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35788A -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788A
KR20180135788A KR1020177024028A KR20177024028A KR20180135788A KR 20180135788 A KR20180135788 A KR 20180135788A KR 1020177024028 A KR1020177024028 A KR 1020177024028A KR 20177024028 A KR20177024028 A KR 20177024028A KR 20180135788 A KR20180135788 A KR 2018013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ttachment
working
flow rate
work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132B1 (ko
Inventor
마사나오 후타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13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1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2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 E02F9/223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는 작업기 요소의 교환을 식별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31)와, 작업기 요소의 작동유의 설정 유량을 취득하는 설정 유량 취득부(32)와, 작업기 요소의 작동유의 설정 압력을 취득하는 설정 압력 취득부(33)와, 취득된 설정 유량 및 설정 압력과, 상기 작업기 요소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35)와,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31), 설정 유량 취득부(32), 설정 압력 취득부(33), 및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35)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시간을 포함하는 실가동 정보를 연산하는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본 발명은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 굴착기 등의 작업 기계에 있어서는 통상 사용되는 버킷 등의 작업기를 제거하고 브레이커, 그래버, 커터 등의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콘크리트 등의 파쇄, 목재 등의 운반, 파쇄 등의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어태치먼트의 장착 가능한 작업 기계에 있어서,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종류, 어태치먼트가 사용되는 위치 등의 정보를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작업 기계에 장착된 어태치먼트의 정보 등을 제조업체의 서비스맨이 외부로부터 파악하여, 오퍼레이터의 요망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3-034954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어떤 어태치먼트를 어떤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어태치먼트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없다.
특히, 어태치먼트는 종류가 많고, 어태치먼트를 구동하는 작동유의 유량, 압력 등에 의해서는 작업 기계 본체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태치먼트를 장착 가능한 작업 기계에 있어서, 어태치먼트의 구동에 의한 작업 기계에의 부하 및 사용 빈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는,
주행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는 복수의 작업기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기 요소 중 적어도 1개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를 행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로서,
상기 작업기 요소의 교환을 식별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의 작동유의 설정 유량을 취득하는 설정 유량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의 작동유의 설정 압력을 취득하는 설정 압력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설정 유량 및 상기 설정 압력과, 상기 작업기 요소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 상기 설정 유량 취득부, 상기 설정 압력 취득부, 및 상기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시간을 포함하는 실가동 정보를 연산하는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 설정 유량 취득부, 설정 압력 취득부, 및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기 요소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기 요소의 사용 빈도나 구동에 의한 작업 기계에의 부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식 굴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굴삭기의 유압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멀티 모니터 상에 표시된 화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식 굴착기의 유압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1] 전체 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식 굴착기(1)가 나타내어져 있다. 유압식 굴착기(1)는 하부 주행체(2), 상부 선회체(3), 및 작업기(5)를 구비한다. 또한, 각 도에 있어서는 유압식 굴착기(1)의 운전 자세에 있는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차체 전후 방향을 간단히 전후 방향이라고 하고, 차체 폭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고, 차체 상하 방향을 간단히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작업 기계 본체로서의 하부 주행체(2)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트랙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의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주행 장치(2A)를 구비한다. 주행 장치(2A)는 트랙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륜 및 유동 고리에 권취되는 크롤러(2B)를 구비하고,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륜을 구동시키면 크롤러(2B)의 연장 방향으로 전후진한다.
작업 기계 본체로서의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의 트랙 프레임 상에 스윙 서클을 통해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선회체(3)의 주행 방향 전방부 좌측에는 캡(4)이 설치되고, 캡(4)에 인접한 전방부 중앙에는 작업기(5)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캡(4) 및 작업기(5)의 반대측의 후방부에는 카운터 웨이트(3A)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3A)는 유압식 굴착기(1)의 굴착 작업시의 중량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캡(4)은 내부에 오퍼레이터가 승차하여 유압식 굴착기(1)를 조종한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캡(4) 내에는 오퍼레이터 시트가 설치되고, 오퍼레이터 시트의 양편에는 좌우의 조작 레버(12R, 12L))(도 2 참조)가 설치되고, 캡(4)의 바닥면에는 주행 페달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5)는 작업기 요소인 붐(6), 암(7), 어태치먼트 또는 버킷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교환되는 어태치먼트의 일례로서 브레이커(8)를 사용한 실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각 작업기 요소를 동작시키는 붐 실린더(6A), 암 실린더(7A), 및 버킷 실린더(8A)를 구비한다. 작업기 요소는 임의로 가동 요소를 늘릴 수 있다.
붐(6)은 상부 선회체(3)에 동작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붐 실린더(6A)는 상부 선회체(3) 및 붐(6)에 접속되어, 붐 실린더(6A)의 신장, 축퇴에 의해 붐(6)이 상부 선회체(3)에 대하여 올라가고, 내려가도록 동작 가능하게 한다.
암(7)은 기단이 붐(6)의 선단에 동작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암 실린더(7A)는 붐(6)의 중앙에 접속되어, 암 실린더(7A)의 신장, 축퇴에 의해 암(7)이 붐(6)에 대하여 올라가고, 내려가도록 동작 가능하게 한다.
통상은 암(7)의 선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버킷이 동작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암(7)의 기단에는 버킷 실린더(8A)가 접속된다. 버킷 실린더(8A)의 신장, 축퇴에 의해 버킷은 암(7)에 대하여 굴착, 덤프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한다. 암(7)의 선단에는 버킷 이외의 어태치먼트가 교환 가능하게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커(8)가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커(8)는 통상 장착되는 버킷으로 바꿔서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이고, 암(7) 및 브레이커(8)에 접속되는 버킷 실린더(8A)가 신축함으로써 브레이커(8)를 상하로 동작시킬 수 있다.
