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19U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119U KR20190000119U KR2020170003448U KR20170003448U KR20190000119U KR 20190000119 U KR20190000119 U KR 20190000119U KR 2020170003448 U KR2020170003448 U KR 2020170003448U KR 20170003448 U KR20170003448 U KR 20170003448U KR 20190000119 U KR20190000119 U KR 2019000011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nger
- diaphragm
- pressure chamber
- passag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81 micr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72—One-way valve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아프램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로가 형성된 메인바디(100);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을 밀폐하며, 내부가 빈 파이프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230)이 권취되는 플런저캡(200); 상기 메인바디(100)의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300); 상기 메인바디(100)에 형성되며 유체의 출입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압력실(120); 상기 압력실(120)과 유입로(112)를 연통하는 입수공(312) 및 상기 압력실(120)과 유출로(114)를 연통하는 출수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홀더(310); 상기 플런저캡(20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출수공(314)을 개폐하는 플런저(210); 상기 플런저(210)가 하강하도록 가압하는 복귀스프링(220); 및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밸브시트(118)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부가스프링(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로를 차단하였을 때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에 다이아프램과 밸브시트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로가 형성된 메인바디(100);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을 밀폐하며, 내부가 빈 파이프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230)이 권취되는 플런저캡(200); 상기 메인바디(100)의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300); 상기 메인바디(100)에 형성되며 유체의 출입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압력실(120); 상기 압력실(120)과 유입로(112)를 연통하는 입수공(312) 및 상기 압력실(120)과 유출로(114)를 연통하는 출수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홀더(310); 상기 플런저캡(20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출수공(314)을 개폐하는 플런저(210); 상기 플런저(210)가 하강하도록 가압하는 복귀스프링(220); 및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밸브시트(118)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부가스프링(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로를 차단하였을 때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에 다이아프램과 밸브시트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아프램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면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며, 유로를 차단하였을 때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에 다이아프램과 밸브시트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는 밸브로써,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실린더와 플런저 사이의 출입구를 변환해 유로(流路)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종래의 다이아프램 타입 솔레노이드 밸브는, 플런저의 하강에 따른 유로 차단 시에는 유입 유체가 다이아프램 상측의 압력실로 유입되어 압력실의 압력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밸브시트 측으로 가압되어 유로가 차단된다. 반대로 플런저의 상승에 따른 유로 개방 시에는 압력실의 유체가 배출되어 압력실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다이아프램이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다이아프램 타입 솔레노이드 밸브는, 압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공의 직경이 미세하여, 유로 차단 시에 유입측 관로의 유입 수압이 낮은 경우에는 유체가 압력실 내로 유입되지 못함으로써 압력실 내의 압력이 낮아져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밸브가 설치되는 곳의 수압에 따라 적절한 다이아프램으로 선택하여 설치해야 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이 부가적으로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압력실 내로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공에 유체 내의 부유물이나 미네랄과 같은 미세 결정들이 축적됨으로써 입수공이 더욱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유체가 압력실 내로 유입되지 못함으로써 압력실 내의 압력이 낮아져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아프램에 가압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로의 차단 시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압력실의 압력이 감소하더라도 유로를 밀폐할 수 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이아프램의 유체 유입공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로의 차단 시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압력실의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유입로 및 유출로와, 상기 유입로와 유출로를 연통하며 상면이 개방된 밸브유로가 연통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을 밀폐하며, 내부가 빈 파이프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되는 플런저캡; 상기 메인바디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메인바디 내의 상기 다이아프램 상측 공간에 형성되며 유체의 출입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압력실; 상기 압력실과 유입로를 연통하는 입수공 및 상기 압력실과 유출로를 연통하는 출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을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홀더; 상기 플런저캡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출수공을 개폐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캡의 내의 상기 플런저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런저가 