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469A - Sterilization module with mesh net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rilization module with mesh net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6469A KR20190006469A KR1020180173758A KR20180173758A KR20190006469A KR 20190006469 A KR20190006469 A KR 20190006469A KR 1020180173758 A KR1020180173758 A KR 1020180173758A KR 20180173758 A KR20180173758 A KR 20180173758A KR 20190006469 A KR20190006469 A KR 201900064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present
- tank
- fixing
- sterilization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분해를 이용한 물 살균시 전극에 발생하는 스케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메쉬망이 구비된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ng module having a mesh net for preventing the scale from escaping from an electrode during water sterilization using electrolysis,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물의 살균 또는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최근 비데의 온수탱크 등에도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살균된 물을 이용한 세척을 하고, 나아가 탱크, 유로, 노즐, 도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로도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n electrolytic method using an electrode is widely used to generate water sterilization or sterilization water. Recently, this method has also been applied to a hot water tank of a bidet, and is used as a washing water for washing a tank, a passage, a nozzle, a pottery, and the like using sterilized water.
그러나 물을 전기분해방식의 경우 전기분해 과정에서 전극에 스케일이 발생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데의 온수탱크의 내부에 전기분해를 위한 살균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발생하는 스케일로 인하여 온수탱크 내부에 부유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electrolysis of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scale is generated in the electrode during electrolysis. Accordingly, when a sterilizing module for electrolysis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of the bidet, there is a problem that suspended substances are generated in the hot water tank due to the scale that occurs.
나아가 이러한 온수탱크 내부의 스케일이 출수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게 되고, 또한 스케일이 출수과정에서 유로의 내부에 잔존하여 유로의 막힘 현상 또는 노즐의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출수를 방해하고, 고장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scale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provided to the user along with the outflow, which causes discomfort to the user, and the scale remains in the inside of the flow path in the course of heading, thereby obstructing effective flow of water due to clogging of the flow path or clogging of the nozzle , Causing a problem of failur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균모듈의 전극의 형태 배치 등의 변경을 통한 구조적인 해결을 하기 위한 시도, 스케일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전극의 코팅을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thods such as an attempt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 through changing the shape of the electrode of the sterilization module generally used and an electrode coating in order to reduce the generation of scale have been attempted have.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기존의 설계의 변경을 하여야 하고, 고가의 전극을 사용하여야 하여 생산단가가 올라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method also requires a change of the existing design, and the use of expensive electrodes cause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따라서 기존의 설계의 변경 없이 간단하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desig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살균모듈의 전극을 둘러싸는 메쉬망을 기존의 전극 구조물에 간단하게 고정하는 방식을 통하여 전기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이 외부로 출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살균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cale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process goes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simple method of fixing the mesh net surrounding the electrode of the sterilization module to the existing electrode structure And to provide a sterilization module for the steriliz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모듈은 탱크에 결합되고, 상기 탱크에 수용되는 물에 노출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살균유닛, 상기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을 상기 살균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ilizing module including a sterilizing unit coupled to a tank and including an electrode exposed to water contained in the tank, a mesh network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fixing part to the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탱크에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전극을 고정하는 전극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망은 상기 전극홀더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메쉬망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terilizing unit may include a body coupled to the tank, and an electrode holder coupled to the body and fixing the electrode. The mesh network may include a mesh network disposed to surround the electrode holder.
그리고 상기 상기 전극홀더에는 상기 전극의 측면이 노출되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구홀을 통하여 상기 전극에 고정되는 메쉬망이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ode holder may have an opening hole through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is exposed,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esh network that is fixed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opening hole.
또한, 상기 전극홀더에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개구홀이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holder may have an opening hole, and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into which the opening hole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전극홀에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극홀더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홀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메쉬망이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ode hole is formed with an opening hole. The fixing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electrode holder can be inserted t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
그리고 상기 살균모듈은 비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may be applied to a bid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을 구비하는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비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The sterilization module having a mesh network and the bidet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기존의 살균모듈 또는 탱크의 구조 또는 전극의 변경 없이 메쉬망이라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스케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비데 사용시 사용자에 스케일로 인한 불괘감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스케일로 인하여 노즐 및 유로가 막히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scale is prevented from leaking out through the simple structure of the mesh net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r the electrode of the existing sterilization module or tank. Therefore, when the bidet is u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npleasant feeling due to the scale of the user, and furthermore, the phenomenon that the nozzle and the flow path are blocked due to the scale can be reduced.
