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686A -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 - Google Patents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1686A KR20180131686A KR1020170067089A KR20170067089A KR20180131686A KR 20180131686 A KR20180131686 A KR 20180131686A KR 1020170067089 A KR1020170067089 A KR 1020170067089A KR 20170067089 A KR20170067089 A KR 20170067089A KR 20180131686 A KR20180131686 A KR 201801316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blade
- hinge
- hole
- lo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1000793686 Homo sapiens Azurocid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909536 Gobieso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1—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cleats, ice-creep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0—Non-skid attachments made of wire, chain, or other meshed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2—Small releasable non-slip stra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뒷굽을 포함한 밑창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안정적으로 자리 잡게 신발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 뒷굽에 지지대(10)를 착용하고, 스파이크 날(21)을 구비한 블레이드(20)를 지지대(10)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되,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자유 회동 및 자유 슬라이딩을 제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뒷굽을 포함한 밑창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안정적으로 자리 잡게 신발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에 관한 것이다.
아이젠(eisen)은 스파이크 날을 신발 바닥에 부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등산 용구로서 크램펀(crampons)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아이젠은 일반 보행을 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고, 결빙이나 적설이 심한 지역을 통과할 때에만 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며, 신발과의 결합방식에 따라 신발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일체화 방식과, 신발에 착탈가능하게 한 탈착 방식으로 구분된다.
공개특허 제10-2002-0021692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310753호에서 보여준 일체화 방식의 아이젠은 신발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정감을 주지만, 아이젠을 분리하기 어려워 항시적으로 아이젠이 장착된 상태의 신발을 신고 다녀야만 하여 신고 다니기에 불편하였다.
이와 같은 일체화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10-2002-0024200호 및 공개특허 제10-2005-0047702호에서 보여준 탈착 방식의 아이젠은 신발에 쉽게 착용할 수 있고 분리하기도 쉽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신발의 경우에 제조사 및 상품 종류마다 아이젠을 장착할 부위의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하여, 비록 신발 사이즈별로 아이젠을 제작하더라도 신발 사이즈에 맞는 아이젠을 제소자 및 상품 종류별로 상이한 신발에 착용하면 대부분 신발에 밀착되게 착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착시키지 못하게 아이젠을 착용한 신발을 신으면 산행 중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 주위 사람에게 주는 피해, 걸을 시의 불편함 등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쉽게 탈착 가능하게 신발에 착용하면서, 신발의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하더라도 신발에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는 아이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에 있어서, 신발(1) 뒷굽(2)의 전단 양측면을 감싸게 한 측면부(11)에 결속밴드(14, 15)를 결속하여 결속밴드(14, 15)에 의해 신발에 고정되는 지지대(10); 신발(1) 뒷굽(2)의 후방 및 양측면을 감싸며 지지대(10)의 측면부(1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상부로 돌출시킨 스파이크 날(21)이 조성되어 있는 블레이드(20);를 포함하되, 전후 방향의 장공(33)을 블레이드(20)의 단부에 조성하고, 장공(33)을 