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11712A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712A
KR20190011712A KR1020187022254A KR20187022254A KR20190011712A KR 20190011712 A KR20190011712 A KR 20190011712A KR 1020187022254 A KR1020187022254 A KR 1020187022254A KR 20187022254 A KR20187022254 A KR 20187022254A KR 20190011712 A KR20190011712 A KR 2019001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andle
sub
operating portion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8892B1 (en
Inventor
료스케 하치스카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89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를 브러싱할 때에 잡기 쉽고 또한 핸들링하기 쉬운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100)은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핸들부(10)와, 상기 핸들부(10)에 이어설치된 네크부(12)와, 상기 네크부(12)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14)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14)의 식모면(14a)에 복수의 모속(18)이 심어설치되고, 핸들부(10)는 헤드부(14)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되고, 주조작부(21), 중간부(22) 및 부조작부(23)를 갖고,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중간부(22)의 단면적이 주조작부(21) 및 부조작부(23)의 단면적보다 작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is easy to hold and easy to handle when brushing the inside of the mouth. The toothbru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10 having a length in one direction, a neck portion 12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0, a head portion 14 And the handle portion 10 is arranged in order from the head portion 14 side and the main operation portion 18a is arranged in this order from the head portion 14 side, The cross section of the intermediate section 22 which intersec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main operation section 21 and the minor section 23.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본원은 2016년 6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6-110937호에 근거해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인용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110937 filed on June 2, 2016,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구강 내의 브러싱 기술이 미숙한 영유아에 대한 마무리 닦기는 많은 가정에서 행해지고 있다. 어른과 영유아에서는 손의 크기나 닦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아이 자신이 사용하는 영유아용 칫솔을 사용해서 어른이 마무리 닦기를 행하려고 하면, 취급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Brushing in the oral cavity Brushing for infants with inexperienced techniques is done in many households. Adults and infants differ in the size of their hands and how to wipe them, so it was difficult to handle if an adult tried to use a toothbrush for infants and toddlers to use it.

종래부터, 칫솔 그립성을 높임으로써 취급을 좋게 하고자 하는 구조가 몇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는 칫솔의 주손잡이에 있어서의 그립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된 칫솔 구조가 기재되어 있고, 특허문헌 3에는 그립 부분이 파형 형상으로 된 칫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re have heretofore been proposed several structures for improving handling by increasing the grip property of a toothbrush.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toothbrush structure in which a recess is formed in a grip portion of a main handle of a toothbrush, and Patent Document 3 describes a toothbrush structure in which a grip portion has a wavy shape.

일본 특허 제4686031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686031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5538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25538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9-97622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9-97622

그렇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칫솔은 자기 자신(아이 자신)이 사용하는 것도 고려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마무리 닦기에 특화된 구조가 아니고, 마무리 닦기를 행하는 타인(부모 등)에 있어서는 반드시 취급성이 좋은 것이 아니었다.However, since the toothbrush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1 to 3 is structured in consideration of use by oneself (the child himself), it is not necessarily a structure specialized for finish cleaning, and for a person The handling property was not good.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타인의 구강 내를 브러싱할 때에 잡기 쉽고 또한 핸들링하기 쉬운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which is easy to handle and easy to handle when brushing an oral cavity of a person.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연장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14a)에 복수의 모속이 심어설치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헤드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렬된 주조작부, 중간부 및 부조작부를 갖고,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이 상기 주조작부 및 상기 부조작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having a length in one direction, a neck portion extending from the handle portion, and a head portion provided at the tip of the neck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has a main operating portion, a middle portion, and a sub-operating portion that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head portion sid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ddle por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main operating portion and the sub- May be smaller.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주조작부와 상기 부조작부를 연결하는 상기 중간부의 상기 단면적은 상기 주조작부로부터 상기 부조작부를 향해서 점차 작아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main operation portion and the sub-operation portion may be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main operation portion toward the sub-operation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중간부 및 상기 부조작부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상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Further,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sub-operating portion is substantially circular.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부조작부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구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Further, 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operating portion may have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end side opposite to the hea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주조작부에는 탄성을 갖는 피복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ope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ver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핸들부, 상기 네크부 및 헤드부는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는 연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Furth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may b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and the covering portion may be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핸들부에는 문자, 기호, 도안 중 적어도 1개를 모방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ay be formed with a hole that mimics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symbol, and a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구멍에는 연질 합성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 may be filled with a soft synthetic resin.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헤드부의 두께는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얇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other por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상기 헤드부의 상기 식모면(14a)에 대하여 상기 핸들부 및 상기 네크부의 연장방향이 평행하여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may be parallel to the eating surface 14a of the head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의 구강 내를 브러싱할 때에 잡기 쉽고 또한 핸들링하기 쉬운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is easy to hold and easy to handle when brushing an oral cavity of another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의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의 기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의 기체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 잡는 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base body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bas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a base body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gripp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형태][On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요소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구성요소에 따라 치수의 축척을 다르게 해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In the following drawings, in order to make each component easy to see, there are cases where the scale of the dimens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1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100)의 배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칫솔(100)의 식모면(14a)측을 표면으로 하고, 식모면(14a)과는 반대측을 이면으로 한다.1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toothbr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urface of the toothbrush 100 facing the eating surface 14a is referred to as the surface, and the surface opposite to the eating surface 14a is referred to as the back surface.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칫솔(100)은 장척 형상의 핸들부(10)와, 핸들부(10)에 연장설치된 네크부(12)와, 네크부(12)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14)가 일체 형성된 핸들체(16)와, 헤드부(14)의 식모면(14a)에 심어설치된 복수의 모속(18)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1 to 3, the toothbru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10 having a long shape, a neck portion 12 extending from the handle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hair loops 18 provided in a planting surface 14a of the head portion 14. The head portion 14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4,

