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26752A - 루스 레이 타일 - Google Patents

루스 레이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752A
KR20180126752A KR1020170061547A KR20170061547A KR20180126752A KR 20180126752 A KR20180126752 A KR 20180126752A KR 1020170061547 A KR1020170061547 A KR 1020170061547A KR 20170061547 A KR20170061547 A KR 20170061547A KR 20180126752 A KR20180126752 A KR 2018012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mpregnated
transparent
laminated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래
박재경
곽석철
Original Assignee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752A/ko
Publication of KR2018012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75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스 레이 타일에 관한 것으로, 하판(100)과 상판(200)을 가열 가압하여 합판한 루스 레이 타일로서, 상기 하판(100)은 바닥면과 접하는 밸런스층(110)과, 상기 밸런스층(110) 위에 합판되는 베이스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20) 위에 합판되어 치수안정화를 유도하는 하부G/F함침층(130)과, 상기 하부G/F함침층(130) 위에 합판되는 센터층(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200)은 상기 센터층(140)에 합판되어 치수안정화를 유도하는 상부G/F함침층(210)과,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사인쇄층(220)과,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면을 보호하는 투명상지층(230)과, 상기 투명상지층(230) 위에 도포 형성되는 UV코팅층(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G/F는 글래스화이버(Glass Fiber)이고, 상기 전사인쇄층과 UV코팅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은 모두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루스 레이 타일{LOOSE LAY TILE}
본 발명은 루스 레이 타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재로 사용될 때 표면 내스크래치성과 표면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 및 치수안정성을 갇화시키고, 시공 편리성도 향상된 루스 레이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마루 포함)는 나무를 소재로 한 판재가 많이 활용되었으며, 주택, 특히 아파트 문화의 발달과 함께 콘크리트바닥에 대한 습기차단, 유해물질 차단 등을 목적으로 친환경 바닥재들이 선보이고 있다.
가장 보편적인 바닥재, 즉 바닥 타일로는 연질 PVC 시트인데, 이는 가공성과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두께를 갖고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바닥재, 즉 바닥 타일의 경우 단순 PVC만으로는 요구 특성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최근에는 LVT(Luxury Vinyl Tile) 등이 개시되고 있다.
LVT는 PVC 중에서도 가장 비싼 비닐 재료로 강하게 만든 것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논슬립성도 우수하다.
그러나, LVT의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한번 시공하면 떼어내기 어려워 유지보수가 어렵고, 시공성이 매우 나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것은 비단 LVT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논슬립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어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루스 레이 타일(Loose Lay Tile) 모두에 적용되는 단점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루스 레일 타일의 표면은 별도 코팅층이 없어서 내스크래치성이 약하고, 또한 오염이 쉽게 발생하므로 방오성을 극대화시켜 청소 편리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601호(2012.09.21.), '디자인 엠보싱 무늬가 중간층에 있는 합성수지제품 바닥재타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0687호(2013.12.27.), '바이오 폴리머 수지를 구비하는 바닥재'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2-0008710호(2012.12.20.), '소프트 타일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6687호(2015.03.16.),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바닥재로 사용될 때 표면 내스크래치성과 표면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 및 치수안정성을 갇화시키고, 시공 편리성도 향상된 루스 레이 타일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판(100)과 상판(200)을 가열 가압하여 합판한 루스 레이 타일로서, 상기 하판(100)은 바닥면과 접하는 밸런스층(110)과, 상기 밸런스층(110) 위에 합판되는 베이스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20) 위에 합판되어 치수안정화를 유도하는 하부G/F함침층(130)과, 상기 하부G/F함침층(130) 위에 합판되는 센터층(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200)은 상기 센터층(140)에 합판되어 치수안정화를 유도하는 상부G/F함침층(210)과,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사인쇄층(220)과,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면을 보호하는 투명상지층(230)과, 상기 투명상지층(230) 위에 도포 형성되는 UV코팅층(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G/F는 글래스화이버(Glass Fiber)이고, 상기 전사인쇄층과 UV코팅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은 모두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밸런스층(110)의 하면에는 논슬립성을 갖는 졸겔링층, 어쿠스틱 기능을 갖도록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발포한 발포시트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더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G/F함침층(130) 및 상부G/F함침층(210)은 