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573A -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5573A KR20180135573A KR1020170073744A KR20170073744A KR20180135573A KR 20180135573 A KR20180135573 A KR 20180135573A KR 1020170073744 A KR1020170073744 A KR 1020170073744A KR 20170073744 A KR20170073744 A KR 20170073744A KR 20180135573 A KR20180135573 A KR 201801355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k
- unit
- control valve
- height
- electric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자 할 때, 설정된 승,하강 높낮이 위치에 맞추어 포크가 자동 정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포크의 승,하강 조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 상기 승,하강모드선택스위부와 포크의 승,하강 위치를 입력하는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가 각각 전기적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동작제어부; 상기 동작제어부와 전기적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 상기 포크의 승,하강 높이를 센싱하는 포크 위치센싱부로부터 센싱신호를 검출하여 수치화한 변환신호를 발생하며 동작제어부와 전기적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포크 높이 검출부; 상기 동작제어부와 전기적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어 동작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되는 메인컨트롤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컨트롤밸브와 리모트컨트롤밸브 간에는 제1 유압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밸브와 포크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부 간에는 제3 유압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모트컨트롤밸브와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 간에는 전기적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자 할 때, 설정된 승,하강 높낮이 위치에 맞추어 포크가 자동 정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중량물을 싣거나 내리는 지게차는 유압력을 가진 오일을 이용하여 포크가 승,하강하면서 포크에 얹어진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특수차량이다.
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게차는 통상 엔진이나 배터리와 같은 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오일탱크에 저장된 오일이 유압력을 가지도록 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서 발생하는 유압력에 해당하는 오일을 제공받거나 회수하여 지게차의 포트를 승,하강시키기는 리프트 실린더부, 상기 리프트 실린더부에 유량을 공급하거나 회수를 위해 유량과 유로를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밸브와, 상기 운전자가 포크의 승,하강을 위한 수동조작레버 조작시에 개폐에 대한 유량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리모트컨트롤밸브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지게차가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포크 및 상기 포크의 장착을 지지하는 캐리지와, 승,하강하는 포크와 캐리지를 지지하는 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리프트 실린더부는 유압 실린더와 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는 마스트에 고정되어 있고 로드는 메인컨트롤밸브에서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상기 포크와 캐리지를 올리고 내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동조작레버의 조작을 통해 메인컨트롤밸브와 그에 따른 리프트 실린더부의 동작 및 리모트컨트롤밸브에 대한 동작제어를 통해 포크의 상승이나 하강을 수행하면서 포크에 얹어진 중량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지게차는 포크의 높낮이 범위를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포크의 동일한 높낮이 범위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지게차 운전자는 매번 포크를 동일한 높낮이 높이로 수동조작하여야 하는데 이때 동일한 높낮이에서 포크를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이 필요하고 특히 높낮이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위한 시간이 요구됨으로써 반복적인 해당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지게차의 운용에 따른 연료 및 인건비 등 상승이 불가피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자 할 때, 설정된 승,하강 높낮이 위치에 맞추어 포크가 자동 정지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포크의 승,하강 조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 상기 승,하강모드선택스위부와 포크의 승,하강 위치를 입력하는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가 각각 전기적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동작제어부; 상기 동작제어부와 전기적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 상기 포크의 승,하강 높이를 센싱하는 포크 위치센싱부로부터 센싱신호를 검출하여 수치화한 변환신호를 발생하며 동작제어부와 전기적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포크 높이 검출부; 상기 동작제어부와 전기적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어 동작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되는 메인컨트롤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컨트롤밸브와 리모트컨트롤밸브 간에는 제1 유압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밸브와 포크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부 간에는 제3 유압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모트컨트롤밸브와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 간에는 전기적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포크 위치센싱부는 포크를 지지하면서 마스트를 따라 승,하강하는 캐리지의 저면 높이를 측정하도록 마스트 하단에 부착 고정되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크 위치센싱부는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사용되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자 할 때, 설정된 승,하강 높낮이 위치에 맞추어 포크가 자동 정지할 수 있어 포크의 정지 위치에 대한 맞춤이 필요 없기 때문에 해당 작업을 단축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작업능률이 