브레이커(8)는 버킷 실린더(8A)에 접속되는 한 쌍의 브래킷(8B)과,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한 쌍의 브래킷(8B) 사이에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실린더(8C)(도 2 참조)와, 어태치먼트 실린더(8C)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치즐(8D)을 구비한다. 브레이커(8)의 어태치먼트 실린더(8C)에는 붐(6) 및 암(7)에 따라서 설치되는 배관(도시 생략)을 통해서 작동유가 공급된다.
어태치먼트 실린더(8C)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어태치먼트 실린더(8C)의 피스톤이 진퇴하고, 이에 따라, 치즐(8D)이 브래킷(8B)에 대하여 돌출과 후퇴를 주기적으로 교환하고, 치즐(8D)로 콘크리트 등을 타돌(打突)함으로써 콘크리트 등을 파쇄한다.
브레이커(8)는 버킷 실린더(8A)에 의해 브레이커(8) 자체가 구동하여, 어태치먼트 밸브(13)(도 2 참조)를 사용함으로써, 치즐(8D)에 의한 타돌 방향의 구동축이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커(8)를 사용하고 있지만, 브레이커(8) 이외에도 어태치먼트로서는 물체를 파지하는 그래버나 버킷으로부터 구동축을 1개 늘리는 틸트 버킷, 물체를 절단하는 커터 등도 사용함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2] 유압 시스템(10)의 구성
도 2에는 유압식 굴착기(1)의 유압 시스템(10)이 나타내어져 있다. 유압 시스템(10)에 있어서의 유압 회로는 유압 실린더(6A, 7A, 8A), 어태치먼트 실린더(8C), 유압 펌프(11), 메인 밸브(12), 파일럿 유압 펌프(12A), 파일럿 라인(12B), 압력 센서(12C), 어태치먼트 밸브(13), 펌프 유량 제어부(14), 및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를 구비한다. 또한, 유압 시스템(10)은 엔진(11A), 조작 레버(12R, 12L), 어태치먼트 조작 레버(13A), 펌프 컨트롤러(16), 엔진 컨트롤러(17)(도 3 참조) 및 멀티 모니터(18)를 구비한다.
엔진(11A)은 작업 기계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 디젤엔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원은 축 전체로 구동되는 전동 모터이어도 좋다. 또한, 구동원은 전동 모터 및 디젤엔진을 쌍방 사용해도 좋다. 엔진(11A)에 설치되는 센서(11B)는 엔진(11A)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엔진 컨트롤러(17)에 검출값을 출력한다.
유압 펌프(11)는 가변용량형의 유압 펌프이고, 예를 들면 사판식 유압 펌프가 채용된다. 유압 펌프(11)는 작동유의 공급원으로서 메인 밸브(12) 및 어태치먼트 밸브(13)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유압 펌프(11)는 엔진(11A)에 의해 구동되고, 펌프 컨트롤러(16)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메인 밸브(12)는 작동유의 공급 배출을 행하는 방향 스위칭 밸브이고, 작동유의 흐름을 스위칭함으로써 작업기(5)를 구성하는 붐 실린더(6A), 암 실린더(7A), 및 버킷 실린더(8A)를 신축시킨다. 또한, 도 2에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메인 밸브(12)는 붐 실린더(6A), 암 실린더(7A), 및 버킷 실린더(8A)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밸브(12)는 펌프(12A)를 포함하는 파일럿 라인(12B)의 유압에 의해 구동한다. 즉, 캡(4) 내에 설치되는 우측 조작 레버(12R), 좌측 조작 레버(12L)를 조작함으로써, 메인 밸브(12)의 스풀에 구동 지령이 출력되어 포지션을 변경한다.
파일럿 라인(12B) 중에는 압력 센서(12C)가 설치되고, 압력 센서(12C)는 검출한 압력 검출값을 펌프 컨트롤러(16)에 출력한다.
우측 조작 레버(12R)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하면 붐(6)의 하강, 상승 조작이 가능해진다. 우측 조작 레버(12R)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면 브레이커(8)의 선단을 전방측을 향하는 조작, 및 후방측을 향하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좌측 조작 레버(12L)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하면 암(7)의 덤프 조작, 굴착 조작이 가능해진다. 좌측 조작 레버(12L)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부 선회체(3)를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 레버(12R, 12L)의 조작에 대한 작업기(5)의 동작 패턴은 일례로 임의인 패턴을 줄 수 있다.
전기식의 어태치먼트 조작 레버(13A)는 전기식의 조작 레버로 오퍼레이터의 조작의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펌프 컨트롤러(16)에 출력한다.
어태치먼트 밸브(13)는 브레이커(8)에 작동유를 공급 배출하는 방향 스위칭 밸브이고, 메인 밸브(12)란 별도로 독립하여 작동유의 공급 배출을 행한다.
어태치먼트 밸브(13)는 전기식의 어태치먼트 조작 레버(13A)를 조작함으로써, 펌프 컨트롤러(16)를 통해서 어태치먼트 밸브(13)의 스풀에 구동 지령이 출력되어 포지션을 변경한다.
펌프 유량 제어부(14)는 전자 비례 밸브 또는 실린더에 의한 구동 기구로 구성되고, 개도를 변경하면 유압 펌프(11)의 사판각이 변경되어 유압 펌프(1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변경된다.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는 어태치먼트 밸브(13) 및 브레이커(8)의 어태치먼트 실린더(8C)의 배관 도중으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되어 있다.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는 개도 조정함으로써 브레이커(8)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일부를 배출하고, 브레이커(8)로의 작동유의 압력을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커(8)를 조작하는 유압 회로를 1계통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서는 유압을 2계통 이상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어태치먼트에 구비된 복수의 유압 회로를 형성해도 좋다.