둘째, 메쉬망을 살균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간단한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메쉬망의 제거을 통한 스케일의 제거 또는 메쉬망의 교환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imple fixing device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mesh network to the sterilizing unit is provided to easily remove the scale or remove the mesh network by removing the mesh network.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살균탱크가 적용되는 비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탱크(10)에서 살균모듈(20)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살균모듈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살균모듈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메쉬망이 결합된 본 발명의 살균모듈의 시제품.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det to which a sterilization tank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ation modu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rilization modu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rototype of the steriliz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orporating the mesh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살균모듈(20)은 물의 살균 또는 살균수를 만들기 위하여 전기분해를 이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극의 스케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물이 수용되는 탱크에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비데에 적용되는 탱크(10)에 적용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of application to a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살균탱크가 적용되는 비데의 사시도이고, 도1을 참조하면,본 발명의 살균탱크(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비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용변 후 세척을 위한 온수 또는 도기, 노즐 등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수용된다. 그리고 탱크에는 온수의 생성을 위한 가열장치 또는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d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탱크(10)에서 살균모듈(20)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살균모듈(20)은 탱크(10)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고, 탱크(10)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를 통하여 살균 또는 살균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그리고 전극의 교체 또는 메쉬망의 교체를 위하여 살균모듈(20)은 탱크(10)에 다양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살균모듈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살균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살균모듈(20)은 살균유닛(21), 메쉬망(22) 및 고정부(23)을 포함한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ation modu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ation modu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the
살균유닛(21)은 전기분해를 통하여 물을 살균 또는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극(21c)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전극의 고정 등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의 살균유닛(21)은 바디(21a) 및 전극홀더(21b)를 더 포함한다. The sterilizing
바디(21a)는 살균유닛(21)을 탱크(10)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10)에 형성되어 전극이 삽입되는 개구홀(10a)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탱크(10)의 개구홀(10a) 둘레 또는 바디(21a)의 둘레에는 탱크(10)의 내부의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실링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전극(21c)는 살균유닛(21)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21a)에 전극(21c)를 고정하기 위한 전극홀더(21b)를 통하여 결합된다.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전극홀더(21b)는 양측이 바디(21a)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전극(21c)의 측면을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극홀더(21b)의 돌출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홀(21d)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홀(21d)을 통하여 전극(21c)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Specifically, the
한편, 전극(21c)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전극(21c)이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The number of the
메쉬망(22)은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메쉬가 형성되어 전기분해가 되는 물은 메쉬를 통하여 메쉬망(22)의 내외부로 출입이 가능하지만,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은 메쉬망(22)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그리고 발생하는 스케일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쉬의 크기, 배열, 개수 등은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ize, arrangement, and number of meshes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generated scale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may be variously adopt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메쉬망(22)은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살균유닛(21)이 삽입되었을 때, 메쉬망(22)이 살균유닛(21)의 돌출된 전극홀더(21b)까지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고정부(23)은 메쉬망(22)를 살균유닛(21)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다양한 방식의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과정에서 메쉬망(22)의 분리를 통한 스케일의 제거 또는 메쉬망(22)의 교체 등을 고려하여 착탈이 용이한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fixing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고정부(23)은 'ㄷ'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전극홀더(21b)의 개구홀(21d)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홀(21d)를 통하여 노출되는 전극(21c)에 끼워지면서 메쉬망(22)을 고정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fixing
즉,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고정부(23)가 전극홀더(21b)의 양측에서 전극(21c)에 끼워지면서 메쉬망(22)를 고정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two fixing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120)는 전극홀더(2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전극홀더(21b)의 개구홀(21d)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23a)가 형성된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즉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120)는 메쉬망(22)이 전극홀더(22b)를 둘러싸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부(120)가 메쉬망(22)을 둘러싸도록 끼워지고, 이 과정에서 고정돌기(123a)가 전극홀더(21b)의 개구홀(21d)에 끼워지면서 메쉬망(22)을 고정하게 된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즉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123)은 메쉬망을 둘러싸면서 메쉬망(22)을 살균유닛(21)에 고정을 시켜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어 메쉬망(22)이 분리되어 스케일이 탱크(10)의 내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xing
이하,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other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6은 본 발명의 메쉬망이 결합된 본 발명의 살균모듈의 시제품이고, 도6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살균모듈의 구조의 변경 또는 전극의 코팅 등 스케일이 탱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잡한 방법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메쉬망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채택하여 스케일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6 is a prototype of the steriliz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orporating the mesh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terilization module is changed or the scale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tank, A simple mesh network and a fixed structure for fixing the mesh network can be adopted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due to the sca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탱크
20 : 살균모듈
21 : 살균유닛
22 : 메쉬망
23 : 고정부10: tank 20: sterilization module
21: sterilization unit 22: mesh network
23:
Claims (6)
상기 탱크에 결합되고, 상기 탱크에 수용되는 물에 노출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살균유닛;
상기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을 상기 살균부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메쉬망이 구비된 살균모듈.