상승은 물론, 지게차의 운용에 따른 연료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지게차(10)의 포크(12)를 승,하강시킬 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모드를 설정하는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14)와, 상기 승,하강모드선택스위부(14) 및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16)와 각각 전기적 신호선(E1, E2)으로 연결되는 동작제어부(18)와, 상기 동작제어부(18)와 전기적 신호선(E3, E4)으로 각각 연결되는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 및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와, 상기 동작제어부(18)와 전기적 신호선(E5)으로 연결되고 포크(12)의 높이를 센싱하는 포크 위치센싱부(24)로부터 센싱 신호를 검출하여 수치로 변환하는 포크 높이 검출부(26)와, 상기 동작제어부(18)와 전기적 신호선(E6)을 통해 각각 연결되는 메인컨트롤밸브(28)와, 상기 메인컨트롤밸브(28)와 리모트컨트롤밸브(30) 간 연결되는 제1 유압라인(32)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밸브(30)와 유압펌프(36) 간 연결되는 제2 유압라인(34)과, 상기 유압펌프(37)와 유압탱크(36) 간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 또는 회수하는 연결라인(38)과, 상기 메인컨트롤밸브(28)와 포크(12)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부(40) 간 연결되는 제3 유압라인(4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트컨트롤밸브(30)는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 및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와 각각 전기적 신호선(E7, E8)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12)의 높이를 센싱하는 포크 위치센싱부(24)는 마스트 하단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포크(12)를 지지하면서 마스트(M)를 따라 승,하강하는 캐리지(C)의 저면 높이를 센싱하여 포크(12)의 높이를 측정하는 구조가 제시된다.
하기에서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포크 승,하강 수동 모드]
운전자가 지게차(10)의 포크(12)의 승,하강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14)에서 조작 모드를 수동 모드로 조작 선택하게 되면,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14)에서 발생한 수동 모드 신호는 동작제어부(18)로 입력된다.
그에 따라 상기 동작제어부(18)에서는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의 조작 신호는 활성화시키고,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의 조작신호와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16)의 입력신호는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동작제어부(18)에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14)에서 발생한 수동 모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제어부(18)에서는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 포크 높낮이 검출부(26), 포크 위치 센싱부(24), 포크 높낮이 위치 설정부(16)의 기능을 모두 오프시켜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를 조작하게 되면,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에서 발생한 조작신호는 동작제어부(18)와 리모트콘트롤밸브(30)로 각각 입력된다. 우선 동작제어부(18)에서는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에서 발생한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메인컨크롤밸브를 해당 제어신호에 맞게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포크수동조작레버(20)에서 발생한 조작신호가 상기 리모트콘트롤밸브(30)로 입력되면, 상기 리모트컨트롤밸브(30)는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맞추어 개폐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의 조작신호가 포크(12)의 상승일 경우, 오일탱크(36)에 채워진 오일은 지게차(10)의 시동과 함께 구동하게 되는 유압펌프(37)를 통과하면서 유압력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오일은 앞서와 같이 사전 제어된 리모트컨트롤밸브(30)와 메인컨트롤밸브(28)를 통해 리프트 실린더부(40)로 공급되어 포크(12)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의 조작신호가 포크(12)의 하강일 경우, 리프트 실린더부(40)로 공급되었던 오일을 오일탱크(36)로 회수시켜 포크를 하강시키게 된다.
참고로, 상기 리프트 실린더부(40)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와 로드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마스트(M)에 고정되어 있고 로드는 메인컨트롤밸브(28)에서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상기 포크(12)와 캐리지(C)를 올리고 내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어서 구체적인 구조적 설명은 생략한다.
[포크 승,하강 자동 모드]
운전자가 지게차(10)의 포크(12) 승,하강을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14)에서 자동 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14)에서 발생한 자동 모드 신호는 동작제어부(18)로 입력되어 포크수동조작레버부(20)의 조작신호는 비활성화하게 되고,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와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16)는 물론, 포크 높이 검출부(26)는 활성화되도록 제어되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16)를 통해 포크(12)의 상승 위치와 포크(12)의 하강 위치에 따른 승,하강 높이 수치를 각각 동작제어부(18)로 입력하여 설정하게 된다.
위와 같이 포크(12)의 높낮이 위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을 조작하게 되면, 포크 위치센싱부(24)는 포크(12)를 지지하면서 마스트(M)를 따라 승,하강하는 캐리지(C)의 저면 높이를 센싱하여 포크(12)의 높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센싱은 포크 높이검출부(26)가 검출하게 되고 아울러 포크(12)의 높이측정신호를 발생하여 동작제어부(18)로 입력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포크 위치센싱부(24)와 포크 높이검출부(26)는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 보듯이 캐리지(C)의 저면이 포크(12)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어 이러한 차이에 대해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반영 조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포크(12)의 높이측정신호가 동작제어부(18)로 입력되면, 동작제어부(18)에서는 포크(12)의 높이측정신호를 포크(12)의 높이수치로 변환하고 동작제어부(18)에 사전 입력된 포크 높이 설정 수치와 서로 비교하게 된다.
