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317A - Terminal - Google Patent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6317A KR20190016317A KR1020170100397A KR20170100397A KR20190016317A KR 20190016317 A KR20190016317 A KR 20190016317A KR 1020170100397 A KR1020170100397 A KR 1020170100397A KR 20170100397 A KR20170100397 A KR 20170100397A KR 20190016317 A KR20190016317 A KR 201900163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engaging
- legs
- jaw
- terminal acco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자는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에 설치되는 기판결합부(12)를 가진다. 상기 기판결합부(12)는 본체부(1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기판결합부(1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레그(14,14')가 있다. 상기 결합레그(14,14')에는 통홀(32)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1걸이턱(18)과 통홀(32)의 출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2걸이턱(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그(14,14')는 외팔보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결합레그(14,14') 사이에는 변형공간(16)이 있어 상기 제2걸이턱(20)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경사면(22)이 통홀(32)의 내면에 안내될 때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통홀(32)의 내부로 기판결합부(12)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력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통홀(32)에서 기판결합부(12)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지만, 제2걸이턱(20)의 상태가 해제하면 매우 작은 이탈력으로도 기판결합부(12)를 통홀(32)에서 분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bstrate coupling portion (12) provided in a through hole (32) of a printed circuit board (30). The substrate engaging portion 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 At least two coupling legs 14 and 14 'are provided on the substrate coupling part 12. The coupling legs 14 and 14 'are provided with a first hooking jaw 18 which is hooked on the entrance edge of the passage hole 32 and a second hooking jaw 20 which is hooked on the exit edge of the passage hole 32. The coupling legs 14 and 14 'extend in a cantilevered manner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 deformation space 16 is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legs 14 and 14 'to elastically deform when the guiding inclined surface 2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oking jaw 20 is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force for inserting the substrate engaging portion 12 into the through hole 32 is relatively small, and the substrate engaging portion 12 is not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32. However, When the state of the jaw 20 is released, the substrate engaging portion 12 can be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32 with a very small releasing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의 설치를 솔더링없이 물리적 결합으로 할 수 있는 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that can be physically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without soldering.
단자중에서 프레스핏 단자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거나, 인쇄회로기판에 압입설치되어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mong the terminals, the press fit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nd one end is press-fitted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press-fit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이와 같은 프레스핏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의 통홀 내에 약간 압착된 상태로 압입되어 설치됨에 의해 별도의 솔더링을 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Such a press-fit terminal is press-fitted into a hol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slightly pressed state so that it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without performing any solder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하지만, 프레스핏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의 통홀 내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설치되어야 하므로, 삽입력과 이탈력이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프레스핏 단자의 삽입력이 커지면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삽입할 때,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하나의 커넥터에서 프레스핏 단자의 갯수가 많은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However, since the press-fit terminal must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ertion force and the separation force must be relatively large. When the insertion force of the press-fit terminal is increased,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is is particularly true when the number of the press-fit terminals is large in one connector.
또한, 인쇄회로기판에서 단자를 분리할 때는 이탈력이 일정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는 이탈력이 일정 이하의 값이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separation force must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is is because if the separation force is less than a certain value, the terminal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the relatively large external force Because.
따라서, 프레스핏 단자의 삽입력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좋고, 이탈력은 일정 이상의 값이 되면서도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프레스핏 단자를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렵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insertion force of the press-fit terminal is relatively small, and that the separation force is a certain value or more, but not too larg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 press-fit terminal satisfying such a cond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여 사용하는 단자에서 통홀에의 삽입력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이탈력은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that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has a relatively small insertion force into the throug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여 사용하는 단자에서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걸어진 상태가 해제되어야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for use in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the terminal can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terminal is releas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대물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결합되는 기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결합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결합레그와, 상기 결합레그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통홀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1걸이턱과 상기 결합레그의 자유단부 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통홀의 출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2걸이턱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a relative waterproof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terminal; Wherein the substrate engag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cantilever-shaped engaging leg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engaging legs, And a second hoo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ee end side of the engaging leg and hooked to the outlet edge of the through hole.