A sterilization module for sterilizing water contained in a tank,
A sterilizing unit coupled to the tank and including an electrode exposed to water contained in the tank;
A mesh net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nd
A fixing unit fixing the mesh net to the sterilizing unit;
The sterilizing module including a mesh network.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탱크에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전극을 고정하는 전극홀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망은 상기 전극홀더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메쉬망이 구비된 살균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body coupled to the tank; And
An electrode holder coupled to the body and fixing the electrod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mesh network is disposed to surround the electrode holder.
상기 상기 전극홀더에는 상기 전극의 측면이 노출되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구홀을 통하여 상기 전극에 고정되는 메쉬망이 구비된 살균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de holder is formed with an opening hole through which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is exposed,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mesh net secured to the electrode through the opening hole.
상기 전극홀더에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개구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메쉬망이 구비되는 살균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de hold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ole,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mesh protrusion formed in the fixing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상기 전극홀에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극홀더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홀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메쉬망이 구비되는 살균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An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electrode hole,
The fixing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electrode holder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 mesh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e protrusion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상기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비데.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bidet comprising the sterilization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3758A KR20190006469A (en) | 2018-12-31 | 2018-12-31 | Sterilization module with mesh net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3758A KR20190006469A (en) | 2018-12-31 | 2018-12-31 | Sterilization module with mesh net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6469A true KR20190006469A (en) | 2019-01-18 |
Family
ID=6532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3758A Withdrawn KR20190006469A (en) | 2018-12-31 | 2018-12-31 | Sterilization module with mesh net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6469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1214A1 (en) * | 2019-10-08 | 2021-04-15 | 주식회사 파이노 | Sterilizing apparatus, sterilizing and cleaning module, and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having same |
KR20210041697A (en) * | 2019-10-08 | 2021-04-16 | 주식회사 파이노 | Sterilization device |
KR102243451B1 (en) * | 2020-01-20 | 2021-04-22 | 주식회사 파이노 | Sterilizing and cleaning module, and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
KR102508963B1 (en) * | 2022-06-20 | 2023-03-10 | 주식회사 푸드루트 | Apparatus for generating functional wat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6837A (en) | 2013-12-09 | 2015-06-17 | 코웨이 주식회사 |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Apparatus and Bidet having the Same |
-
2018
- 2018-12-31 KR KR1020180173758A patent/KR20190006469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6837A (en) | 2013-12-09 | 2015-06-17 | 코웨이 주식회사 |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Apparatus and Bidet having the Sam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1214A1 (en) * | 2019-10-08 | 2021-04-15 | 주식회사 파이노 | Sterilizing apparatus, sterilizing and cleaning module, and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having same |
KR20210041697A (en) * | 2019-10-08 | 2021-04-16 | 주식회사 파이노 | Sterilization device |
KR102243451B1 (en) * | 2020-01-20 | 2021-04-22 | 주식회사 파이노 | Sterilizing and cleaning module, and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
KR102508963B1 (en) * | 2022-06-20 | 2023-03-10 | 주식회사 푸드루트 | Apparatus for generating functional wa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06469A (en) | Sterilization module with mesh net and bidet including the same | |
KR960000780A (en) | Circulating bath for polysaccharide solution | |
JP6143412B2 (en) | Washing machine | |
CN206262194U (en) | A kind of phytopathogen separates the device for blade surface sterilization | |
JP4527849B2 (en) | Liquid ejection device | |
CN112137462A (en) | Disinfection belt cleaning device | |
JP3121951U (en) | Nano bubble water sterilizer | |
JP2014124601A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JP6905236B1 (en) | Deodorizing and sterilizing device in the toilet room | |
JP2011188978A (en) | Contact lens sterilization method and contact lens sterilization device | |
JP2016118001A (en) | Water closet | |
KR20150138682A (en) | Defrost Drain With Nozzle Of Cleaning Water | |
JP4728891B2 (en) | Toilet bowl | |
JP2020039271A (en) | Food washing device | |
JPH04138413A (en) | Processing case for contact lens | |
JP4557943B2 (en) | Drainage structure | |
KR200446472Y1 (en) | Medical Aseptic Water Device | |
CN212387783U (en) | Sterilizing box and humidifier thereof | |
CN215350373U (en) | Toilet seat water path flushing sterilizing disk | |
CN221567344U (en) | Hand washing and sterilizing integrated water tank | |
CN210300788U (en) | Self-cleaning components for footbaths | |
JP2019060115A (en) | urinal | |
CN216129444U (en) | Leading filter and water heater | |
JP2004270302A (en) | Drainage trap | |
CN212037927U (en) | Self-cleaning integral mask and goggle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1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