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98U - 연마용 휠 - Google Patents
연마용 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298U KR20190000298U KR2020170003864U KR20170003864U KR20190000298U KR 20190000298 U KR20190000298 U KR 20190000298U KR 2020170003864 U KR2020170003864 U KR 2020170003864U KR 20170003864 U KR20170003864 U KR 20170003864U KR 20190000298 U KR20190000298 U KR 2019000029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nk
- tip portion
- tip
- rubber layer
- grinding wh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073 vulcan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6—Grinding blocks; their mountings or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8—Wheels of speci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팁을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는 연마용 휠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고,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샹크와, 상기 샹크의 나사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볼트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다이아몬드가 소결된 팁으로 구성된 팁부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필요한 개수만큼의 팁부를 샹크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팁부의 팁 마모시 팁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샹크에 팁부를 결합한 후 가황접착을 통해 고무층을 형성하여 샹크와 팁부의 결합력 향상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연마용 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팁을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는 연마용 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비롯하여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각종 블럭 및 내화물 등은 1차 가공 후 표면에 남아있는 미세 돌기나 흠집을 제거하여 다듬질하기 위해 2차 마무리 가공공정을 거치며, 이때 주로 연마휠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연마휠은 여러 가지 형태의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원형의 컵형 샹크에 다이아몬드로 소결하여 증착시킨 팁을 은납 용접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샹크에 은납 용접을 통해 팁을 결합하는 연마휠의 경우 정해진 형태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89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원형 형상의 베이스 디스크의 외주면으로 다수의 디스크컵 결합공을 베이스 디스크 외주면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디스크컵 결합합공에는 결합편을 배치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편을 베이스 디스크에 결합한다.
그런 후, 다수의 연마팁이 포함된 연마 디스크컵을 결합편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연마 디스크컵을 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KR20-0473898 Y1 연삭기 휠 어셈블리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은 연마 디스크컵을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마 디스크컵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결합하는 구성이 매우 조잡한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품 일부를 분실할 경우 연마 디스크컵을 결합하지 못함으로써 그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연마 디스컵, 결합편, 볼트 및 너트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관련 부품의 수급이 어려워지게 되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연마 디스크컵의 탈, 부착시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연마용 휠은 사용자가 필요한 개수만큼의 팁부를 샹크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마용 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팁부의 팁 마모시 팁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샹크에 팁부를 결합한 후 가황접착을 통해 고무층을 형성하여 샹크와 팁부의 결합력 향상 및 진동을 줄이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샹크의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홀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후 사용자가 팁부에 형성된 볼트부를 이용하여 샹크에 팁부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개수 만큼의 팁부를 직접 샹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팁부의 팁 마모시에도 사용자가 해당 팁부 또는 전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팁부의 볼트부에 렌치홈을 형성하여 팁부의 결합을 보다 쉽게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샹크에 팁부를 결합한 후 가황접착을 통해 고무층을 형성할 경우 샹크와 팁부와의 결합력 향상은 물론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마용 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샹크(10)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 중앙에 결합홀(11)이 형성되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의 연마수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샹크(10)의 외주면으로는 다수의 나사홀(1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팁부(20)는 상술한 샹크(10)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홀(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볼트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다이아몬드가 소결되어 있는 팁(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샹크(10)에 형성된 나사홀(12)에 원하는 만큼의 팁부(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의 팁부(20)에는 렌치홈(23)이 형성되어 샹크(10)에 팁부(20)의 결합이 보다 수월해 질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층(30) 형성시에는 샹크(10)에 형성된 나사홀(12)에 팁부(20)의 볼트부(21) 결합시 완전히 체결하지 않도록 하여 샹크(10)와 팁부(2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고무층(30)을 형성하도록 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샹크(10)와 팁부(20) 사이에 고무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연마용 휠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연마용 