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982A - Tumbler holder - Google Patents
Tumbler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4982A KR20190004982A KR1020170085437A KR20170085437A KR20190004982A KR 20190004982 A KR20190004982 A KR 20190004982A KR 1020170085437 A KR1020170085437 A KR 1020170085437A KR 20170085437 A KR20170085437 A KR 20170085437A KR 20190004982 A KR20190004982 A KR 201900049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tumbler
- button
- space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1—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integral means to prevent the glass from slipping or tipping-ov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텀블러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흡착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텀블러를 올려놓았을 때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텀블러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텀블러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mbler holder which has a structure fixed to a floor by an adsorption method to prevent a tumbler from falling down due to vibration or impact when the tumbler is placed.
일반적으로 텀블러(tumbler)는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야외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커피, 음료수 등을 수시로 간편하게 음용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Generally, a tumbler is widely used to easily drink coffee, beverage, etc. at home and office as well as outdoors because it is easy to carry. In recent years, tumbler is increasingly used.
이러한 텀블러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몸체와, 용기몸체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착탈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데, 사무실 등에서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수시로 반복하여 음용하기 때문에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Such a tumbler is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for storing contents and a lid for detachably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office or the like, a user repeatedly uses the contents repeatedly for drinking, so the lid is used in an opened state.
그러나 부주의로 인해 텀블러를 터치하거나 진동 또는 작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텀블러가 쉽게 넘어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tumbler is touched by carelessness, or when a vibration or a small impact is applied, the tumbler easily falls and the contents are leaked.
따라서 최근에는 텀블러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텀블러를 테이블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텀블러 홀더가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tumbler holder capable of fixing the tumbl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tumbler from falling down.
텀블러 홀더의 일례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0590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용기몸체를 들어올리면 흡착패드의 흡착력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 용기몸체를 들어올리면 홀더의 흡착력이 해제되어 홀더가 움직여 테이블에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음료수를 음용한 후 용기몸체를 테이블 상면에 올려놓을 때마다 홀더를 찾아 서로 결합한 후 홀더를 테이블 상면에 새로 흡착 고정시켜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An example of a tumbler hold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0590. However, this pat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ad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container body is lifted, so that when the container body is lifted to drink the beverage, the suction force of the holder is released and the holder moves away from the table. That is, every time when the container body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fter drinking the bevera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holder must be foun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fter bonding.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5883호에는 다른 구조의 텀블러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홀더의 구조가 고급스럽지 못해 상품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흡착고무가 눌리면서 흡착력에 의해 테이블 상면에 흡착 고정될 때 마개가 걸려 흡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착고무가 눌리면서 흡착될 때 그 압력에 의해 마개가 열려 흡착력이 생기지 않아 올바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마개 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 홀더를 테이블 상면에 부착시켜 놓으면 공기가 마개의 틈새로 세어나가면서 흡착력이 약해져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55883 discloses a tumbler holder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However, this patent has a problem in that not only the structure of the holder is not luxurious, but also the merchantability is deteriorated, and when the adsorption rubber is press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force, the stopper is caught by the suction force. In addition, when the adsorption rubber is adsorbed while being pushed, the pressure is applied to open the stopper, so that the adsorption force is not generated and the correct operation is not performed. Further, since the cap structure is weak, when the hold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for a long time, the air is separated into the gap of the cap, and the suction force is weaken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테이블 상면에 놓고 하방향으로 누르기만 하면 흡착력에 의해 테이블에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흡착을 위한 밀폐 구조가 확실하고 버튼을 눌러야만 흡착력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저절로 흡착력이 해제되어 테이블 상면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텀블러와 별도로 테이블 상면에 흡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텀블러를 들어올렸을 때 홀더가 테이블 상면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텀블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러움을 구현한 텀블러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on a table, Since the suction force is released by itself and the suction force is released by pressing the button,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suction force is relea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the suction forc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separately from the tumbler. Therefore, when the tumbler is lifted, So that the tumbler can be conveniently used, and the tumbler holder which realizes a high quality is provided.
