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748A - User program stored on recording medium, system and method for evaction guid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ser program stored on recording medium, system and method for evaction guid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4748A KR20180134748A KR1020180051218A KR20180051218A KR20180134748A KR 20180134748 A KR20180134748 A KR 20180134748A KR 1020180051218 A KR1020180051218 A KR 1020180051218A KR 20180051218 A KR20180051218 A KR 20180051218A KR 20180134748 A KR20180134748 A KR 201801347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cuation
- user terminal
- route
- user
- lo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 부착된 피난 안내도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로 인식하면 최적의 피난 경로를 탐색 및 제공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 이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for searching and providing an optimum evacuation route when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an evacuation guidance map attached to a building is recognized as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Evacuation guidance system.
건물 내 부착된 피난 안내도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건물 내 사람들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피난 시설의 배치나 정보 수집, 전달, 피난 방식 및 피난 유도 등을 알려주는 안내도 이며, 건물 내외벽에 규정에 따라 소정개가 부착되어 있다.The evacuation map attached to the building is a map showing the arrangement of evacuation facilities, information collection, delivery, evacuation method and evacuation guidance to guide people in the building to evacuate safely and effective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 predetermined number of outer walls are attached to the building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s.
그러나, 화재발생, 유독가스 발생과 같은 비상상황에서 실내에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사람들의 대피를 위한 피난 안내도 만으로 신속 및 정확하게 피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것에 대한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다.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evacuation information promptly and accurately only by evacuation guidance for evacuation of persons who are unable to secure visibility indoors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toxic gas generation.
더 나아가, 대형 지하공간 및 쇼핑몰 등 공공시설의 증가에 따라 기존의 안내표 형태의 피난 안내도를 대체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피난 안전 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Furtherm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ovide an effective evacuation safety system that can replace the evacuation map in the form of a guide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large underground spaces and shopping malls.
특히, 종래의 피난 안내도는 단순히 실내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이동 경로만을 제공하게 되므로, 긴급한 상황에서 이동중인 실내 사람들이 현재위치에서 출구를 찾는 것이 어려움에 따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conventional evacuation route map simply provides a moving route connecting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it is difficult for the moving indoor people to find the exit from the current location in an urgent situa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means for providing an optimum path in real tim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 내 벽에 부착된 피난 안내도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최적의 피난경로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vacuation guidance map which identifies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an evacuation map on a building wall as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re is a challenge to provide a system for routing.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그램은,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건물의 벽에 부착된 피난 안내도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와, 인식된 식별코드를 해석하여 상황실 서버의 주소를 판단하고,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황실 서버에 피난경로를 요청 및 상기 피난경로를 수신하는 경로 처리부와, 상기 상황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피난경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경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us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an evacuation map attached to a wall of a building photographed by a camera module, A path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n address of a situation room server and requesting an evacuation path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the evacuation path;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ituation room server; On the screen.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UI 제공부와, 상기 UI 제공부의 요청에 따라,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물 내 설치된 복수의 BLE 단말로부터 현재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갱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location update unit for receiving a current location from a plurality of BLE terminals installed in the building via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I providing unit.
상기 UI 제공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황실 서버로 콜 요청하는 콜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all request unit for requesting a call to the service room server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I providing unit.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일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QR code.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은, 식별코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피난 안내도가 벽에 부착된 건물에서의 피난 경로를 제공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으로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해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여 피난경로를 요청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의 피난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난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evacuation guidance map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a building attached to a wall,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execute the user program through the camera module and requesting the evacuation route by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program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ituation room server for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vacuation information.
상기 상황실 서버로부터 상기 피난경로와 동시에 전송되는 출동신호를 수신 및 표시하는 구조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rescue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 eviction signal transmitted simultaneously with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control room server.
상기 상황실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을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요청 수신부와,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건물에서 상기 현재위치로부터 출입문까지 최단경로를 산출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 request receiving unit for recognizing a request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a route gen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hortest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a door in the building to generate an evacuation route.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상기 피난 안내도의 부착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가설정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The path generation unit may se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map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orrec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stall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상황실 서버는, 상기 건물의 각 층에 대한 내부 구조도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내부 구조도 상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출구까지의 최단경로를 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Wherein the route server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an internal structure for each layer of the building, wherein the route generating unit generate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exit of each layer of the building on the internal structure map, The shortest path can be represented by a line.
