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10212A -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 Google Patents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212A
KR20190010212A KR1020170092696A KR20170092696A KR20190010212A KR 20190010212 A KR20190010212 A KR 20190010212A KR 1020170092696 A KR1020170092696 A KR 1020170092696A KR 20170092696 A KR20170092696 A KR 20170092696A KR 20190010212 A KR20190010212 A KR 2019001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veratrol
chitosan
pga
nanocapsules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060B1 (ko
Inventor
박광열
이현규
이지수
김은서
정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이산업
Priority to KR102017009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9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의 캡슐화(encapsulation)를 통하여, 불안정한 유효성분을 빛, 산소, 수분, 온도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로, 유효성분의 산화방지, 안정성 및 보존성 향상, 물성 및 제조공정 개선 등의 목적을 위한 발명으로서, 나노기술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DDS : Drug Delivary System)을 이용하여 캡슐화를 시킴으로서, 나노단위의 작은 입자를 통해 용해도 향상, 체내 흡수 증가 및 표적기관으로의 안정적인 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생체이용효율이 증가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레스베라트롤 용액을 100% 에탄올에 녹인 후 나노캡슐의 기본 피복물질로 수용성 키토산(chitosan)과 폴리글루탐산(poly--glutamic acid, PGA)을 이용하여 키토산/PGA 나노입자를 제조한 것으로, 상세 제조공정은 하기와 같다.
1. 레스베라트롤 용액은 100% 에탄올에 녹여 제조.
2.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키토산 용액에 레스베라트롤 용액을 충분히 분산시킨 후 계속 교반(1,000 rpm).
3. 동시에 PGA 용액을 peristaltic pump를 이용하여 키토산과 레스베라트롤
혼합용액에 일정 속도(1.0 mL/min)로 떨어뜨려 레스베라트롤 함유 나노캡슐을 제조.
이때,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캡슐의 크기가 100-150 nm 이다.

Description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METHOD FOR PREPARATION OF RESVERATROL NANO-CAPSUE AND THE NANO-CAPSULE THEREFROM}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의 캡슐화(encapsulation)를 통하여, 불안정한 유효성분을 빛, 산소, 수분, 온도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로, 유효성분의 산화방지, 안정성 및 보존성 향상, 물성 및 제조공정 개선 등의 목적을 위한 발명으로서, 나노기술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DDS : Drug Delivary System)을 이용하여 캡슐화를 시킴으로서, 나노단위의 작은 입자를 통해 용해도 향상, 체내 흡수 증가 및 표적기관으로의 안정적인 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생체이용효율이 증가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3,4',5-trihydroxystilbene)은 최근 가장 주목받는 몰리페놀 중 하나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강력한 항균물질로서, 항산화 효능이 탁월하고 항암, 항혈전 및 항염증 활성 등 여러가지 생리적 및 약리적 작용을 나타내어 식품과 화장품 등에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하기의 이유로 다양한 생리 활성에 비해 산업적 활용도가 낮다.
레스베라트롤은
1) 난용성 성분으로 음료 등의 수용성 가공에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 구조적인 불안정성으로 인해 빛, 열, 산소 등에 노출 시 trans형이 cis형으로 3) 대사가 빠르고 체내 반감기가 짧아 섭취 시 생체이용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주요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방법이나, 이러한 열수 추출방법은 110℃의 고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에 의한 추출물의 변성 또는 레스베라트롤의 파괴가 일어나 추출물 중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레스베라트롤 산업의 확장 발전을 위해서는 레스베라트롤 소재의 가용성과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 등록 제 10-14604020000 호 특허 등록 제 10-12131410000 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의 니노캡슐화를 통해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캡슐화(encapsulation)는 불안정한 유효성분을 빛, 산소, 수분, 온도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로, 이로 인하여, 유효성분의 산화방지, 안정성 및 보존성 향상, 물성 및 제조공정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노기술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DDS : Drug Delivary System)을 통하여, 나노단위의 작은 입자를 통해 용해도 향상, 체내 흡수 증가 및 표적기관으로의 안정적인 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생체이용효율이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나노캡슐의 기본 피복물질로 수용성 키토산(chitosan)과 폴리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 PGA)을 이용하여 키토산/PGA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레스베라트롤 용액은 100%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에 녹여 제조하였다.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키토산 용액에 레스베라트롤 용액을 충분히 분산시킨 후 계속 교반하면서, PGA 용액을 키토산과 레스베라트롤 혼합용액에 일정 속도로 떨어뜨려 레스베라트롤 함유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도 1 참조).