상술한 목적은, 상면에 텀블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텀블러삽입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흡착판부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흡착판부삽입공간의 중앙에는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조립공간의 중앙에는 볼트관통공이 텀블러삽입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일측면 하부에는 버튼삽입홈이 형성되며, 버튼삽입홈에는 조립공간과 연통되는 핀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홀더부재; 상기 흡착판부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흡착판부가 구비되고, 흡착판부의 하면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테이블 상면에 눌러서 흡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며, 흡착판부의 상면에는 조립공간에 삽입되게 조립되는 조립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흡착판부의 하면에는 조립부 내부로 통하는 지지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조립부의 상면 중앙에는 볼트관통공과 대응되는 볼트연통공이 지지부재삽입홈으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조립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핀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흡착부재; 상기 지지부재삽입홈에 삽입되게 조립되고, 상면 중앙에는 볼트연통공과 대응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텀블러삽입공간에서 볼트관통공과 볼트연통공을 관통하여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양측면과 후면 그리고 하면은 막혀 있고 상기 공기유입공 방향인 전면과 상면으로 개구된 공기통로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공기통로공간의 전면을 막게 설치되어 공기통로공간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전면 중앙에는 상기 조립부의 공기유입공에 삽입되어 밀봉시키는 구멍밀봉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구멍밀봉부의 중앙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마개부재; 상기 공기통로공간 내에서 마개부재를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마개부재의 구멍밀봉부가 공기유입공에 삽입되어 공기유입공을 밀봉시키게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의 버튼삽입홈에 삽입되게 조립되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누름부의 후면에는 핀삽입공으로 삽입되게 조립되는 연장핀부가 연장 형성되며, 연장핀부의 측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핀삽입공에 조립되면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가 통하게 형성되고, 연장핀부의 단부에는 마개부재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핀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홀더부재, 흡착부재, 버튼부재, 마개부재, 탄성부재, 지지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테이블 상면에 올려놓고 누르면 흡착판부가 눌리면서 진공에 의해 흡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버튼부재의 누름부를 누르면 마개부재가 지지부재의 공기통로공간에서 후방으로 밀리면서 외부 공기가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통로공간으로 안내되고 공기통로공간와 연통되어 있는 흡착부재의 지지부재삽입홈 내로 안내되어 흡착판부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테이블 상면에서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apparatus comprising: a tumbler insertion space for allowing a tumbler to be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lder, and a pin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ssembly space is formed 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side so as to be pr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so as to be sucked.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portion is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space And a bolt communica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bol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ssembling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pporting member inserting groove, An adsorption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air inflow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insertion hole; And a bolt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bolt communicat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be fixed to the bolt through hole in the tumbler insertion space by a bolt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A support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surfaces, a rea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re closed at one side and an air passage space is formed at the front surface and the air passage opening direction toward the air introduction hole; And a hole sealing part for sealing and inserting into the air inlet hole of the assembly par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of the air passage space, A plug member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therein;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pressing the plug member forward in the air passage space so that the hole sealing portion of the plu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air inlet hole to seal the air inlet hole; And a pushing portion that is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f the holder member.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pushing portion is assemb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and an air flow path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pin portion, A button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air passage is formed through the air flow passage when assembled and a coupling pin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in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a coupling groove of the plug member, When the pushing portion of the button member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stopper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air cylinder of the support member by pressing the pushing portion of the pushing member in this state, The outside air is guided into the air passage space through the air passage and communicated with the air passage space Is guided into the support member groove for air suction member which suction plates as parts of the vacuum release is achieved by a tumbl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configured able to fall off the table top surface.
그리고 상기 홀더부재에는 텀블러삽입공간에서 흡착판부삽입공간으로 연통되는 배기공이 관통 형성되고, 흡착판부삽입공간과 버튼삽입홈을 연통하는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텀블러삽입공간에 텀블러를 끼워 넣을 때 텀블러삽입공간 내에 있는 공기가 배기공과 배기안내공을 통해 배출되어 텀블러가 잘 끼워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er member is formed with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ucker plate insertion space in the tumbler insertion space. An exhaust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ucker plate insertion space and the button insertion slot is formed. When the tumbler is inserted into the tumbler insertion space, And the air in the space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and the exhaust guide hole so that the tumbler can be fitted well.
