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805A -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7805A KR20180137805A KR1020170077504A KR20170077504A KR20180137805A KR 20180137805 A KR20180137805 A KR 20180137805A KR 1020170077504 A KR1020170077504 A KR 1020170077504A KR 20170077504 A KR20170077504 A KR 20170077504A KR 20180137805 A KR20180137805 A KR 201801378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or
- heat
- unit
- power
- power gene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G21C15/185—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using energy stored in reactor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02—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passages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Coolant flow control devices
- G21C15/12—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passages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Coolant flow control devices from pressure vessel; from containment vessel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4—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 G21C15/243—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for liquids
- G21C15/25—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for liquids using jet pump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16—Core catcher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4—Means for suppressing fires ; Earthquake protection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7/00—Arrangements for direct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fusion or fission reactions
- G21D7/04—Arrangements for direct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fusion or fission reaction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or thermoion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 G21C2015/185—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4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with thermoelectric element for direct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fission heat or with another arrangement for direct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e.g. a thermionic device
-
- G21Y2002/103—
-
- G21Y2002/104—
-
- G21Y2004/20—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은 정상운전 시뿐만 아니라 사고 시에도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원자로 냉각을 수행하고, 비상전력을 생산하여 계통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은 소규모 설비로 안전등급 또는 내진설계의 적용이 용이하고, 안전등급 또는 내진설계의 적용으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정상운전 시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원전 설계기준사고 시 강제순환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원전 설계기준사고 시 자연순환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원전 중대사고 시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원전 정상운전 시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원전 설계기준사고 시 강제순환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원전 설계기준사고 시 자연순환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원전 중대사고 시 운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a 내지 도 5c의 열교환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도 6a의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열교환부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a의 라인 B-B'를 따라 절개한 열교환부의 중부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a의 라인 C-C'를 따라 절개한 열교환부의 하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열전소자의 상세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11: 주급수관 12: 격리밸브
13: 격리밸브 14: 주증기관
15: 대형터빈 20: 비상냉각수저장부
21: 열교환기 22, 23: 배관
24: 밸브 25: 증기방출부
100, 200, 300a, 300b, 300c, 300d, 300e, 400, 500a, 500b, 500c: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110, 210, 310, 410, 510: 원자로용기
111, 211, 311, 411, 511: 원자로냉각재계통
112, 212, 312, 412, 512: 원자로냉각재펌프
113, 213, 313, 413, 513: 증기발생기
114, 214, 314, 414, 514: 노심
114', 214': 노심용융물
115, 215, 315, 415, 515: 가압기
116, 216, 316, 416: 단열재
120, 220, 320a, 320b, 320c, 320d, 320e, 420: 열교환부
130, 230, 330, 430, 530: 전력 생산부
140, 240, 340, 440, 540: 발전부
150, 250, 350, 550: 응축수 저장부
160, 260, 360, 460, 560: 전력계통
170, 270, 370, 470, 570, 570': 격납부내 핵연료재장전수저장부(IRWST)
280, 380: 증발부
390: 기수분리기
4100, 5100: 압력제어부
Claims (30)
- 원자로용기;
상기 원자로용기 내부의 노심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유체를 통하여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원자로의 열을 전달받고 온도가 상승된 상기 유체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형성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생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심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전력 생산부를 통과하여 순환시키도록 형성되고,