관통하는 힌지(31)를 측면부(11)에 돌출시켜서, 스파이크 날(21)이 하부로 향하도록 블레이드(20)를 신발(1) 밑창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힌지(31)를 이용하여 지지대(10) 측면부(11)와 블레이드(20) 단부를 탄성적으로 압착함으로써, 블레이드(20)의 자유 회동 및 전후 방향 자유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20)는 신발(1) 밑창을 향해 회동시켜 신발 바닥에 닿게 되는 테두리에 가깝게 구멍(22)을 조정한 후 구멍에 통과하며 테두리를 감싸게 한 완충재(2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0)는 신발(1) 뒷굽(2)의 바닥을 감싸는 부위에 요철 또는 구멍으로 조성되는 미끄럼방지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공(33)은 지지대(10) 측면부(11)에 접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있으며, 삿갓와셔(34)를 힌지(31)에 관통되도록 상기 장공(33)에 삽입한 후, 테이퍼형 스프링(35)이 힌지(31)의 단부에 눌려 수축에 의해 삿갓와셔(34)에 밀려 들어가게 함으로써, 지지대(10) 측면부(11)와 블레이드(20) 단부를 탄성적으로 압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공(33)은 일측 단부를 상부로 연장시켜 조성한 멈춤홀(33a)을 구비하여, 스파이크 날(21)이 하부로 향하도록 블레이드(20)를 신발(1) 밑창으로 회동시켰을 시에 신발(1)에 눌려 힌지(31)가 멈춤홀(33a)에 놓이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0)는 신발(1) 뒷굽(2)의 전방 모서리를 감싸는 전방 절곡부(1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탄성밴드(38)의 일단을 결속밴드(14)에 고정하고, 탄성밴드(38)의 타단은 블레이드(20)에서 뒷굽(2) 측면을 덮는 부위에 고정하여, 상기 블레이드(20)가 신발(1) 뒷굽(2)을 감싸고 있는 상태 및 신발(1) 밑창에 놓인 상태에서 각각 자유 회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결속밴드로 쉽게 신발에 착용하고 분리할 수도 있으면서, 아이젠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회전시킬 수 있고, 신발 밑창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춰 신발에 밀착되도록 블레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자유 회전 및 자유 이동을 제한하여, 착용감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에 있어서, 결합수단(30)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능 아이젠을 신발에 장착한 후 비 사용 중인 상태의 측면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능 아이젠을 신발에 장착한 후 사용 중인 상태의 측면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에 있어서, 결합수단(30)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에 있어서, 결합수단(30)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능 아이젠을 신발에 장착한 후 비 사용 중인 상태의 측면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능 아이젠을 신발에 장착한 후 사용 중인 상태의 측면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에 있어서, 결합수단(30)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의 사시도, 도 2의 분해 사시도 및 도 3의 부분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은 결속밴드(14)를 이용하여 신발(1) 뒷굽(2)의 전단 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대(10), 신발(1) 뒷굽(2)의 후방측면 및 양측면을 감싸되 스파이크 날(21)이 하부로 향하도록 회동시켜 아이젠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후로 슬라이딩시켜 신발(1) 밑창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밀착 착용할 수 있도록 지지대(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블레이드(20), 지지대(10)를 기준으로 블레이드(20)를 회동 및 전후 슬라이딩시키게 하되 자유 회동 및 전후 방향 자유 이동을 제한하게 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신발(1)의 뒷굽(2) 바닥 중에 뒷굽(2)의 전단에 위치하도록 신발(1)에 착용하는 구성요소로서, 뒷굽(2) 전단의 바닥면을 감싸며 양단을 상부를 연장하여 뒷굽(2)의 전단 양측면을 감싸게 한 양측의 측면부(1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11)는 신발(1) 발등부(3)를 감싸며 조이게 한 결속밴드(14)의 양 단부를 결속하기 위한 제1 결합슬롯(11a)과, 신발(1) 뒷굽(2)의 위부분(뒷날개, quarter)을 감싸며 조이게 하는 결속밴드(15)의 양 단부를 결속하기 위한 제2 결합슬롯(11b)을 상단에 구비하여서, 결속밴드(14, 15)를 이용하여 신발에 착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에서 뒷굽(2) 전단의 바닥면을 감싸는 부위는 지지대(10)를 신발(1)에 고정한 상태에서 땅바닥에 닿게 되는 부위이므로, 미끄럼방지부(12)를 조성하였다. 미끄럼방지부(12)는 구멍으로 조성되어 있어, 미끄럼방지 기능을 한다. 구멍을 대신하여 요철로 조성하여도 좋다.