예들 들어, 상기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14)에서 승강 버튼을 조작하고 센싱된 포크(12)의 높이 수치가 동작제어부(18)에 입력된 포크 상승 높이 설정 수치 이하로 판단될 경우, 상기 동작제어부(18)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리모트콘트롤밸브(30)와 메인컨크롤밸브(28)로 입력시키게 되고, 상기 리모트콘트롤밸브(30)와 메인컨크롤밸브(28)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맞는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오일탱크(36)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은 유압펌프(37)를 통과하면서 유압력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오일은 앞서와 같이 사전 제어된 리모트컨트롤밸브(30)와 메인컨트롤밸브(28)를 통해 리프트 실린더부(40)으로 공급되어 포크(12)를 상승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포크(12)가 상승하게 되는 동안 포크 위치센싱부(24)는 포크(12)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게 된다. 상기 포크(12)가 계속 상승하여 동작제어부(18)로 실시간 입력되는 포크 높이 수치가 동작제어부(18)에 사전 입력된 포크 상승 높이 설정 수치와 동일할 경우, 동작제어부(18)에서는 포크(12)의 상승 정지에 해당하는 포크(12)의 정지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리모트콘트롤밸브(30)와 메인컨트롤밸브(28)를 정지제어신호에 맞게 제어함으로써 포크(12)는 설정된 상승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에서 하강 버튼을 조작하고 센싱된 포크(12)의 높이 수치가 동작제어부(18)에 입력된 포크 하강 높이 설정 수치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동작제어부(18)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리모트콘트롤밸브(30)와 메인컨트롤밸브(30)로 입력시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맞게 리모트콘트롤밸브(30)와 메인컨트롤밸브(30)를 제어하게 된다.
그에 따라, 리프트 실린더부(40)로 공급된 오일은 메인컨트롤밸브(28), 리모트콘트롤밸브(30), 유압펌프(37)를 거쳐 오일탱크(36)로 회수되면서 포크(12)를 하강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포크(12)가 하강하게 되는 동안 포크 위치센싱부(24)는 포크(12)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된다. 상기 포크(12)가 계속 하강하여 동작제어부(18)로 입력되는 포크 높이 수치가 동작제어부(18)에 사전 입력된 포크 하강 높이 설정 수치와 동일할 경우, 동작제어부(18)에서는 포크(12)의 정지에 해당하는 포크 정지신호를 발생하여 리모트콘트롤밸브(30)와 메인컨크롤밸브(28)를 정지신호에 맞게 제어함으로써 포크(12)는 설정된 하강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지게차는 포크의 높낮이 즉, 하강 위치와 상승위치를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포크의 동일한 높낮이 범위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지게차 운전자는 매번 포크를 동일한 높이에서 포크를 정지 시키기 위한 조작 및 정지 위치에 대한 맞춤 조작이 필요하고, 정지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위한 시간이 요구됨으로써 반복적인 해당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며, 그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는 물론, 물론 지게차의 운용에 따른 연료 및 인건비 등 상승이 불가피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자 할 때, 설정된 승,하강 높낮이 위치에 맞추어 포크가 자동 정지할 수 있어 포크의 정지 위치에 대한 맞춤이 필요 없게 되므로써 해당 반복 작업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작업능률이 상승됨은 물론, 지게차의 운용에 따른 연료 저감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지게차
12 : 포크
14 :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
16 :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
18 : 동작제어부
20 : 포크수동조작레버부
22 :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
24 : 포크 위치 센싱부
26 : 포크 높이 검출부
28 : 메인컨트롤밸브
30 : 리모트컨트롤밸브
32 : 제1 유압라인
34 : 제2 유압라인
36 : 유압탱크
38 : 연결라인
40 : 리프트 실린더부
42 : 제3 유압라인
12 : 포크
14 :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
16 :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
18 : 동작제어부
20 : 포크수동조작레버부
22 :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
24 : 포크 위치 센싱부
26 : 포크 높이 검출부
28 : 메인컨트롤밸브
30 : 리모트컨트롤밸브
32 : 제1 유압라인
34 : 제2 유압라인
36 : 유압탱크
38 : 연결라인
40 : 리프트 실린더부
42 : 제3 유압라인
Claims (3)
- 포크(12)의 승,하강 조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승,하강모드선택스위치부(14);
상기 승,하강모드선택스위부(14)와 포크(12)의 승,하강 높이 위치를 입력하는 포크 높낮이 위치설정부(16)가 각각 전기적 신호선(E1, E2)으로 연결되는 동작제어부(18);