이때, 교반속도는 1,000 rpm, PGA 혼합속도는 1.0 mL/min 인 것이 바람직하고, PGA 혼합시는 peristaltic pum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레스베라트롤의 캡슐을 제조함으로,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를 개선시키고, 항산화 및 항노화활성, 생체이용효율을 극대화 시킨 고기능성 레스베라트롤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은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레스베라톨 함유 나노켑슐 제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피복물질 농도에 따른 나노입자의 입자 크기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피복물질 농도에 따른 나노입자의 분산도 (PDI)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8.3% 에탄올에서의 레스베라트롤 함유 나노분산액과 유리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 그래프이다.
도 5는 레스베라트롤 함유한 키토산/PGA캡슐의 세포투과율이다.
도 6는 키토산 및 PGA 농도에 따른 입자크기의 3차 그래프이다.
도 7은 키토산 및 PGA 농도에 따른 용해도의 3차 그래프이다.
도 8은 키토산 및 PGA 농도에 따른 UV안정성의 3차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 및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한 나노캡슐화 방법에 사용되는 피복소재로 키토산과 γ-PGA를 선정하였다. 나노캡슐을 화장품이나 식품에 적용하기 위해 안전한 피복소재의 선정은 중요한 요소인데, 키토산과 PGA는 식의약 분야에 널리 쓰이는 물질로 그 안전성이 이미 검증된 물질이며 섭취 후에도 인체 내에서 생분해 가능하며 무독성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키토산은 양전하를 띄고 PGA는 음전하를 띄므로 가교제 없이 두 물질만을 이용한 이온결합 방법으로 나노캡슐화가 가능하므로 두 물질을 피복소재로 선정하였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톨나노 캡슐에 있어서,
포도에서 레스베라톨을 추출하였고, 레스베라트롤의 추출율을 높히기 위하여 효소처리를 할 수 있다.
처리 효소는 효모추출물로서 생효모보다 유용함을 연구실험 결과 확인되어 효모 추출물을 처리하는 것으로 하며 농도는 1.0% 처리보다 0.5% 처리군에서 함량 증진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모추출물 (Yeast Extract) 는 0.5%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 참조)

효모 추출물 처리농도

resveratrol의 함량(㎍/g)
Distilled water 0.42
0.1% 0.47
0.5% 0. 52
1% 1,79
상기와 같이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은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레스베라트롤(>99%, RES)은 Sigma-Aldrich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포도추출물은 단국대 (Gyeonggi, Korea)에서 제공 받아 사용하였다. 피복물질로 사용된 키토산 (chitosan, M.W. 1,000~3,000) 과 폴리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 PGA, M.W. 50 kDa)는 각각 Kittolife Co. (Seoul, Korea) 과 BioLeaders Corp. (Daejeon,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나노캡슐의 기본 피복물질로 수용성 키토산(chitosan)과 폴리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 PGA)을 이용하여 키토산/PGA 나노입자를 제조한 후, 레스베라트롤 용액은 100% 에탄올에 녹여 제조하였다.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키토산 용액에 레스베라트롤 용액을 충분히 분산시킨 후 계속 교반(1,000 rpm)하면서 PGA 용액을 peristaltic pump를 이용하여 키토산과 레스베라트롤 혼합용액에 일정 속도(1.0 mL/min)로 떨어뜨려 레스베라트롤 함유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캡슐의 크기가 100-150 nm로 측정되었다.
레스베라트롤 함유 나노캡슐의 물리적 특성
키토산과 PGA 농도변화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6가지 제조조건을 설정하였다. 이 제조조건에서 나노캡슐의 입자크기와 입자분산도(PDI) 등의 입자특성을 분석하였다 (도 2 및 3 참조).
