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971A -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Google Patents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6971A KR20190016971A KR1020187036667A KR20187036667A KR20190016971A KR 20190016971 A KR20190016971 A KR 20190016971A KR 1020187036667 A KR1020187036667 A KR 1020187036667A KR 20187036667 A KR20187036667 A KR 20187036667A KR 20190016971 A KR20190016971 A KR 201900169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halogen atom
- heart disease
- group
- hydrogen ato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2059 diagnostic ima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102100024329 Cytochrome P450 11B2,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108010009911 Cytochrome P-450 CYP11B2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032 diagnostic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40039227 diagnostic agen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0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08000031225 myocardial isch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0302 ischem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1 chlorine-34m Chemical compound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08000015210 hypertensive heart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8000009525 Myocard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06010019280 Heart failur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ZCYVEMRRCGMTRW-AHCXROLUSA-N Iodine-123 Chemical compound [123I] ZCYVEMRRCGMTRW-AHCXROLU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KRHYYFGTRYWZRS-BJUDXGSMSA-N ac1l2y5h Chemical compound [18FH] KRHYYFGTRYWZRS-BJUDXGSM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claims description 5
- XMBWDFGMSWQBCA-OIOBTWANSA-N iodane Chemical compound [124IH] XMBWDFGMSWQBCA-OIOBTWAN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600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CPELXLSAUQHCOX-AHCXROLUSA-N ac1l4zwb Chemical compound [76BrH] CPELXLSAUQHCOX-AHCXROLU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2768 hydroxy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BJUDXGSMSA-N carbon-11 Chemical compound [11C] OKTJSMMVPCPJKN-BJUDXGSM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04476 Acute Coronary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02383 Angina Pector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31229 Cardiomyopathi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56370 Congestive cardiomyopat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10046 Dilated cardiomyopat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4433 nitrogen atom Chemical group 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125000001183 hydrocarb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125000000547 substituted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09
- 210000005003 hear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44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0376 autorad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2744 immuno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5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10410 reper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125000004777 2-fluoro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F)C([H])([H])*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211 autoradi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06010016654 Fib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761 fibr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2962 imidazol-1-yl group Chemical group [*]N1C([H])=NC([H])=C1[H] 0.000 description 10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603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JOXIMZWYDAKGHI-UHFFFAOYSA-N toluene-4-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S(O)(=O)=O)C=C1 JOXIMZWYDAKG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0724 Wisteria floribun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7
- HYZJCKYKOHLVJF-UHFFFAOYSA-N 1H-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NC=NC2=C1 HYZJCKYKOHLV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40125904 compound 1 Drug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308 synthesi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IWKPBJCKXDKJR-UHFFFAOYSA-N Isoflurane Chemical compound FC(F)OC(Cl)C(F)(F)F PIWKPBJCKXDKJ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40125782 compound 2 Drug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60002725 isoflurane Drug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6165 cyclic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16 imag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8867 isch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1449 is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454 renin-angiotensin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KJDSORYAHBAGPP-UHFFFAOYSA-N 4-(3,4-diaminophenyl)benzene-1,2-diamine;hydron;tetr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l.Cl.C1=C(N)C(N)=CC=C1C1=CC=C(N)C(N)=C1 KJDSORYAHBAGP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MUBZPKHOEPUJKR-UHFFFAOYSA-N Ox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O MUBZPKHOEPUJ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559 cycl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1([H])C([H])([H])C1([H])*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490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206 nuclear medicin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VTSJUNGAWKHPZ-BMILMZPDSA-N 1-(2-fluoroethyl)-2-[5-(imidazol-1-ylmethyl)pyridin-3-yl]-6-(123I)iodanyl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FCCN1C(=NC2=C1C=C(C=C2)[123I])C=1C=NC=C(C=1)CN1C=NC=C1 OVTSJUNGAWKHPZ-BMILMZPDSA-N 0.000 description 2
- ZROZRIKRPGMZBK-UHFFFAOYSA-N 2-iodo-1h-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NC(I)=NC2=C1 ZROZRIKRPGMZ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349 3-pyridyl group Chemical group N1=C([H])C([*])=C([H])C([H])=C1[H] 0.000 description 2
- PQSUYGKTWSAVDQ-ZVIOFETBSA-N Aldosterone Chemical compound C([C@@]1([C@@H](C(=O)CO)CC[C@H]1[C@@H]1CC2)C=O)[C@H](O)[C@@H]1[C@]1(C)C2=CC(=O)CC1 PQSUYGKTWSAVDQ-ZVIOFETBSA-N 0.000 description 2
- PQSUYGKTWSAVDQ-UHFFFAOYSA-N Aldostero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O)CO)C3(C=O)CC(O)C2C2(C)C1=CC(=O)CC2 PQSUYGKTWSAVD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2
- AEMRFAOFKBGASW-UHFFFAOYSA-N 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O)=O AEMRFAOFKBGA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100219207 Homo sapiens CYP11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CTONWCANYUPML-UHFFFAOYSA-N Pyruv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LCTONWCANYUP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TQVDTLACAAQTR-UHFFFAOYSA-N 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F DTQVDTLACAAQT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00 adrenal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478 aldoster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797 benz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C([H])([H])*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2
- 229940126214 compound 3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51 coronary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073 fluorescence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3403 hyperac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694 lewis ra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07 myocard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23 n-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36 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H] 0.000 description 2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Substances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7 slaught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BYIENPQHBMVBV-HFEGYEGKSA-N (2R)-2-hydroxy-2-phenyl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C(O)=O)c1ccccc1.O[C@@H](C(O)=O)c1ccccc1 QBYIENPQHBMVBV-HFEGYEGK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002 1,1-difluoroeth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776 1-fluoro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F)* 0.000 description 1