상기 결합레그 사이에는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레그가 상기 통홀에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걸이턱이 통홀에 안내될 때 상기 결합레그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A deform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legs so that the engaging leg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second engaging jaw is guided by the through hol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engaging leg into and out of the through hole.
상기 제2걸이턱의 외면에는 상기 통홀의 내면에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And a guide sloped surface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ok jaw.
상기 결합레그는 2개가 상기 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연장된다.Two of the engaging legs extend side by side with the deformation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결합레그의 상기 제2걸이턱의 걸이면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ends of the engaging legs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상기 결합레그에서 통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접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통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n the engaging leg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상기 결합레그의 제2걸이턱 선단에는 상기 통홀의 입구 가장자리에 안내되도록 곡면이나 상기 안내경사면보다 경사가 큰 경사면이 형성된다.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larger inclination than the guid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hanger jaw of the engaging leg so as to be guided to the entrance edge of the passage hole.
상기 제2걸이턱에서 통홀의 출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걸이면은 상기 제1걸이턱에서 통홀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걸이면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ok jaw which is hooked to the outlet edge of the passage hole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hook surface of the hooking hook of the first hook jaw.
상기 제1걸이턱의 걸이면의 폭은 상기 제1걸이턱의 걸이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hooking jaw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hooking jaw.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기판결합부를 외팔보 형상인 복수개의 결합레그가 나란히 연장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결합레그의 사이에는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결합레그가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레그 사이가 가까워졌다가 다시 멀어지도록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결합레그가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자유단부쪽이 서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것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일어나므로 삽입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상기 결합레그의 선단에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제2걸이턱을 두어 인쇄회로기판의 통홀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하여 이탈력은 매우 크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삽입력은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서도 이탈력은 삽입력과 별개로 일정 이상의 값으로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것이 매우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legs having a cantilever shape are arranged to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substrate coupling portion being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 deform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legs, so that the engaging legs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engaging legs be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move away from each other when the engaging leg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ince the engaging legs are cantilevered so that the free end portions are freely moved away from each other to some extent, the insertion force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and the second hooking jaws So that the separation force can be made very larg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force of the terminals is relatively small, and the leaving force can be increased to a certain value or more apart from the insertion force, so that it is very easy to install and separate the terminal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결합레그의 선단에 있는 제2걸이턱이 인쇄회로기판에서 해제되지 않는 한, 단자가 통홀에서 빠질 수 없도록 될 수 있어, 단자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 second latching jaw at the tip end of the coupling leg is releas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through hole,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rminal can be firmly maintained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중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ortant p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terminal from a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단자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단자는 일반적으로 동합금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단자에는 본체부(10)가 있는데,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단부인 상대물결합부는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상대물결합부에는 본 발명의 단자가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상대 단자가 결합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The terminals are generally made of copper alloy. The terminal has a
상기 본체부(10)의 타측 단부에는 기판결합부(12)가 있다. 상기 기판결합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12)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판결합부(12)를 2개의 결합레그(14,14')가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기판결합부(12)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레그(14,14')가 소정이 각도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결합레그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4개의 결합레그가 90도 간격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상기 결합레그(14,14')는 외팔보 형상으로 된 것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결합레그(14,14')의 사이에는 변형공간(16)이 있어서 상기 결합레그(14,14')의 사이가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가능하게 만든다. The