상기 결속밴드(14, 15)는 예를 들어 벨크로 결합으로 신발을 조이게 할 수 있으나, 공개특허 제10-2005-0047702호에 개시한 밴드 고정수단으로 신발을 조이게 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신발에 있어 바인드 관련 기술로 잘 알려진 버클을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블레이드(20)는 신발(1) 뒷굽(2)의 후방측면 및 양측면을 감싸되, 양측의 단부를 지지대(10)의 측면부(11)까지 연장하여 측면부(11)의 하부측 부위에 겹쳐지게 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20)의 단부는 상기 지지대(10)의 측면부(11) 중에 제1,2 결합슬롯(11a, 11b)이 조성된 부위의 아래 면에 겹쳐진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0)는 상부로 돌출시킨 스파이크 날(21)이 뒷굽(2)을 감싸는 부위를 따라 간격을 두고 조성되어 있다. 이때의 스파이크 날(21)은 상기 블레이드(20)의 양측 단부에도 조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0)는 신발(1) 뒷굽(2)의 후방측면을 감싸는 부위 중에 하측변(블레이드를 신발 밑창으로 회전시켰을 시에 밑창에 닿게 되는 테두리)에 가까운 위치에 구멍(22)이 조성되어 있고, 구멍(22)을 관통하며 하측변을 감싸는 중공관 형상의 완충재(23)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멍(22)은 한 개 이상으로 조성하여 구멍에 대응하는 개수의 완충재(23)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를 신발(1) 밑창에 놓이도록 회전시켰을 시에 신발 바닥에 닿게 되어 완충 기능을 한다. 이때의 완충재(23)는 고무호스나 플라스틱통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지지대(10)의 양측 측면부(11)에 겹쳐진 양측 단부를 중심 축으로 블레이드(20)를 회동시켜 신발(1)의 밑창에 눌리게 할 수 있고, 슬라이딩도 가능하게 하되, 자유 회동 및 전후 방향 자유 이동을 제한하게 하는 구성된다.
이를 위한 상기 결합수단(30)은 지지대(10) 측면부(11) 중에 제1,2 결합슬롯(11a, 11b)의 아래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시켜 블레이드(20)의 회전 축이 되게 한 힌지(31), 블레이드(20)의 단부에 조성하여 힌지(31)를 관통시키게 하되 지지대(10) 측면부(11)에 접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조성되어 있는 장공(33), 장공(33)의 벌어진 내부면에 접촉되게 삽입된 상태로 힌지(31)에 관통되어 장공(33) 중에 삽입된 위치를 바꿔가며 블레이드(2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되도록 원뿔대 형상의 외관을 갖추는 삿갓와셔(34),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힌지(31)에 관통된 후 힌지(31)의 단부에 눌려 수축에 의해 삿갓와셔(34)에 밀려 들어가도록 압착된 테이퍼형 스프링(35), 및 테이퍼형 스프링(35)의 내부 공간에 맞게 원뿔대 형상으로 되고 힌지(31)에 관통되어 탄성적으로 수축되어 있는 고무탄성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의 사용 상태도를 보며, 기능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3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20)는 장공(33) 중에 힌지(31)가 있는 위치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동시켜 도 5의 사용 상태도처럼 신발(1) 밑창에 놓이게 함으로써, 도 4의 사용 상태도에서 볼 수 있듯이 신발(1) 뒷굽(2)을 감싸고 있을 시에 상부로 향하였던 스파이크 날(21)이 하부로 향하게 되고, 아이젠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0)는 도 4의 사용 상태도처럼 신발(1) 뒷굽(2)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뒷굽(2)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뒷굽(2)에 밀착시킬 수 있고, 도 5의 사용상태도처럼 신발(1) 밑창에 놓인 상태에서도 전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신발(1) 밑창 중에 움푹 들어간 중간 부위의 생크(shank) 형상 및 크기에 맞춰 안정되게 놓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0) 측면부(11)와 블레이드(20) 단부는 힌지(31)를 이용하여 수축시킨 테이퍼형 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으로 압착되므로, 블레이드(20)의 자유 회동 및 전후 방향 자유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압착력을 받음으로써, 탄성복원력에 의해 받은 압착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지 아니하는 한, 상기 블레이드(20)는 회동 및 전후 이동하지 아니하여서, 신발(1) 뒷굽(2)을 감싸고 있는 상태 및 신발(1) 밑창에 놓인 상태에서 각각 안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아이젠 기능을 하게 할 시에는 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아이젠 기능을 하지 아니할 시에는 신발을 신고 다니는 데 불편하지 않게 된다.