- SVPKNMBRVBMTLB-UHFFFAOYSA-N 2,3-dichloronaphthalene-1,4-di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Cl)=C(Cl)C(=O)C2=C1 SVPKNMBRVBMTL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MYNFMYTOJXKLE-UHFFFAOYSA-N 3-azaniumyl-2-hydroxypropanoate Chemical compound NCC(O)C(O)=O BMYNFMYTOJXK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XVNUTHBSLNKBX-UHFFFAOYSA-N 6-chloro-5-fluoro-1-(2-fluoroethyl)-2-[5-(imidazol-1-ylmethyl)pyridin-3-yl]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lC=1C(=CC2=C(N(C(=N2)C=2C=NC=C(C=2)CN2C=NC=C2)CCF)C=1)F WXVNUTHBSLNK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group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68 Adrenal Cortex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888 Adrenocortical Ade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group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602 Cardiac Myos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1609 Cardiac Myos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558 Cardiac failure chron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998 Conn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70803 Cyp11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70719 Cytochrome P450 11B2, mitochondria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49988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WYDHOAUDWTVEP-UHFFFAOYSA-N R-2-phenyl-2-hydroxyace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O)C1=CC=CC=C1 IWYDHOAUDWTV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7 Rattus norveg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774 Ventricular Remode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295 Ventricular hyper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15 a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234 adrenal cortex ade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354 adrenal cortical ade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88 aut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1 blood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NUQCWPJISA-N 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14C](=O)CC[14C](O)=O KDYFGRWQOYBRFD-NUQCWPJI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84 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62 carboxylic acid ester group Chemical group [H]C([H])([*:2])OC(=O)C([H])([H])[*:1]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70 computed tomography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5 cyclobutyl group Chemical group [H]C1([H])C([H])([H])C([H])(*)C1([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511 cyclo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1([H])C([H])([H])C([H])([H])C([H])(*)C1([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GHCXAZHFPONAE-UHFFFAOYSA-N ethanesulfonic acid;4-methylbenze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S(O)(=O)=O.CC1=CC=C(S(O)(=O)=O)C=C1 UGHCXAZHFPON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1 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C([H])([H])O*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216 fluoro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F)*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30 fum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277 halobenz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75 halogen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16 hypothalam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3 immu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49 immu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9 iso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72 iso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C([H])([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510 mande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2 minera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65 myocard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740 n-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71 neo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C(C([H])([H])[H])(C([H])([H])[H])C([H])([H])[H]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60 nitril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08 ox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HRLEVQXOMLTIM-UHFFFAOYSA-N phosphoric acid;trioxomolybdenum Chemical compound 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P(O)(O)=O DHRLEVQXOMLT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144 pneumothorax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846 primary aldosteron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72 propoxy group Chemical group [*]OC([H])([H])C(C([H])([H])[H])([H])[H]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700 pyruv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63 radioactive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4 sec-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C([H])([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39 systemic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99 tert-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C([H])([H])[H])C([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73 tert-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C([H])([H])[H])C([H])([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1—Heterocyclic compounds
- A61K51/04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 A61K51/04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1—Heterocyclic compounds
- A61K51/04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 A61K51/04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9—Parenteral nutrition; Parenteral nutrition compositions as drug carri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3/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질환의 병변을 비침습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에 결합능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에 관한 것이다.
만성 심부전에서는 심장에 있어서 심실비대나 섬유화 등의 좌실 리모델링이 진행되지만,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의 항진이 이 과정에 관련되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RAAS는 체내에서 혈압을 조정하는 순환계의 조절 기구이지만, 최근, 이 전신 순환계의 RAAS에 추가해서, 심장 국소에서의 RAAS나 알도스테론 합성계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는 인간 부전심에서 알도스테론이 합성·분비되고 있는 것이 심장 카테터 검사의 채혈로 나타내어진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2에는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인 CYP11B2의 유전자 발현이 항진되어 있는 것이 부검심을 이용한 검토에서 명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CYP11B2의 유전자 발현의 항진이 심근의 섬유화나 심장 기능 장해와 관련되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CYP11B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화합물을 여러가지 개발하여 CYP11B2를 선택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3, 비특허문헌 3∼5).
심혈관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부신의 병변을 묘출하여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화상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CYP11B2에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는 방사성 화합물도 여러가지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4∼11, 비특허문헌 6).
Mizuno, Y. et al, Circulation, vol.103, p.72-7(2001)
Satoh, M. et al., Clinical Science, vol.102, p.381-386(2002)
Grombein, C. M.,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89, p.597-605(2015)
Grombein, C. M.,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90, p.788-796(2015)
Martin, R. E.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58, p.8054-8065(2015)
Abe, T.,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 Metabolism, vol.101, p.1008-1015(2016)
심장에서의 CYP11B2의 발현을 검출하는 것이 심부전 등 심질환의 진행 과정의 평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들 병변을 검출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방법은 현재 존재하고 있지 않다.
생체내에 있어서의 분자 레벨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로 단일광자 단층촬영(SPECT) 및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을 사용한 핵의학 진단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4∼11 및 비특허문헌 6에는 CYP11B2에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는 SPECT 또는 PET용 트레이서가 보고되어 있지만, 이들은 부신을 표적으로 한 것이며, 심장에서의 이미징에 적합한지라는 점은 명백하게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심질환 환자의 심장 국소에서의 CYP11B2의 발현이 핵의학 진단으로 묘출 가능한 레벨까지 항진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지견은 아직 얻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심질환의 병변을 비침습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에 결합능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질환의 병변을 비침습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합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조직 절편을 이용한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가 절편의 전체도이며, (b)가 비허혈 부위의 확대도이며, (c) 및 (d)가 허혈 재관류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2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투여한 개체의 오토라디오그램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을 심기부로부터 심첨부를 향해서 배열한 도면이며, (b)는 (a) 중, 파선으로 둘러싼 오토라디오그램을 90도 회전시킨 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b)에서 나타내는 심장조직 절편의 인접 절편의 염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HE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d)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 및 5㎛ol/L의 6-클로로-5-플루오로-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h)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 및 5㎛ol/L의 6-클로로-5-플루오로-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 및 5㎛ol/L의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 및 5㎛ol/L의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이용한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 및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 및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이용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의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한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 상에 설정한 ROI(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의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개체별로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한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 상에 설정한 ROI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의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개체별로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정상 래트 및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제작후 1일, 3일 및 1주간의 래트 심장을 이용한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의 오토라디오그래피 및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의 SPECT 이미징 화상을 Computed Tomography 화상과 겹쳐서 표시한 도면이다. (a)가 정상 래트의 단축 단면 화상이며, (b)가 정상 래트의 수평 장축 단면 화상이며, (c)가 정상 래트의 수직 장축 단면 화상이며, (d)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단축 단면 화상이며, (e)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수평 장축 단면 화상이며, (f)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수직 장축 단면 화상이다.