상기 결합레그(14,14')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제1걸이턱(1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걸이턱(18)은 각각의 결합레그(14,14')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걸이턱(18)은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 입구에 걸어져서 결합레그(14,14')가 더 이상 통홀(32)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걸이턱(18)에서 상기 통홀(32)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은 걸이면(19)이다. 상기 제1걸이턱(18)에서 상기 걸이면(19)의 면적은 제1걸이턱(18)의 다른 부분의 횡단면적보다 작다. 이는 제1걸이턱(18)의 역할이 상기 기판결합부(12)가 더 이상 통공(32)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스톱핑하는 것이기 때문으로, 그 면적이 그리 크지 않아도 된다.A
상기 결합레그(14,14')의 선단에는 제2걸이턱(2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걸이턱(20)은 각각의 결합레그(14,14')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걸이턱(20)은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 출구에 걸어져서 결합레그(14,14')가 통홀(32)의 입구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걸이턱(20)에서 상기 통홀(32)의 출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은 걸이면(21)이다. 상기 제2걸이턱(20)의 걸이면(21)은 상기 제1걸이턱(18)의 걸이면(19)보다 면적이 넓은데, 특히 폭이 더 크게 된다. 이는 단자가 인쇄회로기판(3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 second hooking
상기 제2걸이턱(20)의 표면에는 안내경사면(22)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경사면(22)은 결합레그(14,14')의 선단으로 갈수록 양측의 안내경사면(22) 사이의 거리가 가깝게 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2)의 가장 선단에 해당되는 경사면선단(24) 사이의 거리(D)는 상기 통홀(32)의 내경보다 크다. 상기 경사면 선단(24)에서 시작해서 상기 제2걸이턱(20)의 선단까지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 곡면이 상기 통홀(32)의 입구 가장자리에 안내되면서 상기 결합레그(14,14') 사이가 인접하게 되도록 탄성변형되게 한다.A
상기 안내경사면(22)의 경사각도와 상기 경사면 선단(24) 사이의 거리(D)를 조정함에 의해 삽입력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 선단(24)사이의 거리(D)가 상기 통홀(32)의 내경보다 작으면 삽입력이 작아지고, 반대이면 삽입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경사면(22)의 각도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가파르면 삽입력이 커지고 반대이면 삽입력이 작아진다. 여기서 상기 제2걸이턱(20)의 걸이면(21) 선단 사이의 거리보다 경사면선단(24)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상기 안내경사면(22)의 각도가 가파르다고 할 수 있다.The insertion force can be vari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한편, 상기 제1걸이턱(18)과 제2걸이턱(20) 사이에 해당되는 결합레그(14,14')의 외면은 접촉면(26)을 형성하는데, 상기 접촉면(26)은 본 실시례에서 상기 통홀(32)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고, 양측의 결합레그(14,14')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양측 결합레그(14,14')의 상기 접촉면(26) 사이의 거리(d)는 상기 통홀(32)의 내경보다는 크다. 참고로 상기 제2걸이턱(20)의 걸이면(21) 선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촉면(26) 사이의 거리(d)보다는 크다.The outer surfaces of the engag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단자가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레그(14,14')는 상기 통홀(32)에 설치된 상태에서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결합레그(14,14') 사이의 변형공간(16)이 좁아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레그(14,14')의 접촉면(26)이 통홀(32)의 내면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의 기판결합부(12)가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에 장착되는데, 상기 기판결합부(12)를 통홀(32)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4에는 상기 기판결합부(12)가 상기 통홀(32)에 삽입되지 직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홀(32)의 입구 내경보다는 상기 제2걸이턱(20)의 경사면선단(24) 사이의 거리가 더 큰 상태인데, 상기 경사면선단(24)에 인접한 곡면의 존재에 의해 상기 단자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판결합부(12)의 결합레그(14,14')는 그 사이가 좁아지도록 탄성변형되면서 통홀(32)의 내부로 삽입되기 시작한다.3, the
상기 결합레그(14,1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걸이턱(20)의 안내경사면(22)이 상기 통홀(32)의 내면에 안내되는 동안 가장 짧아진다. 상기 제2걸이턱(20)의 걸이면(21) 선단이 상기 통홀(32)의 출구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시점에 상기 결합레그(14,14')는 복원되면서 상기 접촉면(26)이 통홀(32)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결합레그(14,14') 사이의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보다는 짧아진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레그(14,14')는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된다. 물론, 상기 결합레그(14,14')가 상기 통홀(32)의 내부에서 반드시 탄성변형된 상태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 전기적 연결에 유리하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gaging
이 상태에서 상기 제1걸이턱(18)과 제2걸이턱(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의 입구와 출구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인쇄회로기판(30)에 대해 단자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제1걸이턱(18)은 단자가 상기 통홀(32)의 내부로 일정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걸이턱(20)은 상기 통홀(32)에서 단자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한편, 본 발명의 단자를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에서 분리해 내는 것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이턱(20)들을 화살표 방향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누르거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눌러서 상기 결합레그(14,14')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걸이턱(20)의 걸이면(21) 선단이 상기 통홀(32)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단자를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단자가 상기 통홀(32)에서 빠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separation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through
본 발명의 단자는 개별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통홀(32)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단자가 커넥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통홀(32)에 각각의 단자가 통홀(32)에 하나씩 삽입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dividu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제2걸이턱(20)의 선단에 형성되는 곡면은 상기 안내경사면(22)보다 더 경사가 큰 경사면으로 될 수도 있다.The curved surface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hooking