수축 팽창율이 0.01% 이하를 유지하도록 PVC졸에 글래스화이버를 함침하여 PVC 시트 상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글래스화이버의 함침 함량은 PVC시트 1㎡당 20-80g이 되게 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투명상지층(230)은 투명 PVC졸에, 상기 투명 PVC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소제를 10-40중량부 첨가하여 PVC 시트 상으로 제조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200)의 상부G/F함침층(210) 하부에는 합판력을 강화시키도록 투명하지층(202)이 더 합판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투명하지층(202)은 투명 PVC졸과, 상기 투명 PVC졸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15-40중량부 및 필러 40중량부 이하로 첨가하여 조성한 혼합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판(100)과 상판(200)을 가열 가압하여 합판한 루스 레이 타일로서, 상기 하판(100)은 바닥면과 접하는 밸런스층(110)과, 상기 밸런스층(110) 위에 합판되는 하부G/F함침층(130)과, 상기 하부G/F함침층(130) 위에 합판되는 베이스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20) 위에 합판되는 센터층(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200)은 상기 센터층(140)에 합판되는 투명하지층(202)과, 상기 투명하지층(202) 위에 합판되는 상부G/F함침층(210)과,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사인쇄층(220)과,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면을 보호하는 투명상지층(230)과, 상기 투명상지층(230) 위에 도포 형성되는 UV코팅층(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G/F는 글래스화이버(Glass Fiber)이고, 상기 전사인쇄층과 UV코팅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은 모두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UV코팅층(240)에는 1-20㎛ 크기를 갖는 UV 소광제를 더 첨가하여 광택도가 15°이하가 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UV코팅층(240)에는 내스크래치성을 강화하기 위해 1-20㎛ 크기를 갖는 옥분말 또는 자수정분말, 혹은 다이아몬드를 상기 UV코팅층(240)을 구성하는 UV코팅액에, 상기 UV코팅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10중량부 더 첨가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재로 사용될 때 논슬립성과 내구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공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스 레이 타일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층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스 레이 타일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층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스 레이 타일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층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이하 설명되는 'G/F'는 글래스화이버(Glass Fiber)를 의미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스 레이 타일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바닥면에 깔리는 기저층인 하판(100) 및 상기 하판(100)에 합판되어 타일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판(2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판(100)은 바닥면과 접하는 밸런스층(110)과, 상기 밸런스층(110) 위에 합판되는 베이스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20) 위에 합판되는 하부G/F함침층(130)과, 상기 하부G/F함침층(130) 위에 합판되는 센터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밸런스층(110)과, 베이스층(120)과, 하부G/F함침층(130)과, 센터층(140)는 모두 다 PVC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순차 적층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없이 합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판(100)과 상판(200)으로 분리 제조 후 두 개의 판을 다시 합판하는 형태로 가공되기 때문에 기존 대비 2배 크기로 판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타일 두께의 절반 두께로 분할됨으로 인해 각 판의 무게를 절반으로 낮출 수 있어 압착 가공하기 쉽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층(110)은 타일의 컬링(Curling)을 잡아 주기 위한 PVC 시트층으로서 안티컬링성을 높이기 위해 비중이 1.4-1.8로 유지되어야 한다.
물론, 타일이 시공될 바닥면의 특성에 따라 밸런스층(110)의 하면에 졸겔링층(Sol-Geling Layer) 혹은 발포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졸겔링층은 논 슬립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붙이는 PVC 시트층이며, 발포층은 어쿠스틱(Accustic)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PVC 혹은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발포한 발포시트층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VC 시트는 가공하기 쉽고 가공비가 적게 들며, 백면에 엠보 가공도 연속적으로 롤 처리하여 쉽게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층(120)은 INTENSIVE MIXER(BANBURY MIXER)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PVC 시트층으로서 타일의 두께를 맞추면서 하부G/F함침층(130)과 밸런스층(110) 사이의 수축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비되는 층이다.
때문에, 상기 베이스층(120)은 필러(예. 탄산칼슘 등)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전체 비중이 1.5 이상이 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G/F함침층(130)은 타일의 치수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층으로서, 글래스화이버가 함침된 PVC 시트층이다.
즉, PVC에 글래스화이버를 함침시키게 되면 기존 루스 레이 타일 대비 수축 팽창율을 0.01% 내외로 줄일 수 있다.