하강하도록 가압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밸브유로의 밸브시트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부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의 저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하강 시 상기 출수공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플런저의 상승 시에는 상기 플런저캡의 실린더를 실링하는 플런저패킹이 결합 되며,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의 상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하강 시 상기 플런저패킹이 상기 출수공에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패킹을 수용하는 안착안내단이 상부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면,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부가스프링에 의해 밸브의 잠금 시 일정한 힘으로써 다이아프램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압이 약해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압력실의 압력이 최소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다이아프램을 일정한 힘 이상으로 가압할 수 있어 유로 차단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즉, 유입 수압이 상기 부가스프링의 힘보다 약한 경우에는 상기 부가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이 가압되고, 반대로 유입 수압이 상기 부가스프링의 힘보다 쎈 경우에는 압력실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형성된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이 가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면, 유입 수압이 저압인 조건과 고압인 조건 모두에서 부품의 교체 없이 사용 가능해져 설치 작업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으로, 유로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으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으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으로, 도 1에는 유로가 차단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유로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크게 메인바디(100), 플런저캡(200), 다이아프램(300), 다이아프램 홀더(310), 플런저(210), 복귀스프링(220) 및 부가스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부가스프링(320)은 밸브의 잠금 시 유로를 폐쇄하는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가압하도록 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로가 형성된 메인바디(10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유체의 유입로(112) 및 유출로(114)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로(112)와 유출로(114) 사이에는 이들 서로를 연통하는 밸브유로(1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유로(116)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면이 개방된다. 즉,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유로(116)에는 밸브시트(118)가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밸브시트(118)는 원통형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후술할 다이아프램(300)이 밀착됨으로써 유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에는 플런저캡(200)이 구비된다. 상기 플런저캡(200)은 내부가 빈 파이프형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을 밀폐할 수 있도록 확장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플런저캡(200)의 외주면에는 코일(230)이 권취되며, 내부에는 상기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하는 플런저(2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캡(200)의 외주면에 코일(230)이 바로 권취될 수 있으나, 상기 플런저캡(200)의 외주에 별도의 보빈(232)이 결합되고, 상기 보빈(232)의 외주에 코일(230)이 권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바디(100) 내부에는 상기 밸브유로(116)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300)이 구비된다. 상기 다이아프램(300)은 상기 밸브유로(116) 내에, 상기 밸브시트(118)의 상측에 설치되며, 자체 형상에 의한 가요성을 가진다.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상측에는 압력실(120)이 마련된다. 즉, 상기 메인바디(100) 내 밸브유로(116)의 상측 공간은 상기 다이아프램(300)에 의해 하면이 폐쇄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런저캡(200)과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사이에 폐쇄된 공간으로써 상기 압력실(120)이 마련된다.
상기 압력실(120)은 유체의 출입에 의해 압력이 증가 또는 감소하면서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한다. 이때, 상기 압력실(120)의 다이아프램(300)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상기 밸브시트(118)에 접촉 또는 이격 되면서 유로가 차단 또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300)에는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지지하여 동작을 안내하는 다이아프램 홀더(310)가 결합된다.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는 상기 압력실(120) 내부의 유체 출입을 안내하여, 상기 압력실(120) 내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승강 동작을 안내한다.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에는 상기 압력실(120)과 밸브유로(116)를 연통하는 입수공(312) 및 출수공(314)이 관통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수공(312)은 상기 유입로(112) 측과 압력실(120)을 연통하고, 상기 유출로(114)는 상기 유출로(114) 측과 압력실(120)을 연통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아프램(300)에는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입수공(312) 및 출수공(314)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당연하다. 즉, 상기 입수공(312) 및 출수공(314)은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 및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수공(312)은 상기 밸브시트(118)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로의 차단 시 상기 유입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압력실(120) 내로 안내한다.
다음, 상기 출수공(314)은 상기 밸브시트(118)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실(120) 내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출로(114)로 안내한다.