헤드부(14)는 핸들체(16)의 연장방향을 길이로 하는 평면으로 볼 때에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타원 형상이란, 기하학에서 정의되는 타원형 이외에, 타원형에 근사하는 형상, 예를 들면 장원형(2개의 반원을 2개의 직선으로 연결한 형상), 소판형, 또는 타원형을 장축방향 또는 단축방향으로 찌부러뜨린 형상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식모면(14a)에는 복수의 용모를 묶은 13개의 모속(18)이 심어설치되어 있다. 헤드부(14)의 식모면(14a)은 칫솔(10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면이다.The head portion 14 has an elliptical shape when viewed in a plane having a leng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16. The elliptical shape refers to an elliptic shape defined by a geometric shape and a shape approximating an elliptical shape such as a long circular shape (a shape in which two semicircles are connected by two straight lines), a small plate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r the minor axis direction Shape and the like. 13 blades 18 are bundled with a plurality of appearances. The drinking water surface 14a of the head portion 14 is a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헤드부(14)의 크기는 칫솔(100)로 구강 내를 청소하는 대상자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된다. 칫솔(100)을 사용해서 마무리 닦기를 하는 대상이 아이이면, 헤드부(14)의 크기는, 예를 들면 폭 10mm이며, 8mm∼11mm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14)의 길이는, 예를 들면 16mm이며, 13mm∼22mm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헤드부(14)의 폭이란, 식모면(14a)측으로부터 보아서 칫솔(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며, 헤드부(14)의 길이란, 타원 형상을 이루는 식모면(14a)측으로부터 보아서 칫솔(10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2개의 정점(일방향의 정점은 가상점) 사이의 거리이다.The size of the head portion 14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son to be cleaned in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brush 100. If the object to be finishing wiped using the toothbrush 100 is an eye, the size of the head portion 14 is preferably 10 mm in width, for example, in a range of 8 mm to 11 mm.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4 is, for example, 16 mm,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13 mm to 22 mm. Here,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is a wid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as viewed from the eating surface 14a side, and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4 is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4, (A virtual point in one direction is a virtual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toothbrushes 14a.

헤드부(14)의 두께는 칫솔(100)로 구강 내를 청소하는 대상자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된다. 칫솔(100)을 사용해서 마무리 닦기를 하는 대상이 아이이면, 헤드부(14)의 두께는, 예를 들면 2.5mm∼5m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14)의 두께는 네크부(12)의 두께의 거의 절반 정도이다. 여기에서, 헤드부(14)의 두께 치수는 식모면(14a)과 식모면(14a)에 대향하는 배면(14b)의 거리에 상당한다.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is appropriate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 to be cleaned with the toothbrush 100 in the oral cavity. If the object to be finishing wiped using the toothbrush 100 is an eye,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is preferably 2.5 mm to 5 mm,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is approximately half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12. Here,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head portion 14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ating surface 14a and the back surface 14b opposed to the eating surface 14a.