펌프 컨트롤러(16)는 압력 센서(12C)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및 어태치먼트 조작 레버(13A)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메인 밸브(12) 및 어태치먼트 밸브(13)의 방향 스위칭을 행한다. 또한, 펌프 컨트롤러(16)는 펌프 유량 제어부(14) 및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펌프 유량 제어부(14) 및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개도를 제어한다. 펌프 컨트롤러(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캡(4) 내에 설치되는 멀티 모니터(18) 상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작함으로써, 브레이커(8)에의 작동유의 유량의 설정, 압력의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 유압 방식의 조작 레버(12L, 12R)에 기초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레버의 경도각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펌프 컨트롤러(16)에 출력하는 전기 레버 방식이어도 좋다.
[3] 유압식 굴착기(1)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의 유압식 굴착기(1)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유압식 굴착기(1)의 관리 시스템은 펌프 컨트롤러(16), 엔진 컨트롤러(17), 멀티 모니터(18), 및 통신 단말 장치(19)를 구비하고, 네트워크(N1)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펌프 컨트롤러(16), 엔진 컨트롤러(17), 및 멀티 모니터(18)는 네트워크(N2)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N1) 및 네트워크(N2)는 Controller Area Network(CAN)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 컨트롤러(16)는 조작 레버(12R, 12L)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밸브(12), 어태치먼트 밸브(13), 펌프 유량 제어부(14), 및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에 펌프(11)의 사판에의 구동 지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부분이고, Central Processing Unit(CPU)로 구성되는 처리부(16A) 및 하드디스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부(16B)를 구비한다.
펌프 컨트롤러(16)의 처리부(16A)는 유압 시스템(10)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16B)에 기억한다.
또한, 처리부(16A)는 작업기(5)의 조작 레버 상태, 주행 조작 레버 상태, 및 어태치먼트 조작 레버 상태를 멀티 모니터(18)에 출력한다.
엔진 컨트롤러(17)는 유압식 굴착기(1)의 엔진(11A)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부분이고, CPU로 구성되는 처리부(17A) 및 하드디스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부(17B)를 구비한다. 또한, 엔진 컨트롤러(17)는 엔진(11A)에의 분사 지령을 출력하여 멀티 모니터(18) 경유로 작업 모드, 연료 분사량, 엔진 회전수, 엔진 냉각 수온, 연료 잔량 등의 정보가 입력된다.
엔진 컨트롤러(17)의 처리부(17A)는 취득한 연료 분사량으로부터 순간 연비를 산출하고, 엔진(11A)에 설치된 온도 센서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들을 기억부(17B)에 기억한다.
또한, 처리부(17A)는 엔진(11A)의 순시 연비, 연료 잔량을 멀티 모니터(18)에 출력한다.
멀티 모니터(18)는 펌프 컨트롤러(16)나 엔진 컨트롤러(17)로 취득된 각종 센서의 정보를 표시 출력하거나 오퍼레이터가 조작함으로써, 펌프 컨트롤러(16) 및 엔진 컨트롤러(17)의 각종 제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멀티 모니터(18)는 화면(18A), 버튼(18B), CPU로 구성되는 처리부(18C), 및 하드디스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부(18D)를 구비한다.
화면(18A)은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유압 시스템(10)의 작동유 온도, 엔진(11A)의 냉각 수온, 연료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버튼(18B)은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스위치이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버튼(18B)이 조작되면 화면(18A)의 표시를 스위칭하거나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멀티 모니터(18)로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채용해도 좋고, 화면상을 조작하여 직접 입력해도 좋다.
도 4에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설정 정보가 나타내어져 있다. 화상(G1)에서 설정되는 설정 정보로서는 파워 모드, 이코노미 모드, 행잉 모드,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 등의 작업 모드의 입력을 행하는 영역(G11)과, 어태치먼트마다의 설정 번호에 대응하는 작업 모드 등록 번호를 규정하는 영역(G12)과, 어태치먼트 명칭의 입력을 행하는 영역(G13)과, 설정 압력 및 설정 유량의 입력을 행하는 영역(G14, G15)이 있다. 복수의 영역(G14, G15)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행하는 유압 회로에 대하여 독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작업 모드 등록 번호, 어태치먼트 명칭은 어태치먼트 식별 정보에 대응한다. 설정 정보에 있어서의 등록이 가능한 정보는 복수개 설치된다. 복수의 등록 정보는 작업 모드 등록 번호를 바꾸는 것으로 식별되고, 어태치먼트의 교환에 따라 교환되도록 사용된다.
영역(G11)으로부터 G15에 입력된 각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부(18C)는 각각 작업 모드, 작업 모드 등록 번호, 어태치먼트 명칭, 설정 압력, 설정 유량을 설정한다.
어태치먼트 가동을 위한 설정 정보는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가 온인 경우에 설정 가능하다.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의 온/오프 상태가 변경되면, 조작 결과는 처리부(18C)에 출력된다. 처리부(18C)는 변경된 설정 정보를 펌프 컨트롤러(16), 엔진 컨트롤러(17), 및 통신 단말 장치(19)에 출력함과 아울러, 조작 결과를 기억부(18D)에 기억한다.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는 서비스맨이 패스워드 등의 입력을 경유하여 액세스하는 서비스 화면에 있어서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에서는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행하기 위해서 압력과 유량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설정을 복수 기억한다.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가 온이 됨으로써 압력, 유량의 설정이 유효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멀티 모니터(18)의 처리부(18C)에는 펌프 컨트롤러(16)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유 온도, 유압, 작동유 유량 등의 검출 데이터가 네트워크(N2)를 통해서 입력된다. 또한, 처리부(18C)에는 엔진 컨트롤러(17)로부터 출력된 냉각수온, 연료 잔량, 순시 연비 등의 검출 데이터가 네트워크(N2)를 통해서 입력된다. 처리부(18C)는 네트워크(N2)로부터 입력된 각종 검출 데이터를 기억부(18D)에 기억한다.
또한, 멀티 모니터(18)의 처리부(18C)는 펌프 컨트롤러(16)로부터 출력된 작업기 조작 레버(12R, 12L)의 상태에 기초하여, 실제로 작업기(5)가 구동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기 가동 상태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기 요소의 조작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2C)의 검출값이 소정의 검출값 이상인 경우를 작업기 가동 상태라고 한다. 또한, 처리부(18C)는 어태치먼트 조작 레버(13A)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실제로 어태치먼트를 구동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는 어태치먼트 가동 상태를 취득한다.