한편,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캡(200) 내부에는 상기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출수공(314)을 개폐하는 플런저(210)가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210)는 실린더형 구조를 갖는 상기 플런저캡(200)의 내부 형상을 따라 승강하는 원기둥형의 가동철심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플런저(210)는 상기 코일(23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승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210)는 저면이 상기 출수공(31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출수공(314)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210)의 상측에는 상기 플런저(210)가 하강하도록 가압하는 복귀스프링(220)이 설치된다. 상기 복귀스프링(220)은 상기 플런저캡(200) 내의 상기 플런저(210)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런저캡(200)의 천장으로부터 상기 플런저(210)를 밀어내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복귀스프링(220)은 상기 코일(23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 상기 플런저(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플런저(210)는 저면이 상기 출수공(314) 상면에 접하여 상기 출수공(314)을 폐쇄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210)가 정확한 동작으로 상기 출수공(314)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210)와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에는 각각 플런저패킹(212)과 안착안내단(316)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플런저패킹(212)은 상기 플런저(210)의 하강 시 상기 출수공(314)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플런저(210)의 상승 시에는 상기 플런저캡(200)의 실린더를 실링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기 플런저패킹(212)은 상기 플런저(210)의 저면에 결합되며, 외경이 상기 플런저캡(200)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안내단(316)은 상기 플런저(210)의 하강 시 상기 플런저패킹(212)이 상기 출수공(314)에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패킹(212)을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안착안내단(316)은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출수공(314)의 둘레를 따라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압력실(120) 내에는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상기 밸브유로(116)의 밸브시트(118)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부가스프링(320)이 구비된다.
상기 부가스프링(320)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가스프링(320)의 설계에 의해 설정된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상기 밸브시트(118)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코일(23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최초의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10)는 그의 자중 및 복귀스프링(220)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캡(200)의 하측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상기 플런저(210)의 저면에 구비된 플런저패킹(212)이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출수공(314)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출수공(314)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입수공(312)을 따라 압력실(120)로 유입되는데, 상기 출수공(314)은 차단이 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압력실(120) 내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압력실(120) 내부 부피가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실(120)의 내부 부피가 확장됨에 따라 가요성의 다이아프램(300)이 하강하여 밸브시트(118)에 밀착됨으로써 유로가 차단된다. 이때에는 통상 상기 유입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저면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보다 상기 압력실(12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더 약한 상태이다.
그런데 상기 유입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약해 상기 입수공(312)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즉, 유체가 미세한 상기 입수공(312)을 통과할 수 있는 압력에 못 미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다이아프램(300)의 저면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300)와 밸브시트(118) 간에 미세한 유격이 발생하여, 밸브의 잠금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압력실(120) 내부에 부가스프링(320)이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다이아프램(300)과 밸브시트(118)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가스프링(320)은 밸브의 잠금 상태 시에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상기 밸브시트(118)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최소한의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다음으로, 도 1의 상태에서 코일(230)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코일(230)을 따라 흐르는 전류로 인해 자기장이 생성되며, 이러한 전류와 자기장의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210)는 상기 플런저캡(200) 내에서 상승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런저(210)의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복귀스프링(220)은 압축됨과 더불어 상기 플런저(210) 저면에 결합된 플런저패킹(212)은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출수공(314)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출수공(314)을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출수공(314)이 개방되면 압력실(120) 내의 유체가 상기 출수공(314)을 따라 유출로(114) 측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압력실(120) 내부 부피가 축소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실(120)의 내부 부피가 축소됨에 따라 가요성의 다이아프램(300)이 상승하여 밸브시트(118)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유로가 개방된다.
이에 상기 유입로(11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개방된 밸브유로(116)를 따라 유출로(114)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유체의 외부 공급이 이루어진다.