특히, 글래스화이버(Glass Fiber)의 함침은 PVC졸에 함침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글래스화이버의 함량은 하부G/F함침층(130)을 형성하는 PVC시트 1㎡당 20-80g이 되게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글래스화이버의 함량이 높을수록 수축, 팽창을 방지하는 특성이 강하고, 내구성을 높이면서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1㎡당 80g을 초과하게 되면 도포성, 함침성이 급격히 떨어져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1㎡당 20g 미만으로 첨가되면 수축, 팽창 억제력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센터층(140)은 상판(200)과 합판시 타일의 중간을 형성하는 층으로서, 상기 하부G/F함침층(130)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되는 관계로 수축 변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층(120)과 마찬가지로 필러의 첨가량 조절을 통해 전체 비중이 1.5 이상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층(120)과 동일 비중이 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한편, 상기 상판(200)은 상기 센터층(140)에 합판되는 상부G/F함침층(210)과,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사인쇄층(220)과,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면을 보호하는 투명상지층(230)과, 상기 투명상지층(230) 위에 도포 형성되는 UV코팅층(2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상판(200)도 하판(100)과 마찬가지로 표면에 전사인쇄층(220)이 형성된 상부G/F함침층(210)과, 표면에 UV코팅층(230)이 형성된 투명상지층(230)이 서로 순차 적층된 상태에서 가열 가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합판된다.
이때,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은 앞서 설명한 하부G/F함침층(130)과 동일하고, 상기 전사인쇄층(220)은 무늬를 현출하기 위한 층으로서, 전사방식으로 무늬가 인쇄형성되는 층이다. 무늬로는 나무결무늬를 비롯하여 엠보스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부에는 투명상지층(230)이 부착되는데, 상기 투명상지층(230)은 투명성을 갖는 시트로서 하드니스(Hardness)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전사인쇄층(220)의 보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투명상지층(230)은 투명 PVC졸에 상기 투명 PVC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소제를 10-40중량부 첨가함으로써 도포성을 좋게 하고, 친환경성을 높이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DOTP가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상지층(230)의 상부에는 UV코팅층(240)이 형성된다.
상기 UV코팅층(240)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테면 광택도를 조절하거나 혹은 표면 내스크래치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 첨가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 내오염성, 즉 방오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능성 물질을 첨가 사용할 수 있고, 이들 특성들이 모두 다 구현될 수 있도록 첨가물 조성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UV경화 특성을 증대시켜 표면 보호기능을 강화하고 방오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UV코팅층(240)을 형성하는 UV코팅제는 모노에스테르(Monoester) 20-40중량%, 올리고머(Oligomer) 10-2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 10-20중량%, 실리콘(Silicon) 10-20중량%, 및 나머지 필러로 조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택을 낮춰 실제 마루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1-20㎛ 크기를 갖는 UV 소광제를 더 첨가하여 광택도가 15°이하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스크래치성을 강화하기 위해 1-20㎛ 크기를 갖는 옥분말 또는 자수정분말, 혹은 다이아몬드를 상기 UV코팅층(240)을 구성하는 UV코팅액에 UV코팅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10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층상 구조를 갖는 루스 레이 타일은 직사각형상을 갖도록 모든 측면, 즉 둘레가 직각인 경우는 물론 클릭 록킹 구조를 갖는 경우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클릭 록킹 구조는 뵈링거(Valinge) 또는 유니린(Unilin)이라는 바닥재 제조업체에서 확보하고 있는 특허기술로서 루스 레이 타일의 일측면에서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대향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피봇 조립될 수 있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호 피봇 조립되게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후가공시 합판력을 좋게 하기 위해 상판(200)의 상부G/F함침층(210) 하부에 투명하지층(2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후가공이란 하판(100)과 상판(200)을 합판하는 공정을 말하며, 투명하지층(202)은 투명 PVC졸과, 상기 투명 PVC졸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15-40중량부 및 필러 40중량부 이하로 첨가하여 조성한 혼합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합판하여 성형된다.
이 경우, 상기 가소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필러는 통상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은 형태로 또다른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스 레이 타일도 바닥면에 깔리는 기저층인 하판(100) 및 상기 하판(100)에 합판되어 타일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판(200)으로 구성된다.