처리부(18C)는 취득된 작업기 가동 상태 및 어태치먼트 가동 상태와 아울러, 엔진(11A)의 순시 연비과 작업 모드 등록 번호를 통신 단말 장치(19)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유압 펌프(11)의 설정 유량 정보(설정 유량값)는 유압 펌프(11)의 사판을 제한함으로써 유압 펌프(11)가 공급 가능해지는 펌프(11)의 최대의 유량을 나타낸다.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설정 압력 정보(설정 압력값)는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동작으로 설정되는 최대의 압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비스맨이 미리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가 온 상태의 설정 정보를 어태치먼트 설정 번호마다 입력한다. 이 설정 정보는 고정값으로 해도 좋다. 또한, 설정 정보는 어태치먼트를 구동하기 위한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해도 좋다.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로서의 통신 단말 장치(19)는 유압식 굴착기(1)의 설정 정보, 각종 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외부 서버로서의 관리 서버(20)에 출력하는 부분이고, 처리부(19A), 기억부(19B), 및 통신부(19C)를 구비한다. 통신 단말 장치(19)가 송신하는 각종 정보는 연비의 적산값(엔진(11A)이 움직인 누적 가동 시간 등)이고, 예를 들면 1일에 1회 행해지는 정시 송신이다. 또한, 차체에 있어서의 이상 상태나 본건 발명에 있어서의 특정 상태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상태 발생시에 즉시 송신을 행한다.
처리부(19A)는 펌프 컨트롤러(16) 및 엔진 컨트롤러(17)로부터 출력된 검출 데이터, 및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되는 작업기 가동 상태, 어태치먼트 가동 상태, 어태치먼트 및 작업기(5)가 가동하고 있을 때의 연비 정보 및 설정 정보를 유압식 굴착기(1)의 설정 정보 및 가동 정보로서 생성하고, 기억부(19B)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보존한다.
정보 출력부로서의 통신부(19C)는 기억부(19B)에 기억된 유압식 굴착기(1)의 설정 정보 및 가동 정보를 위성 통신 또는 휴대폰 통신 등의 통신을 통해서 기지국(21)에 외부 출력한다. 외부 출력의 타이밍은 유압식 굴착기(1)의 기동시 또는 정지시의 것 이외에, 유압식 굴착기(1)의 설정 정보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도 적당히 외부 출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신부(19C)로부터 출력된 유압식 굴착기(1)의 설정 정보 및 가동 정보는 기지국(21)으로 수신되고, 네트워크(22)를 통해서 관리 서버(20)의 통신 장치(23)에 출력된다.
관리 서버(20)는 입출력부(20A), 처리부(20B), 및 기억부(20C)를 구비하고, 유압식 굴착기(1)의 설정 정보 및 가동 정보는 입출력부(20A)에 입력되어 CPU로 구성되는 처리부(20B)에서 처리되고, 하드디스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부(20C)에 기억된다.
관리 서버(20)는 복수의 유압식 굴착기(1)의 설정 정보 및 가동 정보가 수집 가능하게 되어 복수의 유압식 굴착기(1)의 가동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각각의 유압식 굴착기(1)의 가동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2)에는 단말 장치(24)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제조업체의 서비스맨 등이 단말 장치(24)를 조작함으로써 관리 서버(20)에 축적된 유압식 굴착기(1)의 가동 정보를 열람하고, 유압식 굴착기(1)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 5에는 통신 단말 장치(19)의 처리부(19A)의 기능 블록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처리부(19A)는 어태치먼트 식별 정보 취득부(31), 설정 유량 취득부(32), 설정 압력 취득부(33), 작업 모드 취득부(34),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 취득부(35), 작업기 가동 정보 취득부(36), 연비 정보 취득부(37), 어태치먼트 교환 시간 취득부(38), 및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로서의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를 구비한다.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로서의 어태치먼트 식별 정보 취득부(31)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어태치먼트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유압식 굴착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가 브레이커(8), 그래버, 커터 등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한다. 어태치먼트 식별 정보, 설정 유량, 설정 압력은 서비스맨 등이 미리 입력한 정보를 사용하는 등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어태치먼트마다의 설정은 브레이커(8) 등의 파쇄계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래버 등의 물체를 파지하거나, 틸트 버킷의 틸트 동작을 하는 등 이외의 어태치먼트보다 높은 압력이 설정된다.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른 설정값이 있다.
설정 유량 취득부(32)는 멀티 모니터(18)에 있어서의 영역(G15)으로부터 입력되어,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브레이커(8)에 공급할 수 있는 펌프(11)의 최대 유량값인 설정 유량 정보를 취득한다.
설정 압력 취득부(33)는 멀티 모니터(18)에 있어서의 영역(G14)으로부터 입력되어,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설정 압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설정 압력 취득부(33)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어태치먼트의 컨트롤의 상태가 오프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설정 압력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다.
어태치먼트 작업 모드 취득부로서의 작업 모드 취득부(34)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의 온/오프 상태, 어태치먼트에 설정된 작업 모드가 된 어태치먼트 작업 모드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태치먼트 작업 모드는 멀티 모니터(18)에 있어서의 영역(G11)으로부터 입력되어, 어태치먼트를 사용하는 상황에서의 작업 모드로서 파워 모드, 이코노미 모드의 2종류가 설정되어 있다.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로서의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 취득부(35)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 취득부(35)는 브레이커(8)의 가동 정보를 취득한다. 가동 정보로서는 어태치먼트의 선택이 개시된 일시, 어태치먼트의 선택이 종료한 일시, 어태치먼트가 실제로 구동한 어태치먼트 실가동 시간, 및 어태치먼트가 실제로 구동하고 있을 때의 어태치먼트의 실가동 연비 등이 있다.