핸들부(10)는 헤드부(14)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렬되는 주조작부(21)와, 중간부(22)와, 부조작부(23)를 갖고 있다. The handle portion 10 has a main operating portion 21, an intermediate portion 22 and a sub operating portion 23 which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head portion 14 side.

주조작부(21)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대서 그립하는 부분이며, 파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핸들부(10)에 있어서 가장 굵은 굵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조작부(21)는 식모면(14a)으로부터 보아서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 양측에 곡면부(10a, 10a)를 갖고, 표리에 서로 대향하는 평면부(10b, 10b)를 갖고 있다. 이들 중, 일방의 평면부(10b)는 식모면(14a)측, 타방의 평면부(10b)는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주조작부(21)의 횡단면 형상(칫솔(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한 쌍의 평면부(10b)에 의해 핸들부(10)의 표리가 직선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핸들부(10)의 폭방향 양측은 외측으로 만곡하는 곡선으로 되어 있다.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is a portion where the user grips his / her fingers and preferably has the largest thickness in the handle portion 10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gripping performance.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has curved portions 10a and 10a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cooking cavity surface 14a and has flat portions 10b and 10b facing each other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se, the planar portion 10b on one side is formed on the cooking cavity surface 14a side and the other planar portion 10b is formed on the backsid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is straight with the front and back of the handle portion 10 by the pair of flat portions 10b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10 are curved outwardly.

핸들부(10)의 최대 폭치수를 갖는 주조작부(21)에 평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칫솔(100)이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othbrush 100 from rolling by forming the flat surface portion on the main operation portion 21 having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handle portion 10. [

중간부(22)는 주조작부(21)와 부조작부(23)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의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대략 원형이란, 진원형,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횡단면의 윤곽이 외방으로 팽출하는 곡선만으로 형성된 것, 원형의 일부에 직선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간부(22)의 횡단면 형상은 주조작부(21) 및 부조작부(23)의 단면적보다 전체적으로 작고, 주조작부(21)로부터 부조작부(23)를 향해서 점차 작아지고 있다.The intermediate portion 22 is a portion that connects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and the sub-operating portion 23, and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olumnar cross-sectional shape. The term " approximately circular " is not limited to a true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but includes a straight line formed by only a curv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outline of the cross section, or a straight line formed on a part of the circular shape.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 is smaller overall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and the minor operating portion 23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toward the sub operating portion 23. [

부조작부(23)는 중간부(22)에 이어설치되고, 칫솔(100)의 헤드부(1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부조작부(23)는 길이방향 일방의 단부(헤드부(14)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으로부터 보면 대략 구형상을 이루고,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도, 대략 원형이란, 진원형,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횡단면의 윤곽이 외방으로 팽출하는 곡선만으로 형성된 것, 원형의 일부에 직선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부조작부(23)의 외형상은 대략 구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면체 형상, 곡면 및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 또는 복수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 등이어도 좋다.The sub-operating portion 23 is provid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22 and is located at the end opposite to the head portion 14 of the toothbrush 100. The sub-operating portion 23 has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when viewed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 portion opposite to the head portion 14) side, and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lso in this case, the term "substantially circular" is not limited to a true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but rather includes a straight line formed by only a curv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outline of the cross section, or a straight line formed on a part of the circular shape. The outer shape of the sub-operating portion 23 is not limited to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and may be a polyhedral shape, a shape including a curved surface and a plane, or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부조작부(23)의 중간부(22)측은 내측으로 우묵한 완만한 곡면을 갖고 있고, 중간부(22)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축경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부조작부(23)는 중간부(22)를 향해서 좁아진 눈물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눈물형 형상이란, 최대 지름이 되는 위치부터 점차 축경된 형상을 포함하고, 곡면의 일부에 직선이 형성된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부조작부(23)와 중간부(22)측를 연속적으로 일체화하기 위해 이들의 경계 부분에 곡면을 형성해 둠으로써, 칫솔(100)의 사용시에 있어서 수중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으로의 칫솔(100)의 이동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The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 of the sub-operating portion 23 has a gently curved surface recessed inward and is continuously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intermediate portion 22. Specifically, the sub-operating portion 23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ear-shaped shape narrowed toward the intermediate portion 22. [ The tear-shaped shape includes a shape gradually reduced in diameter from a position where the diameter becomes the maximum, and a straight line is formed on a part of the curved surface. A curved surface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 operating portion 23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22 so that the toothbrush 1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water during use of the toothbrush 100, Can be performed smoothly.