원전의 정상운전 시 및 사고 시에도 가동되어 전력을 생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전의 정상운전 시에 생산되는 상기 전력을 내외부전력계통 및 비상축전지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축전지에 충전된 상기 전기에너지는 원전 사고 시 비상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전의 사고 시에 생산되는 상기 전력은 상기 원전의 비상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은 상기 원전의 사고 시에 원전 안전계통의 작동 또는 상기 원전 안전계통의 작동을 위한 밸브 개폐 또는 상기 원전 안전계통의 모니터링 또는 상기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내진범주 I급 내지 III급의 내진설계가 적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안전등급 1 내지 3의 안전등급이 적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제1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방출부는 상기 전력 생산부에 과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력 생산부를 우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원자로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심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은 상기 원자로용기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상기 원자로용기의 외벽을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용기의 외벽을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는 원통형, 반구형 및 이중 용기형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용기의 외벽을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로 핵연료재장전수를 공급시키도록 격납부내 핵연료재장전수저장부(IRWST)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용기의 외벽을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에 제2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방출부는 상기 격납부내 핵연료재장전수저장부(IRWST)에서 공급되는 상기 핵연료재장전수를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용기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상기 원자로용기의 외벽을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에 코팅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재의 표면은 화학적 처리되어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용기에서 방출되는 열을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열전달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의 표면은 화학적 처리되어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원자로용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노심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은 상기 원자로용기 내부의 원자로냉각재계통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상기 원자로용기의 내부를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용기의 내부를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로 핵연료재장전수가 공급되도록 격납부내 핵연료재장전수저장부(IRWST)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용기의 내부를 냉각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부에 제2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방출부는 상기 핵연료재장전수저장부(IRWST)에서 공급되는 상기 핵연료재장전수를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는 증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증발부는 상기 열교환부의 내부 유체와 상기 전력 생산부의 내부 유체와 서로 열교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증발부를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제1순환부; 및
상기 증발부와 전력 생산부를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제2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부 또는 제2순환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상의 유체에 의해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코어 캐처(core catcher)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어 캐처는 상기 원자로용기의 내부 노심 용융 시 노심용융물을 받아 냉각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생산부의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열을 전달 받도록 형성되는 고온부;
상기 고온부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발산하도록 형성되는 저온부; 및
상기 고온부와 상기 저온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형성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부 또는 상기 저온부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온부 또는 상기 저온부의 표면에 코팅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재의 표면은 화학적 처리되어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고온부 또는 상기 저온부의 열을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열전달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의 표면은 화학적 처리되어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생산부에서 열교환된 상기 유체를 응축시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상기 전력 생산부의 하부에 응축수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응축수를 중력 또는 펌프의 동력으로 상기 열교환부에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원전에 있어서,
원자로용기;
상기 원자로용기 내부의 노심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유체를 통하여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원자로의 열을 전달받고 온도가 상승된 상기 유체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형성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생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심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전력 생산부를 통과하여 순환시키도록 형성되고,
원전의 정상운전 시 및 사고 시에도 가동되어 전력을 생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504A KR102037933B1 (ko) | 2017-06-19 | 2017-06-19 |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US16/623,066 US20200126680A1 (en) | 2017-06-19 | 2018-06-18 | Reactor cooling and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
PCT/KR2018/006827 WO2018236098A1 (en) | 2017-06-19 | 2018-06-18 | REACTOR COOLING SYSTEM AND ELECTRIC POWER GEN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504A KR102037933B1 (ko) | 2017-06-19 | 2017-06-19 |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805A true KR20180137805A (ko) | 2018-12-28 |
KR102037933B1 KR102037933B1 (ko) | 2019-10-29 |
Family
ID=6473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7504A Active KR102037933B1 (ko) | 2017-06-19 | 2017-06-19 |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126680A1 (ko) |
KR (1) | KR102037933B1 (ko) |