10: 본체부
12: 기판결합부
14, 14': 결합레그
16: 변형공간
18: 제1걸이턱
19: 걸이면
20: 제2걸이턱
21: 걸이면
22: 안내경사면
24: 경사면선단
26: 접촉면
30: 인쇄회로기판
32: 통홀10: main body part 12:
14, 14 ': Coupling leg 16:
18: first hook jaw 19:
20: second hook chin 21:
22: guiding slant surface 24: inclined surface end
26: contact surface 30: printed circuit board
32: Through hole
Claims (9)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대물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결합되는 기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결합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결합레그와, 상기 결합레그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통홀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1걸이턱과 상기 결합레그의 자유단부 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통홀의 출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2걸이턱을 포함하는 단자.
A body portion,
A relative wave coupled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terminal,
And a substrat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substrat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cantilever-shaped engaging leg extending at least two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 first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leg and engaged with an entranc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and hooked to an outlet edge of the through hole.
2.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form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legs to elastically deform the engaging leg when the engaging leg is guided by the through hole in the passage of the engaging leg into and out of the through hole.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guide sloped surface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ok jaw.
4.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ngaging legs extend two side by side with the deformation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ends of the engaging legs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legs of the engaging legs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h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larger inclination than the guiding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hanger jaw of the engaging leg, so as to be guided by the entrance edge of the through hole.
8.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hook jaw which is hooked to the outlet edg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hook surface of the hook han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0397A KR20190016317A (en) | 2017-08-08 | 2017-08-08 |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0397A KR20190016317A (en) | 2017-08-08 | 2017-08-08 |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6317A true KR20190016317A (en) | 2019-02-18 |
Family
ID=6556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0397A Ceased KR20190016317A (en) | 2017-08-08 | 2017-08-08 |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1631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71476A (en) * | 2020-10-27 | 2021-01-26 | 合兴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 Press-fit terminal and conne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9383A (en) | 2011-12-22 | 2014-09-15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Press-fit terminal, connector and press-fit connector continuous body employing same, and wound press-fit connector continuous body |
-
2017
- 2017-08-08 KR KR1020170100397A patent/KR2019001631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9383A (en) | 2011-12-22 | 2014-09-15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Press-fit terminal, connector and press-fit connector continuous body employing same, and wound press-fit connector continuous bod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71476A (en) * | 2020-10-27 | 2021-01-26 | 合兴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 Press-fit terminal and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733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 |
EP2164135B1 (en) |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 |
CN108352636B (en) | Plug contact | |
US20100015863A1 (en) | Female type terminal pin | |
JP2018113255A (en) | Terminal and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including the same | |
US10418728B2 (en) | Connector | |
US20190123462A1 (en) | Plug contact | |
JP6784580B2 (en) | Connector device with a disconnection prevention structure | |
JP2016051689A (en) | Connector terminal | |
KR20070002678A (en) |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It | |
JP2005294217A (en) |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it | |
KR101665473B1 (en) | Terminal | |
KR20190016317A (en) | Terminal | |
US9093790B2 (en) | Connector device | |
US20210257764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EP1804344A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 |
KR200479082Y1 (en) | Terminal | |
JP3601773B2 (en) | Terminal | |
KR20160001516A (en) | Connector and connecting apparatus of substrate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
KR100988794B1 (en) | Connector | |
KR101714402B1 (en) | Low insertion force socket terminal | |
KR200294601Y1 (en) | Power connector for soldering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
CN107591633B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17507463A (en) | Reverse polarity protection | |
KR200432361Y1 (en) | Splice termin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