그리고 상기 홀더부재의 버튼삽입홈은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버튼부재가 버튼삽입홈에 조립되고 흡착부재가 흡착판부삽입공간에 조립되었을 때 버튼부재의 누름부가 흡착부재의 흡착판부 일부분에 접촉되게 조립되며, 버튼부재를 누르면 누름부가 흡착판부의 일부분을 눌러서 찌그러지게 하여 흡착판부가 테이블 상면에서 자동으로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button member is assembled in the button inserting groove and the attracting member is assembled in the attracting plate portion inserting space, the pushing portion of the button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attracting plate portion of the attracting member When the button member is pressed, the pushing portion pushes a part of the suction plate portion to be crushed, so that the suction plate can automatically fall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그리고 상기 홀더부재의 버튼삽입홈 상면에는 후크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부 상면에는 상하로 텐션력을 갖는 걸림후크가 후크공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누름부를 누르면 걸림후크가 후크공에서 이탈되면서 누름부가 전방으로 눌릴 수 있게 되고 누름부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걸림후크가 후크공에 삽입되게 걸려 누름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게 구성되며, 상기 마개부재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밀착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부재가 지지부재삽입홈에 밀착될 때 밀착돌기와 밀착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ok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f the holder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ing portion of the button member, a hook having a tension force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ook hole. When the pushing portion is pressed, When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forward and the force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is removed, the pressing portion moves backwar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t this time, the lock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to restrict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And an air passag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so as to allow air to pass between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and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when a plurality of close contact protrusions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o.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는 테이블 상면에 올려놓고 하방향으로 누르기만 하면 흡착력에 의해 테이블에 고정되고 버튼부재를 누르면 흡착력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테이블 상면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tumbl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umbler holder is fixed to the table by the attraction force when the tabl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pressed downwardly and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by pressing the button member, There is an effect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텀블러와 별도로 테이블 상면에 흡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텀블러를 들어올렸을 때 홀더가 테이블 상면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텀블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umbler is adsorbed and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separately,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holder falls of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when the tumbler is lifted, so that the tumbler can be conveniently used.
또한, 본 발명은 흡착을 위한 밀폐 구조가 확실하고 공기가 자동으로 새어나가는 현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테이블 상면에 부착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fix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for a long time since the sealing structure for adsorption is reliable and air does not leak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와 텀블러를 분리해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holder and a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umbl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umbl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tumbl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100)는 텀블러(10)가 테이블 상면에서 넘어지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테이블 상면에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 및 분리되게 설치된다.1 to 3, the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100)는 홀더부재(110), 흡착부재(120), 지지부재(130), 마개부재(140), 탄성부재(150), 버튼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먼저, 홀더부재(110)는 상면에 텀블러(1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텀블러삽입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전체적으로 함몰된 흡착판부삽입공간(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판부삽입공간(112)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더 함몰된 조립공간(113)이 형성되고, 조립공간(113)의 중앙에는 볼트관통공(H1)이 텀블러삽입공간(111)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홀더부재(110)의 일측면 하부에는 버튼삽입홈(114)이 형성되며, 버튼삽입홈(114)에는 조립공간(113)과 연통되는 핀삽입공(115)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First, the