작업기 가동 정보 취득부(36)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작업기(5)의 작업기 가동 상태를 취득한다. 작업기 가동 정보로서는 작업기 가동 상태에 기초한 어태치먼트 이외의 작업기 요소가 실제로 가동한 작업기(5)의 실가동 시간, 작업기(5)의 실가동 연비 등이 있다. 또한, 작업기 가동 정보는 가동 정보로서 포함된다.
연비 정보 취득부(37)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엔진(11A)의 순시 연비 정보를 취득한다.
어태치먼트 교환 시간 취득부(38)는 어태치먼트가 교환된 일시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태치먼트 교환 시간 취득부(38)는 멀티 모니터(18)에서 어태치먼트의 사용에 대응하는 특정 작업 모드 등록 번호가 선택된 것을 선택 시작 일시, 및 다른 어태치먼트의 사용에 대응하는 다른 작업 모드 등록 번호가 선택된 것을 선택 종료 시간으로서 취득한다.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로서의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는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가 온인 경우에 연산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는 어태치먼트 교환 시간 취득부(38)가 취득한 브레이커(8)의 실가동 시간과, 및 연비 정보 취득부(37)가 취득한 엔진(11A)의 순시 연비 에 기초하여 브레이커(8)가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경우의 작업을 행한 브레이커(8)의 실가동 연비를 연산한다.
또한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는 어태치먼트를 제외하는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및 엔진(11A)의 순시 연비에 기초하여, 작업기(5)가 실제로 가동하고 있는 경우의 작업을 행한 작업기(5)의 실가동 시간 및 실가동 연비를 연산한다.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는 취득한 설정 정보와, 가동 정보인 어태치먼트 실가동 시간 및 실가동 연비, 및 작업기(5)의 실가동 시간 및 실가동 연비를 기억부(19B)에 기억한다.
또한,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입력되는 작업 모드 등록 번호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작업 모드 등록 번호가 변경된 경우, 통신부(19C)에 의한 통신의 타이밍으로서 판단하고, 어태치먼트 교환 시간 취득부(38)로부터 어태치먼트의 선택 개시와 선택 종료의 일시 정보를 가동 정보에 포함시켜 기억부(19B)에 기억된 정보를 통신부(19C)에 출력한다. 통신부(19C)는 설정 정보와 가동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출력한다.
[4] 실시형태의 실시 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실시 방법을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멀티 모니터(18)의 처리부(18C)는 선택 중의 작업 모드 등록 번호를 정기적으로 통신 단말 장치(19)에 출력한다(순서 S1).
오퍼레이터가 멀티 모니터(18)의 버튼(18B)을 조작하여 작업 모드 등록 번호의 설정을 변경하면, 처리부(18C)는 작업 모드 등록 번호 설정 변경의 접수를 행한다(순서 S2).
처리부(18C)는 선택된 작업 모드 등록 번호의 설정에 기초하여 설정 변경의 확정의 처리를 행한다(순서 S3).
통신 단말 장치(19)의 처리부(19A)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작업 모드 등록 번호를 정기적으로 수신한다(순서 S4).
처리부(19A)는 정기적으로 수신된 작업 모드 등록 번호가 전회의 등록 번호와 같은지, 다른지를 판정한다(순서 S5).
전회의 등록 번호와 다르지 않은 경우(S5: No), 처리부(19A)는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 및 작업기 가동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순서 S6).
구체적으로는,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의 갱신은 어태치먼트 실가동 시간, 실가동 연비에 대해서 갱신하고, 작업기 가동 정보의 갱신은 작업기(5)의 실가동 시간, 실가동 연비에 대해서 갱신한다. 또한, 관리 서버(20)에의 갱신된 가동 정보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전회의 등록 번호와 다른 경우(S5: Yes), 처리부(19A)는 변경된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한다(순서 S7).
통신부(19C)는 변경된 작업 모드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갱신 정보를 통신 회선, 기지국(21), 네트워크(22)를 통해서 송신한다(순서 S8). 또한, 이 때 작업기 가동 정보의 누적이 없는 경우, 관리 서버(20)에 작업기 가동 정보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관리 서버(20)의 입출력부(20A)에는 통신 장치(23)를 통해서 통신 단말 장치(19)로부터 출력된 갱신 정보가 입력된다(순서 S9). 처리부(20B)에서 소정의 처리를 행한 후, 기억부(20C)에 기억한다(순서 S10).
[5]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어태치먼트인 브레이커(8)를 사용시에 유압 펌프(11)의 설정 유량,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설정 압력, 어태치먼트 실가동 시간, 관리 서버(20)측에서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 실가동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브레이커(8)의 가동 상태에 따라 유압식 굴착기(1)에 작용하는 부하의 빈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굴착기(1)의 소유자나 서비스맨은 메인터넌스 시기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때 실가동 연비를 동시에 취득하는 것으로, 브레이커(8)를 사용하여 가동했을 경우의 연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의 온/오프 상태, 어태치먼트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브레이커(8) 이외의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교환 빈도와, 어태치먼트의 가동 빈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어태치먼트의 식별 정보와 유압 펌프(11)의 설정 유량과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설정 압력을 파악함으로써, 예를 들면 브레이커 이외의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설정 압력이 크지 않아도 좋은 어태치먼트인 경우에,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설정 압력이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적정한 어태치먼트의 사용이 되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태치먼트를 사용하고 있을 때의 어태치먼트 작업 모드를 파악함으로써, 어태치먼트 사용시의 작업 모드를 대응시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조업체의 서비스맨 등은 단말 장치(24)에 의해, 관리 서버(20) 내에 기억된 어태치먼트의 가동 상태를 파악하여 어태치먼트 사용시의 적절한 설정 유량, 설정 압력, 어태치먼트 작업 모드를 코멘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와 작업기(5)의 작업기 가동 정보를 동시에 취득함으로써, 작업기(5) 및 브레이커(8)를 포함하는 유압식 굴착기(1)의 전체적인 가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기(5)를 사용한 작업 시간에 대한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작업 시간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에 있어서의 어태치먼트 사용이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작업 전체에서 유압식 굴착기(1)에 작용하는 부하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선택 중의 작업 모드의 등록 번호를 정기적으로 통신 단말 장치(19)가 수신하고, 등록 번호가 변경된 것을 조건으로 관리 서버(20)에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갱신 정보를 송신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태치먼트 컨트롤 모드의 온/오프 상태, 어태치먼트 식별 정보, 어태치먼트 설정 번호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이 변경된 경우, 관리 서버(20)에 갱신 정보를 송신하는 점이 상위한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모니터(18)의 처리부(18C)는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시퀀스 키를 부여하고, 기억부(18D)는 시퀀스 키를 기억한다. 설정 정보의 갱신이 행해진 경우, 시퀀스 키는 새롭게 갱신된다.