나노캡슐의 나노입자크기(particle size)를 비롯하여 입자의 분산도(polydispersity index, PDI), 산란강도(derived count rate, DCR) 및 제타전위(zeta potential) 등의 입자특성은 나노입도분석기(Marvern Zetasizer Nano Z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키토산과 PGA의 농도비율이 약 5:1 ~10:1의 비율 일때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나노캡슐이 형성되었으며, 그 이외의 비율에서는 침전물이 형성되거나 입자크기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었다. 즉, 키토산 0.5 mg/mL 일 때 PGA 0.05, 0.10 mg/mL 조건, 키토산 1.0 mg/mL 일 때 PGA 0.10, 0.20 mg/mL 조건, 키토산 2.0 mg/mL 일 때 PGA 0.20, 0.40 mg/mL 조건일 때 입자 분산도가 낮은 우수한 특성의 나노입자가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나노캡슐의 입자크기는 0.5에서 2.0 mg/mL까지의 키토산 농도변화에 의해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키토산/PGA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서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키토산 농도와 상관없이 키토산/PGA 비율이 10일 때, 입자크기는 약 500 nm로 측정되었고 비율이 5일때, 약 150 nm의 나노캡슐이 형성되었다. 또한, PDI는 키토산이나 PGA 농도 및 키토산/PGA 비율과 상관없이 모든 조건에서 0.1 이하로 측정되어 매우 균일한 입자크기 분포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크기를 형성하는 키토산/PGA 비율 5일 때의 조건에서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이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 용해도 평가
나노캡슐화에 따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나노캡슐 분산액과 대조군인 나노캡슐화하지 않은 레스베라트롤 용액을 제조하였다. 두 용액에 최대한 녹는 레스베라트롤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혼합해주는 레스베라트롤의 농도를 점차 높이며 제조하였다. 에탄올에 대한 간섭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두 용액 모두 에탄올 함량을 8.3%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물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
기 위하여 두 용액을 같은 조건에서 동결건조 후 물에 재분산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각 분산액을 0.45 μm MCE syringe filter를 통하여 여과한 후, HPLC를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을 정량분석하였다.
- 용해도 평가 결과
키토산/PGA 나노캡슐화에 따른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캡슐에 함유하는 레스베라트롤 농도를 점차적으로 높이면서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나노캡슐화 되지 않은 유리 레스베라트롤도 같은 농도에서 용해도를 측정했으며, 나노캡슐 제조시에 함유되는 에탄올에 의한 간섭효과를 없애기 위하여 나노캡슐과 유리 레스베라트롤 모두 에탄올 농도를 8.3%로 고정하였다.
나노캡슐화가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분석과 육안관측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도 4 참조)
캡슐화되지 않은 유리 레스베라트롤 분산액의 경우, 레스베라트롤 농도 80 μg/mL까지는 첨가 레스베라트롤양이 증가할수록 용해도도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더 이상 녹을 수 있는 레스베라트롤의 양은 증가하지 않고 그 값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나노캡슐의 경우 레스베라트롤 농도 200 μg/mL까지 용해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는 캡슐화되지 않은 유리 레스베라트롤 용해도의 2.5배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따라서 나노캡슐화 됨에 따라 난용성인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가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피복물질 농도별간의 용해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육안관측 결과, 레스베라트롤 농도 80 μg/mL 까지는 캡슐화 유무에 따른 육안상의 차이가 관측되지않았으나, 레스베라트롤의 농도가 점차 증가됨에 따라 레스베라트롤 캡슐은 뚜렷한 변화없이 약간 뿌연 반투명한 상태를 유지한 반면, 유리 레스베라트롤의 경우 레스베라트롤 농도 증가에 따라 분산액이 탁해지면서 200 μg/mL의 농도에서는 거의 불투명한 성상을 나타냈다.
- 저장 안정성 평가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캡슐의 저장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5일 동안 25℃에서 시료를 저장하면서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동안 나노캡슐화 되지 않은 유리상태의 레스베라트롤과 나노캡슐화 된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를 5일마다 관측하였다. 저장 직전 시료들의 레스베라트롤 용해도는 모두 같았다. 저장 5일후 유리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는 30% 감소한 반면 나노캡슐화된 레스베라트롤의 용해도는 5-15% 감소하였다.