여기서, 텀블러삽입공간(111)은 텀블러(10)의 하부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텀블러(10)와 세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텀블러(10)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다양한 텀블러(10)를 끼워서 거치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그리고 텀블러삽입공간(111)의 바닥 일부분에는 텀블러삽입공간(111)에서 흡착판부삽입공간(112)으로 연통되는 배기공(117)이 관통 형성되고, 흡착판부삽입공간(112)과 버튼삽입홈(114)을 연통하는 배기안내공(118)이 형성된다. 따라서 텀블러삽입공간(111)에 텀블러(10)를 끼워 넣을 때 텀블러삽입공간(111) 내에 있는 공기가 배기공(117)과 배기안내공(118)을 통해 배출되어 텀블러(10)가 잘 끼워질 수 있게 구성된다.An
다음으로, 흡착부재(120)는 흡착판부삽입공간(112)에 삽입되게 조립되는 흡착판부(121)와, 흡착판부(121)의 상면에는 조립공간(113)에 삽입되게 조립되는 조립부(12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흡착판부(121)의 하면에는 조립부(122) 내부로 통하는 지지부재삽입홈(123)이 형성되며, 조립부(122)의 상면 중앙에는 볼트관통공(H1)과 대응되는 볼트연통공(H2)이 지지부재삽입홈(123)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부(122)의 일측면에는 핀삽입공(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유입공(124)이 관통 형성된다.The
여기서, 흡착판부(121)의 하면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테이블 상면에 눌러서 흡착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유입공(124)은 후술하는 마개부재(140)의 구멍밀봉부(141)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밀봉 또는 개방되게 구성된다.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지지부재(130)는 지지부재삽입홈(123)에 삽입되게 조립되고, 상면 중앙에는 볼트연통공(H2)과 대응되는 볼트체결공(H3)이 형성되어 텀블러삽입공간(111)에서 볼트관통공(H1)과 볼트연통공(H2)을 관통하여 볼트체결공(H3)에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일측면에는 양측면과 후면 그리고 하면은 막혀 있고 공기유입공 방향인 전면과 상면으로 개구된 공기통로공간(13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Next, the
다음으로, 마개부재(140)는 공기통로공간(131)의 전면을 막게 설치되어 공기통로공간(13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면 중앙에는 조립부(122)의 공기유입공(124)에 삽입되어 밀봉시키는 구멍밀봉부(1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구멍밀봉부(141)가 공기유입공(124)을 막아 공기가 통하지 않게 차단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구멍밀봉부(141)의 중앙에는 버튼부재(160)의 결합핀부(164)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42)이 형성되어, 버튼부재(160)를 누르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구성된다.Next, the
그리고 마개부재(140)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밀착돌기(143)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부재(140)가 지지부재삽입홈(123)에 밀착될 때 밀착돌기(143)와 밀착돌기(143)의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다음으로, 탄성부재(150)는 공기통로공간(131) 내에서 마개부재(140)를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마개부재(140)의 구멍밀봉부(141)가 공기유입공(124)에 삽입되어 공기유입공(124)을 밀봉시키게 설치된다. The
여기서 탄성부재(150)는 통상의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공기통로공간(131) 내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전후로만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즉, 밀착돌기(143)의 후면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걸리는 스프링걸림돌부(144)가 돌출 형성되고, 공기통로공간(131) 내에서 스프링걸림돌부(144)와 대응되는 면에 스프링안착홈(132)이 형성되어, 스프링이 스프링걸림돌부(144)와 스프링안착홈(132)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전후로만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The
다음으로, 버튼부재(160)는 홀더부재(110)의 버튼삽입홈(114)에 삽입되게 조립되는 누름부(161)를 구비하고, 누름부(161)의 후면에는 핀삽입공(115)으로 삽입되게 조립되는 연장핀부(162)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핀부(162)의 측면에는 공기유로(163)가 형성되어 핀삽입공(115)에 조립되면 공기유로(163)를 통해 공기가 통하게 형성되고, 연장핀부(162)의 단부에는 마개부재(140)의 결합홈(14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핀부(16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이에 더해, 본 발명은 홀더부재(110)의 버튼삽입홈(114)은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버튼부재(160)가 버튼삽입홈(114)에 조립되고 흡착부재(120)가 흡착판부삽입공간(112)에 조립되었을 때 버튼부재(160)의 누름부(161)가 흡착부재(120)의 흡착판부(121) 일부분에 접촉되게 조립된다. 따라서 버튼부재(160)를 누르면 누름부(161)가 흡착판부(121)의 일부분을 눌러서 찌그러지게 하여 흡착판부(121)가 테이블 상면에서 자동으로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또한, 홀더부재(110)의 버튼삽입홈(114) 상면에는 후크공(116)이 형성되고, 버튼부재(160)의 누름부(161) 상면에는 상하로 텐션력을 갖는 걸림후크(165)가 후크공(116)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걸림후크(165)가 후크공(116)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구성된다. 즉, 누름부(161)를 누르면 걸림후크(165)가 후크공(116)에서 이탈되면서 누름부(161)가 전방으로 눌릴 수 있게 되고, 누름부(161)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5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16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걸림후크(165)가 후크공(116)에 삽입되게 걸려 누름부(161)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게 구성된다.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100)는 홀더부재(110), 지지부재(130), 마개부재(140), 버튼부재(160)를 합성수지로 사출 방식에 의해 제조할 때,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향균 기능성 물질을 합성수지에 혼합하여 사출하는 것이 좋다.Meanwhile, when the
즉, 항균 기능성 물질은 5-10중량% 포함되는데, 이러한 항균 기능성 물질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와 0.1-0.2㎛의 입도를 갖는 일라이트 분말과 타피오카와 구연산 및 붕사가 0.15:2:1:1:2:0.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된다.That is, the antibacterial functional material includes 5-10 wt% of antimicrobial functional material, such as prostaglandin, DBNPA (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Illite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0.1-0.2 탆, And citric acid and borax at a weight ratio of 0.15: 2: 1: 1: 2: 0.5.