물론, 테이퍼형 스프링(35)과 함께 수축되어 있는 고무탄성재(36)의 탄성복원력이 더해진 압착력을 받게 된다. 여기서, 고무탄성재(36)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테이퍼형 스프링(35)에 의한 압착력만 가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고무탄성재(36)는 테이퍼형 스프링(35)이 한쪽이 쏠리며 일그러지듯이 수축되지 아니하게 하고, 힌지(31)를 따라 안정적으로 수축되게 하는 기능도 하므로, 고무탄성재(36)를 설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힌지(31) 단부로 테이퍼형 스프링(35)을 압착할 시에 테이퍼형 스프링(35)의 압착 부위를 잡아주거나 끼워지게 하는 구성을 힌지(31) 단부에 조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테이퍼형 스프링(35)이 압착되어 삿갓와셔(34)에 일부만 삽입되고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게 하였으며, 이는 압착력을 큰 삿갓와셔(34)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렇지만, 삿갓와셔(34)에 삽입되면서 충분한 압착력을 갖는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또는 장공(33)을 충분히 깊게 조성할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블레이드(20)를 제작한다면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31)는 볼트로 구성되어 단부에 너트(31a)를 나사체결하게 되어 있으며, 힌지 삽입공(32)을 지지대(10) 측면부(11)에 조성하고, 힌지 삽입공(32), 장공(33), 삿갓와셔(34), 테이퍼형 스프링(35) 및 고무탄성재(36)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삽입한 후 볼트 단부에 너트(31a)를 나사체결하여서, 볼트 머리와 너트에 의해 압착되게 한다. 이때의 너트(31a)는 와셔(31b)를 끼워 테이퍼형 스프링(35)를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고, 테이퍼형 스프링(35)에 끼워지는 돌출부(31c)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누르며 압착할 수 있다. 또한 힌지(31)는 볼트로서 접시 모양의 볼트머리를 구비하여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되지 아니하게 설치 가능하다.
한편, 상기 힌지(31)의 양측 단부 모두에 와셔를 끼워넣어 와셔에 의해 압착되게 할 수 있다. 이때의 와셔는 너트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이붙이 와셔(tooth lock washer) 또는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힌지(31)는 리벳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상기 힌지(31)의 일측 단부는 테이퍼형 스프링(35)에 걸리게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캡(37)을 씌워 테이퍼형 스프링(35) 및 삿갓와셔(34)의 외측 단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하였다. 이때의 캡(37)은 수축 및 기밀 유지를 위해서 고무탄성재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에 대해서는 제1 실시 예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의 사시도 및 도 7의 부분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은 힌지(31)를 지지대(10) 측면부(11)와 일체화하여 측면부(11)에서 돌출되게 되어 있고, 힌지(31)의 단부에 나사산이 조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힌지(31)가 조성된 면의 반대측 면(뒷굽과 마주하거나 접하는 면)을 평탄하게 하여, 뒷굽에 손상을 주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블레이드(20)의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조성한 장공(33)은 전후 단부 중에 일측 단부를 상부로 연장하여 조성한 멈춤홀(33a)을 구비한다.
이에, 스파이크 날(21)이 하부로 향하도록 블레이드(20)를 회동시켜 신발(1) 밑창에 접하게 하였을 시에, 멈춤홀(33a)은 전후 방향의 장공(33)을 기준으로 하부를 향하게 되고, 힌지(31)가 멈춤홀(33a)에 놓이도록 블레이드(20)를 슬라이딩시키면, 블레이드(20)는 힌지(31)가 멈춤홀(33a)에 놓인 상태로 신발(1) 밑창에 눌려 전후 슬라이딩하지 않게 되고 멈춰 있게 된다. 즉, 아이젠 기능을 갖게 한 신발(1)을 신고 걸을 시에 블레이드(20)는 전후 이동하지 아니하고 안정되게 신발(1)에 고정된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신장시켰을 시에 수축하려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밴드(38)을 구비한다.
탄성밴드(38)의 일측 단부는 지지대(10)을 신발(1)에 착용하기 위한 결속밴드(14)에 고정한다. 이때의 결속밴드(1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1) 발등부를 감싸는 밴드로 하는 것이 좋다.
탄성밴드(38)의 타측 단부는 블레이드(20)에서 뒷굽(2) 측면을 덮는 부위에 고정한다.
