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00976U -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 Google Patents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976U
KR20190000976U KR2020170005376U KR20170005376U KR20190000976U KR 20190000976 U KR20190000976 U KR 20190000976U KR 2020170005376 U KR2020170005376 U KR 2020170005376U KR 20170005376 U KR20170005376 U KR 20170005376U KR 20190000976 U KR20190000976 U KR 201900009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ing
main body
auxiliary
auxiliary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2020170005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976U/ko
Publication of KR20190000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76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몸체에 올림 및 내림 전용의 보조중량체를 쉽게 착탈 가능하게 하여 올림 또는 내림 낚시로의 전환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보조중량체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낚시찌마다 약간씩 차이가 나는 부력에 대응하여 낚시 바늘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중량 미세조절 작업도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무게추는, 상측에 고리를 형성하고 무게가 내림 낚시에 맞추어 설정된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내림 낚시를 위한 주몸체 중량에 대하여 8~11% 증가시켜 올림 낚시를 위한 무게추 중량이 되도록 하는 보조중량체로 이루어지고, 보조중량체에는 복수개의 절단홈을 가지는 미세중량조절 절단부를 형성하며, 보조중량체의 착탈 구조는 주몸체에 형성한 나사구멍과 보조중량체에 형성한 수나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Sinker for Changing Up and Down Fishing}
본 고안은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게추의 중량을 간단하게 조절하면서 올림 낚시 또는 내림 낚시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올림 낚시는 바늘을 바닥에 위치시켜 고기가 바늘 위에서 흡입할 때 낚시찌가 수면 위로 올라오게 하는 낚시방식이고, 내림 낚시는 바늘을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띄워 고기가 바늘 아래에서 흡입하게 함으로써 낚시찌가 수면 아래로 내려가게 하는 낚시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올림 낚시 또는 내림 낚시를 위해서는 낚시찌의 부력에 맞추어 무게추의 중량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20-0212242호의 낚시용 중량조절 추에 의하면, 낚시줄과 낚시바늘의 해제 없이 중량조절이 미세하게 조절되어 낚시바늘을 물속의 바닥면이나 수면에 인접하거나 물속의 중층에 위치하는 등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몸체, 제1 중량체, 제2 중량체 및 탄성밴드로 이루어져 구성이 복잡하고, 제2 중량체는 절단이 용이한 연질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져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금속 박판을 일부 절단하여 무게를 조절한 후, 다시 몸체에 감아 탄성밴드로 고정해야 하므로 무게 조절작업과 내림 낚시 또는 올림 낚시로의 전환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몸체에 올림 및 내림 낚시 전용의 보조중량체를 쉽게 착탈 가능하게 하여 올림 또는 내림 낚시로의 전환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보조중량체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낚시찌마다 약간씩 차이가 나는 부력에 대응하여 낚시 바늘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중량 미세조절 작업도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측에 고리를 형성하고 무게가 내림 낚시에 맞추어 설정된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내림 낚시를 위한 주몸체 중량에 대하여 8~11% 증가시켜 올림 낚시를 위한 무게추 중량이 되도록 하는 보조중량체로 이루어진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중량체에 복수개의 절단홈을 가지는 미세중량조절 절단부를 형성한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중량체의 착탈 구조가, 주몸체에 형성한 나사구멍과 보조중량체에 형성한 수나사에 의해 이루어진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에 의하면, 바늘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떠 있도록 낚시찌의 부력에 맞추어진 주몸체만으로 내림 낚시를 즐기다가, 바늘이 바닥에 위치하는 올림 낚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보조중량체를 주몸체에 나사 결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무게추의 전체중량을 8~11%로 증가시켜 올림 낚시를 즐길 수 있고, 주몸체에 나사 결합된 보조중량체를 분리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무게를 원위치시킬 수 있어 다시 내림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되므로, 올림 낚시 또는 내림 낚시로의 전환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올림 낚시를 위해 주몸체에 결합되는 보조중량체에 복수개의 절단홈을 가지는 미세중량조절 절단부가 형성됨에 따라, 절단부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보조중량체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낚시찌마다 약간씩 차이가 나는 부력에 대응하여 바늘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게추를 나타낸 것으로, 주몸체와 보조중량체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게추를 나타낸 것으로, 주몸체와 보조중량체가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게추에서 보조중량체의 미세조절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게추는, 금속재질의 주몸체(10)와 보조중량체(20)로 이루어진다.
주몸체(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축선방향의 상측에 고리(11)가 구비되어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무게는 내림 낚시를 위해 바늘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떠 있도록 낚시찌의 부력에 맞추어 설정한다.
보조중량체(20)는 주몸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된 것으로, 내림 낚시를 위해 낚시찌의 부력과 맞추어진 주몸체(10)의 중량에 대하여 8~11% 범위 내에서 증가시켜 올림 낚시를 위한 무게추 중량이 되도록 무게가 설정된다.
보조중량체(20)의 착탈 결합 구조는, 주몸체(20)에 나사구멍(12)을 형성하고 보조중량체(20)에는 수나사(21)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나사(21)의 끝단에는 복수개의 절단홈(22a)을 가지는 미세중량조절 절단부(22)를 형성하여 보조중량부재(20)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몸체(10)에 대하여 보조중량체(20)를 나사구멍(12) 및 수나사(21)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므로, 보조중량체(20)를 주몸체(10)로부터 분리할 경우, 주몸체(10)는 내림 낚시를 위해 낚시찌의 부력에 대응하여 무게가 설정된 것이므로, 바늘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위치시켜 내림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내림 낚시상태에서 올림 낚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는, 주몸체(10)에 보조중량체(20)를 나사 결합하면, 무게추의 전체 중량이 증가되어 바늘을 바닥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중량체(20)의 무게는 주몸체(10)의 무게에 대하여 올림 낚시에 적합한 8~11%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무게로 설정된 것으로, 무게가 8% 이하로 설정되면, 바늘이 바닥에 닿지 않을 수 있고, 무게가 11% 이상 설정되면, 무게가 과도하여 무게추가 바닥에 누워버리게 되므로, 예민한 낚시찌의 움직임을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중량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절단홈(22a)을 가지는 미세중량조절 절단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절단부(22)의 길이를 적절하게 절단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보조중량체(20)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낚시찌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 부력에 대응하여 바늘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보조중량체(20)의 무게가 과도하여 무게추가 바닥에 눕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주몸체 11 : 고리
12 : 나사구멍 20 : 보조중량체
21 : 수나사 22 : 절단부
22a : 절단홈