이때, 상기 프로스타글란딘은 20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지방산 유도체로서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성 기능 구현을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는 액상 항균제로서 항균력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일라이트는 점토광물중 하나로 음이온을 띠기 때문에 양이온의 부유 미입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침전을 유발하여 중금속, 유독가스, 유해물질을 흡착 분해함은 물론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의 정균 작용과 살균 작용이 뛰어나므로 항균, 항바이러스 및 살균, 유해물질 흡착 분해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타피오카(tapioca)는 카사바의 뿌리로부터 얻어지는 전분의 일종으로 높은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접착력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연산은 카르복실기가 식초보다 3배 높기 때문에 강한 살균력을 갖는 천연 항균제일 뿐만 아니라 탈취효과도 있어 항균 탈취를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붕사는 점도조절을 위해 첨가된다.At this time, the prostaglandin is a fatty acid derivative having 20 carbons and is added for antiviral function to inhibit viral infection.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DBNPA (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is added as a liquid antimicrobial agent to enhance the antimicrobial activity. Since the aniline is one of the clay minerals, the anion is caused by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by the suspended particles of the cation and the electrical neutralization, thereby adsorbing and decomposing heavy metals, toxic gases, and harmful substances, as well as bacterium such as viruses, bacteria and fungi And it is added for antibacterial, antiviral and sterilizing, adsorption and decomposition of harmful substances. The tapioca is a kind of starch obtained from the roots of cassava and has a high adhesive strength and is add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dhesive strength. In addition, since the carboxyl group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vinegar, the citric acid is not only a natural antibacterial agent having strong sterilizing power, but also has a deodorizing effect and is added for antibacterial deodorization. And the borax is added for viscosity control.
여기서, 상기 성분들의 비율을 위와 같이 한정하는 이유는 프로스타글란딘의 경우에는 과량 사용시 천식발작을 일으킨 사례가 보고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한하여야 하며, 항균특성 강화를 위해 액상 항균제와 구연산의 비율은 가장 많게 동일비율을 유지해야 하고, 과할 경우 점도 조절이 안되기 때문에 붕사로 점도를 조절해야 하며, 분말상의 무기물이 첨가되므로 균일 혼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상대적인 혼합비율을 유지해야 한다.The reason for limiting the proportions of the above components is as follows. Prostaglandins have been reported to cause asthma attack in excessive us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ratio of liquid antimicrobial agent to citric acid is most The viscosity should not be controlled, and the viscosity should be controlled by borax. In order to maintain the uniform mixing property, the relative mixing ratio should be maintained as the powdery inorganic material is added.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항균성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까지 구현되는 특장점을 가진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tibacterial and antiviral functions are realized by imparting antibacterial properties.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의 조립 및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Now, the assembling and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thus configured tumbl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을 조립할 때는 홀더부재(110)의 조립공간(113)에 흡착부재(120)의 조립부(122)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한다. 그러면 흡착부재(120)의 흡착판부(121)는 홀더부재(110)의 흡착판부삽입공간(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버튼부재(160)의 누름부(161)가 홀더부재(110)의 버튼삽입홈(114)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연장핀부(162)를 핀삽입공(115)에 삽입한다. 그러면 버튼부재(160)의 결합핀부(164)는 공기유입공(124)을 관통하여 지지부재삽입홈(123) 내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삽입홈(123) 내에서 버튼부재(160)의 결합핀부(164)에 마개부재(140)의 결합홈(142)을 통해 마개부재(140)가 끼워져 고정되게 조립한다. 그런 다음, 탄성부재(150)를 스프링걸림돌부(144)에 끼워서 결합한 후, 지지부재(130)를 지지부재삽입홈(123)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때, 지지부재(130)는 공기통로공간(131)의 전방에 마개부재(140)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며, 탄성부재(150)의 단부는 스프링안착홈(132)에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그런 다음, 홀더부재(110)의 텀블러삽입공간(111)에서 볼트관통공(H1)과 볼트연통공(H2)을 관통하여 볼트체결공(H3)에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해 홀더부재(110)와 흡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First, when assembl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홀더(100)를 테이블 상면에 고정할 때는 텀블러 홀더(100)를 테이블 상면에 올려놓고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누르면 도 4와 같이 흡착판부(121)가 눌리면서 진공에 의해 흡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이 상태에서 텀블러 홀더(100)를 테이블 상면에서 떨어뜨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부재(160)의 누름부(161)를 누르면 된다. 그러면, 버튼부재(160)와 연결된 마개부재(140)가 지지부재(130)의 공기통로공간(131)에서 후방으로 밀리면서 외부 공기가 연장핀부(162)의 공기유로(163)를 통해 공기통로공간(131)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공기통로공간(131)와 연통되어 있는 흡착부재(120)의 지지부재삽입홈(123) 내로 안내되어 흡착판부(121)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테이블 상면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버튼부재(160)의 누름부(161)가 흡착판부(121)의 일부분을 눌러서 찌그러지게 하여 흡착판부(121)가 테이블 상면에서 자동으로 떨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can afford it will know.
