공정; 및
    상기 제 1 증류 공정에서 저비등점 화합물이 제거된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얻는 제 2 증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 내에서의 프로필렌 및 물의 비율이, 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물이 1300~2100질량부이며, 상기 반응기 내에서의 물의 체재 시간이, 20분 초과 50분 이하인,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 공정에 있어서, 순도가 98질량% 이상인 프로필렌을 원료로 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3. 불순물로서의, 4-메틸-2-펜타놀, 2-메틸-3-펜타논, 및 4-메틸-2-펜타논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20 ppb 이하인 이소프로필 알코올.
  4. 제 3항에 있어서,
    불순물로서의, 1, 2-프로판디올, 3-메틸-2-펜타논, 2-헥사논, 3, 3-디메틸-2-부탄올, 2, 3-디메틸-2-부탄올, 2-메틸-2-펜타놀, 3-메틸-3-펜타놀, 2-메틸-3-펜타놀, 1-헥산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펜타놀, 2, 2-디메틸-1-부탄올, 2-에틸-1-펜타놀, 2-메틸-1-펜타놀, 3-메틸-1-펜타놀, 4-메틸-1-펜타놀, 2-메틸-2, 4-펜탄디올, 및 2, 3-디메틸-2, 3-부탄디올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20 ppb 이하인 이소프로필 알코올.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보다 비등점이 높은 동시에, 탄소수가 5~30인 불순물로서의 고비등점 화합물의 농도가, 모두 질량 기준으로 500 ppb 이하인 이소프로필 알코올.
KR1020187033332A 2016-06-17 2017-06-06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 Active KR102313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0761 2016-06-17
JP2016120761 2016-06-17
PCT/JP2017/020929 WO2017217279A1 (ja) 2016-06-17 2017-06-06 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及び不純物が低減された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60A true KR20190019060A (ko) 2019-02-26
KR102313108B1 KR102313108B1 (ko) 2021-10-15

Family

ID=6066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332A Active KR102313108B1 (ko) 2016-06-17 2017-06-06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35399B2 (ko)
KR (1) KR102313108B1 (ko)
TW (1) TWI745381B (ko)
WO (1) WO2017217279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735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 방법
WO2022235025A1 (ko) * 2021-05-06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KR20220161915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KR20220161920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WO2024034794A1 (ko) * 2022-08-11 2024-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WO2024043443A1 (ko) *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US12017978B2 (en) 2020-06-23 2024-06-25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isopropyl alcohol
WO2025053403A1 (ko) * 2023-09-08 2025-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WO2025053397A1 (ko) * 2023-09-08 2025-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WO2025105772A1 (ko) * 2023-11-15 2025-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정제 방법
WO2025105775A1 (ko) * 2023-11-15 2025-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73B1 (ko) * 2018-10-03 2021-12-02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고순도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그 제조 방법
CN112771015B (zh) * 2018-10-05 2023-07-04 株式会社德山 异丙醇的制造方法
US20230121726A1 (en) * 2020-04-02 2023-04-20 Tokuyama Corporation Semiconductor treatment liqu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8742996A (zh) * 2022-03-16 2024-10-01 株式会社德山 半导体清洗液及半导体清洗液的制造方法
TWI815364B (zh) * 2022-03-22 2023-09-11 金兆鎔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級異丙醇回收純化方法及系統
JPWO2024004833A1 (ko) 2022-06-30 2024-01-04
WO2024257504A1 (ja) * 2023-06-13 2024-12-19 株式会社トクヤマ 半導体薬液および半導体薬液の製造方法
WO2025052876A1 (ja) * 2023-09-07 2025-03-13 株式会社トクヤマ 精製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水溶液の製造方法
JP7607852B1 (ja) * 2023-09-07 2024-12-27 株式会社トクヤマ 精製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水溶液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79A (ja) 1993-10-21 1995-05-09 Inax Corp ハンドドライヤー
KR20030007838A (ko) * 2000-06-02 2003-01-23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초고순도 이소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WO2009104597A1 (ja) 2008-02-21 2009-08-27 三井化学株式会社 2-プロパノールの製造方法
US20110094872A1 (en) * 2009-09-16 2011-04-28 Zhan Jiarong Method for producing of ultra-clean and high-purity electronic grade reagents
JP2015524818A (ja) 2012-09-06 2015-08-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22411B1 (ko) * 1964-11-24 1967-02-02
JPS4936203B1 (ko) * 1969-05-08 1974-09-28
JPS5345082B2 (ko) * 1972-07-08 1978-12-04
US4428753A (en) * 1981-06-25 1984-01-31 Chevron Research Company Continuous extractive blending process
