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546A -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5546A KR20180135546A KR1020170073669A KR20170073669A KR20180135546A KR 20180135546 A KR20180135546 A KR 20180135546A KR 1020170073669 A KR1020170073669 A KR 1020170073669A KR 20170073669 A KR20170073669 A KR 20170073669A KR 20180135546 A KR20180135546 A KR 201801355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image
- drones
- antenna
- patte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05—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using Doppler effect for determining closest range to a target or corresponding time, e.g. miss-distance indicat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4—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polarisation eff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4—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polarisation effects
- G01S7/025—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polarisation effects involving the transmission of linearly polarised wa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6—Antenna boresigh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 G01S2007/403—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의 감지 대상에 대한 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편파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감지 대상에 대한 마이크로 도플러의 그래프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다각적 판별 알고리즘 예를 도시한 것이다.
110: 송신부
111: 주파수 상향 변환기(Up converter)
112: 파워엠프
113: 송신 안테나
120: 수신부
121: 수신 안테나
122: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123: 믹서(Mixer)
124: 로컬 오실레이터(Local Oscillator)
125: IF 믹서(Intermediate Frequency Mixer)
220: 관측 망
Claims (20)
-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송신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신호에 대응하여 탐지 영역 내 감지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도플러 변화로부터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마이크로 도플러(MicroDoppler)의 패턴 특성을 추출하는 연산부;
상기 마이크로 도플러의 패턴 특성을 이미지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판별 물체에 대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드론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선형 주파수 변조(linear frequency modulation; LFM) 신호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선형 주파수 변조 신호(LFM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출 및 수신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Up converter)를 이용하여 상기 선형 주파수 변조 신호를 타겟 주파수로 변환하고, 증폭시켜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수직방향의 단일 편파를 사용하는 상기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복수 편파를 사용하는 상기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감지 대상에 반사된 전파를 상기 복수 편파의 안테나로 각각 수신하며,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 정보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상기 수신된 신호 정보와, 상기 선형 주파수 변조 신호를 혼합하여 생성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기저대의 I/Q 신호를 획득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I/Q 신호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의 도플러 편이를 산출하여 상기 연속적인 도플러 변화를 획득하며,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 도플러(MicroDoppler)의 패턴 특성을 추출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이미지에 콘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상기 판별 물체에 대한 이미지의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드론 여부를 판별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판별이 불가능한 경우,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복수 편파를 사용하는 상기 수신 안테나의 편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의 회전축과 상기 송신 신호의 전파 방향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송신 안테나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송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신호에 대응하여 탐지 영역 내 감지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도플러 변화로부터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마이크로 도플러(MicroDoppler)의 패턴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 도플러의 패턴 특성을 이미지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판별 물체에 대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드론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수직방향의 단일 편파를 사용하는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신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복수 편파를 사용하는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도플러의 패턴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상기 수신된 신호 정보와, 선형 주파수 변조(linear frequency modulation; LFM) 신호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선형 주파수 변조 신호(LFM 신호)를 혼합하여 생성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기저대의 I/Q 신호를 획득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도플러의 패턴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I/Q 신호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의 도플러 편이를 산출하여 상기 연속적인 도플러 변화를 획득하며,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 도플러(MicroDoppler)의 패턴 특성을 추출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이미지에 콘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감지 대상에 대한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상기 판별 물체에 대한 이미지의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드론 여부를 판별하는 드론의 다각적 판별 방법. -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669A KR102010130B1 (ko) | 2017-06-13 | 2017-06-13 |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669A KR102010130B1 (ko) | 2017-06-13 | 2017-06-13 |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5546A true KR20180135546A (ko) | 2018-12-21 |
