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05336A - A case for food - Google Patents

A case for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336A
KR20190005336A KR1020170085829A KR20170085829A KR20190005336A KR 20190005336 A KR20190005336 A KR 20190005336A KR 1020170085829 A KR1020170085829 A KR 1020170085829A KR 20170085829 A KR20170085829 A KR 20170085829A KR 20190005336 A KR20190005336 A KR 20190005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ood
case
hol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연
도연실
Original Assignee
김시연
도연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연, 도연실 filed Critical 김시연
Priority to KR102017008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336A/en
Publication of KR20190005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3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866Other details
    • B65D2501/24929Drain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는 식품 부분이 식품의 무게로 인해 압력을 받아 모양이나 상태가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식품이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습기가 차는 것도 막을 수 있는 식품 보관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이 식품과 접촉하면서 식품을 부패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이 너무 많을 경우 케이스에 보관된 식품과 물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식품 보관 케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case capable of preventing a food part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case from being deformed due to pressure of the food due to the weight of the food and preventing the moistur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ase to provid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event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food from corrupting or contaminating the food while preventing the food from contacting the food stored in the case when too much fresh water is present in the food, Thereby providing a food storage case which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식품 보관 케이스{A CASE FOR FOOD}{CASE FOR FOOD}

본 발명은 식품, 특히 과일, 채소, 샌드위치 등을 저장하거나 진열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딸기, 포도, 복숭아, 해산물 등 물기가 흘러 내릴 수 있는 식품을 저장하거나 진열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in which food, particularly fruit, vegetables, sandwiches and the like can be stored, displayed or stor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ase capable of storing, displaying, or storing foods, such as strawberries, grapes, peaches, and seafood, which can be drained.

1인 가구 등 가족 수가 적은 가족이 늘어남에 따라 식품을 조금씩 사 먹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마트나 시장 등에서는 식품을 투명 플라스틱 등에 조금씩 담아서 진열해 팔고 있다. 식품을 담는 케이스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사각형 용기이다.As more and more families have fewer families, such as single-person households, more and more people are eating a little food. In line with this trend, foodstuffs are packed in transparent plastic and put on display in markets and markets. The case for food is a rectangular container made mainly of plastic.

케이스에 조금씩 담아서 파는 식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과일, 채소, 생선, 육류, 해산물 등이 있다. 최근에는 1인 가구의 식사 대용으로 샌드위치, 가공 육류 등도 케이스에 담아서 많이 팔고 있다. 이들 중 압력에 약한 식품, 예를 들면 딸기, 포도, 샌드위치 등은 식품 자체의 무게에 의해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식품 부분이 압력을 받아 터지거나 물러지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는 경우가 많다. 케이스를 여러 단으로 쌓아서 진열해 놓고 있는 경우에는 식품 자체의 무게에 더하여 해당 식품 케이스 위에 있는 식품들의 무게까지 더해져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공기 순환이 되지 않아 습기가 차는 등 신선도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는 샌드위치와 같이 습기를 잘 흡수하는 식품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한다.Typical examples of foods that are sold in small cases include fruits, vegetables, fish, meat, and seafood. In recent years, sandwiches, processed meats, etc. have been sold in cases as a substitute for one person's household. Among these, foods that are weak in pressure, such as strawberries, grapes, sandwiches, etc., ofte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ase due to the weight of the food itself. If the case is stacked up and stacked up, the weight of the food on the food case plus the weight of the food itself adds up to the weight of the food. Also, the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case is not circulated air, and moisture is lost, so freshness is not maintained. This problem is more pronounced in foods that absorb moisture, such as sandwiches.