10: 텀블러
100: 텀블러 홀더
110: 홀더부재
111: 텀블러삽입공간
112: 흡착판부삽입공간
113: 조립공간
114: 버튼삽입홈
120: 흡착부재
111: 흡착판부
112: 조립부
123: 지지부재삽입홈
124: 공기유입공
130: 지지부재
131: 공기통로공간
140: 마개부재
141: 구멍밀봉부
142: 결합홈
150: 탄성부재
160: 버튼부재
161: 누름부
162: 연장핀부
163: 공기유로
164: 결합핀부10: Tumbler 100: Tumbler holder
110: holder member 111: tumbler insertion space
112: Sucker plate insertion space 113: Assembly space
114: Button insertion groove 120:
111: suction plate portion 112:
123: support member insertion groove 124: air inflow hole
130: support member 131: air passage space
140: plug member 141: hole sealing part
142: coupling groove 150: elastic member
160: Button member 161:
162: extension pin portion 163:
164:
Claims (5)
상기 흡착판부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흡착판부가 구비되고, 흡착판부의 하면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테이블 상면에 눌러서 흡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며, 흡착판부의 상면에는 조립공간에 삽입되게 조립되는 조립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흡착판부의 하면에는 조립부 내부로 통하는 지지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조립부의 상면 중앙에는 볼트관통공과 대응되는 볼트연통공이 지지부재삽입홈으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조립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핀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흡착부재;
상기 지지부재삽입홈에 삽입되게 조립되고, 상면 중앙에는 볼트연통공과 대응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텀블러삽입공간에서 볼트관통공과 볼트연통공을 관통하여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양측면과 후면 그리고 하면은 막혀 있고 상기 공기유입공 방향인 전면과 상면으로 개구된 공기통로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공기통로공간의 전면을 막게 설치되어 공기통로공간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전면 중앙에는 상기 조립부의 공기유입공에 삽입되어 밀봉시키는 구멍밀봉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구멍밀봉부의 중앙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마개부재;
상기 공기통로공간 내에서 마개부재를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마개부재의 구멍밀봉부가 공기유입공에 삽입되어 공기유입공을 밀봉시키게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의 버튼삽입홈에 삽입되게 조립되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누름부의 후면에는 핀삽입공으로 삽입되게 조립되는 연장핀부가 연장 형성되며, 연장핀부의 측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핀삽입공에 조립되면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가 통하게 형성되고, 연장핀부의 단부에는 마개부재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핀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홀더부재, 흡착부재, 버튼부재, 마개부재, 탄성부재, 지지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테이블 상면에 올려놓고 누르면 흡착판부가 눌리면서 진공에 의해 흡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버튼부재의 누름부를 누르면 마개부재가 지지부재의 공기통로공간에서 후방으로 밀리면서 외부 공기가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통로공간으로 안내되고 공기통로공간와 연통되어 있는 흡착부재의 지지부재삽입홈 내로 안내되어 흡착판부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면서 테이블 상면에서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홀더.
A tumbler insertion space for inserting a tumble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ucker plate insertion spac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 assembly spac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cker plate insertion space, a bolt through- A butt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one side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and a pin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ssembly space is formed 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side so as to be pr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so as to be sucked.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portion is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space And a bolt communica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bol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ssembling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pporting member inserting groove, An adsorption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air inflow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insertion hole;
And a bolt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bolt communicat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be fixed to the bolt through hole in the tumbler insertion space by a bolt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A support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surfaces, a rea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re closed at one side and an air passage space is formed at the front surface and the air passage opening direction toward the air introduction hole;
And a hole sealing part for sealing and inserting into the air inlet hole of the assembly par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of the air passage space, A plug member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therein;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pressing the plug member forward in the air passage space so that the hole sealing portion of the plu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air inlet hole to seal the air inlet hole; And
And a pushing portion that is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f the holder member. An extension pin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ushing portion. An air flow path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pin portion, And a button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air passage is formed through the air flow path and an engagement pin portion is formed in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n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of the stopper member,
In the state where the holder member, the suction member, the button member, the stopper member, the elastic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re assembled, the suction plate is pressed and hel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he stopper member is pushed rearward in the air passage space of the support member to guide the outside air into the air passage space through the air passage and into the support member insertion groove of the suction member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passage space, Wherein the tumbler holder is detachab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while being released.