휠(50)은 샹크(10)에 팁(22)을 포함한 팁부(20)를 사용자가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을 등간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황에 맞게 사용자가 셋팅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연마량이 적거나 연한 재질의 피공작물 가공시에는 팁부(20)의 개수를 줄이고 피공작물의 연마량이 많거나 또는 경질의 피공작물 가공시에는 팁부(20)의 개수를 늘려서 가공할 수 있게 되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피공작물의 연마작업시 팁부(20)을 구성하는 팁(21)의 마모량이 많을 경우 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샹크(10)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샹크(10)에 팁부(20)의 결합시 팁부(20)에 형성된 렌치홈(23)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샹크(10)에 팁부(20)의 탈, 부착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샹크(10)의 나사홀(12)은 팁부(20)를 결합하기 위한 용도 이외에 팁부(20)가 결합되지 않은 나사홀(12)은 피공작물 연마시 분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의 역할도 같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을 도 4에서와 같이 샹크(10)와 팁부(20)에 고무층(30)을 더 포함하여 형성할 경우 샹크(10)와 팁부(20)의 결합력을 증대할 수 있음은 물론, 피공작물의 연마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고무층(30)은 가황접착을 통해 샹크(10) 및 팁부(20)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샹크(10)의 나사홀(12)과 팁부(20)의 볼트부(21)를 통한 결합력 이외의 결합력이 더 발생함으로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샹크(10)와 팁부(20)에 고무층(30)의 형성시에는 샹크(10)의 나사홀(12)에 팁부(20)의 볼트부(21)를 완전히 조여 결합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시켜놓은 상태에서 가황접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샹크(10)와 팁부(20)는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부분 이외에 직접 맞닿는 면이 없기 때문에 팁부(20)를 통한 피공작물의 연마시 발생하는 진동이 샹크(10)로 전달될 때에 많이 감소된 상태의 진동이 전달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0 : 샹크
11 : 결합홀 12 : 나사홀
20 : 팁부
21 : 볼트부 22 : 팁 23 : 렌치홈
30 : 고무층
50 : 연마용 휠
11 : 결합홀 12 : 나사홀
20 : 팁부
21 : 볼트부 22 : 팁 23 : 렌치홈
30 : 고무층
50 : 연마용 휠
Claims (4)
- 내측으로 결합홀(11)을 형성하고 있고,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홀(1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샹크(10);
상기 샹크(10)의 나사홀(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볼트부(21)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다이아몬드가 소결된 팁(22)으로 구성된 팁부(20);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샹크(10)의 나사홀(12)에 원하는 갯수의 팁부(2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마용 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20) 중 볼트부(21)에는 렌치홈(2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마용 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샹크(10)에 팁부(20)를 결합한 후 고무로 가황접착하여 고무층(30)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마용 휠.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샹크(10)와 팁부(10)에 고무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샹크의 나사홀에 팁부의 볼트부를 완전히 체결되지 않도록하여 일정 간격을 이격시킨 후 고무층을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연마용 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864U KR20190000298U (ko) | 2017-07-25 | 2017-07-25 | 연마용 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864U KR20190000298U (ko) | 2017-07-25 | 2017-07-25 | 연마용 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298U true KR20190000298U (ko) | 2019-02-07 |
Family
ID=6536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864U Abandoned KR20190000298U (ko) | 2017-07-25 | 2017-07-25 | 연마용 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029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55621A (zh) * | 2019-07-17 | 2019-10-22 | 大连理工大学 | 一种用于超声加工的组合砂轮及其设计方法 |
-
2017
- 2017-07-25 KR KR2020170003864U patent/KR20190000298U/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55621A (zh) * | 2019-07-17 | 2019-10-22 | 大连理工大学 | 一种用于超声加工的组合砂轮及其设计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55183A1 (en) | Machining segment for a machining tool | |
KR101570052B1 (ko) | 핸드 그라인더 | |
KR100433194B1 (ko) | 편마모방지용 세그먼트를 갖는 연마휠 | |
JP5730929B2 (ja) | カップ型回転砥石 | |
KR20190000298U (ko) | 연마용 휠 | |
KR20180018332A (ko) | 유리 기판 및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 |
KR200424377Y1 (ko) |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휠 | |
KR102480912B1 (ko) | SiC 포커스 링의 외경 가공용 연마 지그 조립체 | |
KR200486156Y1 (ko) | 연마 휠 | |
JP2007307685A (ja) | 研削工具 | |
KR100813769B1 (ko) | 표면 연마용 휠 | |
KR200485738Y1 (ko) | 연마 휠 | |
KR200487447Y1 (ko) | 연마 휠 | |
JPH11156729A (ja) | チップ交換可能な砥石車 | |
KR20180095365A (ko) | 연마석이 교체 가능한 연마장치 | |
KR100407396B1 (ko) |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휠 | |
KR200418534Y1 (ko) | 표면 연마용 휠 | |
KR20220129254A (ko) | 그라인더용 커플러 조립체 | |
KR200231078Y1 (ko) | 핸드 그라인더용 알루미늄 연마휠 | |
KR200485739Y1 (ko) | 연마 휠 | |
KR200344159Y1 (ko) | 다이아몬드 그라인딩 컵 휠 | |
KR102216778B1 (ko) | 온라인 롤 연삭용 연삭숫돌의 조립구조 | |
JP2010052045A (ja) | カップホイール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ップホール | |
KR100428695B1 (ko) | 그라인더용 연마휠 | |
JP2000246652A (ja) | 研削砥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7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90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