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01032U -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 Google Patents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32U
KR20190001032U KR2020197000005U KR20197000005U KR20190001032U KR 20190001032 U KR20190001032 U KR 20190001032U KR 2020197000005 U KR2020197000005 U KR 2020197000005U KR 20197000005 U KR20197000005 U KR 20197000005U KR 20190001032 U KR20190001032 U KR 201900010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layer
substrate
touch
transparent
lear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97000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퀑 매튜 관
Original Assignee
호퀑 매튜 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퀑 매튜 관 filed Critical 호퀑 매튜 관
Publication of KR20190001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32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차례로 색깔 필터, 기판(110) 및 입자층(120)이 설치되며, 상기 기판(110) 상표면은 투명 접착제를 이용해 입자를 접착시켜 상기 입자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10)과 상기 입자층(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다. 본 고안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을 문자 상에 놓으면 문자가 입자층(120)에 투시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입자층 상에 적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촉감을 자극함으로써 문자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와 기억력을 강화시키며, 이를 통하여 학습장애자와 유아가 문자를 학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해소시켜 준다. 또한 색깔 필터는 특정 색깔의 빛이 눈에 진입하는 것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안정피로를 저감시킨다.

Description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본 고안은 다감각 문자 학습을 위한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에 관한 것이다.
학습장애는 개인의 지능과 필연적인 관계가 없으며 이는 지혜로 이르는 경로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장애자라고 해서 열독이 불가능하거나 지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대부분의 원인은 뇌 언어영역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아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으로 쓰는 통상적인 문자 학습 과정에서 충분한 뇌 자극이 없어 대뇌가 일부 문자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터치 감응형 손 글쓰기"는 "다감각 교육방법" 중 하나로, 학습장애가 있는 학생에게는 특히 중요한 학습 방식이다. "다감각 교육방법"이라 함은, 시각, 청각, 촉각 등 하나 이상의 감각기관을 통하여 학습장애자 및 유아가 전 세계 66종의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학습장애자 및 유아에게 가장 좋은 교육방법은 보다 많은 감각, 바람직하게는 촉각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는 학습장애자 및 유아의 대뇌 촉각신경을 자극해 기억을 만들어내 문자를 기억하는 행위를 보조할 수 있다.
종래기술 중 터치 감응형 손 글쓰기 원리를 이용한 문자학습카드의 경우 문자마다 하나의 문자학습카드가 있다. 중국어를 예로 들면, 4000자를 학습하려면 4000장의 문자학습카드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문자 학습 비용이 높아 대부분의 학습장애자들이게 부담이 되므로 터치 감응형 손 글쓰기의 장점을 누리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문자학습카드는 일단 사용한 후에는 상면의 문자를 고칠 수 없기 때문에 한 세트의 문자학습카드로는 한 종류의 문자밖에 학습하지 못하며, 여러 종류의 문자를 학습하려면 여러 세트의 문자학습카드가 필요하다. 이 경우 대량의 문자학습카드를 생산하는 비용이 높으며 친환경적이지도 않다. 문자학습카드 수량이 많을수록 사용 시 필요한 카드를 찾는 것이 어려워 상당히 불편하기도 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전 세계 안정피로를 겪는 약 50% 이상의 사람이 학습장애자이며, 학습장애자는 시각계가 특정 색깔의 빛, 특히 백색광에 민감할 수 있다. 안정피로 증상은 때때로 다음과 같은 현상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난다. 즉, 열독 시 문자, 단어, 구절 등이 흐릿하거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데 때때로 이는 흐르는 물이나 벌레(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음)로 표현된다. 또는 문자가 하나로 뭉쳐져 끊임없이 부유하며 마치 춤을 추는 것과 같이 보인다(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음). 대부분 열독하는 서적은 모두 바탕색이 백색이며, 백색은 모든 색깔의 빛을 반사한다. 따라서 환자가 강한 빛 또는 심지어 일반 광선 하에서 열독하더라도 적응하지 못하거나 쉽게 피로해져 열독 진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문자마다 하나의 문자학습카드가 필요하고 문자학습카드가 안정피로를 완화시키지 못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국 언어의 무수한 문자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모래면(sand surface)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을 제안하는데 있다.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차례로 색깔 필터, 기판 및 입자층이 설치되며, 상기 기판 상표면은 투명 접착제를 이용해 입자를 접착시켜 상기 입자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입자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다.
더 나아가, 상기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은 전자기기 상방을 덮고, 상기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의 두께는 1.0 내지 2.3mm이다.
더 나아가, 상기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의 두께는 1.8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또는 투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투명 실리카겔(silica gel)로 제작한다.
더 나아가, 상기 기판은 연질 폴리염화비닐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은 경질 폴리염화비닐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 바닥부에 복수개의 스크린 스티커가 접착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입자층은 투명 모래 입자층 또는 투명 실리카겔 입자층이다.