통신 단말 장치(19)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시퀀스 키를 정기적으로 수신한다. 시퀀스 키가 갱신된 경우, 통신 단말 장치(19)는 기억부(19B)에 기억되는 설정 정보를 멀티 모니터(18)가 새롭게 기억한 설정 정보에 업데이트한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9)는 시퀀스 키가 갱신된 경우, 설정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의 실시 방법을 도 7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멀티 모니터(18)의 처리부(18C)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시퀀스 키를 정기적으로 통신 단말 장치(19)에 출력한다(순서 S11).
여기에서, 시퀀스 키는 어태치먼트 명칭, 설정 유량, 설정 압력 등의 설정값을 변경하면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멀티 모니터(18)의 화면(18A) 상에 화상(G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영역(G12)의 작업 모드 등록 번호를 변경하지 않아도 영역(G13)으로부터 영역(G15) 중 어느 하나의 설정값을 변경하면, 시퀀스 키가 변경된다.
오퍼레이터가 멀티 모니터(18)의 버튼(18B)을 조작하여 영역(G13)으로부터 영역(G15)의 설정값을 변경하면, 처리부(18C)는 설정값의 변경의 접수를 행한다(순서 S12).
처리부(18C)는 설정값의 변경에 따라, 설정 변경의 확정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순서 S13), 시퀀스 키의 갱신을 행한다(순서 S14).
통신 단말 장치(19)의 처리부(19A)는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출력된 시퀀스 키를 정기적으로 수신한다(순서 S15).
처리부(19A)는 정기적으로 수신된 시퀀스 키가 전회의 시퀀스 키와 같은지, 다른지를 판정한다(순서 S16).
전회의 시퀀스 키와 다르지 않은 경우(S16: No), 순서 S15로 돌아간다.
전회의 시퀀스 키와 다른 경우(S16: Yes), 처리부(19A)는 설정을 동기하기 위해서 멀티 모니터(18)로부터 설정값의 요구를 행한다(순서 S17). 멀티 모니터(18)는 통신 단말 장치(19)의 요구에 따라 설정값을 응답 출력한다(순서 S18).
통신부(19C)는 변경된 설정값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통신 회선, 기지국(21), 네트워크(22)를 통해서 관리 서버(20)에 송신한다(순서 S19).
관리 서버(20)의 입출력부(20A)에는 통신 장치(23)를 통해서 통신 단말 장치(19)로부터 출력된 설정 정보가 입력된다(순서 S20). 처리부(20B)에서 소정의 처리를 행한 후, 기억부(20C)에 새로운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순서 S21).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압식 굴착기(1)의 어태치먼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설정 정보를 통신 단말 장치(19), 관리 서버(20)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부하가 큰 상태에서 어태치먼트가 가동하고 있는 등의 설정을 관리 서버(20)측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리 서버(20)에의 정보 송신은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행하면 좋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멀티 모니터(18)의 버튼(18B)을 조작하여 선택된 작업 모드의 등록 번호에 따른 펌프 유량 제어부(14)의 설정 유량,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설정 압력을 취득하여 어태치먼트 가동 정보를 생성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시스템(10)의 유압 회로의 유압 펌프(11)에 사판 센서(11C)를 설치하고, 어태치먼트 밸브(13)로부터 어태치먼트 실린더(8C) 사이의 배관 중에 압력 센서(13B, 13C)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 장치(19)의 처리부(19A)는 어태치먼트가 사용 개시된 선택 개시 일시부터, 어태치먼트가 사용 종료한 선택 종료 일시 사이의 사판 센서(11C)에서 검출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압력 센서(13B, 13C)에서 검출되는 최대 압력을 취득하고 있는 점이 상위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시스템(10)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유압 펌프(11)의 근방에는 사판 센서(1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 밸브(13)로부터 어태치먼트 실린더(8C) 사이의 배관 도중의 바닥측 및 헤드측의 관로에는 압력 센서(13B, 13C)가 설치되고, 각각의 검출값은 펌프 컨트롤러(16)에 출력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컨트롤러(16)는 최대 압력 판정부(161)와 사판 각도 상태 판정부(162)를 구비한다.
최대 압력 판정부(161)에는 압력 센서(13B, 13C)에서 검출된 어태치먼트 실린더(8C)의 압력값이 입력된다.
사판 각도 상태 판정부(162)에는 사판 센서(11C)에서 검출된 유압 펌프(11)의 사판 각도의 값이 입력된다.
최대 압력 판정부(161)는 어태치먼트의 사용이 개시된 선택 개시 일시부터 어태치먼트의 사용이 종료한 선택 종료 일시 사이에 있어서의 입력된 압력값을 최대 압력으로서 멀티 모니터(18)에 출력하고, 사판 각도 상태 판정부(162)는 어태치먼트가 사용 개시된 선택 개시 일시부터 어태치먼트가 사용 종료한 선택 종료 일시 사이에 있어서의 입력된 사판 각도의 값을 최대 유량으로서 멀티 모니터(18)에 출력한다. 또한, 최대 압력 판정부(161) 및 사판 각도 상태 판정부(162)에서 취득된 최대 압력 및 최대 유량은 어태치먼트의 사용이 종료한 시점에서 리셋된다.