칫솔(10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부조작부(23)의 직경은, 예를 들면 11mm이며, 7mm∼15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sub-operating portion 23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is, for example, 11 mm,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7 mm to 15 mm.

네크부(12)는 주조작부(21)의 선단(중간부(22)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으로부터 헤드부(14)측을 향해서 연장설치되어 있다. 네크부(12)에는 헤드부(14)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배면(12b)에 헤드부(14)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22a)(또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14)에 걸쳐서 점차 박형화되고 있다.The neck portion 12 extends from the front end (the end opposite to the intermediate portion 22 side) of the main operation portion 21 toward the head portion 14 side. An inclined surface 22a (or a curv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head portion 14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12b at the end portion of the neck portion 12 on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14, And is gradually becoming thinner over time.

또한, 네크부(12)의 굵기는 칫솔(100) 중에서 가장 가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네크부(12)의 직경은 약 3.5mm∼5.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12 is the thinnest among the toothbrushes 100. Specifically, the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12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about 3.5 mm to 5.0 mm.

헤드 폭과 비교해서 네크 부분을 보다 가늘게 함으로써, 구강 내의 구석구석으로 헤드부(14)가 닿기 쉬워짐과 아울러, 불필요한 브러싱압을 없애서 치아나 잇몸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making the neck portion thinner than the head width, the head portion 14 can easily reach the corners of the mouth, and unnecessary brushing pressure can be eliminated to prevent the tooth or the gum from being damag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핸들체(16)는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체(30)(도 4∼도 6)와, 기체(30)의 일부를 피복하는 연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부(31)(도 1∼도 3)를 구비한다. 피복부(31)는 핸들체(16)에 있어서의 주조작부(21)로부터 중간부(22)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4 to 6)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and a covering portion 31 (Fig. 4 to Fig. 6)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covering a part of the base body 30 1 to 3). The covering portion 31 is provided from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to the intermediate portion 22 in the handle 16.

본 실시형태의 핸들체(16)를 구성하는 기체(30)에는 주조작부(21)를 구성하는 영역에 외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해서 형성된 오목부(32)가 둘레방향으로 존재하고 있다. 오목부(32)는 중간부(22)를 구성하는 영역의 배면측으로 연장하여 있고, 중간부(22)의 형상에 맞춰서 선단측이 점차 가늘어지고 있다. 중간부(22)의 표면측에는 표시부(33)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 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문자 구멍(34)을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된 관통 구멍(35)을 통해서 배면측의 오목부(32)와 연통하고 있다.The base body 30 constituting the handle body 16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recess portion 32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region constituting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and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The concave portion 32 extends toward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region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portion 22, and the leading end side thereof is gradually tapered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 A plurality of character holes 34 constituting the display portion 33 are form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 and are arranged on the back surface 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35 formed to have a size including the plurality of character holes 34 As shown in Fig.

피복부(31)는 상술한 오목부(32) 내에 설치되고, 주조작부 본체(21A)의 주위를 주회하도록 존재함과 아울러 중간부 본체(22A)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일부를 피복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관통 구멍(35) 및 복수의 문자 구멍(34)은 피복부(31)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매립되어 있고, 문자 구멍(34)으로부터 노출되는 충전 재료의 일부에 의해 표시부(33)가 구성되어 있다.The covering portion 31 is provided in the recess 32 and covers the periphery of the main operating portion main body 21A and covers a part of the back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main body 22A. The through hole 35 and the plurality of character holes 34 are fill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overing portion 31. The portion of the filling material exposed from the character hole 34 is used for the display portion 33, .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문자 구멍(34)에 의해, 예를 들면, 「ABC」라고 하는 표시부(33)가 형성되게 되어 있지만, 표시 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문자 표시 이외에도 기호나 도안이어도 좋고, 이들을 복합한 것이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display section 33 called "ABC" is formed by the four character holes 34, but the display content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display, it may be a symbol, a pattern, or a combination thereof.