이는 나노캡슐화된 레스베라트롤이 친수성인 키토산과 PGA의 영향을 받아 유리 레스베라트롤보다 용해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시료들 중에서는 입자크기가 가장 작은 CS0.5 PGA0.1 나노입자가 pH 3.5, pH 5.5에서 저장기간동안 유의적으로 가장 큰 용해도를 나타냈다. 또한 입자크기가 클수록 저장기간동안 용해도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이를 통해 입자크기가 용해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세포투과율 평가
Confocal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의 장세포 투과정도를 확인하였다.
confocal 현미경 사진에서 형광세기가 클수록 세포 내로 흡수된 레스베라트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나노캡슐화하지 않은 유리 레스베라트롤의 형광세기가 나노캡슐화된 레스베라트롤보다 작았다. 이를 통해 나노캡슐화에 의해 세포투과력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시료 간에 가시적인 차이를 보지 못해 정량분석을 진행하였다. (도 5 참조).
나노캡슐화하지 않은 유리 레스베라트롤의 세포투과율은 3.5% 였으나, 나노캡슐화된 레스베라트롤의 세포투과율은 5-7%를 나타냈다. 피복물질농도가 낮을수록 세포투과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용해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tight junction을 열어준다고 알려져있는 키토산 뿐만 아니라 용해도도 세포투과에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된다.
- 실험결과
입자크기는 키토산/PGA 비율이 3 이상부터 키토산/PGA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관측되었다 (도 6 참조).
피복물질의 농도는 입자크기에 영향을 미치며 키토산 농도가 증가,
PGA 농도가 감소할수록 입자크기가 증가한다고 판단된다.
용해도는 키토산농도 1.1-2.5mg/mL 범위에서 키토산 농도가 감소, PGA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7 참조).
입자크기가 감소할수록 용해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입자크기와 피복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용해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UV 안정성은 키토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관측되었다 (도 8 참조). 키토산 농도 0.5-1.5mg/mL 범위에서 PGA 농도 감소함에 따라 UV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나 키토산 농도 1.5-2.5mg/mL 범위에서는 PGA 농도변화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관측되지 않았다. 키토산의 최저 농도와 PGA의 최대 농도에서 가장 낮은 UV안정성을 나타냈으며, UV안정성과 입자크기는 비슷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입자크기가 클수록 UV안정성은 증가하고 용해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8)

  1. 피복소재로 키토산과 γ-PG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의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제조방법:
    레스베라트롤 용액은 100% 유기용매에 녹여 제조하는 단계;
    레스베라트롤 함유 키토산/PGA 나노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키토산 용액에 레스베라트롤 용액을 충분히 분산시킨 후 계속 교반하는 단계; 및
    동시에 PGA 용액을 키토산과 레스베라트롤 혼합용액에 일정 속도로 떨어뜨리는 단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키토산과 PGA의 농도비율이 약 5:1 ~10:1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레스베라트롤은
    포도에 0.5% 농도의 효모추출물 (Yeast Extract)을 추가하여 레스베라트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의 크키는 100-15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10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제조방법.
  7. 2항에 있어서, 교반 속도는 1000rpm 이고, PGA 첨가 속도는 1.0 mL/min 이며, 첨가시 peristaltic pump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또는 화장용 조성물.
KR1020170092696A 2017-07-21 2017-07-21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Active KR10199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96A KR101990060B1 (ko) 2017-07-21 2017-07-21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96A KR101990060B1 (ko) 2017-07-21 2017-07-21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12A true KR20190010212A (ko) 2019-01-30
KR101990060B1 KR101990060B1 (ko) 2019-09-30

Family

ID=6527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96A Active KR101990060B1 (ko) 2017-07-21 2017-07-21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1370A (zh) * 2021-05-18 2021-07-30 六安市康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肿瘤靶向药物合成工艺
KR20220154395A (ko) 2021-05-13 2022-11-22 케이비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나노입자
KR20230019276A (ko) * 2021-07-29 2023-02-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입자 안정성 및 수용성이 증가된 파이토케미칼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N115919974A (zh) * 2022-01-24 2023-04-07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肠生胶囊发酵液的发酵工艺以及其冻干粉的制备方法
CN116172903A (zh) * 2023-03-13 2023-05-30 北京工商大学 一种玉米蛋白多糖纳米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04344A (ko) * 2021-12-30 2023-07-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히보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및/또는 나노파티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41B1 (ko) 2004-04-07 2012-12-17 레스베라트롤 파트너스, 엘엘씨 건강보조식품과 그 제조방법
KR20140107179A (ko) * 2012-08-28 2014-09-04 (주)오리지날 바이오메디칼스 킬레이트 복합 교질입자로 구성된 의약 조성물의 제어방출방법