결국,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다이아프램(300)을 가압하는 압력실(120)의 압력이 최소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부가스프링(320)에 의해 다이아프램(300)을 일정한 힘 이상으로 가압할 수 있어 유로 차단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메인바디
112 : 유입로
114 : 유출로 116 : 밸브유로
118 : 밸브시트 120 : 압력실
200 : 플런저캡 210 : 플런저
212 : 플런저패킹 220 : 복귀스프링
230 : 코일 232 : 보빈
300 : 다이아프램 310 : 다이아프램 홀더
312 : 입수공 314 : 출수공
316 : 안착안내단 320 : 부가스프링
114 : 유출로 116 : 밸브유로
118 : 밸브시트 120 : 압력실
200 : 플런저캡 210 : 플런저
212 : 플런저패킹 220 : 복귀스프링
230 : 코일 232 : 보빈
300 : 다이아프램 310 : 다이아프램 홀더
312 : 입수공 314 : 출수공
316 : 안착안내단 320 : 부가스프링
Claims (3)
- 유체의 유입로(112) 및 유출로(114)와, 상기 유입로(112)와 유출로(114)를 연통하며 상면이 개방된 밸브유로(116)가 연통된 메인바디(100);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을 밀폐하며, 내부가 빈 파이프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230)이 권취되는 플런저캡(200);
상기 메인바디(1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유로(116)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300);
상기 메인바디(100) 내의 상기 다이아프램(300) 상측 공간에 형성되며 유체의 출입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압력실(120);
상기 압력실(120)과 유입로(112)를 연통하는 입수공(312) 및 상기 압력실(120)과 유출로(114)를 연통하는 출수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00)을 지지하는 다이아프램 홀더(310);
상기 플런저캡(20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출수공(314)을 개폐하는 플런저(210);
상기 플런저캡(200)의 내의 상기 플런저(210)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런저(210)가 하강하도록 가압하는 복귀스프링(220); 및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상기 밸브유로(116)의 밸브시트(118)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부가스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10)의 저면에는 상기 플런저(210)의 하강 시 상기 출수공(314)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플런저(210)의 상승 시에는 상기 플런저캡(200)의 실린더를 실링하는 플런저패킹(212)이 결합 되며,
상기 다이아프램 홀더(310)의 상면에는 상기 플런저(210)의 하강 시 상기 플런저패킹(212)이 상기 출수공(314)에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패킹(212)을 수용하는 안착안내단(316)이 상부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220)은,
상기 플런저(210)의 하강 상태에서 상기 압력실(120)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이 약해지는 경우, 상기 다이아프램(300)이 상기 밸브시트(118)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448U KR20190000119U (ko) | 2017-07-04 | 2017-07-04 | 솔레노이드 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448U KR20190000119U (ko) | 2017-07-04 | 2017-07-04 | 솔레노이드 밸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119U true KR20190000119U (ko) | 2019-01-15 |
Family
ID=6501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448U Ceased KR20190000119U (ko) | 2017-07-04 | 2017-07-04 | 솔레노이드 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0119U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59340A (zh) * | 2019-12-29 | 2020-04-24 | 上海肇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低压脉冲电磁阀 |
KR102222709B1 (ko) | 2020-01-09 | 2021-03-04 | 우성알앤디주식회사 | 부속물 연결구조가 구비된 전자석식 급수 밸브 |
WO2021057409A1 (zh) * | 2019-09-23 | 2021-04-01 | 江门市甜的电器有限公司 | 一种可提升电磁吸力的进水电磁阀及实现方法 |
KR20210103635A (ko) | 2020-02-13 | 2021-08-24 | 주식회사 유니크 | 물 감지기를 포함한 물 포집 장치 |
KR20210103634A (ko) | 2020-02-13 | 2021-08-24 | 주식회사 유니크 | 물 감지기와 이를 포함한 물 포집 장치 |
US12007038B2 (en) | 2019-09-23 | 2024-06-11 | Jiangmen Tiandi Electrical Appliance Co., Ltd | Water inlet solenoid valve capable of improving electromagnetic attraction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f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7917B1 (ko) | 1996-11-15 | 2000-01-15 | 전주범 | 디지탈 데이터 입력용 글러브에 있어서 디지탈 센서 구조 |