상술한 주조작부(21)의 한 쌍의 평면부(10b, 10b)는 피복부(31)에 의해 구성된다. 각 평면부(10b, 10b)는 식모면(14a)측으로부터 보아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고, 칫솔(100)을 사용하는 사람의 손가락의 제 1 관절이 해당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ir of flat surfaces 10b and 10b of the main control unit 21 described above is constituted by the covering portion 31. [ Each of the flat surfaces 10b and 10b has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ating cavity surface 14a and is preferably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int of the human finger using the toothbrush 100 .

기체(30)의 재질로서는 굽힘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MPa인 경질 수지를 들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30, a hard resin having a flexural modulus (JIS K7203) of 500 to 3000 MPa can be mentioned.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폴리아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질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Examples of the hard resin include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styrene (P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BS), polycarbonate (PC) (AS), polyarylate, polypropylene (PP), polyacetal (POM),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nd the like. These hard resin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피복부(31)의 재질은 연질 수지이다. 연질 수지는 손가락의 압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쇼어 경도 A가 90 이하인 수지가 바람직하고, 쇼어 경도 A가 50∼80인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질 수지로서는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covering portion 31 is soft resin. The soft resin is preferably deformable by a pressing force of a finger. For example, a resin having a Shore hardness A of 90 or less is preferable, and a resin having a Shore hardness A of 50 to 80 is more preferable. Examples of the soft resin include an elastomer (e.g., an olefin elastomer, a styrene elastomer, a polyester elastomer, a polyurethane thermoplastic elastomer, etc.), and silicon.

또한, 연질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 변성제나 가소제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The soft resin may contain an adhesive modifier, a plasticizer and the like, if necessary.

칫솔(100)의 길이, 즉 핸들체(16)의 길이는 칫솔(100)로 구강 내를 청소하는 대상자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된다. 칫솔(100)을 사용해서 마무리 닦기를 하는 대상이 아이이면, 핸들체(16)의 길이는, 예를 들면 140mm∼180mm가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toothbrush 100, that is, the length of the handle 16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son to be cleaned in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brush 100. If the subject to be finishing wiped using the toothbrush 100 is a child, the length of the handle 16 is preferably 140 mm to 180 mm, for example.

모속(18)은 원주 형상이어도 좋고, 각기둥형상이어도 좋다. The mother lobe 18 may be a columnar or prismatic shape.

식모면(14a)으로부터 모속(18)의 선단까지의 길이(모길이)는 모속(18)에 요구되는 모 탄력 등을 감안해서 결정되고, 예를 들면 6mm∼13mm가 바람직하다. The length (the number of rounds) from the caliper face 14a to the front end of the mother lug 18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ther elasticity required for the mother lug 18, and is preferably, for example, 6 mm to 13 mm.

식모면(14a)에 있어서의 모속(18)의 굵기(모속 지름)는 모속(18)에 요구되는 모 탄력 등을 감안해서 결정되고, 예를 들면 1mm∼2mm가 바람직하다. 모속(18)이 다각 기둥 형상일 경우, 모속 지름은 모속(18)의 횡단면의 외접원의 직경이다.The diameter (parent diameter) of the parent parent 18 in the parent parent face 14a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ther parentage required for the parent parent 18, and is preferably 1 mm to 2 mm, for example. When the mother lobe 18 has a polygonal column shape, the mother lobe diameter is the diameter of the circumscribed circl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mother lobe 18.

모속(18)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예를 들면 모 선단을 향해서 점차 그 지름이 작아져서 모 선단이 첨예화된 용모(테이퍼모), 식모면(14a)으로부터 모 선단을 향해 그 지름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모로서는 모 선단이 식모면(14a)에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된 것이나, 모 선단이 반구 형상으로 둥글게된 것을 들 수 있다.As the appearance constituting the mother lobe 18,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mother lobe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mother lobe and the shape of the mother lobe is sharpened (tapered mother) (Straight hair). As the straight hair, the hair tip may be form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air styling surface 14a, but the hair tip may be hemispherical in shape.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나일론(6-12NY), 6-10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PP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appearance may be a polyamide such as 6-12 nylon (6-12NY), 6-10 nylon (6-10NY), PET, PBT, PTT, ) And polybutylene naphthalate (PBN); polyolefins such as PP; elastomer resins such as olefin elastomers and styrene elastomers; and the like. These resin material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용모로서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시스부를 갖는 다중 코어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들 수 있다.Further, as the appearance, there can be enumerated polyester having a core portion and a multi-core structure having at least one sheath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re portion.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별형, 세잎클로버형, 네잎클로버형 등으로 해도 좋다. 모든 용모의 단면 형상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ppearan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ircular, polygonal, star-shaped, three-leaf clover, four-leaf clover, or the like.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all the featur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용모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일 경우, 예를 들면 6mil∼9mil(1mil=1/1000inch=0.025mm)로 된다. 또한, 사용감,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 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features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the like, and when the cross section is circular, for example, it is 6 mil to 9 mil (1 mil = 1/1000 inch = 0.025 mm). In addition,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may be arbitrarily combined in consideration of feeling of use, chain sawing, cleaning effect, durability and the like.