US20140294931A1 (en) * 2005-09-15 2014-10-02 Nanopharmaceuticals Llc Method and composition of thyroid hormone analogues and nanoformulations thereof for treating anti-inflammatory disorders
KR101460402B1 (ko) 2012-07-01 2014-11-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분무건조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미세캡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41B1 (ko) 2004-04-07 2012-12-17 레스베라트롤 파트너스, 엘엘씨 건강보조식품과 그 제조방법
US20140294931A1 (en) * 2005-09-15 2014-10-02 Nanopharmaceuticals Llc Method and composition of thyroid hormone analogues and nanoformulations thereof for treating anti-inflammatory disorders
KR101460402B1 (ko) 2012-07-01 2014-11-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분무건조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미세캡슐 제조방법
KR20140107179A (ko) * 2012-08-28 2014-09-04 (주)오리지날 바이오메디칼스 킬레이트 복합 교질입자로 구성된 의약 조성물의 제어방출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395A (ko) 2021-05-13 2022-11-22 케이비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나노입자
CN113181370A (zh) * 2021-05-18 2021-07-30 六安市康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肿瘤靶向药物合成工艺
KR20230019276A (ko) * 2021-07-29 2023-02-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입자 안정성 및 수용성이 증가된 파이토케미칼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104344A (ko) * 2021-12-30 2023-07-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히보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및/또는 나노파티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CN115919974A (zh) * 2022-01-24 2023-04-07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肠生胶囊发酵液的发酵工艺以及其冻干粉的制备方法
CN116172903A (zh) * 2023-03-13 2023-05-30 北京工商大学 一种玉米蛋白多糖纳米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060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212A (ko) 레스베라트롤의 나노캡슐 제조방법 및 제조된 레스베라트롤 나노캡슐
Stoica et al. PREPARATION OF CHITOSAN-TRIPOLYPHOSPHATE NANOPARTICLES FOR THE ENCAPSULATION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ROSE HIPS.
Pan et al. Fabrication of polydopamine-based curcumin nanoparticles for chemical stability and pH-responsive delivery
CN101658494B (zh) 一种石杉碱甲固体脂质纳米粒及其制备方法
CN104337851B (zh) 鸦胆子油纳米结构脂质载体及其冻干粉的制备方法
CN113559072B (zh) 一种京尼平交联的蛋白-壳寡糖纳米粒、Pickering乳液、制备方法及应用
Peng et al. EGCG-based nanoparticl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Fan et al. Overlooked spherical nanoparticles exist in plant extracts: from mechanism to therapeutic applications
CN103127031A (zh) 一种油性及油溶性药物纳米囊的制备方法
CN108401420A (zh) 香气持久性得到提高的液相除臭剂组合物
Luu et al. Nanoencapsulation of Chromolaena odorata extract using pluronic F127 as an effectively herbal delivery system for wound healing
CN108653239B (zh) 一种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纳米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Li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garose-sodium alginate hydrogel beads for the co-encapsulation of lycopene and resveratrol nanoemulsion
Datt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griseofulvin 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gel for treating dermatophytosis
Nazurah et al. Chitosan nanoparticles incorporate with curry leaf essential 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release properties
CN112891305B (zh) 利用不饱和古罗糖醛酸负载白藜芦醇的o/w型纳米乳的制备方法
Martin et al. Facile green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Rubus Rosifolius Linn aqueous fruit extracts and its characterization
L Prada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assia grandis and Bixa orellana nanoformulations
Sharma et al. Biodegradable polymeric nanocomposite containing phloretin for enhanced oral bioavailability and improved myocardial ischaemic recovery
US20230263849A1 (en) Functionalized cellulose nanocrystals stabilized smart pickering emulsion for enhanced probiotic delivery
Nikkhah et al. Physical stability of microliposomes in bene (Pistacia atlantica) oil with different formulations
CN106924228B (zh) 一种姜黄素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anwal et al. Development of positively charged amphiphile containing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for improved therapeutic efficacy of metronidazole against Helicobacter pylori
EP3331500A1 (en) Nanosuspension containing particles an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Al-Ogaidi Improving oral intake of essential oil blends using a novel formulation of biodegradable chitosan/lecithin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