도 10은 심근염 모델 래트 및 정상 래트의 각 심장조직 절편을 이용한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b)는 (a)의 확대도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d)는 (c)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의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d)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f)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 및 정상 래트의 각 심장조직 절편을 이용한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b)는 (a)의 확대도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d)는 (c)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의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d)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f)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을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조직 절편을 이용한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가 절편의 전체도이며, (b)가 비허혈 부위의 확대도이며, (c) 및 (d)가 허혈 재관류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2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투여한 개체의 오토라디오그램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을 심기부로부터 심첨부를 향해서 배열한 도면이며, (b)는 (a) 중, 파선으로 둘러싼 오토라디오그램을 90도 회전시킨 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b)에서 나타내는 심장조직 절편의 인접 절편의 염색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HE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d)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 및 5㎛ol/L의 6-클로로-5-플루오로-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h)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 및 5㎛ol/L의 6-클로로-5-플루오로-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 및 5㎛ol/L의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 및 5㎛ol/L의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이용한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 및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 및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이용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의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한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 상에 설정한 ROI(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화합물 [18F]1)의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개체별로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한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 상에 설정한 ROI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의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개체별로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정상 래트 및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제작후 1일, 3일 및 1주간의 래트 심장을 이용한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의 오토라디오그래피 및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화합물 [123I]2)의 SPECT 이미징 화상을 Computed Tomography 화상과 겹쳐서 표시한 도면이다. (a)가 정상 래트의 단축 단면 화상이며, (b)가 정상 래트의 수평 장축 단면 화상이며, (c)가 정상 래트의 수직 장축 단면 화상이며, (d)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단축 단면 화상이며, (e)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수평 장축 단면 화상이며, (f)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수직 장축 단면 화상이다.
도 10은 심근염 모델 래트 및 정상 래트의 각 심장조직 절편을 이용한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b)는 (a)의 확대도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d)는 (c)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의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d)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f)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 및 정상 래트의 각 심장조직 절편을 이용한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b)는 (a)의 확대도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d)는 (c)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의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d)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f)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을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는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을 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화합물 [123I]3)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에 결합능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이다. 본 발명의 화상 진단제에 따르면, 심장의 섬유화가 진행되고 있는 부위를 묘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란, 핵의학 진단에 이용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또는 단일광자 단층촬영(SPECT)에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심질환」이란, 허혈성 심질환과 비허혈성 심질환을 포함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심장의 섬유화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며, 일례로서 심부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허혈성 심질환」이란, 심근허혈에 의해 발생하는 심질환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관동맥성 심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급성 관증후군, 허혈성 심부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허혈성 심질환」이란, 심근염, 고혈압성 심질환, 확장형 심근증, 비대형 심근증, 비허혈성 심부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성 표식 화합물」이란, 핵의학 진단에서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식된 화합물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성 동위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11, 불소-18, 염소-34m, 브롬-76, 요오드-123 또는 요오드-124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는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탄소-11, 불소-18, 염소-34m, 요오드-124 등의 양전자 방출 핵종을 사용한 경우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용 화상 진단제로서 이용할 수 있고, 방사성 할로겐 원자로서 요오드-123을 사용한 경우는 단일광자 단층촬영용 화상 진단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에 결합능을 갖는」이란, 인간 CYP11B2에 대하여 결합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에 결합능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로서는 인간 CYP11B2에 대하여 결합능을 갖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미국 출원 공개 2005/00330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09-539822호 공보에 기재된 부신피질선종이나 부신피질암에 친화성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이나, 일본 특허 공표 2013-5349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4-1293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5-0938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5-0938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5-0938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5-1105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5-193545호 공보,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에 기재된 CYP11B2 선택성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표 2013-5122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1-5207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1-5258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2-5267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3-510896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4-526539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4-5270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14-533736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의 구성 원소의 하나를 상술의 방사성 동위원소로 치환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방사성 표식 화합물은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것이다.
상기 일반식(1)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CO2Ra를 나타낸다.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CO2Ra를 나타낸다.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R4는 수소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R5는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5의 쇄상 알킬기,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3∼5의 환상 알킬기, 탄소수 1∼5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o-, p- 또는 m-할로벤질기를 나타낸다. A는 CH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낸다. X1 및 X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X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니트릴기를 나타내지만, X1, X2 및 X3 중 적어도 1개는 할로겐원자이다.
상기 일반식(1)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있어서, 「CO2Ra」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이다.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알킬기는 직쇄이어도 분기쇄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이다. 「CO2Ra」로서는 Ra가 메틸기인 「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1)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있어서, 「할로겐원자」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1)의 화합물에 있어서, 「히드록시알킬기」란, -(CH2)mOH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다. 예를 들면, 일반식(1) 중, R3에 있어서는 m이 1∼10의 정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3의 정수이다. 일반식(1) 중, R5에 있어서는 m이 1∼5의 정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3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1)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있어서, 「알콕시기」란,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가 산소원자에 결합한 기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이다.
상기 일반식(1)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있어서, 「쇄상 알킬기」로서는 비환상 알킬기이며,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tert-펜틸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쇄상 알킬기는 1 또는 2 이상의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불소원자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메틸기, 1-플루오로에틸기, 1,1-디플루오로에틸기, 1,1,1-트리플루오로에틸기, 1-플루오로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1)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있어서, 「환상 알킬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를 들 수 있다. 이들 환상 알킬기는 1 또는 2 이상의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일반식(1)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있어서 「할로벤질기」란, 벤질기의 벤젠환의 2위치, 3위치, 또는 4위치의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것이며, 2위치의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것이 o-할로벤질기이며, 3위치의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것이 m-할로벤질기이며, 4위치의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것이 p-할로벤질기이다. 그 중에서도, p-할로벤질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은 R2, R5, 또는 X2 중 어느 1개가 방사성 할로겐원자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a), (b), (c) 또는 (d)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a)R2에 할로겐원자로서 방사성 할로겐원자를 이용한다.
(b)R5를 -(CH2)nX4로 나타내어지는 기로 하고, 또한 X4의 할로겐원자로서 방사성 할로겐원자를 이용한다.
(c)R5를 p-할로벤질기로 하고, 또한 벤질기의 4위치에 도입된 할로겐원자로서 방사성 할로겐원자를 이용한다.