칫솔(100)은 종래 공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The toothbrush 100 is obtained by a conventionally known manufacturing metho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100)의 기체(3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100)의 기체(3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100)의 기체(30)의 배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base 30 of the toothbr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base 30 of the toothbr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the base body 30 of the toothbrush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칫솔(100)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othbrush 100 will be described.

본예의 제조방법은 1차 금형에 기체(30)를 구성하는 수지를 사출하여 기체(30)를 얻는 1차 성형 공정과, 2차 금형에 기체(30)를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피복부(31)를 구성하는 수지를 2차 금형 내에 사출하는 2차 성형 공정과, 헤드부(14)의 식모면(14a)에 모속(18)을 심어설치하는 식설(植設) 공정을 갖는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xample is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primary molding step of injecting a resin constituting a base 30 into a primary mold to obtain a base body 30 and a molding step of arranging the base body 30 in a secondary mold, And a step of planting (embedding) a step in which a mother lobe 18 is planted on the mold cavity surface 14a of the head part 14. [

1차 성형 공정에서는 공지의 사출 성형법이 적용되고, 피복부(31)에 대응하는 오목부(32)가 형성된 기체(30)를 얻는다.In the primary molding step, a known injection molding method is applied to obtain a base body 30 having a concave portion 32 corresponding to the covering portion 31 formed thereon.

2차 성형 공정에서는 2차 금형 내에 기체(30)를 배치하고, 이어서 피복부(31)를 구성하는 수지를 2차 금형 내에 사출해서 피복부(31)를 형성하여 핸들체(16)를 얻는다.In the secondary molding step, the substrate 30 is disposed in the secondary mold, and then the resin constituting the covering section 31 is injected into the secondary mold to form the covering section 31 to obtain the handle body 16.

다음에, 얻어진 핸들체(16)의 식모면(14a)에 모속(18)을 심어설치함으로써 칫솔(100)이 얻어진다. 모속(18)을 심어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속(18)을 반으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진 평선(平線)을 식모 구멍에 박아넣음으로써 모속(18)을 심어설치하는 평선식 식모, 모속(18)의 하단을 헤드부(14)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해서 고정하는 열융착법, 모속의 하단을 가열해서 용융 덩어리를 형성한 후에 금형 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해서 헤드부(14)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Next, the toothbrush 100 is obtained by installing the blusher 18 on the kneading surface 14a of the obtained handle body 16. As a method of installing the mother loupe 18,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mother loupe 18 is folded in half and a flat line sandwiched therebetween is inserted into the hair-making hole, A hot melt method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ther lube 18 is press-fitted into a molten resin to be a head part 14, a method in which a molten resin is injected into the mold after heating the lower end of the mother liquor to form a molten mass, And an in-mold method in which molding is per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칫솔 잡는 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gripp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의 칫솔(1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펜그립으로 잡고 헤드부(14)를 미세하게 조작하는데에 적합한, 마무리 닦기에 특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toothbrus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tructured so as to be suitable for finishing wiping, which is suitable for a user to grasp the head portion 14 finely with a pen grip.

예를 들면, 어른이 영유아의 구강 내에 마무리 닦기를 할 때에는 핸들부(10)의 주조작부(21)에 엄지, 검지, 중지 등을 대고, 펜그립식으로 핸들부(10)를 파지한다. For example, when the adult wipes the inside of the baby's oral cavity, the user grasps the handle portion 10 with the thumb, index finger, or the like in the main operation portion 21 of the handle portion 10 in a pen grip style.