더 나아가, 상기 입자층의 조도는 #30 내지 #40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층의 조도는 #150이다.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을 문자 상에 놓으면 문자가 입자층에 투시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입자층 상에 적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촉감을 자극함으로써 문자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도와 기억력을 강화시키며, 이를 통하여 학습장애자와 유아가 문자를 학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해소시켜 준다. 또한 색깔 필터는 특정 색깔의 빛이 눈에 진입하는 것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안정피로를 저감시킨다. 본 고안은 편리하고 빠르며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보급하기 용이하며, 하나의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을 태블릿 전자기기에 탑재하기만 하면 문자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장애자와 유아는 실내외를 불문하고 세계 각국 언어의 무수한 문자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있어서 신규한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실시예 1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신규한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실시예 2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문자 배경 색깔이 열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결과 통계도이다.
도 7은 열독 시 안정피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일종의 형식이다.
도 8은 열독 시 안정피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또 다른 일종의 형식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학습장애자와 유아가 사용하는 문자학습카드가 문자마다 하나의 문자학습카드가 필요하고 문자학습카드가 안정피로를 완화시키지 못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차례로 색깔 필터(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 기판(110) 및 입자층(120)이 설치된 층상 구조의 유색 또는 무색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을 제안한다. 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기판 상에 입자층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본 고안의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을 다른 문자 상에 씌운 후 손가락으로 입자층 상에 표시되는 문자를 모사하면, 입자층의 거친 느낌이 사용자의 촉각을 자극하여 사용자가 기존의 문자를 학습한 상태에서 뇌 자극을 추가하여 문자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저감시켜 준다. 색깔 필터를 설치하여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에 다른 색깔 또는 무색이 나타나도록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여 특정 색깔의 빛 파동이 눈에 진입하는 것을 줄이고 사용자의 안정피로를 완화시켜 학습 효율을 향상시켜 준다.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을 씌운 전자기기(예를 들어 태블릿PC)의 문자 변화를 통하여 심지어 세계 각국의 무수한 문자를 학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도면을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을 인쇄물(300) 상에 씌워 모사를 진행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물(300)은 문자가 있는 임의 종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종이 상에 인쇄한 문자, 종이 상에 수기로 쓴 문자, 다양한 양식의 카피북(copybook) 등이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은 색깔 필터, 기판(110), 및 기판(110) 꼭대기층의 입자층(120)을 포함하고, 기판(110)은 인쇄물(300) 상에 씌운 후 손가락(200)으로 입자층(120) 상에서 모사를 진행한다.
모사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기판(110)과 입자층(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설치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인 빛이 조사되는 환경에서 인쇄물(300) 상의 문자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그 외, 기판(110)과 입자층(120)의 총 두께도 모사의 체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너무 두꺼운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은 광선 굴절로 인해 문자가 부유하는 현상을 유발하기 쉬워 모사하기가 어려우며, 너무 두꺼운 두께 역시 투광성에 영향을 주기 쉽다. 사용자가 다양한 두께의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을 시험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두께 범위를 획득한다. 실험을 통해 기판(110)과 입자층(120)의 총 두께는 0.3 내지 2.3m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0.6mm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사의 대상은 인쇄물(300)이며, 비교적 바람직한 접합 효과를 얻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연성 박막을 기판(110)으로 사용한 후 상기 연성 박막 상에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처리를 진행하거나, 또는 곧바로 연성 박막 상에 모래 입자 스티커를 부착하여 입자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채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을 인쇄물 상에 씌워 기판(110)의 일면을 인쇄물(300)과 접합시킨 후 손가락(200)으로 입자층(120)에 표시되는 문자 상에서 모사를 진행한다. 종래의 펜으로 쓰는 방식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문자를 쓰는 과정에 촉감 자극을 더하여 문자 학습의 어려움을 덜어준다.