상기 홀더부재에는 텀블러삽입공간에서 흡착판부삽입공간으로 연통되는 배기공이 관통 형성되고, 흡착판부삽입공간과 버튼삽입홈을 연통하는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텀블러삽입공간에 텀블러를 끼워 넣을 때 텀블러삽입공간 내에 있는 공기가 배기공과 배기안내공을 통해 배출되어 텀블러가 잘 끼워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member is formed with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ucker plate insertion space in the tumbler insertion space, and an exhaust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late portion insertion space and the butt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when the tumbler is inserted into the tumbler insertion space,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hole and the exhaust guide hole so that the tumbler can be well fitted into the tumbler holder.
상기 홀더부재의 버튼삽입홈은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버튼부재가 버튼삽입홈에 조립되고 흡착부재가 흡착판부삽입공간에 조립되었을 때 버튼부재의 누름부가 흡착부재의 흡착판부 일부분에 접촉되게 조립되며, 버튼부재를 누르면 누름부가 흡착판부의 일부분을 눌러서 찌그러지게 하여 흡착판부가 테이블 상면에서 자동으로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f the holder member is formed to be open at the bottom so that when the button member is assembled 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and the suction member is assembled in the suction plate portion insertion space, the pushing portion of the button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suction plate portion of the suction member And the pushing portion pushes a portion of the attracting plate portion by pressing the button member so that the attracting plate portion can automatically fall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상기 홀더부재의 버튼삽입홈 상면에는 후크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부 상면에는 상하로 텐션력을 갖는 걸림후크가 후크공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누름부를 누르면 걸림후크가 후크공에서 이탈되면서 누름부가 전방으로 눌릴 수 있게 되고 누름부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걸림후크가 후크공에 삽입되게 걸려 누름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게 구성되며,
상기 마개부재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밀착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부재가 지지부재삽입홈에 밀착될 때 밀착돌기와 밀착돌기의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ok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f the holder member, and a hook having a tension force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of the button member to correspond to the hook hole. When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When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downward and the force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is removed, the pressing portion moves backwar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t this time, the lock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to restrict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And an air passag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member so that air can pass between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and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when the stopper member protrudes upwar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topper member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insertion groove Features a tumbler holder.
상기 홀더부재, 지지부재, 마개부재, 버튼부재는 사출 방식에 의해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데,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향균 기능성 물질을 합성수지에 혼합하여 사출하되,
상기 항균 기능성 물질은 5-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 기능성 물질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와 0.1-0.2㎛의 입도를 갖는 일라이트 분말과 타피오카와 구연산 및 붕사가 0.15:2:1:1:2: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member, the support member, the stopper member, and the button member are made of synthetic resin by an injection method. In order to realize an antibacterial and antiviral function, the antibacterial functional material is mixed with synthetic resin and injected,
Wherein the antibacterial functional material comprises 5-10 wt%
Prostaglandin and 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DBNPA), 0.15: 2: 1: 1: 2 of diatomite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0.1-0.2 μm, tapioca, citric acid and borax : 0.5.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437A KR101952888B1 (en) | 2017-07-05 | 2017-07-05 | Tumbler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437A KR101952888B1 (en) | 2017-07-05 | 2017-07-05 | Tumbler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4982A true KR20190004982A (en) | 2019-01-15 |
KR101952888B1 KR101952888B1 (en) | 2019-02-27 |
Family
ID=6503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5437A Active KR101952888B1 (en) | 2017-07-05 | 2017-07-05 | Tumbler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288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75342A (en) * | 2019-02-28 | 2019-06-14 | 临海盛志杯业有限公司 | A kind of Portable water cup that will not be toppled over |