상기 건물 내 복수개가 설치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제공하는 BLE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BLE terminal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provid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른 식별코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피난 안내도가 벽에 부착된 건물에서의 피난 경로를 제공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의한 피난 안내 방법으로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피난경로를 요청받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의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피난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re is also provided an evacuation guidance method by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evacuation map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a building attached to a wall,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at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path to the user terminal.
상기 피난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상기 피난 안내도의 부착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가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the steps of: set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evacuation map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corrected.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 일정위치마다 식별코드가 인쇄된 피난 안내도를 부착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식별하면, 연계된 상황실 서버에서 현재위치에 따른 최적의 피난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vacuation route map i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is attached to every predetermined position in a building and the user identifies the evacuation route map using the mobile terminal owned by the user, the optimal evacuation By providing a route,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can evacuate quickly and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황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의한 피난 안내 방법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의 이용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entire structure of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cluding a us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used in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s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tuation room server included in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evacuation guidance by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6C illustrate use of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 or" comprising "any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It means that you can.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 등의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The term "embodiment" is used herein to mean serving as an example, instance, or illustration, although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example. And other similar terms such as " comprising ", " comprising ", and "having" are used as an open transition word tha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or different components when used in the claims It is used generically in a manner similar to the term "Comprising ".
또한,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장치(device)"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unit," "module," "device," and "system"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n operation in which one or more functions are combined,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 "모듈", "장치" 및 "시스템"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부" 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읽기, 쓰기 및 지우기가 가능한 형태로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또는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may be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both, where appropriat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part," "module," "device and system," Can be treated as equivalent.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a user terminal may be constituted by "sub-units ", and may be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in a form readable, writable and erasable, or distributed among two or more memories or recording media Lt; / RTI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 이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us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cluding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사용자 프로그램은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탑재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The user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ritten in a predetermined programming language and implemented in a form of a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and writable by a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a processor and a memory capable of executing the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entire structure of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cluding a us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은, 식별코드(20)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피난 안내도(10)가 벽에 부착된 건물에서의 피난 경로를 제공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으로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해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여 피난경로를 요청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의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위치에서의 피난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난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cluding a us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은 건물 내 복수개가 설치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위치를 제공하는 BLE 단말(400)과, 상황실 서버(300)로부터 피난경로와 동시에 전송되는 출동신호를 수신 및 표시하는 구조자 단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으며, 건물의 벽 등에 부착된 피난 안내도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촬영하고, 식별코드가 정의된 정보를 통해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위치에 따른 최적의 피난경로를 수신 및 표시하는 컴퓨팅 장치이다.The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0)은 식별코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과, 소정의 사용자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탑재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황실 서버(300)에 접속하고, 실행중인 사용자 프로그램상에서 건물 구조도 상에 현재위치에서 출구까지의 경로가 표시된 피난경로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상황실과 통화할 수 있도록 호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로는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고, 사용자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 가능한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기록매체 및, 통신을 위한 모뎀 등이 탑재되는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Such a
상황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건물을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위치를 수집하여 최단 피난경로를 산출 및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피난경로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또한, 상황실 서버(300)는 각 현장에 배치된 구조자의 구조자 단말로 수집된 해당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현장으로의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상황실 서버(3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 및 피난경로 요청에 대하여 오류 또는 지연 없이 피난경로를 산출 및 전송할 수 있는 고성능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한 서버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Such a