KR102010130B1 KR102010130B1 (ko) | 2019-08-12 |
Family
ID=6495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3669A Active KR102010130B1 (ko) | 2017-06-13 | 2017-06-13 |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013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7856B1 (ko) * | 2021-04-22 | 2021-10-26 |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 이동 물체 탐지 방법 및 장치 |
CN113985384A (zh) * | 2021-12-28 | 2022-01-28 | 中南大学 | 一种基于模板匹配的空间目标平动补偿方法及装置 |
KR20230154672A (ko) | 2022-05-02 | 2023-11-09 | 한국과학기술원 | 다채널 레이더에서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타겟 드론의 고도 실시간 추정 방법 및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2945B1 (ko) | 1995-09-29 | 1998-08-01 | 김태구 | 해치 백 자동차의 트렁크 셀프 트림 구조 |
JPH10293176A (ja) * | 1997-04-16 | 1998-11-04 | Nec Corp | 目標信号検出方法及び装置 |
KR101007216B1 (ko) * | 2010-08-25 | 2011-01-12 |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 장거리 탐지용 레이더 장치 |
JP2016133319A (ja) * | 2015-01-16 | 2016-07-25 | 株式会社東芝 | レーダ信号処理装置 |
KR101697542B1 (ko) | 2016-07-29 | 2017-01-18 | 아스텔 주식회사 | 모션 감지용 펄스 도플러 레이더 장치 및 모션감지 방법 |
-
2017
- 2017-06-13 KR KR1020170073669A patent/KR10201013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2945B1 (ko) | 1995-09-29 | 1998-08-01 | 김태구 | 해치 백 자동차의 트렁크 셀프 트림 구조 |
JPH10293176A (ja) * | 1997-04-16 | 1998-11-04 | Nec Corp | 目標信号検出方法及び装置 |
KR101007216B1 (ko) * | 2010-08-25 | 2011-01-12 |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 장거리 탐지용 레이더 장치 |
JP2016133319A (ja) * | 2015-01-16 | 2016-07-25 | 株式会社東芝 | レーダ信号処理装置 |
KR101697542B1 (ko) | 2016-07-29 | 2017-01-18 | 아스텔 주식회사 | 모션 감지용 펄스 도플러 레이더 장치 및 모션감지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Matthew Ritchie 외 2명. Monostatic and bistatic radar measurements of birds and micro-drone. 2016 IEEE Radar Conference (RadarConf). 6 May 2016, pp.1-5. *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7856B1 (ko) * | 2021-04-22 | 2021-10-26 |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 이동 물체 탐지 방법 및 장치 |
CN113985384A (zh) * | 2021-12-28 | 2022-01-28 | 中南大学 | 一种基于模板匹配的空间目标平动补偿方法及装置 |
CN113985384B (zh) * | 2021-12-28 | 2022-05-24 | 中南大学 | 一种基于模板匹配的空间目标平动补偿方法及装置 |
KR20230154672A (ko) | 2022-05-02 | 2023-11-09 | 한국과학기술원 | 다채널 레이더에서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타겟 드론의 고도 실시간 추정 방법 및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0130B1 (ko) | 2019-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zuma et al. | Micro-UAV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from RF fingerprint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
EP366379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adar data | |
KR102516367B1 (ko) | 레이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
US20160187477A1 (en) | Surveillance apparatus having a radar sensor | |
KR101695547B1 (ko) | Gps 누설 신호를 이용한 무인기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
US10768292B2 (en) | Surveillance apparatus having a radar sensor | |
EP3293537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functional grid elements to stochastic sparse tree grids for spatial filtering | |
US10663561B2 (en) | Radar signal processing device | |
US1189255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direction of arrival of radar reception signal using antenna array extrapolation | |
US20200319302A1 (en) | Radar-Based Multi-Dimensional Motion Measurement For Gesture Recognition | |
EP3167309B1 (en) | Encoder-less lidar positioning technique for detection and alarm | |
KR20210060844A (ko) |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 |
KR102010130B1 (ko) | 드론의 다각적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17211348A (ja) | 軌跡推定装置、軌跡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He et al. | A framework for millimeter-wave multi-user SLAM and its low-cost realization | |
Liang et al. | An improved sensing method using radio frequency detection | |
CN110488239B (zh) | 基于调频连续波雷达的目标检测方法 | |
Mata-Moya et al. | 4D passive radar for drone detection and tracking | |
Zhou et al. | Unmanned aerial vehicle detection based on channel state information | |
Yang et al. | Hum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mm wave radar | |
US2025006045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detection and countermeasures | |
KR102710967B1 (ko) | 다채널 레이더에서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타겟 드론의 고도 실시간 추정 방법 및 시스템 | |
Li et al. | A feature-based filtering algorithm with 60GHz MIMO FMCW radar for indoor detection and trajectory tracking | |
Sreekantamurthy et al. | A proposed concept for metacognitive configuration switching for tracking radar systems | |
Dhulashia | RF sensor fusion in congested and contested electromagnetic environ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