고정 위치에 있어서, 신발(1) 발등부의 측면 중간쯤에 탄성밴드(38)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면 적당하고, 블레이드(20)에 대해서는 블레이드(20)가 신발(1) 뒷굽(2)을 감싸고 있는 상태 및 신발(1) 밑창에 놓인 상태에서 각각 신장된 상태에 있게 하여 탄성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하면 적당하다. 물론, 블레이드(20)를 회전시키는 과정 중에 신장 길이의 변화가 있더라도 탄성한계 내에서 신장되게 한다.
이와 같이 탄성밴드(38)를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20)가 신발(1) 뒷굽(2)을 감싸고 있는 상태 및 신발(1) 밑창에 놓인 상태로 각각 신발(1)을 신고 걸을 시에 약간의 요동은 허용하지만, 블레이드(20)의 회동을 실질적으로 멈추게 하여 안정된 상태로 있게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탄성밴드(38)의 타측 단부를 블레이드(20)에 고정할 시에 고정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대(10)는 신발(1) 뒷굽(2)의 전단 모서리, 즉, 생크(shank, 4)와의 경계에 있는 단차의 모서리를 감싸는 전방 절곡부(13)를 구비하여서, 결속밴드(14, 15)와 협동하에 지지대(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신발(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0)는 지지대(10) 측면부(11)의 두께만큼 양측 단부를 벌어지게 한 형상을 갖도록 뒷굽(2)의 측면을 덮는 부위에 2단 절곡부(24)을 구비한다. 즉, 블레이드(20)는 뒷굽(2)의 측면을 덮는 부위 중 후방측 부위를 뒷굽(2)에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갖게 하고, 뒷굽(10)의 전방측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결속밴드(14, 15)로 고정한 지지대(10)의 측면부(11) 외측 면에 단부를 겹치기 위해서 양측 단부의 간격을 넓힌 형상을 갖추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2단 절곡부(24)는 블레이드(20)를 회동시키는 중에 지지대(10) 측면부(11)에 걸리지 아니하는 부위에 조성되어야 한다.
1 : 신발 2 : 뒷굽 3 : 발등부
4 : 생크(shank)
10 : 지지대
11 : 측면부 11a : 제1 결합슬롯 11b : 제2 결합슬롯
12 : 미끄럼방지부 13 : 전방 절곡부 14,15 : 결속밴드
20 : 블레이드
21 : 스파이크 날 22 : 구멍 23 : 완충재
24 : 2단 절곡부
30 : 결합수단
31 : 힌지 32 : 힌지 삽입공 33 : 장공
33a ; 멈춤홀 34 : 삿갓와셔 35 : 테이퍼형 스프링
36 : 고무탄성재 37 : 캡 38 : 탄성밴드
4 : 생크(shank)
10 : 지지대
11 : 측면부 11a : 제1 결합슬롯 11b : 제2 결합슬롯
12 : 미끄럼방지부 13 : 전방 절곡부 14,15 : 결속밴드
20 : 블레이드
21 : 스파이크 날 22 : 구멍 23 : 완충재
24 : 2단 절곡부
30 : 결합수단
31 : 힌지 32 : 힌지 삽입공 33 : 장공
33a ; 멈춤홀 34 : 삿갓와셔 35 : 테이퍼형 스프링
36 : 고무탄성재 37 : 캡 38 : 탄성밴드
Claims (7)
- 신발(1) 뒷굽(2)의 전단 양측면을 감싸게 한 측면부(11)에 결속밴드(14, 15)를 결속하여 결속밴드(14, 15)에 의해 신발에 고정되는 지지대(10); 신발(1) 뒷굽(2)의 후방 및 양측면을 감싸며 지지대(10)의 측면부(1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상부로 돌출시킨 스파이크 날(21)이 조성되어 있는 블레이드(20);를 포함하되,
전후 방향의 장공(33)을 블레이드(20)의 단부에 조성하고, 장공(33)을 관통하는 힌지(31)를 측면부(11)에 돌출시켜서, 스파이크 날(21)이 하부로 향하도록 블레이드(20)를 신발(1) 밑창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힌지(31)를 이용하여 지지대(10) 측면부(11)와 블레이드(20) 단부를 탄성적으로 압착함으로써, 블레이드(20)의 자유 회동 및 전후 방향 자유 이동을 제한하는 아이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는 신발(1) 밑창을 향해 회동시켜 신발 바닥에 닿게 되는 테두리에 가깝게 구멍(22)을 조정한 후 구멍에 통과하며 테두리를 감싸게 한 완충재(23)를 구비하는 아이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신발(1) 뒷굽(2)의 바닥을 감싸는 부위에 요철 또는 구멍으로 조성되는 미끄럼방지부(12)를 구비하는 아이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33)은 지지대(10) 측면부(11)에 접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있으며,