(d)X2의 할로겐원자로서 방사성 할로겐원자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방사성 할로겐원자」란, 불소-18, 염소-34m, 브롬-76, 요오드-123 또는 요오드-124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1) 중, R3은 수소원자이며, 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이며, R5는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5의 쇄상 알킬기, 탄소수 3∼5의 환상 알킬기, 또는 o-, p- 또는 m-할로벤질기이며, X2는 할로겐원자이며, X3은 수소원자이다. R5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CH2)nX4(단, n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X4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기, 시클로프로필기, 또는 p-할로벤질기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2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5가 메틸기, 에틸기, -(CH2)nX4로 나타내어지는 기, 또는 시클로프로필기이다. -(CH2)nX4로 나타내어지는 기에 있어서, n은 1∼3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 또는 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X4는 바람직하게는 불소원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구체적 양태의 하나로서,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2) 중, R1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CO2Ra를 나타내고, X11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X12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X14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n은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2)의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있어서, 「CO2Ra」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의 정의와 동의이다.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일반식(1) 중, R1이 수소원자이며, R2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CO2Ra(단, Ra가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며, R3, R4가 수소원자이며, R5가 탄소수 1∼5의 쇄상 알킬기, 또는 -(CH2)nX14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며, A가 CH이며, X1이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X2가 할로겐원자이며, X3이 수소원자인 것이다. 일반식(2) 중, R12는 수소원자 또는 CO2Ra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좋지만,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X1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불소원자이며, n은 1∼3의 정수가 바람직하다.
일반식(2) 중, R12, X12, 또는 X14가 방사성 할로겐원자이지만, X12, 또는 X14를 방사성 할로겐원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R12가 수소원자이며, X12, 또는 X14가 방사성 할로겐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경우, n은 1∼3의 정수인 것이 더욱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성 할로겐원자의 정의는 상술한 정의와 동의이다.
상기 일반식(1) 및 (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이란,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산, 숙신산, 만델산, 푸마르산, 말론산, 피루빈산, 옥살산, 글리콜산, 살리실산, 피라노시딜산(글루크론산, 갈락투론산 등), α-히드록시산(구연산, 주석산 등), 아미노산(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등), 방향족산(인식향산, 계피산 등), 술폰산(p-톨루엔술폰산, 에탄술폰산 등) 등의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염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는 상기 방사성 표식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생체내에의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포함하는 처방물이다. 이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는 비경구적으로, 즉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액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은 적당히, pH 조절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가용화제, 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기재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 실험에 제공하는 화합물의 명칭을 이하와 같이 정의했다.
화합물 1:6-클로로-5-플루오로-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
화합물 [18F]1:6-클로로-5-플루오로-1-(2-[18F]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벤조이미다졸(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있어서, R1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1은 불소원자를 나타내고, X12는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X14는 불소-18을 나타내고, n은 정수 2를 나타내는 화합물)
화합물 2: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요오드벤조이미다졸
화합물 [123I]2:1-(2-플루오로에틸)-2-[5-{(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벤조이미다졸(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있어서, R1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2는 요오드-123을 나타내고, X14는 불소원자를 나타내고, n은 정수 2를 나타내는 화합물)
화합물 3: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
화합물 [123I]3:2-[5-{(1H-이미다졸-1-일)메틸}피리딘-3-일]-6-[123I]요오드-1-메틸-1H-벤조[d]이미다졸(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있어서, R1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2는 요오드-123을 나타내고, X14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n은 정수 1을 나타내는 화합물)
화합물 1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의 화합물 100의 합성법에 따라서 합성했다.
화합물 [18F]1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의 화합물 [18F]100의 합성법에 따라서 합성하고, 동 개시의 TLC 조건 하에서 방사 화학적 순도 95% 이상의 것을 사용했다.
화합물 2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의 화합물 604의 합성법에 따라서 합성했다.
화합물 [123I]2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의 화합물 [123I]604의 합성법에 따라서 합성하고, 동 개시의 TLC 조건 하에서 방사 화학적 순도 95% 이상의 것을 사용했다.
화합물 3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의 화합물 607의 합성법에 따라서 합성했다.
화합물 [123I]3에 대해서는 국제공개 2015/199205 팜플렛의 화합물 [123I]607의 합성법에 따라서 합성하고, 동 개시의 TLC 조건 하에서 방사 화학적 순도 95% 이상의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1)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에서의 CYP11B2 발현 평가
Wistar 래트(수컷)를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서 개흉하고, 좌관동맥을 30분간 결찰한 후, 재관류하고, 폐흉하여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제작했다. 수술후 약 1주간에, 래트를 마취 하에서 도살, 심장을 꺼내어 심기부측으로부터 5㎛ 두께의 절편을 제작했다. 제작한 절편을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실시해서 CPY11B2의 발현·분포를 확인했다. 항CYP11B2 항체는 Ogishima T et al, Endocrinology, 1992, vol.130, pp.2971-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제작된 것을 이용하고, 2차 항체에는 HRP Labelled Polymer Anti-Rabbit(Dako사제)을 사용했다. 2차 항체에 결합하는 HRP에 대하여 DAB+(3,3'-디아미노벤지딘테트라히드로클로라이드)·기질 키트(Dako사제)를 적용함으로써, CYP11B2 발현 부위를 검출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가 절편의 전체도이며, 도 1(b)가 비허혈 부위(도 1(a) 중의 ROIa)의 20배 확대도이며, 도 1(c)가 허혈 재관류 부위(도 1(a) 중의 ROIb)의 20배 확대도이며, 도 1(d)가 허혈 재관류 부위(도 1(a) 중의 ROIc)의 20배 확대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내듯이, 허혈 재관류 부위에서 CYP11B2가 발현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허혈 부위에서는 CYP11B2가 발현되어 있지 않거나, 발현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이용한 엑스비보 오토라디오그래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제작하고, 수술후 1주부터 3주 사이에 화합물 [18F]1을 투여했다(약 50MBq/마리). 투여후 20분에 마취 하에서 래트를 도살하고, 심장을 꺼내어 심기부로부터 심첨부를 향해서 20㎛ 두께의 동결 절편을 제작했다. 제작한 절편을 이미징 플레이트(BAS-SR2040, 후지 필름사제)에 2시간 폭로하고, 플루오로 이미지 애널라이저(FLA-7000, GE 헬스케어사제)로 오토라디오그램을 취득했다.
또한, 심기부측 절편의 인접 절편을 이용하여, HE 염색, 마손 트리크롬 염색,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CYP11B2의 면역염색을 각각 실시했다.