사용자가 칫솔(100)의 핸들부(10)를 파지하면, 부조작부(23)가 엄지와 검지 사이의 함몰부에 걸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하기 쉬워서, 부조작부(23)를 지점으로 해서 안정하게 브러싱을 행하기 쉽다. 또한, 주조작부(21)에는 어느 일방의 평면부(10b)에 검지 또는 엄지를 댐으로써, 보다 안정감 있게 브러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0)에는 피복부(3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싱 시에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려워 피로해지지 않는다.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부(31)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적당한 그립감을 얻기 쉽다.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portion 10 of the toothbrush 100, since the sub-operating portion 23 is caught by the depression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it is easy to fix, . In addition, the main operating unit 21 can be brushed with more stability by dangling the detection surface or the thumb on one of the flat surface portions 10b. Further, since the handle portion 10 is provided with the covering portion 31, the finger is hard to slip and is not fatigued at the time of brushing. Since the covering portion 31 made of soft resin has elasticity, the user can easily obtain an appropriate grip feeling.

또한, 핸들부(10)의 중간부(22)는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주조작부(2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가늘어져 있기 때문에, 축주위로 회전시키기 쉽다. 그 때문에, 칫솔(100)의 모 선단이 여러가지 각도로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할 수 있어서, 칫솔(100)을 치아나 잇몸에 접촉시켜서 맞물림면을 향해서 회전시키면서 닦는 것도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펜그립으로 쥐었을 때에 칫솔(100)의 자유도가 높아서 핸들링하기 쉽다.Since the intermediate portion 22 of the handle portion 1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tapered away from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the intermediate portion 22 is easy to rotate on the shaft. As a result, the tip of the toothbrush 10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eeth or gums at various angles, making it easy to contact the toothbrush 100 with the teeth or gums and rotate the toothbrushes 100 while rotating them toward the engaging surfac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en grip is grippe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toothbrush 100 is high and it is easy to handle.

또한, 핸들부(10)의 중간부(22)와 부조작부(23)의 경계 부분이 부조작부(23)를 향해서 확경하는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칫솔(10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어서 핸들링하기 쉽다.Since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intermediate portion 22 of the handle portion 10 and the sub operating portion 23 has a gentle curved surface that widens toward the sub-operating portion 23,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also be smoothly handled.

핸들체(16)의 주조작부(21)에는 평면부(10b, 10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펜그립으로 잡았을 때에 엄지와 검지에 핏팅되기 쉽고, 적당한 파지력으로 쥘 수 있기 때문에, 브러싱하기 쉽다.Since the flat surface portions 10b and 10b are formed on the main operating portion 21 of the handle 16, it is easy to brush against the thumb and index finger when gripped by the pen grip and can grip with a suitable gripping force.

본 실시형태의 칫솔(100)은 외형 및 단면 형상으로 원형을 사용하고, 전체적으로 곡선을 많이 채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영유아용의 마무리 닦기용 칫솔로서 외관적으로 우아한 인상을 줄 수 있다.The toothbrush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ircular shape in its outer shape and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shape in which a large number of curves are used as a whol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ive an elegant appearance as an especially clean toothbrush for infants and toddlers.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 생각이 미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양해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they are also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식모면(14a)에 13개의 모속(18)이 심어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속(18)의 수는 12개 이하이어도 좋고, 1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모속(18)의 배열 패턴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3 blades 18 are planted on the blade surface 14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blades 18 may be 12 or less, or 14 or more . Any arrangement pattern of the mother lobe 18 may be used.

10…핸들부 12…네크부
14…헤드부 14a…식모면
18…모속 21…주조작부
22…중간부 23…부조작부
31…피복부 100…칫솔
10 ... The handle portion 12 ... Neck part
14 ... Head portion 14a ... Expression
18 ... It is ... Main control unit
22 ... Middle part 23 ... [0030]
31 ... The crotch part 100 ... toothbrush