케이스에 담아 파는 식품은 또한 대부분 수분(물)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식품을 케이스에 담아 놓으면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이 케이스 밑바닥에 고인다. 식품에서 빠져 나온 물이 고이면 부패가 발생한다. 또한 이렇게 고인 물과 접촉하고 있는 식품도 부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접촉 부위가 흐물흐물해 진다. 이렇게 되면 수요자의 건강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상품 가치도 떨어진다. 또한 판매자의 가게에 좋지 않은 냄새가 나기도 한다.Foods that are sold in cases also contain mostly water (water). So when you put the food in the case, the water that comes out of the food is put on the bottom of the case. Corruption occurs when the water coming out of the food is high. In addition, the food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is also subject to corruption as well as the contact area. This is not only bad for the health of the consumer, but also the value of the seller. In addition, the seller's store smells bad.

압력을 받아 식품의 상태가 변하거나 습기가 차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 바닥에 스폰지와 같은 탄성체를 두거나 종이와 같이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스폰지를 두게 되면 스폰지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공기 순환이 되지 않아 식품의 신선도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이와 같이 습기를 할 수 있는 재료를 두어도 종이가 일정 수준 이상의 습기를 머금게 되면 종이 표면이 축축해 지고 이 종이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식품 역시 습기와 접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sure of the food being changed or the moisture getting wet, it is often necessary to plac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onge on the bottom of the case or a material which can absorb moisture such as paper. However, if the sponge is placed, air circulation 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ponge does not occur and the freshness of the food is deteriorated. Also, even if a material capable of moisture such as paper is placed, if the paper has a certain level of moisture, the surface of the paper becomes damp and the food in contact with the paper surface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moisture.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 보관 케이스의 바닥을 이중으로 만들고 첫번째 바닥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바닥에도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딸기, 포도, 복숭아 등과 같이 식품에서 물이 새 나오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는 본 발명의 제 2형태와 같이 두번째 바닥에 구멍이 없어야 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food storage case is made double and the hole is formed in the first floo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le in the second floor, but a case for storing food in which food is fresh, such as strawberry, grape, peach, etc., should have no hole in the second floor as in the secon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물이 새 나오는 식품을 보관하는 케이스에 물이 고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 아래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예: 종이)를 깐 후 그 위에 식품을 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가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의 양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부터 새 나온 물이 고이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 또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와 접촉하고 있는 식품 부위는 재료가 머금고 있는 물에 의해 부패가 발생하거나 색깔이 변하거나 모양이 변하는 등의 문제가 그대로 남아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water accumulating in the case of storing water-fresh food,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water-absorbing material (for example, paper) is put under the case and then the food is placed thereo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absorbed by a water-absorbing material, which can not completely solve the problem of fresh water from food. In addition, food part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water-absorbing material remain subject to decay, color change, or change in shape due to the water that the material is faded.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케이스 아래나 옆으로 구멍을 뚫어 물이 케이스 밖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물이 케이스 밖으로 흘러 나오기 때문에 식품 전시대를 오염시킨다. 또한 매장 바닥에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이 고여 매장 전체의 위생 상태를 악화시킨다.Another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drill holes beneath or under the case to allow water to drain out of the case. However, this will contaminate the food display area as water flows out of the case. In addition, there is water coming out from the food at the floor of the store, which worsens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entire store.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 보관 케이스의 바닥을 이중으로 만들고 첫번째 바닥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물이 외부로 새 나가지 않도록 두번째 바닥에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거나 구멍을 막아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food storage case is made double, the first floor is formed with a hole, the second floor is not formed with a hole so that water does not leak out, .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는 식품 부분이 식품의 무게로 인해 압력을 받아 모양이나 상태가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식품이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습기가 차는 것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part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ca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due to pressure of the food due to the weight of the food. It can also prevent moistur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ase.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하면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이 식품과 접촉하면서 식품을 부패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이 너무 많을 경우 케이스에 보관된 식품과 물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poilage or contamination of food while fresh wate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ood.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oo much fres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oo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preventing the food stored in the cas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water.