화합물 [18F]1을 투여한 개체의 결과를 도 2∼3에 나타낸다. 도 2는 화합물 [18F]1을 투여한 개체의 오토라디오그램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에는 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을 심기부로부터 심첨부를 향해서 배열해서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 중, 파선으로 둘러싼 오토그램을 90도 회전시킨 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b)에서 나타내는 절편의 인접 절편의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3(a)는 HE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3(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3(c)는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합물 [18F]1의 국소적인 집적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3의 염색 결과로부터 화합물 [18F]1의 집적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염증반응, 섬유화, CYP11B2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제작하고, 수술후 1주부터 3주 사이에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서 도살후, 심장을 적출해서 5㎛의 절편을 제작하고, 사용시까지 -80℃ 하에서 보존했다. 절편을 -80℃로부터 실온으로 되돌리고, 30분간 이상 건조시킨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하고, 다음에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함으로써 친수화를 행했다. 화합물 [18F]1(방사능 농도:약 40kBq/mL) 또는 화합물 [123I]2(방사능 농도:약 10kBq/mL)를 포함하는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를 각각 조제하고, 친수화한 절편을 실온 하에서 30분간 침지했다. 그 후,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의 각 용액에 대해서 5분간씩 침지하고, 절편의 세정을 행했다. 세정후의 절편을 충분히 건조한 후, 이미징 플레이트(BAS-SR2040, 후지 필름사제) 상에서 화합물 [18F]1은 약 3시간, 화합물 [123I]2는 약 16시간 노광시키고, 플루오로 이미지 애널라이저(FLA-7000, GE 헬스케어사제)를 이용해서 오토라디오그램을 취득했다.
또한, 화합물 [18F]1 및 화합물 1을 5㎛ol/L를 포함하는 액, 또는 화합물 [123I]2 및 화합물 2를 5㎛ol/L를 포함하는 액에 동일하게 절편을 침지시켜서 오토라디오그램을 취득했다.
또한, 정상 래트로부터 적출한 심장을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화합물 [18F]1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a), 도 4(e)가 정상 래트의 절편이며, 도 4(b)∼(d), (f)∼(h)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절편이다. 도 4(a)∼(d)가 화합물 [18F]1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것이며, 도 4(e)∼(h)가 화합물 [18F]1 및 화합물 1(5㎛ol/L)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것이다. 도 4에서 나타내듯이, 병변영역에의 화합물 [18F]1의 집적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잉량의 비표식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집적이 저해된 점에서 결합이 특이적인 것이 시사되었다.
화합물 [123I]2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a), 도 5(c)가 정상 래트의 절편이며, 도 5(b), (d)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절편이다. 도 5(a), (b)가 화합물 [123I]2를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것이며, 도 5(c), (d)가 화합물 [123I]2 및 화합물 2(5㎛ol/L)를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것이다. 도 5에서 나타내듯이, 병변영역에의 화합물 [123I]2의 집적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잉량의 비표식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집적이 저해된 점에서 결합이 특이적인 것이 시사되었다.
도 5(b)의 절편에 대해서는 염색도 행했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a)는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b)는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6(c)는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합물 [123I]2의 집적은 섬유화 영역과 잘 일치했다. 또한, 허혈 재관류 부위에서의 CYP11B2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화합물 [18F]1 및 화합물 [123I]2의 오토라디오그래피에 대해서, 허혈 재관류 부위 및 비허혈 부위에 ROI를 취하고, 각 부위의 시그널 강도의 비를 비교했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n=4). 도 7(a)는 화합물 [18F]1에 침지한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의 일례이다. 도 7(c)는 화합물 [123I]2에 침지한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램의 일례이다. 도 7(a), (c) 모두 실선으로 둘러싼 것이 허혈 재관류 부위의 ROI이며, 파선으로 둘러싼 것이 비허혈 부위의 ROI이다. 도 7(b)에는 각 래트에 있어서의 화합물 [18F]1의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7(d)에는 각 래트에 있어서의 화합물 [123I]2의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7에서 나타내듯이, 화합물 [18F]1 및 화합물 [123I]2의 허혈 재관류 부위에서의 비허혈 부위와 비교한 집적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화합물 [123I]2는 화합물 [18F]1과 비교해서 높은 집적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제작후의 시간경과에 의한 화합물 집적에의 영향의 검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제작하고, 수술후 1일(3마리), 3일(4마리) 및 1주(4마리)에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서 도살후, 심장을 적출해서 5㎛의 절편을 제작하고, 사용시까지 -80℃ 하에서 보존했다. 절편을 -80℃로부터 실온으로 되돌리고, 30분간 이상 건조시킨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하고, 다음에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함으로써 친수화를 행했다. 화합물 [123I]2(방사능 농도: 약 10kBq/mL)를 포함하는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를 조제하고, 친수화한 절편을 실온 하에서 30분간 침지했다. 그 후,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의 각 용액에 대해서 5분간씩 침지하고, 절편의 세정을 행했다. 세정후의 절편을 충분히 건조한 후, 이미징 플레이트(BAS-SR2040, 후지 필름사제) 상에서 약 16시간 노광시키고, 플루오로 이미지 애널라이저(FLA-7000, GE 헬스케어사제)를 이용해서 오토라디오그램을 취득했다.