비콘 단말(400)은 각 건물에 피난 안내도와는 별도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좌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BLE 단말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의 좌표정보를 현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고, 이를 상황실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난 중에도 사용자 단말(100)이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피난경로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러한 비콘 단말(400)은 해당 건물의 각 층의 방 및 통로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각 비콘 단말(4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비콘 단말(400)은 그 설치위치에 따라, 미리 저장된 피난경로를 사용자 단말(100)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즉시 피난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한편, 상황실에서는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된 건물에 해당하는 지역 또는 인접한 지역에 파견된 구조자가 존재할 경우, 그 구조자 단말(500)에 피난중인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출동을 요청함으로써, 구조자가 사용자를 구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rescuer dispatched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a building recognized as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adjoining region, the control room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ated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은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가 피난 안내도를 이용하여 손쉽게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피난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긴급상황 발생에 따라 사용자의 피난시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최적의 피난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cluding the user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execute the user program and confirm the evacuation route using the evacuation guide map,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evacuation route by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the user evacuate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used in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시설물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바일 단말(100)은 카메라 모듈(110), 통신모듈(120), BLE 모듈(130), 디스플레이 모듈(140), 입력모듈(150), AP(160) 및 기록매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2, a
카메라 모듈(110)은 건물의 벽에 부착되는 피난 안내도 상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식별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현재위치 및 상황실 서버의 URL정보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조작하여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식별코드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 프로그램(200)을 실행하고 피난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통신모듈(12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식별코드 내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프로그램(200)이 실행되면 상황실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BLE 모듈(13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일 예로서,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건물 내 설치된 복수의 BLE 단말과 통신하여 위치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BLE 모듈(130)을 통해 수신한 위치좌표는 AP(160)에 의해 현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이후 상황실 서버로 전송되어 피난경로를 갱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The BLE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사용자 단말(100)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비디오 어뎁터(Video Adapte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사용자 프로그램(200)이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할 수 있고, 특히 상황실 서버로부터 피난경로를 수신하면 그래픽 형태의 건물 구조도 상에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소형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적합한 소형의 액정표시소자(LCD), 전기영동소자(EPD) 및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입력모듈(150)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입력모듈(150)은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키 버튼뿐만 아니라,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14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버튼을 클릭하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AP(Application Processor, 16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 및 기록매체(170)에 저장된 OS 및 사용자 프로그램(200)을 실행하고 모바일 단말(100)에 탑재된 각 모듈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러한 AP(160)는 각 구성모듈과 내부적으로 서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구조 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기록매체(170)는 사용자 단말(100)을 구동하기 위한 OS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이 저장될 뿐만 아니라, 기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상주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그램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us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s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그램(200)은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건물의 벽에 부착된 피난 안내도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210), 인식된 식별코드를 해석하여 상황실 서버의 주소를 판단하고, 제1 통신망을 통해 상황실 서버에 피난경로를 요청 및 피난경로를 수신하는 경로 처리부(220), 상황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230), 통신부(230)로부터 수신한 피난경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경로 제공부(240),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UI 제공부(250), UI 제공부(250)의 요청에 따라, 제2 통신망을 통해 건물 내 설치된 복수의 BLE 단말로부터 현재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갱신부(260) 및 UI 제공부(250)의 요청에 따라, 상황실 서버로 콜 요청하는 콜 요청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3, a
코드 인식부(210)는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식별코드가 촬영되면, 그 촬영신호가 QR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photographed by the
경로 처리부(220)는 코드 인식부(210)에 의해 인식된 촬영신호를 이미지 분석하여 식별코드 내 포함된 각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코드에는, 피난 안내도가 부착된 건물 내 위치 및 상황실 서버의 URL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경로 처리부(220)는 URL 주소에 따라 상황실 서버로의 접속시도하고, 현재위치에서의 피난경로를 상황실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The
통신부(230)는 정보통신망, 일 예로서, 3G, 4G LTE, WiFi 망 등을 통해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고, 서로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경로 제공부(240)는 경로 처리부(220)의 요청에 따라 상황실 서버로부터 피난경로를 수신하면, 그 피난경로를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피난경로는 건물 구조도 상에 현재위치로부터 출구까지의 화살표가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정보일 수 있다. When the
UI 제공부(250)는 화면상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프로그램(200)의 구동과 관련된 메뉴를 GUI 형태로 제공하고, 입력모듈(150)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아 프로그램의 구동에 반영할 수 있다.The
위치 갱신부(260)는 UI 제공부(250)의 입력에 따라, 건물 내 BLE 단말에 위한 위치좌표를 BLE 모듈로부터 수집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변경된 현재위치는 통신부(230)를 통해 상황실 서버에 전송될 수 있고, 상황실 서버는 변경된 현재위치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피난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The