CN110811263A (en) * | 2019-12-16 | 2020-02-21 | 任现梅 | an anti-tipping cup |
CN111657724A (en) * | 2019-03-09 | 2020-09-15 | 宁波团团工业设计有限公司 | Cup structure |
KR20230157822A (en) | 2022-05-10 | 2023-11-17 |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 umbler with anti-slip function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0042A (en) * | 1995-09-18 | 1997-08-12 | Setsu Akiyama | Suction cup separating method |
KR200306972Y1 (en) | 2002-12-05 | 2003-03-11 | (주)일흥조선 | adsorption fixing type cup holder |
CN2558807Y (en) * | 2002-06-26 | 2003-07-02 | 福茂塑料金属制品(嘉兴)有限公司 | Suction cup |
KR20070038379A (en) * | 2005-10-05 | 2007-04-10 | 전상기 | Antimicrobial containers |
KR20140055883A (en) | 2012-11-01 | 2014-05-09 | 김태희 | Suction cup tumbler holder |
JP2016048082A (en) * | 2014-08-27 | 2016-04-07 | 徐鉦鑑 | Suction cup |
KR20160050590A (en) | 2014-10-30 | 2016-05-11 | 김영범 | a beverage container |
KR20160002795U (en) * | 2015-02-03 | 2016-08-11 | 유만 | A support device of the cup |
KR101664779B1 (en) | 2016-07-18 | 2016-10-12 | 박명혜 | Container with a vacuum suction device |
KR20170006785A (en) * | 2015-07-09 | 2017-01-18 |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 Antibacterial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2017
- 2017-07-05 KR KR1020170085437A patent/KR1019528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0042A (en) * | 1995-09-18 | 1997-08-12 | Setsu Akiyama | Suction cup separating method |
CN2558807Y (en) * | 2002-06-26 | 2003-07-02 | 福茂塑料金属制品(嘉兴)有限公司 | Suction cup |
KR200306972Y1 (en) | 2002-12-05 | 2003-03-11 | (주)일흥조선 | adsorption fixing type cup holder |
KR20070038379A (en) * | 2005-10-05 | 2007-04-10 | 전상기 | Antimicrobial containers |
KR20140055883A (en) | 2012-11-01 | 2014-05-09 | 김태희 | Suction cup tumbler holder |
JP2016048082A (en) * | 2014-08-27 | 2016-04-07 | 徐鉦鑑 | Suction cup |
KR20160050590A (en) | 2014-10-30 | 2016-05-11 | 김영범 | a beverage container |
KR20160002795U (en) * | 2015-02-03 | 2016-08-11 | 유만 | A support device of the cup |
KR20170006785A (en) * | 2015-07-09 | 2017-01-18 |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 Antibacterial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KR101664779B1 (en) | 2016-07-18 | 2016-10-12 | 박명혜 | Container with a vacuum suction devic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75342A (en) * | 2019-02-28 | 2019-06-14 | 临海盛志杯业有限公司 | A kind of Portable water cup that will not be toppled over |
CN109875342B (en) * | 2019-02-28 | 2020-08-28 | 永康市日丰工具厂 | Portable cup capable of preventing water from falling |
CN111657724A (en) * | 2019-03-09 | 2020-09-15 | 宁波团团工业设计有限公司 | Cup structure |
CN110811263A (en) * | 2019-12-16 | 2020-02-21 | 任现梅 | an anti-tipping cup |
CN110811263B (en) * | 2019-12-16 | 2020-10-13 | 武义芃莱商贸有限公司 | Anti-toppling cup |
KR20230157822A (en) | 2022-05-10 | 2023-11-17 |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 umbler with anti-slip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2888B1 (en) | 2019-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2888B1 (en) | Tumbler holder | |
JPH07204117A (en) | Liquid soap cartridge for liquid soap discharge device | |
US20130112714A1 (en) | Liquid dispenser | |
CN111642990A (en) | Prevent that child from bumping seat is placed to injured cutter by mistake | |
US20080190411A1 (en) | Detachable grease cup for smoke exhauster | |
CN204861766U (en) | Take cleaning brush of sanitizer | |
CN212065675U (en) | Atomiz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080111667A (en) | Vacuum suction port | |
CN209275150U (en) | A kind of apothecary jar of adjustable internal capacity distribution | |
CN109423838B (en) | Washing additive box and washing machine | |
CN211997218U (en) | Deodorizing device applied to garbage can | |
CN211475019U (en) | Low-voltage pulse electromagnetic valve | |
CN109106223B (en) | Strainer assembly and liquid heating container | |
CN219375578U (en) | Aromatherapy seat | |
CN215777289U (en) | Cooking utensil | |
US20080047981A1 (en) | Pump with a pressure driving head | |
CN209616848U (en) | Push type automobile perfume fumigator | |
CN107752715B (en) | Electric cooking device | |
KR200441657Y1 (en) | Vacuum suction port | |
CN210643595U (en) | Multifunctional cup mat | |
CN217695927U (en) | Bounce type children water bottle | |
CN218221904U (en) | Mixing device | |
CN220958799U (en) | Carbon paste seat | |
CN220025691U (en) | Portable smoke ring emitter | |
CN211251996U (en) | White board era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