또한, 정상 래트(2마리)로부터 적출한 심장을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a)는 정상 래트 및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제작후 1일, 3일 및 1주간의 심장을 이용한 오토라디오그래피에서의 화합물 [123I]2의 허혈 재관류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허혈 부위의 시그널 강도비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도 8(a)에서 이용한 절편의 인접 절편을 사용한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a)에서 나타내듯이, 화합물 [123I]2의 집적은 수술후의 시간경과에 따라 증가했다. 또한, 도 8(b)에서 나타내듯이, 수술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섬유화의 촉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이용한 SPECT 촬상 실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제작하고, 수술후 1주간에 화합물 [123I]2를 투여하고(약 100MBq/마리), 투여후 150분부터 동물용 SPECT 장치(FX3000, TriFoil사제)를 이용하여 약 8분간의 static 촬상을 실시했다. 수집은 143-175keV의 에너지 윈도우로 실시하고, 수집한 데이터는 OSEM(Ordered Subset Expectation Maximization)법에 의해 재구성해서 화상화했다. 심장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Computed Tomography 촬상을 실시했다. 또한, 정상 래트를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a)∼(c)에 정상 래트를 이용한 화합물 [123I]2에 의한 SPECT 촬상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a)∼(c) 중, H의 화살표가 심장을 나타내고, L의 화살표가 간장을 나타낸다. 도 9(d)∼(f)에,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이용한 화합물 [123I]2에 의한 SPECT 촬상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d)∼(f) 중, i의 화살표가 허혈 재관류 부위를 나타낸다. 도 9(a), (d)가 단축 단면 화상이며, 도 9(b), (e)가 수평 장축 단면 화상이며, 도 9(c), (f)가 수직 장축 단면 화상이다. 도 9의 SPECT 화상은 모두 Computed Tomography 화상과 겹쳐서 표시했다. 도 9에서 나타내듯이,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에 있어서, 정상 래트 심장에서 확인되지 않는 화합물 [123I]2의 집적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심근염 모델 래트 심장에서의 CYP11B2 발현 평가
Porcine heart cardiac myosin(Sigma-Aldrich)을 5mg/mL가 되도록 인산 완충 액을 이용하여 희석했다(용액 A). 애주번트 컴플리트 프로인트(Sigma-Aldrich) 10mL에 결핵균 H37Ra(Difco) 100mg을 첨가하고, 혼화했다(용액 B). 용액 A 및 용액 B를 1:1의 비율로 용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했다(용액 C). 용액 C를 Lewis 래트(수컷, 7주령, 일본 찰스리버)의 좌우의 후지족척에 50μL씩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서 투여했다. 면역화후 21일까지 사육후, 래트를 마취 하에서 도살, 심장을 꺼내어 5㎛ 두께의 절편을 제작했다. 제작한 절편을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실시하고, CPY11B2의 발현·분포를 확인했다. 항CYP11B2 항체는 Ogishima T et al, Endocrinology, 1992, vol.130, pp.2971-7 기재의 방법에 따라서 제작된 것을 이용하고, 2차 항체에는 HRP Labelled Polymer Anti-Rabbit(Dako사제)을 사용했다. 2차 항체에 결합하는 HRP에 대하여 DAB+(3,3'-디아미노벤지딘테트라히드로클로라이드)·기질 키트(Dako사제)를 적용함으로써, CYP11B2 발현 부위를 검출했다. 또한, Lewis 래트를 통상 사육한 래트(정상 래트)로부터 적출한 심장을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은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심근염 모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도 10(b)는 도 10(a) 중의 병변부의 40배 확대도이다. 도 10(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도 10(d)는 도 10(c) 중의 정상부의 40배 확대도이다.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에서 CYP11B2가 발현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상 래트의 심장에는 CYP11B2가 발현되어 있지 않거나, 발현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심근염 모델 래트를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심근염 모델 래트를 제작하고, 심장을 적출해서 5㎛의 절편을 제작하고, 사용시까지 -80℃ 하에서 보존했다. 절편을 -80℃로부터 실온으로 되돌리고, 30분간 이상 건조시킨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하고, 다음에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함으로써 친수화를 행했다. 화합물 [123I]3(방사능 농도:약 10kBq/mL)을 포함하는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를 각각 조제하고, 친수화한 절편을 실온 하에서 30분간 침지했다. 그 후,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의 각 용액에 대해서 5분간씩 침지하고, 절편의 세정을 행했다. 세정후의 절편을 충분히 건조한 후, 이미징 플레이트(BAS-SR2040, 후지 필름사제) 상에서 화합물 [123I]3을 약 16시간 노광시키고, 플루오로 이미지 애널라이저(FLA-7000, GE 헬스케어사제)를 이용해서 오토라디오그램을 취득했다. 또한, 정상 래트로부터 적출한 심장을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오토라디오그래피에 사용한 절편의 인접 절편을 이용하여 마손 트리크롬 염색, 실시예 6과 동일한 CYP11B2의 면역염색을 각각 실시했다.
화합물 [123I]3의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도 11(b)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도 11(d)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 면역염색의 결과를, 도 11(f)는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근염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에 있어서,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에 비교한 화합물 [123I]3의 집적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화합물 [123I]3의 집적은 섬유화 영역과 잘 일치하고, 섬유화 영역에서의 CYP11B2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에서의 CYP11B2 발현 평가
DIS/Eis(Dahl-Iwai S) 래트(수컷, 니폰 에스엘시)에 5주령부터 8% 식염 첨가 사료(오리엔탈 효모)를 주고, 11주령까지 사육후, 래트를 마취 하에서 도살, 심장을 꺼내어 5㎛ 두께의 절편을 제작했다. 제작한 절편을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실시하고, CPY11B2의 발현·분포를 확인했다. 항CYP11B2 항체는 Ogishima T et al, Endocrinology, 1992, vol.130, pp.2971-7 기재의 방법에 따라서 제작된 것을 이용하고, 2차 항체에는 HRP Labelled Polymer Anti-Rabbit(Dako사제)을 사용했다. 2차 항체에 결합하는 HRP에 대하여 DAB+(3,3'-디아미노벤지딘테트라히드로클로라이드)·기질 키트(Dako사제)를 적용함으로써, CYP11B2 발현 부위를 검출했다. 또한, DIS/Eis 래트를 식염 비첨가의 사료로 사육한 래트(정상 래트)로부터 적출한 심장을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도 12(b)는 도 12(a) 중의 병변부의 40배 확대도이다. 도 12(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전체도이며, 도 12(d)는 도 12(c) 중의 정상부의 40배 확대도이다. 도 12에서 나타내듯이,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 심장에서 CYP11B2가 발현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상 래트에서는 CYP11B2가 발현되어 있지 않거나, 발현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제작하고, 심장을 적출해서 5㎛의 절편을 제작하고, 사용시까지 -80℃ 하에서 보존했다. 절편을 -80℃로부터 실온으로 되돌리고, 30분간 이상 건조시킨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하고, 다음에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함으로써 친수화를 행했다. 화합물 [123I]3(방사능 농도:약 10kBq/mL)을 포함하는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를 각각 조제하고, 친수화한 절편을 실온 하에서 30분간 침지했다. 그 후,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의 각 용액에 대해서 5분간씩 침지하고, 절편의 세정을 행했다. 세정후의 절편을 충분히 건조한 후, 이미징 플레이트(BAS-SR2040, 후지 필름사제) 상에서 화합물 [123I]3을 약 16시간 노광시키고, 플루오로 이미지 애널라이저(FLA-7000, GE 헬스케어사제)를 이용해서 오토라디오그램을 취득했다. 또한, 정상 래트로부터 적출한 심장을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오토라디오그래피에 사용한 절편의 인접 절편을 이용하여 마손 트리크롬 염색, 실시예 8과 같은 CYP11B2의 면역염색을 각각 실시했다.