또한, 최대 압력의 판정 방법은 어태치먼트가 가동 중의 압력 센서(13B, 13C)에 있어서의 검출값이 최대값이 되었을 때를 최대 압력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최대 압력은 압력 센서(13B, 13C)에 의해 검출된 값이기 때문에, 가동 상태에 따라서는 멀티 모니터(18)에서 설정한 설정 압력보다 낮은 값이 되는 경우도 있다.
최대 유량의 판정 방법도, 최대 압력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사판 센서(11C)에서 검출된 사판 각도에 기초하여 최대 유량이 검출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멀티 모니터(18)에 입력된 최대 압력, 최대 유량은 통신 단말 장치(19)의 처리부(19A)에 출력되어, 처리부(19A)의 최대 유량 취득부(32A), 최대 압력 취득부(33A)에 입력된다.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는 작업 모드 등록 번호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최대 유량 취득부(32A)에 의해 취득된 유압 펌프(11)의 최대 유량, 최대 압력 취득부(33A)에 의해 취득된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최대 압력의 취득을 행한다.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39)는 작업 모드 등록 번호가 변경된 경우, 최대 유량 취득부(32A)에 의해 취득된 유압 펌프(11)의 최대 유량, 최대 압력 취득부(33A)에 의해 취득된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최대 압력을 결정한다. 결정한 최대 압력 및 최대 유량을 이용하여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를 연산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술한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제 펌프(11)의 최대 유량, 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15)의 최대 압력에 기초하여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의 연산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실가동에 가까운 상태에서 차체에의 부하를 판정하여 보다 고밀도한 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태치먼트로서 브레이커(8)를 채용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압식 굴착기(1)에 그래버, 커터 등의 다른 어태치먼트를 장착했을 경우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크롤러식의 유압식 굴착기(1)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휠식의 유압식 굴착기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19)를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로 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멀티 모니터(18)와 같은 캡(4) 내에서 조작하는 장치나, 펌프 컨트롤러(16), 엔진 컨트롤러(17)의 등의 제어 장치를 관리 장치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관리 서버(20)나 통신 기능을 별도 구비하여 차 외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기기를 관리 장치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9)의 통신부(19C)를 정보 출력부로서 기능시켜 관리 서버(20)에 설정 변경 정보를 출력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 모니터(18)의 화면(18A) 상에 설정 변경 정보를 표시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표시 장치로서 멀티 모니터(18)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버튼 등의 입력 기능을 분리한 단순한 표시 기능을 갖춘 모니터를 사용해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해도 좋다.
1…유압식 굴착기, 2…하부 주행체,
2A…주행 장치, 2B…크롤러,
3…상부 선회체, 3A…카운터 웨이트,
4…캡, 5…작업기,
6…붐, 6A…붐 실린더,
7…암, 7A…암 실린더,
8…브레이커, 8A…버킷 실린더,
8B…브래킷, 8C…어태치먼트 실린더,
8D…치즐, 10…유압 시스템,
11…유압 펌프, 11A…엔진,
11B…센서, 12…메인 밸브,
12A…펌프, 12B…파일럿 라인,
11C…사판 센서, 12C…압력 센서,
12R…우측 조작 레버, 12L…좌측 조작 레버,
13…어태치먼트 밸브, 13A…어태치먼트 조작 레버,
13B, 13C…압력 센서, 14…펌프 유량 제어부,
15…전자식 가변 릴리프 밸브, 16…펌프 컨트롤러,
16A…처리부, 16B…기억부,
17…엔진 컨트롤러, 17A…처리부,
17B…기억부, 18…멀티 모니터,
18A…화면, 18B…버튼,
18C…처리부, 18D…기억부,
19…통신 단말 장치, 19A…처리부,
19B…기억부, 19C…통신부,
20…관리 서버, 20A…입출력부,
20B…처리부, 20C…기억부,
21…기지국, 22…네트워크,
23…통신 장치, 24…단말 장치,
31…어태치먼트 식별 정보 취득부, 32…설정 유량 취득부,
32A…최대 유량 취득부, 33…설정 압력 취득부,
33A…최대 압력 취득부, 34…작업 모드 취득부,
35…어태치먼트 가동 정보 취득부, 36…작업기 가동 정보 취득부,
37…연비 정보 취득부, 38…어태치먼트 교환 시간 취득부,
39…어태치먼트 실가동 정보 연산부,
161…최대 압력 판정부, 162…사판 각도 상태 판정부,
N1…네트워크, N2…네트워크

Claims (8)

  1. 주행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는 복수의 작업기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기 요소 중 적어도 1개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를 행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로서,
    상기 작업기 요소의 교환을 식별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의 작동유의 설정 유량을 취득하는 설정 유량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의 작동유의 설정 압력을 취득하는 설정 압력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설정 유량 및 상기 설정 압력과, 상기 작업기 요소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 상기 설정 유량 취득부, 상기 설정 압력 취득부, 및 상기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시간을 포함하는 실가동 정보를 연산하는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2. 주행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 본체와, 상기 작업 기계 본체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는 복수의 작업기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기 요소 중 적어도 1개를 교환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를 행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로서,
    상기 작업기 요소의 교환을 식별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의 사용 개시로부터 사용 종료까지의 작동유의 최대 유량을 취득하는 최대 유량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의 사용 개시로부터 사용 종료까지의 작동유의 최대 압력을 취득하는 최대 압력 취득부와,
    취득된 상기 최대 유량 및 상기 최대 압력과, 상기 작업기 요소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작업기 요소 식별 정보 취득부, 상기 최대 유량 취득부, 상기 최대 압력 취득부, 및 상기 작업기 요소 가동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시간을 포함하는 실가동 정보를 연산하는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요소 실가동 정보 연산부는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연비의 적산값을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정보로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이외의 작업기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이외의 작업기 요소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기 가동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실가동 정보와, 상기 어태치먼트 이외의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에 설정된 작업 모드를 취득하는 어태치먼트 작업 모드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취득된 상기 어태치먼트 작업 모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실가동 정보 및 상기 어태치먼트 이외의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정보를 외부 서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량 취득부 및 상기 설정 압력 취득부, 또는 상기 최대 유량 취득부 및 상기 최대 압력 취득부는 정기적으로 상기 설정 유량 및 상기 설정 압력, 또는 상기 최대 유량 및 상기 최대 압력을 취득하고,