상기 동작제어부(18)와 전기적 신호선(E4)으로 연결되는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
상기 포크(12)의 승,하강 높이를 센싱하는 포크 위치센싱부(24)로부터 센싱신호의 검출과 포크(12)의 높이측정신호를 발생하며 동작제어부(18)와 전기적 신호선(E5)으로 연결되는 포크 높이 검출부(26);
상기 동작제어부(18)와 전기적 신호선(E6)을 통해 연결되어 동작제어부(1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되는 메인컨트롤밸브(28)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컨트롤밸브(28)와 리모트컨트롤밸브(30) 간에는 제1 유압라인(32)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밸브(28)와 포크(12)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부(40) 간에는 제3 유압라인(42)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모트컨트롤밸브(30)와 포크자동조작승,하강버튼부(22) 간에는 전기적 신호선(E8)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크 위치센싱부(24)는 포크(12)를 지지하면서 마스트(M)를 따라 승,하강하는 캐리지(C)의 저면 높이를 센싱하여 포크(12)의 높이가 측정될 수 있도록 마스트(M) 하단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크 위치센싱부(24)는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744A KR20180135573A (ko) | 2017-06-13 | 2017-06-13 |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744A KR20180135573A (ko) | 2017-06-13 | 2017-06-13 |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5573A true KR20180135573A (ko) | 2018-12-21 |
Family
ID=6495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3744A Withdrawn KR20180135573A (ko) | 2017-06-13 | 2017-06-13 |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3557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09303A (zh) * | 2020-11-05 | 2021-01-12 |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 搬运车货叉高度控制方法、装置及搬运车 |
KR20210060871A (ko) * | 2019-11-19 | 2021-05-27 |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 중량물 리프터 |
-
2017
- 2017-06-13 KR KR1020170073744A patent/KR2018013557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0871A (ko) * | 2019-11-19 | 2021-05-27 |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 중량물 리프터 |
CN112209303A (zh) * | 2020-11-05 | 2021-01-12 |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 搬运车货叉高度控制方法、装置及搬运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86203B1 (ko) | 산업차량용 제어방법 및 하역기구 콘트롤러 | |
KR960010453B1 (ko) | 포오크리프트의 제어장치 | |
KR100523158B1 (ko) | 생산성 패키지 | |
US7004285B2 (en) | Load-sensing mechanism for aerial work apparatus | |
US8930093B2 (en) | Forklift truck | |
US5238086A (en) | Control device for forklift | |
JP5299882B2 (ja) | 車両用リフト装置 | |
US9376297B2 (en) | Reach truck | |
CN205806853U (zh) | 一种可远程遥控的电脑显示器升降工作台 | |
KR20180135573A (ko) | 지게차의 포크 승,하강 높이 자동제어장치 | |
EP2955279A1 (en) | Construction equipment | |
US10377612B2 (en) | Lift-truck with automated height adjustment of load engagement means | |
US20180170733A1 (en) | Industrial truck having a control unit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a hydraulic cylin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244976B1 (ko) | 지게차의 포크 높이 자동 제어장치 | |
CN204870955U (zh) | 混合臂高空作业车底盘调平系统 | |
JP5022626B2 (ja) | 高所作業車 | |
KR20150114842A (ko) | 지게차의 포크 수평유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JP2001097693A (ja) | フォークリフトの自動揚高制御装置 | |
JP2552930Y2 (ja) | 昇降装置の荷重計測装置 | |
JPH06279000A (ja) | フォークリフトの昇降制御方法 | |
KR20180020051A (ko) | 지게차 포크의 높이 설정 장치 | |
KR101518056B1 (ko) | 건설기계의 붐 위치 제어시스템 | |
KR200345932Y1 (ko) | 버켓 위치 자동 조절장치 | |
JP2011111249A (ja) | 電気式フォークリフト | |
JPH0615994Y2 (ja) | フォ−クリフト等の産業車両における荷役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