Claims (10)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연장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14a)에 복수의 모속이 심어설치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헤드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되는 주조작부, 중간부 및 부조작부를 갖고,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이 상기 주조작부 및 상기 부조작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칫솔.
A toothbrush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having a length in one direction, a neck portion extending to the handle portion, and a head portion provided at a tip of the neck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hairs are planted on the kneading surface (14a)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has a main operating portion,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sub-operating portion that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head portion sid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ddle portion that cross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main operating portion and the su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작부와 상기 부조작부를 연결하는 상기 중간부의 상기 단면적은 상기 주조작부로부터 상기 부조작부를 향해서 점차 작아지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main operating portion and the sub-operating port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main operating portion toward the sub-operating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 및 상기 부조작부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상인 칫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sub-operating portion is substantially circula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작부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구형상을 이루는 칫솔.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sub operating portion has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as viewed from an end side opposite to the hea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작부에는 탄성을 갖는 피복부가 설치되어 있는 칫솔.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main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ver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 상기 네크부 및 헤드부는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는 연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칫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andle portion,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re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Wherein the covering portion is made of soft synthetic resin.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문자, 기호, 도안 중 적어도 1개를 모방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칫솔.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with a hole that mimics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symbol, and a patter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에는 연질 합성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ole is filled with a soft synthetic resi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두께는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얇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칫솔.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ther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식모면(14a)에 대하여 상기 핸들부 및 상기 네크부의 연장방향이 평행하여 있는 칫솔.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s parallel to the wedge surface (14a) of the head portion.
KR1020187022254A 2016-06-02 2017-01-05 toothbrush Active KR1026388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0937 2016-06-02
JP2016110937A JP6970491B2 (en) 2016-06-02 2016-06-02 toothbrush
PCT/JP2017/000109 WO2017208488A1 (en) 2016-06-02 2017-01-05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712A true KR20190011712A (en) 2019-02-07
KR102638892B1 KR102638892B1 (en) 2024-02-22

Family

ID=6047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254A Active KR102638892B1 (en) 2016-06-02 2017-01-05 toothbrush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70491B2 (en)
KR (1) KR102638892B1 (en)
CN (1) CN109152469B (en)
MY (1) MY189142A (en)
WO (1) WO201720848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5643B (en) * 2019-06-28 2024-06-04 狮王株式会社 Toothbrush with tooth brush
JP7413010B2 (en) 2019-12-26 2024-01-15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38A (en) 1992-07-09 1994-02-01 Sumitomo Seika Chem Co Ltd Highly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JPH10215949A (en) * 1997-02-03 1998-08-18 Lion Corp Toothbrush handle
JP2010167175A (en) * 2009-01-26 2010-08-05 Sunstar Inc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686031B2 (en) 2000-07-11 2011-05-18 バメ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toothbrush
JP2016013247A (en) * 2014-07-01 2016-01-28 小林製薬株式会社 Tooth brus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538U (en) * 1979-08-03 1981-03-09
JPH0123298Y2 (en) * 1985-06-18 1989-07-18
WO2006123435A1 (en) * 2005-05-19 2006-11-23 Hirotoshi Tanoue Rotatable tooth brush
JP5785820B2 (en) * 2011-08-26 2015-09-30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JP5806922B2 (en) * 2011-12-07 2015-11-10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38A (en) 1992-07-09 1994-02-01 Sumitomo Seika Chem Co Ltd Highly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JPH10215949A (en) * 1997-02-03 1998-08-18 Lion Corp Toothbrush handle
JP4686031B2 (en) 2000-07-11 2011-05-18 バメ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toothbrush
JP2010167175A (en) * 2009-01-26 2010-08-05 Sunstar Inc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013247A (en) * 2014-07-01 2016-01-28 小林製薬株式会社 Tooth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52469B (en) 2021-03-05
MY189142A (en) 2022-01-28
JP2017213314A (en) 2017-12-07
JP6970491B2 (en) 2021-11-24
KR102638892B1 (en) 2024-02-22
CN109152469A (en) 2019-01-04
WO2017208488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9912B (en) Toothbrush
KR101970282B1 (en) toothbrush
JP5269351B2 (en) toothbrush
EP1864590B1 (en) Toothbrush with gum cushions on the sides of the head
KR102237310B1 (en) Tooth brush
US8990995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a body disposed within the handle
KR20180120143A (en) toothbrush
KR20190011712A (en) toothbrush
KR102626201B1 (en) Elastic toothbrush for easy brushing and Elastic Mechanism
KR101870485B1 (en) Toothbrush
JP7619804B2 (en) Application brush
WO2018110299A1 (en) Toothbru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othbrush
CN111093430B (en) Tooth brush
JP2024054019A (en) toothbrush
JP2018094008A (en) Toothbrush and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9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