삿갓와셔(34)를 힌지(31)에 관통되도록 상기 장공(33)에 삽입한 후, 테이퍼형 스프링(35)이 힌지(31)의 단부에 눌려 수축에 의해 삿갓와셔(34)에 밀려 들어가게 함으로써, 지지대(10) 측면부(11)와 블레이드(20) 단부를 탄성적으로 압착하는 아이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33)은 일측 단부를 상부로 연장시켜 조성한 멈춤홀(33a)을 구비하여, 스파이크 날(21)이 하부로 향하도록 블레이드(20)를 신발(1) 밑창으로 회동시켰을 시에 신발(1)에 눌려 힌지(31)가 멈춤홀(33a)에 놓이게 한 아이젠.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탄성밴드(38)의 일단을 결속밴드(14)에 고정하고, 탄성밴드(38)의 타단은 블레이드(20)에서 뒷굽(2) 측면을 덮는 부위에 고정하여, 상기 블레이드(20)가 신발(1) 뒷굽(2)을 감싸고 있는 상태 및 신발(1) 밑창에 놓인 상태에서 각각 자유 회동을 멈추게 된 아이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신발(1) 뒷굽(2)의 전방 모서리를 감싸는 전방 절곡부(13)를 구비하는 아이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089A KR20180131686A (ko) | 2017-05-30 | 2017-05-30 |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089A KR20180131686A (ko) | 2017-05-30 | 2017-05-30 |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1686A true KR20180131686A (ko) | 2018-12-11 |
Family
ID=6467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7089A Abandoned KR20180131686A (ko) | 2017-05-30 | 2017-05-30 |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3168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6791B1 (ko) * | 2020-04-24 | 2021-09-29 | 방태순 | 회전형 아이젠 |
-
2017
- 2017-05-30 KR KR1020170067089A patent/KR20180131686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6791B1 (ko) * | 2020-04-24 | 2021-09-29 | 방태순 | 회전형 아이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6676B1 (ko) |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 |
US9375053B2 (en) | Tightening mechanisms and applications including the same | |
CN100525731C (zh) |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 |
EP2994005B1 (en) | Horse-riding boot | |
WO2015059744A1 (ja) | 靴底側面の緩衝構造 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シューズ | |
US20020095823A1 (en) |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 |
KR101826077B1 (ko) | 슬리퍼 기능용 신발 | |
BRPI0710391A2 (pt) | dispositivo de amarrar cadarços para um calçado utilizado por um usuário | |
US20120324760A1 (en) | Footwear with heel based arcuate panel-shaped impact absorbing resilient concealed tongue | |
KR101081184B1 (ko) | 신축조절장치가 부설된 신발 | |
KR20180131686A (ko) | 신발에 밀착 착용 가능한 아이젠 | |
CH712179A2 (it) | Calzatura sportiva, in particolare scarpone da sci o snowboard. | |
KR101649149B1 (ko) |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 |
KR200306985Y1 (ko) | 신발 조임구 | |
KR101716442B1 (ko) | 신발끈의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신발 | |
KR102212826B1 (ko) | 신발끈 고정구 | |
JP5736442B1 (ja) | ヒール交換ができる靴 | |
KR200361931Y1 (ko) | 아이젠 | |
KR200419527Y1 (ko) | 신축성 밴드가 부착된 신발 | |
KR101489735B1 (ko) |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 |
KR20040049723A (ko) | 신발 조임구 | |
KR101869200B1 (ko) |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 | |
KR200474869Y1 (ko) | 신발 결속구 | |
JPH09313210A (ja) | 滑り止め用の靴補助具 | |
JP2007244877A (ja) | 靴下とインソール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