화합물 [123I]3의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a)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도 13(b)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오토라디오그래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c)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도 13(d)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마손 트리크롬 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e)는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 면역염색의 결과를, 도 13(f)는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의 CYP11B2의 면역염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혈압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에 있어서, 정상 래트의 심장조직 절편과 비교한 화합물 [123I]3의 집적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화합물 [123I]3의 집적은 섬유화 영역과 잘 일치하고, 섬유화 영역에서의 CYP11B2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이용한 인비트로 오토라디오그래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를 제작하고, 수술후 1주 사이에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서 도살후, 심장을 적출해서 5㎛의 절편을 제작하고, 사용시까지 -80℃ 하에서 보존했다. 절편을 -80℃로부터 실온으로 되돌리고, 30분간 이상 건조시킨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하고, 다음에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에 30분간 침지함으로써 친수화를 행했다. 화합물 [123I]3(방사능 농도:약 10kBq/mL)을 포함하는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를 각각 조제하고, 친수화한 절편을 실온 하에서 30분간 침지했다. 그 후, 1w/v% 소 혈청 알부민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의 각 용액에 대해서 5분간씩 침지하고, 절편의 세정을 행했다. 세정후의 절편을 충분히 건조한 후, 이미징 플레이트(BAS-SR2040, 후지 필름사제) 상에서 약 16시간 노광시키고, 플루오로 이미지 애널라이저(FLA-7000, GE 헬스케어사제)를 이용해서 오토라디오그램을 취득했다. 또한, 정상 래트로부터 적출한 심장을 이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했다.
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a)가 정상 래트의 절편을 화합물 [123I]3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것이며, 도 14(b)가 허혈성 심질환 모델 래트의 절편을 화합물 [123I]3을 포함하는 액에 침지시킨 것이다. 도 14에서 나타내듯이, 정상 래트와 비교한 병변영역에의 화합물 [123I]3의 집적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에 결합능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에 의해 심질환 환자에 있어서 섬유화 진행 등의 심근 리모델링 과정의 핵의학 진단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이 출원은 2016년 6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2016-115806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Claims (12)
- 알도스테론 합성 효소에 결합능을 갖는 방사성 표식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표식 화합물은 탄소-11, 불소-18, 염소-34m, 브롬-76, 요오드-123 또는 요오드-124로 표식된 것인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표식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상기 일반식(1)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CO2Ra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CO2Ra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5의 쇄상 알킬기,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3∼5의 환상 알킬기, 탄소수 1∼5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o-, p- 또는 m-할로벤질기를 나타내고, A는 CH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X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니트릴기를 나타내지만, X1, X2 및 X3 중 적어도 1개는 할로겐원자이며,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R5, 또는 X2 중 어느 1개가 방사성 할로겐원자를 포함한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2) 중, R12는 수소원자이며, X12, 또는 X14가 방사성 할로겐원자인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2) 중,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내는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할로겐원자는 불소-18, 염소-34m, 브롬-76, 요오드-123 또는 요오드-124인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또는 단일광자 단층촬영에 이용되기 위한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질환이 허혈성 심질환인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심질환은 관동맥성 심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급성 관증후군 또는 허혈성 심부전인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질환이 비허혈성 심질환인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허혈성 심질환이 심근염, 고혈압성 심질환, 확장형 심근증, 비대형 심근증 또는 비허혈성 심부전인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15806 | 2016-06-10 | ||
JP2016115806 | 2016-06-10 | ||
PCT/JP2017/021442 WO2017213247A1 (ja) | 2016-06-10 | 2017-06-09 | 心疾患の非侵襲的画像診断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6971A true KR20190016971A (ko) | 2019-02-19 |
Family
ID=6057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6667A Withdrawn KR20190016971A (ko) | 2016-06-10 | 2017-06-09 |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255199A1 (ko) |
EP (1) | EP3470091A4 (ko) |
JP (1) | JPWO2017213247A1 (ko) |
KR (1) | KR20190016971A (ko) |
CN (1) | CN109310787A (ko) |
AU (1) | AU2017278446A1 (ko) |
CA (1) | CA3026617A1 (ko) |
SG (1) | SG11201810847RA (ko) |
WO (1) | WO201721324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09970B2 (ja) * | 2017-12-28 | 2023-01-23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2-[5-(イミダゾール-1-イルメチル)ピリジン-3-イル]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医薬 |
JP2021130610A (ja) * | 2018-05-08 | 2021-09-09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心疾患の非侵襲的画像診断剤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0799A (ja) | 2008-05-06 | 2011-07-21 | ウニベルジテート デス ザールランデス | ヒト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cyp11b2の阻害剤 |
JP2013512271A (ja) | 2009-11-30 | 2013-04-11 |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 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阻害剤としてのイミダゾール誘導体 |
JP2013534911A (ja) | 2010-06-01 | 2013-09-09 | ユリウス−マクシミリアンズ−ユニバーシタット | 原発性高アルドステロン症の両側性状態と片側性状態との鑑別診断のためのpet放射性医薬 |
JP2014129315A (ja) | 2012-12-27 | 2014-07-10 | Nihon Medi Physics Co Ltd | 放射性キノリノン誘導体、これを含む医薬 |
JP2014526539A (ja) | 2011-09-23 | 2014-10-06 |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 新規な二環式ジヒドロキノリン−2−オン誘導体 |
JP2015093831A (ja) | 2013-11-08 | 2015-05-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阻害剤 |
JP2015093832A (ja) | 2013-11-08 | 2015-05-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放射性ハロゲン標識化合物又はその塩、これを含む医薬 |
JP2015093833A (ja) | 2013-11-08 | 2015-05-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放射性ハロゲン標識化合物又はその塩、これを含む医薬 |
JP2015110563A (ja) | 2013-11-08 | 2015-06-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阻害剤 |
JP2015193545A (ja) | 2014-03-31 | 2015-11-05 |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 2−(3−ピリジニル)−1h−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化合物、これを含む放射性医薬 |