이하, 본 발명의 제1 형태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본체와 뚜겅체로 구성되고, 본체와 뚜껑체에는 각각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플렌지와 뚜껑체 플렌지의 일측이 연결되어 뚜껑체가 본체로부터 개폐되어도 뚜껑체가 본체와 분리되지 않으며, 본체는 본체 플렌지 아래 쪽으로 형성된 옆면과 옆면을 이어주는 바닥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뚜껑체는 본체와 대응되게 뚜껑체 플렌지 위쪽으로 형성된 옆면과 옆면을 이어주는 천장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뚜껑체는 옆면 없이 뚜껑체 플렌지에 연결된 천장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A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nd a lid body, and a flange is formed on the body and the lid body, and one side of the body flange and the lid body flang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d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body even when the lid body is opened / And the main body may be formed of a bottom surface connecting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formed below the main body flange. The lid body may be formed as a ceiling surface that connects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formed above the lid body flange so as to correspond to the main body. The lid body may be formed of a ceiling scene connected to the lid body flange without a side face.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본체와 뚜겅체로 구성되고, 본체와 뚜껑체가 플렌지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본체와 뚜껑체가 분리된 것일 경우, 뚜껑체는 공지된 결합 수단을 통해 본체를 닫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뚜껑체는 본체에 형성된 볼록부와 뚜껑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본체를 닫을 수 있다. 볼록부가 뚜껑체에 형성되고 오목부가 본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본체와 뚜껑체는 요철 홈을 통해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The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nd a crown, and the main body and the li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connected by a flange. When the main body and the lid are separate, the lid can close the main body through known engaging means. For example, the lid body can be closed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body and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lid body.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over and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dy. The main body and the lid bod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cessed groove.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사각 기둥형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 기둥형, 오각 기둥형, 육각 기둥형 등과 같은 다각 기둥형, 원통형 등일 수 있다. 본체와 뚜껑체는 형태가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체는 사각 기둥형이고, 뚜껑체는 사각 뿔형이나 반구 형태 일 수 있다.The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ctangular column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 triangular column type, a pentagonal column type, a hexagonal column type, a polygonal column type, a cylindrical type, and the like. The body and the lid may have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the body may have a square column shape, and the lid body may have a square horn shape or hemispherical shape.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바닥이 이중으로 되어 있다. 첫번째 바닥은 케이스 내부에 존재하고 두번째 바닥은 케이스 외부를 이룬다. 첫번째 바닥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식품은 첫번째 바닥 위로 보관된다. 식품이 접촉하는 첫번째 바닥에 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에 식품이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첫번째 바닥의 구멍에 위치하는 식품은 케이스 바닥면에서 받는 반작용력이 없다. 그래서 식품이 압력을 받아 형태나 모양 등 상태가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첫번째 바닥에 구멍이 뚫려 있고 그 구멍 사이로 식품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식품의 면적이 적고 구멍을 통해 공기가 순환하므로 케이스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식품 부분에 습기가 차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The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bottom. The first floor is inside the case and the second floor is outside the case. There is a hole in the first floor. Food is stored on the first floor. Because the first bottom of the food contact is perforated, the area of food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ase can be reduced. Also, food placed in the first floor hole has no reaction force on the bottom of the case. Therefore, the food can be pressurized to prevent changes in the shape and shape of the food. In addition, there is a hole in the first floor, and a part of the food is exposed through the holes, so that the area of the food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case is small and the air circulates through the hole. Can be solved.

두번째 바닥에도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공간은 첫번째 바닥의 구멍 사이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두번째 바닥에도 구멍이 뚫려 있으면 공기 순환을 더 잘 시킬 수 있다. 공기 순환을 위한 구멍은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에 뚫려 있을 수도 있다. 두번째 바닥과 옆면 모두에 구멍이 뚫려 있을 수도 있다.There may also be holes in the second floor.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can serve to circulate air through the holes in the first floor. If there is a hole in the second floor, air circulation can be better. The holes for air circulation may be open on the sid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There may be holes in both the second floor and the sides.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공간은 첫번째 바닥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식품이 외부 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식품 보관 케이스를 층층이 쌓아서 진열할 때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식품 보관 케이스의 천장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ttom and the second bottom may serve to prevent food located between the first bottom hole from contacting external material. In particular, when the food storage case is stacked and displayed, it can prevent the food storage cas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eiling of the food storage case.