    상기 설정 유량 및 상기 설정 압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최대 유량 및 상기 최대 압력 중 어느 하나가 갱신되면,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작업기 요소의 실가동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KR1020177024028A 2017-03-29 2017-03-29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Active KR101994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3045 WO2017183404A1 (ja) 2017-03-29 2017-03-29 作業機械の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88A true KR20180135788A (ko) 2018-12-21
KR101994132B1 KR101994132B1 (ko) 2019-06-28

Family

ID=6011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28A Active KR101994132B1 (ko) 2017-03-29 2017-03-29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0197B2 (ko)
JP (1) JP6514345B2 (ko)
KR (1) KR101994132B1 (ko)
CN (1) CN107660247B (ko)
DE (1) DE112017007331T5 (ko)
WO (1) WO20171834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815A1 (en) * 2019-10-31 2021-05-06 Caterpillar Inc. Work tool data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9935A (zh) * 2018-01-26 2020-09-04 株式会社多田野 无线通信机、作业车及作业车的无线通信系统
WO2020202986A1 (ja) * 2019-03-30 2020-10-08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情報処理装置
AT522406A1 (de) 2019-04-11 2020-10-15 Plasser & Theurer Export Von Bahnbaumaschinen Gmbh Stopfpickel und Verfahren zum Stopfen eines Gleises
JP7324717B2 (ja) * 2020-01-14 2023-08-1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油圧制御システム
DE112022001231T5 (de) * 2021-04-22 2024-01-04 Caterpillar Sarl Hydraulisches steuersystem in arbeitsmaschinen
JP7549712B1 (ja) 2023-07-24 2024-09-11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023A (ja) * 2000-10-10 2001-06-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及びその稼動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3034954A (ja) 2001-07-25 2003-02-07 Komatsu Ltd 作業機械の管理装置
JP2006022563A (ja) * 2004-07-08 2006-01-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とアタッチメント判別方法
KR20120063497A (ko) * 2009-08-27 2012-06-15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JP2016070004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流量設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436A (en) 1996-10-04 1999-10-19 Berg; Eric A. Equipment utilization detector
JP3609923B2 (ja) * 1997-09-29 2005-01-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械
JP4519315B2 (ja) * 2000-12-28 2010-08-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圧油流量制御装置
JP3709351B2 (ja) * 2001-04-09 2005-10-26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改良土製品生産機の管理装置
WO2004070211A1 (ja) * 2003-01-14 2004-08-1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油圧作業機
WO2005043481A1 (ja) 2003-10-31 2005-05-12 Komatsu Ltd. 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4171467B2 (ja) 2005-01-20 2008-10-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制御モード切換装置および建設機械
JP2008266975A (ja) * 2007-04-19 2008-11-06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KR101090619B1 (ko) * 2008-03-26 2011-12-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의 표시 장치
JP5356436B2 (ja) * 2011-03-01 2013-12-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装置
JP5663393B2 (ja) * 2011-04-28 2015-02-04 日立建機株式会社 稼働機械及び保守点検情報生成装置
JP6085710B1 (ja) 2016-04-28 2017-02-22 東空販売株式会社 アタッチメント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023A (ja) * 2000-10-10 2001-06-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及びその稼動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3034954A (ja) 2001-07-25 2003-02-07 Komatsu Ltd 作業機械の管理装置
JP2006022563A (ja) * 2004-07-08 2006-01-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とアタッチメント判別方法
KR20120063497A (ko) * 2009-08-27 2012-06-15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JP2016070004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流量設定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815A1 (en) * 2019-10-31 2021-05-06 Caterpillar Inc. Work tool data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314223B2 (en) 2019-10-31 2022-04-26 Caterpillar Inc. Work tool data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83404A1 (ja) 2018-04-26
CN107660247A (zh) 2018-02-02
CN107660247B (zh) 2020-09-01
US20200024825A1 (en) 2020-01-23
KR101994132B1 (ko) 2019-06-28
US10900197B2 (en) 2021-01-26
WO2017183404A1 (ja) 2017-10-26
JP6514345B2 (ja) 2019-05-15
DE112017007331T5 (de)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132B1 (ko) 작업 기계의 관리 장치
CN109790704B (zh) 挖土机
CN108026715B (zh) 挖土机
CN106013311B (zh) 挖土机
KR101298883B1 (ko) 작업 기계의 원격 관리 시스템
CN104781477B (zh) 作业机械以及作业机械的作业量计量方法
JP6633052B2 (ja) ショベル
CN112638696B (zh) 电动式作业机械
JP2018080510A (ja) 作業機械
WO2014080792A1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作業量計測方法
JP6781749B2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のシステム
CN113167057A (zh) 挖土机、挖土机的控制装置
JP2017186875A (ja)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
JP6683641B2 (ja) 油圧ショベル
JP7285679B2 (ja) ショベル
JP2023041850A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のシステム
JP6621431B2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駆動装置
JP6797523B2 (ja) 作業機械
JP2019116832A (ja) 作業機械の管理装置
WO2022210989A1 (ja) ショベル
JP2020204160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センサ自動特定システム及び特定方法
JP2025101390A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の制御装置
JP2022067548A (ja) 作業機械
JPH08233U (ja) 油圧ショベルのフロント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