콜 요청부(270)는 UI 제공부(250)의 입력에 따라, 상황실에 비치된 유선전화 등으로 직접 전화연락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통신장치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콜(call)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황실 근무자와 직접 통화할 수 있다.The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그램은 식별코드의 인식을 통해 실행되어 피난경로를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고, 위치변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위치에서 출구까지 최단거리의 피난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user progr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through recogni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provided with the evacuation route, and can display the evacuation route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exit Can be provi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황실 서버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situation room server included in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황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tuation room server included in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황실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는 통신부(310), 통신부(31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을 인식하고,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요청 수신부(320),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330), 건물에서 현재위치로부터 출입문까지 최단경로를 산출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340) 및 건물의 각 층에 대한 내부 구조도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통신부(31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요청 수신부(320)는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고, 그로부터 피난경로 제공요청을 수집할 수 있다.The
위치 판단부(330)는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건물 내에서 그의 현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는 식별코드에 의해 식별된 피난 안내도의 부착위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이 자체적으로 판단한 위치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The
경로 생성부(340)는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파악된 현재위치를 기점으로 해당 건물의 내부 구조도에 적용하여 출구와의 최단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화살표 형태로 내부 구조도 이미지상에 표시함으로써 피난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이때, 경로 생성부(340)는 식별코드에 포함된 피난 안내도의 부착위치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가설정하고,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설정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보정하는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확한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피난경로는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게 된다.The evacuation route is provided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실 서버(30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실시간 변경된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경로 생성부(340)는 변경된 위치에 따라 이를 기점으로 하여 피난경로를 갱신하여 실시간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황실 서버(300)는 시스템 정책에 따라, 긴급상황이 발생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에 피난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건물과 인접 지역에 위치한 구조자 단말(500)에 출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동신호에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가 포함됨으로써 그 구조자가 피난중인 사용자를 보다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ystem policy, the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실 서버는 각 지역의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들에 피난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tatus room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vacuation route to user terminals located in buildings in each area.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의한 피난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vacuation guidance method by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의한 피난 안내 방법을 나타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피난 안내 시스템의 상황실 서버 및 그의 구성부가 된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evacuation guidance by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executing entity for each step will be a status room server of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ituent par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의한 피난 안내 방법은 식별코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피난 안내도가 벽에 부착된 건물에서의 피난 경로를 제공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의한 피난 안내 방법으로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피난경로를 요청받는 단계,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의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피난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acuation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evacuation guidance method by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evacuation guidance map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a building with a wall attached thereto, Receiving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executing the user program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또한, 전술한 피난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식별코드에 포함된 상기 피난 안내도의 부착위치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가설정하는 단계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로 구체화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the steps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vacuation route map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rrection step.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피난 안내도가 부착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피난 안내도의 식별코드를 촬영하면(S100), 그에 설치된 사용자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사용자 프로그램은 식별코드를 참조하여 상황실 서버에 피난경로의 제공을 요청하게 된다(S110).5, when a user located in a building to which an evacuation guidance map is attached shoots an identification code of an evacuation guidance map using his / her own terminal (S100), the installed user program is executed, The program refers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requests the situation room server to provide the evacuation path (S110).
S110 단계에서, 피난경로 요청시 상황실 서버는 그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그래픽 이미지 형태의 피난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120).In step S110, upon requesting the evacuation route, the service room server may collec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may generate a graphical image type evacuation route using th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S120).
S120 단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화면상에 피난경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위치에서 출구까지의 최단거리에 따른 피난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step S120,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evacuation route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exit.
다음으로, 사용자는 임의상황 또는 긴급상황 발생에 따라 현재위치를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경된 위치정보를 상황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위치정보는 건물 내 설치된 비콘 단말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user can move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arbitrary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user terminal can transmit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using a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the building.