식품이 딸기,포도, 수산물 등과 같이 물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것이면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아래와 같은 제2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형태를 자세히 설명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econd form as long as the foodstuffs such as strawberries, grapes, aquatic products and the like have much moisture.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본체와 뚜겅체로 구성되고, 본체와 뚜껑체에는 각각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플렌지와 뚜껑체 플렌지의 일측이 연결되어 뚜껑체가 본체로부터 개폐되어도 뚜껑체가 본체와 분리되지 않으며, 본체는 본체 플렌지 아래 쪽으로 형성된 옆면과 옆면을 이어주는 바닥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뚜껑체는 본체와 대응되게 뚜껑체 플렌지 위쪽으로 형성된 옆면과 옆면을 이어주는 천장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뚜껑체는 옆면 없이 뚜껑체 플렌지에 연결된 천장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A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nd a lid body, and a flange is formed on the body and the lid body, and one side of the body flange and the lid body flang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d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body even when the lid body is opened / And the main body may be formed of a bottom surface connecting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formed below the main body flange. The lid body may be formed as a ceiling surface that connects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formed above the lid body flange so as to correspond to the main body. The lid body may be formed of a ceiling scene connected to the lid body flange without a side face.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본체와 뚜겅체로 구성되고, 본체와 뚜껑체가 플렌지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본체와 뚜껑체가 분리된 것일 경우, 뚜껑체는 공지된 결합 수단을 통해 본체를 닫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뚜껑체는 본체에 형성된 볼록부와 뚜껑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결합을 통해 본체를 닫을 수 있다. 볼록부가 뚜껑체에 형성되고 오목부가 본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본체와 뚜껑체는 요철 홈을 통해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The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nd a crown, and the main body and the li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connected by a flange. When the main body and the lid are separate, the lid can close the main body through known engaging means. For example, the lid body can be closed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body and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lid body.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over and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dy. The main body and the lid bod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cessed groove.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사각 기둥형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 기둥형, 오각 기둥형, 육각 기둥형 등과 같은 다각 기둥형, 원통형 등일 수 있다. 본체와 뚜껑체는 형태가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체는 사각 기둥형이고, 뚜껑체는 사각 뿔형이나 반구 형태 일 수 있다.The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ctangular column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 triangular column type, a pentagonal column type, a hexagonal column type, a polygonal column type, a cylindrical type, and the like. The body and the lid may have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the body may have a square column shape, and the lid body may have a square horn shape or hemispherical shape.