Claims (3)

  1. 상측에 고리를 형성하고, 무게가 내림 낚시에 맞추어 설정된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내림 낚시를 위한 주몸체 중량에 대하여 8~11% 증가시켜 올림 낚시를 위한 무게추 중량이 되도록 하는 보조중량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중량체에 복수개의 절단홈을 가지는 미세중량조절 절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중량체의 착탈 구조는, 주몸체에 형성한 나사구멍과 보조중량체에 형성한 수나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KR2020170005376U 2017-10-17 2017-10-17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Ceased KR201900009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76U KR20190000976U (ko) 2017-10-17 2017-10-17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76U KR20190000976U (ko) 2017-10-17 2017-10-17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6U true KR20190000976U (ko) 2019-04-25

Family

ID=6624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376U Ceased KR20190000976U (ko) 2017-10-17 2017-10-17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97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9921A (ko) 올림 낚시용 추
KR101457175B1 (ko) 낚시용 봉돌
KR20190000976U (ko) 올림 및 내림 낚시 전환용 무게추
KR101279290B1 (ko) 부력조절체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부력조절찌.
CN205830850U (zh) 分段式可充气钓鱼浮漂
CN207151678U (zh) 一种自动钓鱼浮漂
KR101492326B1 (ko) 낚시용 봉돌
KR100345186B1 (ko) 낚시용 추
US2877594A (en) Interchangeable fishing float and sinker
CN211607936U (zh) 一种带有便于安装钓鱼铅坠的渔具
KR200282165Y1 (ko) 민물 낚시용 찌
CN108391632A (zh) 一种多功能可任意调节灵敏度的自动弹钩鱼漂
CN110800707B (zh) 一种便于调节的浮漂
KR200338841Y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KR101201595B1 (ko) 개량형 낚시용 막대 봉돌
CN207445431U (zh) 兰布达悬挂式训练带
KR101534919B1 (ko) 낚시용 봉돌
CN206629805U (zh) 一种无人值守多方式钓鱼工具
CN206238136U (zh) 仿生鱼饵
CN208509911U (zh) 一种钓鱼装置
KR20210000130U (ko) 찌다리 추
CN206118875U (zh) 一种钓鱼饵篮装置
TWM451826U (zh) 觸感浮標
KR101185440B1 (ko)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KR101384362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10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13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41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