JPS5982326A (ja) * 1982-11-04 1984-05-12 Tokuyama Soda Co Ltd 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S5982324A (ja) * 1982-11-04 1984-05-12 Tokuyama Soda Co Ltd 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DE3628008C1 (ko) * 1986-08-19 1987-11-05 Deutsche Texaco Ag, 2000 Hamburg, De
JPH1176830A (ja) * 1997-09-12 1999-03-23 Mitsui Chem Inc 有機ポリマー被覆イオン交換樹脂触媒およびその触媒を用いたオレフィンの水和方法
JP4738757B2 (ja) * 2003-05-28 2011-08-03 三井化学株式会社 水酸基含有化合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79A (ja) 1993-10-21 1995-05-09 Inax Corp ハンドドライヤー
KR20030007838A (ko) * 2000-06-02 2003-01-23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초고순도 이소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JP2003535836A (ja) 2000-06-02 2003-12-02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超高純度イソプロパノールの製造方法
WO2009104597A1 (ja) 2008-02-21 2009-08-27 三井化学株式会社 2-プロパノールの製造方法
US20110094872A1 (en) * 2009-09-16 2011-04-28 Zhan Jiarong Method for producing of ultra-clean and high-purity electronic grade reagents
JP2015524818A (ja) 2012-09-06 2015-08-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유기 합성 화학 협회지, Vol. 35(9), 761-766(1977)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735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 방법
US12017978B2 (en) 2020-06-23 2024-06-25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isopropyl alcohol
US12122740B2 (en) 2021-05-06 2024-10-22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isopropyl alcohol
WO2022235025A1 (ko) * 2021-05-06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KR20220151452A (ko) *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KR20220161915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KR20220161920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WO2022255576A1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WO2022255575A1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US20240174585A1 (en) * 2021-05-31 2024-05-30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isopropyl alcohol
WO2024034794A1 (ko) * 2022-08-11 2024-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WO2024043443A1 (ko) *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WO2025053403A1 (ko) * 2023-09-08 2025-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WO2025053397A1 (ko) * 2023-09-08 2025-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WO2025105772A1 (ko) * 2023-11-15 2025-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정제 방법
WO2025105775A1 (ko) * 2023-11-15 2025-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45381B (zh) 2021-11-11
JP6935399B2 (ja) 2021-09-15
TW201819347A (zh) 2018-06-01
KR102313108B1 (ko) 2021-10-15
WO2017217279A1 (ja) 2017-12-21
JPWO2017217279A1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060A (ko)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조 방법 및 불순물이 저감된 이소프로필 알코올
EP2279156B1 (en) Diisobutylene process
EP3233775B1 (en)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glycols
KR20130069788A (ko) 트랜스-1,4-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세인의 제조 방법
KR102486605B1 (ko) 공액 디엔의 제조 방법
KR101053812B1 (ko) 올레핀의 에폭시화 방법
CN102452934A (zh) 一种乙酸仲丁酯的制备方法
JP5305036B2 (ja) ジメチ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5044947B2 (ja) カルボン酸あるいは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0873584B1 (ko) 이소부틸렌 및 메탄올의 제조방법
EP1484300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ylene glycols using homogeneous catalysts
JP2016522803A (ja) ニトロベンゼン製造からの廃水の後処理方法
EP2275396B1 (en) Purification of 1,1,1,3,3,3-hexafluoroisopropanol
KR20190138801A (ko) 인단카르보알데히드의 제조방법
CN112759498B (zh) 一种甲基叔丁基醚分解制异丁烯的方法
US8269036B2 (en) Processes for producing an oxalate by coupling of CO
EP3124463A1 (en) Method for producing cyclopentyl alkyl ether compound
US6693222B2 (en) Process for splitting water-soluble ethers
JPH09169688A (ja) イソホロンの製造方法
KR102325331B1 (ko) 터트-부탄올로부터 이소부틸렌의 제조방법
KR101786910B1 (ko)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의 제조 방법
KR20230070004A (ko) 1,2-프로판디올의 제조 방법
JP2009035522A (ja) シクロペンチル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WO2005023793A2 (en) Direct synthesis of di-heteroatom containing cyclic organic compounds
EP3438101A1 (en) Process for the epoxidation of prop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