본 발명의 식품 보관 케이스는 바닥이 이중으로 되어 있다. 첫번째 바닥은 케이스 내부에 존재하고 두번째 바닥은 케이스 외부를 이룬다. 첫번째 바닥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식품은 첫번째 바닥 위로 보관된다. 그래서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은 첫번째 바닥에 고이지 않고 첫번째 바닥의 구멍을 통해 두번째 바닥으로 떨어진다. 두번째 바닥에는 구멍이 뚫려 있지 않다. 그래서 식품에서 새 나온 물은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공간에 고이게 된다. The food storag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bottom. The first floor is inside the case and the second floor is outside the case. There is a hole in the first floor. Food is stored on the first floor. So the water that emerges from the food does not go to the first floor but falls down to the second floor through the hole in the first floor. There is no hole in the second floor. So the water that emerges from the food becomes high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케이스는 케이스 뚜껑체로부터 옆면을 지나 첫번째 바닥에 이르기까지는 첫번째 바닥 외에는 물이 새 나갈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지 않다. 오로지 첫번째 바닥을 통해서만 물이 빠져 나가고 이렇게 빠져 나간 물은 두번째 바닥에 모인다. 그래서 첫번째 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식품은 식품에서 빠져 나온 물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The case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a hole for allowing water to escape outside the first bottom from the case cover to the first floor beyond the side surface. The water only escapes through the first floor, and the water that escapes to the second floor. So the food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floor will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coming out of the food.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길이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흘러나오는 물이 많은 식품을 담는 케이스는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가 긴 케이스를 이용하면 되고, 흘러나오는 물이 적은 식품을 담는 케이스는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가 짧은 케이스를 이용하면 된다.The length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The case containing the water-rich food that flows out can use the case which is long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and the case which stores the food with the low water which flows out can use the case which is short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본 발명의 케이스는 두번째 바닥에 고인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는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에 조그만 구멍을 뚫는 것일 수 있다. 구멍의 위치는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이면 되나, 첫번째 바닥에서는 가깝고 두번째 바닥에서는 먼 곳에 구멍을 뚫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야 두번째 바닥에 모인 물이 구멍을 통해 케이스 밖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 중 첫번째 바닥과 가까운 곳에 케이스 옆면을 따라 돌아가며 조그만 구멍을 한개 또는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구조를 갖는 케이스는 두번째 바닥에 물이 많이 고이면 케이스를 들고 물을 흘려 보낼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한 후 케이스를 기울여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구멍을 통해 물을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second floor. This can be by drilling a small hole in the sid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The location of the hole should b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but close to the first floor, and it is better to drill a hole in the second floor. This will prevent water from reaching the second floor from escaping out of the case through the hole as much as possible. Near the first floor of the sid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one or more small holes can be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case. A case with this structure can move water to a place where water can be pumped up if the second floor has a lot of water, and then the case can be tilted to discharge the water out through the hol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구멍이 첫번째 바닥에 너무 가까이 형성되어 있으면 케이스를 기울여 물을 바깥으로 배출시킬 때 물이 첫번째 바닥에 있는 구멍을 통해 식품 쪽으로 역류할 수 있다. 그래서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은 첫번째 바닥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길이를 5등분 했을 때 첫번째 바닥에서 1/5 위치에 구멍의 윗 부분이 위치하고 첫번째 바닥에서 2/5 위치에 구멍의 아랫 부분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hole is formed too close to the first floor, water can flow back towards the food through the hole in the first floor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by tilting the case outwar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floor. For example, if you divide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by 5, you can position the top of the hole at 1/5 of the first floor and the bottom of the hole at 2/5 of the first floor.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에 구멍을 형성하면 두번째 바닥에 고인 물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케이스가 의도치 않게 기울어지거나 뒤집어 질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다른 케이스를 오염시키거나 진열대를 오염시키거나 매장 바닥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 또는 두번째 바닥 아랫면에 구멍을 뚫어 놓고 이 구멍을 막을 수 있는 수단으로 구멍을 막아 두었다가 두번째 바닥에 고인 물을 배출시켜야 할 때 구멍을 막아 둔 수단을 제거하여 물을 바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에 구멍을 형성할 경우에는 두번째 바닥에 가까운 곳으로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바닥에서 먼 곳에 구멍을 형성하면 이 구멍과 두번째 바닥 사이에 있는 물은 구멍을 열어도 구멍을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이 되지 않고 사람이 케이스를 기울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 바닥에 고인 물을 다 배출하고 나면 구멍을 다시 막아 물이 두번째 바닥에 다시 모이게 할 수 있다. If a hole is formed on the sid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second floor to the outside. However, if the case is unintentionally inclined or inverted, Or contaminate shelves or contaminate store floors.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ide wall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or the bottom floor of the second floor should be covered with a means to block the hole by means of a means to block the hole,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forming a hole in the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le near the second floor. If a hole is formed far from the second floor, the water between this hole and the second floor is not discharged naturally through the hole even if the hole is opened, and there is inconvenience that a person should tilt the case. Once you have drained the remaining water on the second floor, you can block the hole again and bring the water back to the second floor.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 또는 두번째 바닥 아랫면에 형성된 구멍을 막는 수단은 고무와 같은 탄성체일 수 있다.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 또는 두번째 바닥 아랫면에 형성된 구멍을 막는 수단은 식품을 보관하는 케이스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구멍보다 약간 크게 만든 것일 수 있다. 이 수단을 구멍에 대고 압력을 가하면 구멍을 막아서 두번째 바닥에 고인 물이 밖으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외에도 구멍을 막았다가 여는 것을 반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The means for blocking the hol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ttom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may be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The means for blocking the hol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r the bottom bottom surfac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may be made slightly larger than the hole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case for storing the food. Applying this means against the hole can prevent the hole from leaking out to the second floor by applying pressure. In addition, anything that can be used to repe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le can be used.