이에 따라, 상황실 서버는 위치정보가 변경여부를 판단하고(S130), 변경시 그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피난경로를 갱신하게 된다(S140).Accordingly, the service room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S130), and updates the evacuation rout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by ref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t the change (S14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은 상황실로의 콜을 요청할 수 있고(S150), 콜이 요청되면, 상황실은 구비된 전화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S160). Next, the user terminal can request a call to the status room (S150). When the call is requested, the status room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provided phone and is enabled to communicate (S16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의 이용 양태에 대한 모식도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schematic view of a use of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의 이용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다.6A-6C illustrate use of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난 안내 시스템에 이용되는 피난 안내도(10)는 건물 내외 벽에 부착될 수 있고, 2층 이상인 경우 각 층마다 부착될 수 있으며, 해당 층의 건물 내부 구조도,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등이 인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도(10)는 일측에 QR 코드 형태의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촬영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해당 식별코드를 인식(101)하며, 설치된 사용자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식별코드에 따라 상황실 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난 안내 시스템의 사용자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GUI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다. 먼저, '피난경로 확인하기(102)' 메뉴로서 상황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피난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6B, the user program of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one or more functions selectable by the user, which may be displayed on the
또한, '상황실로 전화걸기(103)' 메뉴로서, 상황실에 구비된 전화로 콜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 프로그램에는 상황실에 비치된 유,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as the 'call to the situation room (103)' menu, a call can be requested by a telephone provided in the situation room.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the user program is preset with a telephone number of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room.
다음으로, '위치 전송하기(104)' 메뉴로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현재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위치정보를 상황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전송하기(104)'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 프로그램은 제2 통신망을 활성화하여, 건물 내 설치된 복수의 비콘 단말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하게 된다.Next, as the 'location transmission (104)' menu,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When the 'transmit position 104' function is executed, the user program activates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position coordinates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installed in the building.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 안내 시스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상황실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100)에 피난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건물의 내부 구조도 상에 표시된 경로 이미지(106)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황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a signal flow according to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the
또한, 상황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구조자 단말(500)에 제공하고, 출동을 요청할 수 있고, 구조자 단말(500)은 그 위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의 내부 구조도 상에 표시된 경로 이미지(106)에 대응하는 이미지(501)를 표시함으로써, 구조자가 사용자를 보다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While a great many are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an exampl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and the appended claims.
10 : 피난 안내도
20 : 식별코드
100 : 사용자 단말
200 : 사용자 프로그램
300 : 상황실 서버
400 : 비콘(BLE) 단말
500 : 구조자 단말10: Evacuation route map 20: Identification code
100: user terminal 200: user program
300: control room server 400: beacon (BLE) terminal
500: rescue terminal
Claims (12)
인식된 식별코드를 해석하여 상황실 서버의 주소를 판단하고,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황실 서버에 피난경로를 요청 및 상기 피난경로를 수신하는 경로 처리부;
상기 상황실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피난경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경로 제공부
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an evacuation map attached to a wall of a building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 route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code to determine an address of the service room server, requesting the service room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the evacuation rout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ituation room server; And
A route providing unit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the evacuation rout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he user program being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UI 제공부; 및
상기 UI 제공부의 요청에 따라,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물 내 설치된 복수의 BLE 단말로부터 현재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갱신부;
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I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a user operation; And
A location update unit for receiving a current location from a plurality of BLE terminal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I providing unit;
The user program being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상기 UI 제공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황실 서버로 콜 요청하는 콜 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3. The method of claim 2,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I providing unit,
The user program being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인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QR code.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해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여 피난경로를 요청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의 피난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난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실 서버
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evacuation route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a building attached to a wall,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module to execute a user program and requesting an evacuation route by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user program; And
A location server for generating evacuation routes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상기 상황실 서버로부터 상기 피난경로와 동시에 전송되는 출동신호를 수신 및 표시하는 구조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scuer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 eviction signal transmitted simultaneously with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situation room server
Further comprising: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상기 상황실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을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요청 수신부;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건물에서 상기 현재위치로부터 출입문까지 최단경로를 산출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and 6,
Wherein the status room serv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 request receiver for recognizing a request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 position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llected position information; And
A route generating unit for calculating a shortest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a door in the building and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And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상기 피난 안내도의 부착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가설정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보정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The path-
Wherein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comprises: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map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orrec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상황실 서버는, 상기 건물의 각 층에 대한 내부 구조도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내부 구조도 상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출구까지의 최단경로를 선으로 표시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atus room server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for each layer of the building,
The path-
Wherein the shortest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exit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indicated by a line on the internal structural drawing.