WO (1) | WO2018236098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2826A (ko) * | 2021-07-16 | 2023-01-26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원자력 발전소 전열관 세정시스템 및 방법 |
KR20230030350A (ko) * | 2021-08-25 | 2023-03-06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원자로건물내 재장전수저장탱크를 구비한 원전의 개방형 원자로냉각재 수집 및 냉각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KR20230105948A (ko) * | 2022-01-05 | 2023-07-12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시 노심용융물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86100B2 (ja) * | 2020-02-28 | 2023-11-2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原子炉 |
KR102348091B1 (ko) | 2020-04-01 | 2022-01-10 | 한국원자력연구원 | 증기 발생기 사고 대처 시스템 |
CN111710446B (zh) * | 2020-06-23 | 2022-04-15 |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 堆芯余热排出的系统和堆芯余热排出的热电换热器 |
CN111951985B (zh) * | 2020-07-15 | 2022-10-18 | 四川大学 | 一种模块化空间核反应堆发电单元 |
GB2588840A (en) * | 2020-07-16 | 2021-05-12 | Rolls Royce Plc | Nuclear power plant |
CN112366011B (zh) * | 2020-10-27 | 2022-03-01 |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 一种热管反应堆核功率的控制方法及系统 |
CN112611244B (zh) * | 2020-11-26 | 2022-10-11 |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 非能动蓄冷型换热装置 |
KR102584408B1 (ko) * | 2021-04-29 | 2023-10-04 | 한국원자력연구원 | 원자로 피동냉각 설비 |
CN116230261B (zh) * | 2023-02-14 | 2024-04-26 | 上海交通大学 | 一种适用于微型海洋堆电源系统 |
KR20250096460A (ko) * | 2023-12-20 | 2025-06-27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중대사고시 smr 노심용융물 대처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0080B1 (ko) * | 2014-09-22 | 2015-11-19 | 한국원자력연구원 | 원전 |
JP2016156729A (ja) * | 2015-02-25 | 2016-09-01 | 株式会社 シー・アール・ワイ | 原子炉 |
KR101698343B1 (ko) * | 2016-05-16 | 2017-01-20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노외 노심 용융물의 잔열을 이용한 모니터링 구동설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3481B1 (ko) * | 2011-09-08 | 2013-09-03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원자로 냉각용 살수 시스템 |
KR101223273B1 (ko) * | 2011-10-28 | 2013-01-1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자로 냉각 관리 시스템 |
KR101551744B1 (ko) * | 2014-08-11 | 2015-09-11 | 한국원자력연구원 | 원자로 및 그 동작 방법 |
-
2017
- 2017-06-19 KR KR1020170077504A patent/KR102037933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06-18 WO PCT/KR2018/006827 patent/WO201823609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6-18 US US16/623,066 patent/US20200126680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0080B1 (ko) * | 2014-09-22 | 2015-11-19 | 한국원자력연구원 | 원전 |
JP2016156729A (ja) * | 2015-02-25 | 2016-09-01 | 株式会社 シー・アール・ワイ | 原子炉 |
KR101698343B1 (ko) * | 2016-05-16 | 2017-01-20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노외 노심 용융물의 잔열을 이용한 모니터링 구동설비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2826A (ko) * | 2021-07-16 | 2023-01-26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원자력 발전소 전열관 세정시스템 및 방법 |
KR20230030350A (ko) * | 2021-08-25 | 2023-03-06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원자로건물내 재장전수저장탱크를 구비한 원전의 개방형 원자로냉각재 수집 및 냉각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KR20230105948A (ko) * | 2022-01-05 | 2023-07-12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시 노심용융물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26680A1 (en) | 2020-04-23 |
WO2018236098A1 (en) | 2018-12-27 |
KR102037933B1 (ko) | 2019-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7933B1 (ko) |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
KR101988265B1 (ko) | 원자로용기 내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
KR101973996B1 (ko) | 원자로용기 외벽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
US10665355B2 (en) | Nuclear power plant | |
KR101977814B1 (ko) | 원자로 냉각 및 발전 시스템 | |
CA2806041C (en) | Nuclear power plant | |
US10541058B2 (en) | Passive safety system and nuclear power plant comprising same | |
JP6305936B2 (ja) | 水中発電モジュール | |
US10255999B2 (en) | System for removing the residual power of a pressurised water nuclear reactor | |
US20150016581A1 (en) | System for removing the residual power of a pressurised water nuclear reactor | |
KR101897985B1 (ko) | 비상전력 생산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원전 | |
JP7705923B2 (ja) | ヒートパイプ及び光電池を含む熱電力変換システム | |
KR20180047849A (ko) | 중간열침원 냉각설비를 구비하는 원전 | |
JP2018513985A (ja) | 可搬型亜臨界モジュールによる発電及び関連方法 | |
KR101906185B1 (ko) | 피동안전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 |
JP6305935B2 (ja) | 潜水エネルギー生成モジュール | |
KR101278906B1 (ko) | 응축수 혼합 저장탱크를 갖는 열충격 방지장치 | |
JP2015505373A (ja) | 発電モジュール | |
JP6307443B2 (ja) | 潜水発電モジュール | |
CN116759118A (zh) | 一种非能动堆芯及安全壳综合冷却系统及冷却方法 | |
CN112420226B (zh) | 一种基于环形气冷器的非能动余热排出系统 | |
JP2015510582A (ja) | 潜水または水中発電モジュール | |
KR101810474B1 (ko) | 피동안전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 |
US20230230711A1 (en) | Light-water nuclear reactor (lwr), in particular a pressurised water reactor (pwr) or boiling water reactor (bwr), incorporating an integral, autonomous, passive decay heat removal system | |
KR102550139B1 (ko) |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과 연계된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8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