Claims (5)

본체와 뚜겅체로 구성되는 식품 보관 케이스에서, 본체는 바닥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첫번째 바닥은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두번째 바닥은 본체 외주를 이루는 것이고, 첫번째 바닥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식품 보관 케이스.A food storage case comprising a body and a crown, the body having a double bottom, a first bottom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a second floor forming a perimeter of the body, and a first bottom having a perforation.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 두번째 바닥, 또는 둘 다에 구멍이 뚫려 있는 식품 보관 케이스.The food storage case of claim 1, wherein the food storage case is perforated on a side surface, a second floor, or both,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이나 두번째 바닥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식품 보관 케이스.The food storage case of claim 1, wherein the side or second bottom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is not perforated.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에 구멍이 한 개 또는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두번째 바닥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식품 보관 케이스.The food storage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more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and no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floor. 제1항에 있어서, 첫번째 바닥과 두번째 바닥 사이의 옆면 또는 두번째 바닥 아랫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을 막을 수 있는 수단으로 구멍을 막아 두었다가 상기 구멍을 막아 놓은 수단을 제거하여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식품 보관 케이스.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hole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r a bottom bottom surface betwee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and the hole is closed by a means for blocking the hole, Food storage case to discharge.
KR1020170085829A 2017-07-06 2017-07-06 A case for food Ceased KR201900053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29A KR20190005336A (en) 2017-07-06 2017-07-06 A case for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29A KR20190005336A (en) 2017-07-06 2017-07-06 A case for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36A true KR20190005336A (en) 2019-01-16

Family

ID=6528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29A Ceased KR20190005336A (en) 2017-07-06 2017-07-06 A case for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33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4381A (en) Container for dressed poultry and the like
AU2016433678B2 (en) A crisper
US20110203944A1 (en) Combination food storage bag and container with soaker pad
CN101696839A (en) refrigerator
CN101430157A (en) refrigerator
US20150099044A1 (en) Container
US4628697A (en) Air-flow temperature and humidity management for maintaining freshness of delicate produce
US5799866A (en) Household food container
CN205397028U (en) Food fresh keeping case
KR20190005336A (en) A case for food
KR101883177B1 (en) Fresh storing vessel for fruit
US20230020341A1 (en) Food elevating platform
JP3874417B2 (en) Soup container
KR200325550Y1 (en) Food keeping case
CN214139714U (en) Water-covered laminated preservation box
JP2977552B1 (en) Pickle container that can be stored in the refrigerator
TR2023013741U5 (en) STORAGE CONTAINER WITH STRAINER
JP2005104570A (en) Container for raw sea urchin
KR960003713Y1 (en) Vessels for kimchi
CN218537825U (en) Agricultural product or food display box
KR20100077077A (en) The courage to keep for food
JPH07289072A (en) Container for maintaining freshness of vegetable or fruits
JP3867702B2 (en) refrigerator
CN207998155U (en) A kind of food preserving box
US10653159B1 (en) Apparatus to brine tur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221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6

Request date: 2019121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221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5

Request date: 20191212

Patent event date: 2019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1027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4

Request date: 20191212

PJ0801 Rejection of trial

Decision date: 20200221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6

Request date: 20191212

Patent event date: 20200221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200221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5

Request date: 201912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0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12

Effective date: 202010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1212

Decision date: 20201027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