상기 건물 내 복수개가 설치되고,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제공하는 BLE 단말
을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BLEs installed in the building, a BLE terminal provid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comprises: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피난경로를 요청받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서의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피난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방법.An evacuation guidance method by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evacuation guidance map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a building attached to a wall,
Receiving an evacuation rout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user terminal executing a user program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module; And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at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The evacuation guidance method comprising:
상기 피난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상기 피난 안내도의 부착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가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omprises:
Establishing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attachment position of the evacuation map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 step of correc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has been se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evacuation guidance method compri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2249 | 2017-06-09 | ||
KR20170072249 | 2017-06-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4748A true KR20180134748A (en) | 2018-12-19 |
KR101932179B1 KR101932179B1 (en) | 2018-12-24 |
Family
ID=6500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121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2179B1 (en) | 2017-06-09 | 2018-05-03 | User program stored on recording medium, system and method for evaction guid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17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2946A (en) * | 2019-07-01 | 2021-01-11 |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 DEVICE AND SYSTEM THAT EVACUATION SAFETY USING OCCUPANT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evacuating disaster by using an emergency guide light |
CN114111800A (en) * | 2021-12-14 | 2022-03-01 | 歌尔科技有限公司 | A building route navigation system |
KR20220131072A (en) * | 2021-03-19 | 2022-09-27 | 박영심 | Small cell-based firefighting guida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34496A (en) * | 2009-08-05 | 2011-02-17 | Hatsuta Seisakusho Co Ltd |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
KR101141740B1 (en) * | 2010-04-27 | 2012-05-0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Evacuate route guiding system us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and evacuating method thereof |
-
2018
- 2018-05-03 KR KR1020180051218A patent/KR1019321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2946A (en) * | 2019-07-01 | 2021-01-11 |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 DEVICE AND SYSTEM THAT EVACUATION SAFETY USING OCCUPANT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evacuating disaster by using an emergency guide light |
KR20220131072A (en) * | 2021-03-19 | 2022-09-27 | 박영심 | Small cell-based firefighting guida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
CN114111800A (en) * | 2021-12-14 | 2022-03-01 | 歌尔科技有限公司 | A building route navig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2179B1 (en) | 2018-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0287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emergency response assets | |
US10206069B2 (en) |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user within specific space | |
US20220215742A1 (en) | Contextualized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 |
US8264422B1 (en) | Safe head-up display of information | |
US1233362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 |
US1219071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 |
EP3195149A1 (en) | Responder-ready reporting network | |
KR20210019168A (en) |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fire exit using augmented reality | |
JP6900301B2 (en) |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 |
KR101932179B1 (en) | User program stored on recording medium, system and method for evaction guide including the same | |
CN103083834A (en) | Emergency guiding system, server | |
WO2014133681A1 (en) | Directional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a mobile device | |
JP2004357216A (en) | Position search system and position search method | |
CN109040968B (en) | Road condition remind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150073574A (en) | Terminal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for indoor us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service for indoor u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210156193A (en) |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 |
KR101629549B1 (en)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escaping direction, and user device | |
JP2011113245A (en) | Position recognition device | |
KR20160029055A (en)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escaping direction, and user device | |
JP2019128258A (en) | Naviga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JP6077930B2 (en) |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 |
US2022033581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 |
TW202011217A (en) | Customized escape guiding system downloads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when entering the building | |
KR2018011892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adio map using land mark | |
KR20160119733A (en) | Service area guide system method ther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