본 고안은 도 3 내지 5에서 도시하는 실시예 2를 더 제안하며, 상기 실시예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을 전자기기(400) 상에 거치하여 모사를 진행한 것이다. 전자기기(400)는 휴대폰, 태블릿PC,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은 문자를 학습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나 컴퓨터 게임 등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문자 학습의 흥미를 돋우어 사용자의 적극성을 동원하고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모사 대상이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400)로 바뀌었기 때문에 연성 박막으로 제조한 기판(110)은 최적의 실시방식이 아니다. 모사 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기판(110)의 재질을 경질 또는 연질의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변경하는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투명 폴리에틸렌(PE) 또는 투명 실리카겔 등 재료로 기판(110)을 제작한다. 이 경우 모사할 때 기판(110)이 손가락 압력 때문에 변형되지 않아 잘못 터치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기판(110) 표면에 투명 접착제로 투명 모래 입자 또는 투명 실리카겔 입자를 접합하여 입자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PVC는 첨가하는 가소제 양에 따라 크게 경질과 연질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경질 PVC 기판(110)을 채택할 경우 기판(110) 바닥부에 복수개의 스크린 스티커(130)를 접착해야 한다. 전자기기(400)로 태블릿PC를 사용하는 경우, 기판(110) 바닥부의 복수개 스크린 스티커(130)를 전자기기(400)의 테두리 상에 흡착하여 모사할 때 손가락(200)의 움직임으로 인해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의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스크린 스티커(130)가 사용 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스크린 스티커(130)를 기판(110) 후면의 테두리 또는 모서리 위치에 설치한다.
연질 PVC 기판(110)을 채택할 경우 기판(110) 바닥부에 복수개의 스크린 스티커(130)를 접착할 필요가 없으며, 기판(110)이 스스로 전자기기(400) 상에 접착되기 때문에 손가락(200)의 움직임으로 인해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의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본 실시예의 모사 대상이 전자기기(400)이며, 상기 전자기기(400)는 터치 기능이 있어 모사 과정에서 터치 오작동을 초래해 모사 학습의 체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두께를 다시 설정해 해상도가 충분한 상황에서 충분히 높은 안정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하기에서는 6 내지 14세의 피험자가 태블릿PC 상에서 중국어를 모사할 때 진행한 실험이며, 실험샘플은 모두 #150 조도의 시험물로 한정하였고 실험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tm00001
상기 실험을 통하여, 전자기기를 모사 대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체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의 두께는 0.1 내지 2.3mm로 제한하며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1.8mm이다.
많은 독서장애자는 보통 사람과 달리 촉감에 대해 과도하게 민감하거나 과도하게 둔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는데, 상기 두 실시예에서는 모두 입자층(120)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촉감을 유발하였다. 입자층(120)의 조도 역시 실제 사용 과정에서의 체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너무 미끄러운 입자층(120)은 충분한 촉감을 유발하지 못하여 모사할 때 충분한 대뇌 자극을 주지 못하는 반면, 너무 거친 입자층(120)은 사용자가 모사할 때 동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지어 피부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문제에 있어서, 6 내지 14세의 피험자가 중국어 모사를 진행하는 실험에서 조도를 선택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ptm00002
상기 실험에서 허용할 수 있는 조도의 범위는 #30 내지 #400이며, 상기 숫자가 클수록 미끄럽다는 것을 의미하고, 가장 바람직한 조도는 #150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 열독하는 서적은 모두 바탕색이 백색인데 백색은 모든 색깔을 반사하기 때문에 환자가 강한 빛 또는 심지어 일반 광선 하에서 열독하더라도 적응하지 못하거나 쉽게 피로해질 수 있다. 만약 특정 색깔의 빛이 눈에 들어오는 것을 감소시켜 안정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면 학습장애자의 열독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문자 배경 색깔"이 열독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학습장애자에게 열독에 더욱 편안함을 주는 색깔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여 다양한 학습장애자의 투명 또는 반투명 기판에 필요한 색깔을 정하고자 하였다.
"문자 배경 색깔"이 열독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초ㆍ중학교 학습장애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적는 문자 배경의 색깔이 안정피로를 저감시키고 열독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ptm00003
실험결과에 따르면, 85%의 학습장애자가 문자 배경에 색깔이 있을 때 열독 시 보다 편안한 느낌을 받았으며, 15%의 학습장애자만 백색 바탕색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에서 밝은 하늘색과 청록색은 학습장애자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두 가지 색깔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다양한 색깔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선택하도록 하면 학습장애자에게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 기판에 필요한 다양한 색깔은 기판(110) 생산 원료에 상응하는 색깔의 염료를 추가하거나, 기판(110) 하층의 색깔 필터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상기 제품을 무색 또는 유색으로 제조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는 투명 또는 반투명 기판 상에 입자층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이것을 문자 상에 씌운 후 손가락으로 입자층 상에서 모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쓰는 과정에서 촉각 자극을 받게 되며, 이는 문자에 대한 인지력을 향상시켜 학습장애자와 유아가 문자를 학습하는데 따르는 어려움을 덜어 준다. 또한 기판 하층에 색깔 필터를 설치하여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에 다양한 색깔이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색깔 필터가 눈에 특정 색깔의 빛이 진입하는 것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안정피로를 저감시켜 준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사상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실시방식 및 응용 범위 상에서 다양한 수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이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0: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110: 기판
120: 입자층 130: 스크린 스티커
200: 손가락 300: 인쇄물
400: 전자기기