JP2015199205A (ja) | 2014-04-04 | 2015-11-12 | イーデーエム株式会社 | サーマルプリンタ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11252A (zh) * | 2007-03-29 | 2010-05-19 | 诺瓦蒂斯有限公司 | 杂环螺环化合物 |
JP5196561B2 (ja) * | 2007-11-07 | 2013-05-15 | 独立行政法人放射線医学総合研究所 | 核医学診断用医薬 |
JP6636921B2 (ja) * | 2014-06-26 | 2020-01-29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2−(3−ピリジニル)−1h−ベンゾイミダゾール誘導体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医薬 |
-
2017
- 2017-06-09 US US16/308,014 patent/US2019025519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6-09 EP EP17810420.4A patent/EP347009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06-09 AU AU2017278446A patent/AU201727844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6-09 JP JP2018521787A patent/JPWO2017213247A1/ja active Pending
- 2017-06-09 KR KR1020187036667A patent/KR2019001697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7-06-09 SG SG11201810847RA patent/SG11201810847RA/en unknown
- 2017-06-09 CN CN201780035800.9A patent/CN109310787A/zh active Pending
- 2017-06-09 WO PCT/JP2017/021442 patent/WO2017213247A1/ja unknown
- 2017-06-09 CA CA3026617A patent/CA3026617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0799A (ja) | 2008-05-06 | 2011-07-21 | ウニベルジテート デス ザールランデス | ヒト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cyp11b2の阻害剤 |
JP2013512271A (ja) | 2009-11-30 | 2013-04-11 |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 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阻害剤としてのイミダゾール誘導体 |
JP2013534911A (ja) | 2010-06-01 | 2013-09-09 | ユリウス−マクシミリアンズ−ユニバーシタット | 原発性高アルドステロン症の両側性状態と片側性状態との鑑別診断のためのpet放射性医薬 |
JP2014526539A (ja) | 2011-09-23 | 2014-10-06 |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 新規な二環式ジヒドロキノリン−2−オン誘導体 |
JP2014129315A (ja) | 2012-12-27 | 2014-07-10 | Nihon Medi Physics Co Ltd | 放射性キノリノン誘導体、これを含む医薬 |
JP2015093831A (ja) | 2013-11-08 | 2015-05-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阻害剤 |
JP2015093832A (ja) | 2013-11-08 | 2015-05-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放射性ハロゲン標識化合物又はその塩、これを含む医薬 |
JP2015093833A (ja) | 2013-11-08 | 2015-05-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放射性ハロゲン標識化合物又はその塩、これを含む医薬 |
JP2015110563A (ja) | 2013-11-08 | 2015-06-18 |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 アルドステロン合成酵素阻害剤 |
JP2015193545A (ja) | 2014-03-31 | 2015-11-05 |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 2−(3−ピリジニル)−1h−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化合物、これを含む放射性医薬 |
JP2015199205A (ja) | 2014-04-04 | 2015-11-12 | イーデーエム株式会社 | サーマルプリンタ |
Non-Patent Citations (6)
Title |
---|
Abe, T.,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 Metabolism, vol.101, p.1008-1015(2016) |
Grombein, C. M.,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89, p.597-605(2015) |
Grombein, C. M.,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90, p.788-796(2015) |
Martin, R. E.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58, p.8054-8065(2015) |
Mizuno, Y. et al, Circulation, vol.103, p.72-7(2001) |
Satoh, M. et al., Clinical Science, vol.102, p.381-386(2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026617A1 (en) | 2017-12-14 |
EP3470091A4 (en) | 2019-06-19 |
EP3470091A1 (en) | 2019-04-17 |
US20190255199A1 (en) | 2019-08-22 |
SG11201810847RA (en) | 2019-01-30 |
AU2017278446A1 (en) | 2018-12-20 |
WO2017213247A1 (ja) | 2017-12-14 |
CN109310787A (zh) | 2019-02-05 |
JPWO2017213247A1 (ja) | 2019-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outurier et al. | Fluorinated tracers for imaging cancer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
Brom et al. | Non-invasive quantification of the beta cell mass by SPECT with 111In-labelled exendin | |
Wang et al. |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pplications in drug discovery and drug development | |
Di Gialleonardo et al. | Imaging of β-cell mass and insulitis in insulin-dependent (type 1) diabetes mellitus | |
Boyle et al. | CRH stimulation improves 18F-FDG-PET detection of pituitary adenomas in Cushing’s disease | |
Jin et al. | A promising carbon-11-labeled sphingosine-1-phosphate receptor 1-specific PET tracer for imaging vascular injury | |
Shalgunov et al. | Pretargeted imaging beyond the blood–brain barrier | |
Selvaraju et al. | Dosimetry of [68Ga] Ga-DO3A-VS-Cys40-Exendin-4 in rodents, pigs, non-human primates and human-repeated scanning in human is possible | |
KR20190016971A (ko) | 심질환의 비침습적 화상 진단제 | |
Örlefors et al. | Demonstration of high monoaminoxidase-A levels in neuroendocrine gastroenteropancreatic tumors in vitro and in vivo–tumor visualization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11C-harmine | |
Dobrucki et al. |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biological significance and imaging applications | |
Mathijs et al. | A standardized method for in vivo mouse pancreas imaging and semiquantitative β cell mass measurement by dual isotope SPECT | |
Ye et al. | Radio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18F-labeled bispecific heterodimer targeted dual gastrin-releasing peptide receptor and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for prostate cancer imaging | |
EP3108901B1 (en) | Composition for imaging atherosclerosis and method for diagnosing atherosclerosis by using same | |
KR102759239B1 (ko) | 암 진단에서 방사성표지된 프로가스트린 | |
Gheorghe et al. | Neuroendocrine tumors: choosing appropriate imaging methods | |
HK1262715A1 (en) | Non-invasive diagnostic imaging agent for heart disease | |
Niego et al. | Molecular imaging of diffuse cardiac fibrosis with a radiotracer that targets proteolyzed collagen IV | |
US9205156B2 (en) | Molecular imaging agents | |
JP2017504563A (ja) | 手術前及び手術中のインスリノーマ診断のための臨床集学的ツール | |
Yoo et al. | Monitoring of macrophage accumulation in statin-treated atherosclerotic mouse model using sodium iodide symporter imaging system | |
Zhou et al. | CD11b-Based Pre-Targeted SPECT/CT Imaging Allows for the Detection of Inflammation in Aortic Aneurysm | |
Vallabhajosula | Molecular Imaging in Oncology | |
US20230256120A1 (en) | Diagnostic agent for pancreatic function | |
US20240066157A1 (en) | Molecular imaging complex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