다만, 하판(100)의 경우 도 1의 예와 달리, 바닥면과 접하는 밸런스층(110)과, 상기 밸런스층(110) 위에 합판되는 하부G/F함침층(130)과, 상기 하부G/F함침층(130) 위에 합판되는 베이스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20) 위에 합판되는 센터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하부G/F함침층(130)과 베이스층(120)의 적층 순서가 위, 아래로 뒤바뀜으로써 밸런스층(110) 하면에 부착되는 또다른 층 구조 개발시 치수안정화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판(200)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센터층(140)에 합판되는 투명하지층(202)과, 상기 투명하지층(202) 위에 합판되는 상부G/F함침층(210)과,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사인쇄층(220)과,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면을 보호하는 투명상지층(230)과, 상기 투명상지층(230) 위에 도포 형성되는 UV코팅층(240)으로 이루어지며, 기능과 구조에 대한 특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100: 상판
200: 하판

Claims (9)

  1. 하판(100)과 상판(200)을 가열 가압하여 합판한 루스 레이 타일로서,
    상기 하판(100)은 바닥면과 접하는 밸런스층(110)과, 상기 밸런스층(110) 위에 합판되는 베이스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20) 위에 합판되어 치수안정화를 유도하는 하부G/F함침층(130)과, 상기 하부G/F함침층(130) 위에 합판되는 센터층(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200)은 상기 센터층(140)에 합판되어 치수안정화를 유도하는 상부G/F함침층(210)과,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사인쇄층(220)과,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면을 보호하는 투명상지층(230)과, 상기 투명상지층(230) 위에 도포 형성되는 UV코팅층(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G/F는 글래스화이버(Glass Fiber)이고, 상기 전사인쇄층과 UV코팅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은 모두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층(110)의 하면에는 논슬립성을 갖는 졸겔링층, 어쿠스틱 기능을 갖도록 PVC 또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발포한 발포시트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G/F함침층(130) 및 상부G/F함침층(210)은 수축 팽창율이 0.01% 이하를 유지하도록 PVC졸에 글래스화이버를 함침하여 PVC 시트 상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글래스화이버의 함침 함량은 PVC시트 1㎡당 20-80g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상지층(230)은 투명 PVC졸에, 상기 투명 PVC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소제를 10-40중량부 첨가하여 PVC 시트 상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의 상부G/F함침층(210) 하부에는 합판력을 강화시키도록 투명하지층(202)이 더 합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명하지층(202)은 투명 PVC졸과, 상기 투명 PVC졸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15-40중량부 및 필러 40중량부 이하로 첨가하여 조성한 혼합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7. 하판(100)과 상판(200)을 가열 가압하여 합판한 루스 레이 타일로서,
    상기 하판(100)은 바닥면과 접하는 밸런스층(110)과, 상기 밸런스층(110) 위에 합판되는 하부G/F함침층(130)과, 상기 하부G/F함침층(130) 위에 합판되는 베이스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20) 위에 합판되는 센터층(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200)은 상기 센터층(140)에 합판되는 투명하지층(202)과, 상기 투명하지층(202) 위에 합판되는 상부G/F함침층(210)과, 상기 상부G/F함침층(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사인쇄층(220)과, 상기 전사인쇄층(220)의 상면을 보호하는 투명상지층(230)과, 상기 투명상지층(230) 위에 도포 형성되는 UV코팅층(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G/F는 글래스화이버(Glass Fiber)이고, 상기 전사인쇄층과 UV코팅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은 모두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UV코팅층(240)에는 1-20㎛ 크기를 갖는 UV 소광제를 더 첨가하여 광택도가 15°이하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UV코팅층(240)에는 내스크래치성을 강화하기 위해 1-20㎛ 크기를 갖는 옥분말 또는 자수정분말, 혹은 다이아몬드를 상기 UV코팅층(240)을 구성하는 UV코팅액에, 상기 UV코팅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10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 레이 타일.
KR1020170061547A 2017-05-18 2017-05-18 루스 레이 타일 Ceased KR20180126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47A KR20180126752A (ko) 2017-05-18 2017-05-18 루스 레이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47A KR20180126752A (ko) 2017-05-18 2017-05-18 루스 레이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52A true KR20180126752A (ko) 2018-11-28

Family

ID=6456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547A Ceased KR20180126752A (ko) 2017-05-18 2017-05-18 루스 레이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9710A4 (en) * 2020-02-10 2023-09-06 Dongshin Polymer Co., Ltd. TILE-TYPE DECORATIVE FLOOR COVERING MATERIAL COMPRISING ANTI-SLIP FO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9710A4 (en) * 2020-02-10 2023-09-06 Dongshin Polymer Co., Ltd. TILE-TYPE DECORATIVE FLOOR COVERING MATERIAL COMPRISING ANTI-SLIP FO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218676A1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panel
US12116786B2 (en) Floor panel
EP273564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covering
KR20180032764A (ko) 차음 및 논 슬립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WO2012158846A1 (en) Luxury vinyl tile flooring system
JP6565419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WO2017018276A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US20230330980A1 (en) Composite pan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180126752A (ko) 루스 레이 타일
KR101916705B1 (ko) 강마루
CN110891785A (zh) 用于硬质表面的复合聚合物膜耐磨层
KR101866800B1 (ko) 루스 레이 타일 제조방법
KR102420824B1 (ko) 포졸란 광석을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25024427A (ja) 衝撃吸収床材
EA045442B1 (ru) Полов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овой панели
KR20180003070U (ko) Diy용 데코타일
CN106799343A (zh) 大理石纹隔热保温涂层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