KR100461496B1 (ko) | 2002-12-23 | 2004-12-1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김치저장고의 냉각구조 |
KR101466904B1 (ko) | 2012-02-06 | 2014-12-03 | 롤스톤 주식회사 | 난방 온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
-
2017
- 2017-07-04 KR KR2020170003448U patent/KR20190000119U/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7917B1 (ko) | 1996-11-15 | 2000-01-15 | 전주범 | 디지탈 데이터 입력용 글러브에 있어서 디지탈 센서 구조 |
KR100461496B1 (ko) | 2002-12-23 | 2004-12-1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김치저장고의 냉각구조 |
KR101466904B1 (ko) | 2012-02-06 | 2014-12-03 | 롤스톤 주식회사 | 난방 온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57409A1 (zh) * | 2019-09-23 | 2021-04-01 | 江门市甜的电器有限公司 | 一种可提升电磁吸力的进水电磁阀及实现方法 |
KR20220075355A (ko) * | 2019-09-23 | 2022-06-08 | 장먼 티안디 일렉트리컬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 전자기 흡인을 개선할 수 있는 물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위한 구현 방법 |
KR20230142645A (ko) * | 2019-09-23 | 2023-10-11 | 장먼 티안디 일렉트리컬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 전자기 흡인을 개선할 수 있는 물 유입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위한 구현 방법 |
US11873917B2 (en) | 2019-09-23 | 2024-01-16 | Jiangmen Tiandi Electrical Appliance Co., Ltd | Water inlet solenoid valve capable of improving electromagnetic attraction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for |
US12007038B2 (en) | 2019-09-23 | 2024-06-11 | Jiangmen Tiandi Electrical Appliance Co., Ltd | Water inlet solenoid valve capable of improving electromagnetic attraction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for |
CN111059340A (zh) * | 2019-12-29 | 2020-04-24 | 上海肇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低压脉冲电磁阀 |
CN111059340B (zh) * | 2019-12-29 | 2024-05-24 | 上海肇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低压脉冲电磁阀 |
KR102222709B1 (ko) | 2020-01-09 | 2021-03-04 | 우성알앤디주식회사 | 부속물 연결구조가 구비된 전자석식 급수 밸브 |
KR20210103635A (ko) | 2020-02-13 | 2021-08-24 | 주식회사 유니크 | 물 감지기를 포함한 물 포집 장치 |
KR20210103634A (ko) | 2020-02-13 | 2021-08-24 | 주식회사 유니크 | 물 감지기와 이를 포함한 물 포집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00119U (ko) | 솔레노이드 밸브 | |
US10641397B2 (en) | Valve seat | |
US5971356A (en) | Electromagnetically actuable valve | |
EP1085244A2 (en) | Valve for dust collector | |
MX2012005793A (es) | Dispositivo de valvula electromagnetica. | |
JP2008309255A (ja) | 逃がし弁 | |
CN102713385A (zh) | 电磁式开关阀 | |
KR101517067B1 (ko) |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 |
KR20180127699A (ko) | 체크밸브 | |
US4714089A (en) |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control valve | |
CN116324238A (zh) | 具有阀装置的用于储存气态介质的罐装置 | |
KR101124554B1 (ko) | 안전 밸브장치 | |
JP2013174158A (ja) | 電磁弁 | |
JP5102384B2 (ja) | ダイヤフラム式圧力調整器 | |
KR20080054304A (ko) | 개폐장치 및 이를 사용한 브레이크장치 | |
US10711910B2 (en) | Solenoid valve with integral pressure relief arrangement | |
JP6484810B2 (ja) | 給水電磁弁 | |
KR102357776B1 (ko) | 밸브 | |
KR20170079250A (ko) | 리프트 제어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 | |
JP3757793B2 (ja) | 高圧流体用開閉弁 | |
KR20220129734A (ko) |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탱크용 밸브 | |
KR102558570B1 (ko) | 연료차단밸브 | |
KR102016508B1 (ko) | 출수 시간 조절이 가능한 절수형 자폐 밸브 장치 | |
JP7557669B2 (ja) | 給水電磁弁 | |
KR100193683B1 (ko) | 전자 펌프의 내부압력 배제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70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120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