Claims (10)

  1.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차례로 색깔 필터, 기판(110) 및 입자층(120)이 설치되며, 상기 기판(110) 상표면은 투명 접착제를 이용해 입자를 접착시켜 상기 입자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10)과 상기 입자층(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은 전자기기(400) 상방을 덮고, 상기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의 두께는 1.0 내지 2.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100)의 두께는 1.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10)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또는 투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투명 실리카겔(silica gel)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10)은 연질 폴리염화비닐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10)은 경질 폴리염화비닐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10) 바닥부에 복수개의 스크린 스티커(130)가 접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층(120)은 투명 모래 입자층 또는 투명 실리카겔 입자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9.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층(120)의 조도는 #3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층(120)의 조도는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KR2020197000005U 2016-07-29 2017-07-13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Ceased KR2019000103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08161504 2016-07-29
CN201620816150.4U CN206224825U (zh) 2016-07-29 2016-07-29 触感记字板
PCT/CN2017/092694 WO2018019129A1 (zh) 2016-07-29 2017-07-13 触感记字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32U true KR20190001032U (ko) 2019-05-02

Family

ID=5877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7000005U Ceased KR20190001032U (ko) 2016-07-29 2017-07-13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222494U (ko)
KR (1) KR20190001032U (ko)
CN (1) CN206224825U (ko)
DE (1) DE212017000191U1 (ko)
SG (1) SG11201900791QA (ko)
WO (1) WO2018019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224825U (zh) * 2016-07-29 2017-06-06 关昊罡 触感记字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534B2 (ja) * 1997-03-31 2000-06-05 株式会社サカイ・シルクスクリーン 点字用凸部を有する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371617Y (zh) * 1999-02-01 2000-03-29 崔晨 盲人识字卡
US20060088803A1 (en) * 2004-10-25 2006-04-27 Bianco Ronni S Apparatus and method for tactile writing therapy
CN101494001B (zh) * 2009-02-25 2011-05-18 东南大学 基于视触觉功能替代的桌上触觉盲教装置
CN104408993A (zh) * 2014-10-30 2015-03-11 关昊罡 读写障碍触感识字板
CN206224825U (zh) * 2016-07-29 2017-06-06 关昊罡 触感记字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12017000191U1 (de) 2019-03-04
SG11201900791QA (en) 2019-02-27
CN206224825U (zh) 2017-06-06
WO2018019129A1 (zh) 2018-02-01
JP3222494U (ja)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421B2 (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teaching languages to young children
CN203552503U (zh) 书画临摹板
Fan et al. Tactile letters: a tangible tabletop with texture cues supporting alphabetic learning for dyslexic children
RU175413U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го 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путем совмещения или раздел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KR20100005645A (ko) 언어 재활 교구
RU177218U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методом анализа закономерности расположения элементов ряда
KR20190001032U (ko) 터치 감응형 문자 기억판
CN101510366A (zh) 手写触摸屏文字学习娱乐机
Hynes et al. Portable electronic braille devices–An overview
Rivera The Myth of the Given? The Future of Phenomenology’s Theological Turn
CN202650319U (zh) 一种led书画临摹器
CN201064279Y (zh) 学生书法练习桌
CN203644245U (zh) 练字矫正器
CN114613206A (zh) 面向读写障碍儿童的多感官语言拼读学习智能装置
AU2019100037A4 (en) Tactile Writing Board
RU26621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рельефно-точечному шрифту Брайля слепых и слабовидящих детей
US11967244B2 (en) Textured screen cover for tactile learn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7633711A (zh) 书法学习板
Nakatani et al. Imperious griffonage: Xu Bing and the graphic regime
RU176522U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методом анализа элементов таблицы
CN205450902U (zh) 一种具有手写板的儭童平板电脑
CN205750752U (zh) 一种液晶手写板
CN202557054U (zh) 一种护眼便携写字板
CN1322831C (zh) 多功能儿童早期教育、智力开发、视力、骨骼保护矫正仪
CN205302202U (zh) 一种教学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4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4D

Comment text: Document under Article 41 of Utility Model Act

Patent event date: 201901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61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