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237A - Method for inputting Emoticon on Mobile Device, and Server for Distributing a Software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Emoticon on Mobile Device, and Server for Distributing a Software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5237A KR20180125237A KR1020170059832A KR20170059832A KR20180125237A KR 20180125237 A KR20180125237 A KR 20180125237A KR 1020170059832 A KR1020170059832 A KR 1020170059832A KR 20170059832 A KR20170059832 A KR 20170059832A KR 20180125237 A KR20180125237 A KR 201801252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oticon
- input
- emoticons
- keyboard
- displa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06F17/276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여 그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을 제시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 그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n emoticon of a mobile terminal, a method of recognizing a message inputted by a user and presenting emoticon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and a software distribution server storing software for the method.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로서 휴대 가능한 장치를 말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 개인디지털 단말기(PDA) 등이 해당한다.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는 이러한 기능이 하나의 장치 내에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는데, 이동통신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엠피 3 플레이어 기능 등이 기본적으로 통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소위 '스마트 폰'이라는 것은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에 기반한 인터넷 접속 기능이 강화되고 컴퓨터처럼 각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즉, 소프트웨어)을 설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computer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blet computer, an MP3 play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 recent mobile terminals, such functions are being integrated into on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navigation function, and MP3 player function are basically integrated. Typically, the so-called 'smart phone', which is widely used recently, is a combin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LAN-based Internet access function and a variety of functions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installing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computer Function mobile terminal.
스마트 폰이 등장하면서 개인 단말기의 이동성이 급격하게 개선됨과 동시에, '카카오톡', 왓츠앱(WhatsApp), 위챗(WeChat)과 같은 메시징 수단도 발전하고 페이스북, 트위트와 같은 소셜 미디어도 폭발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With the advent of smartphones, the mobility of individual handsets has improved dramatically, while messaging tools such as KakaoTalk, WhatsApp and WeChat have evolved and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have exploded. .
메시징 수단에서 글을 쓰거나 소셜 미디어에서 글을 포스팅을 하거나 댓글을 올릴 때, 한글과 영어와 같은 문자나 숫자를 주로 사용하지만, 때때로 이모티콘도 사용한다. 이모티콘이란 '그림말'이라고도 하며 '메타 커뮤니케이션'(Meta Communication)의 일종으로 사용하는 기호들을 일컫는다. 초창기의 이모티콘은 문자를 조합하여 감정을 나타내는 기호(예컨대, :-D)로 시작되어 아스키 코드(ASXII Code) 또는 유니코드(UNI Code)로 지정된 다양한 디지털 그래픽 이모티콘이 등장하게 되었다. When writing a message or posting or commenting on social media, we usually use letters and numbers such as Hangul and English, but occasionally we also use emoticons. Emoticon is also referred to as 'pictogram' and is used as a kind of 'Meta Communication'. In the early days, various emoticons starting with symbols (for example,: - D) combined with characters and designated by an ASKII code or UNI code appeared in the early emoticons.
그래픽 이모티콘을 입력하는 방식에는 이모티콘용 키보드(또는 목록)에서 선택하여 메시지-입력창에 삽입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도 1은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종래의 키보드 및 메시지-입력창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메시지 소프트웨어의 화면(10)의 메시지-입력창(11)에 이모티콘을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모티콘용 키보드(13)가 표시되도록 키를 조작해야 한다. 이처럼, 이모티콘용 키보드(13)에서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방식은 (첫 째) 메시지-입력창(11)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과 별개로 이모티콘용 키보드(13)가 표시되도록 키를 조작해야 하고, (둘 째) 표시된 이모티콘용 키보드(13)에서 필요한 이모티콘을 선택해야 하는 2단계의 과정을 거치면 비로소 메시지-입력창(11)에 삽입되고 전송 버튼 또는 확인버튼을 조작하면 메시지 창(15)에 이모티콘이 표시된다. Most of the methods for inputting graphic emoticons are selected from the keyboard (or list) for emoticons and inserted into the message-input window. 1 shows a conventional keyboard and message-input window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In order to insert an emoticon into the message-
이처럼, 종래의 방식은 두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과정이 복잡하고, 무엇보다 원하는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모티콘의 삽입이 매우 불편하였고, 이러한 불편이 이모티콘의 사용을 방해하는 주요한 이유이다. Thus,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requires two steps,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select a desired emoticon. Therefore, inserting the emoticon is very inconvenient, and the inconvenience is a major obstacle to the use of the emoticon That's why.
이러한 점의 개선으로, 최근에 단축기호를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입력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7374호는 미리 설정된 단축기호를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입력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단축키를 사용함으로써 편리할 수 있지만, 수많은 단축키를 사용자가 모두 설정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설정된 단축키를 사용자가 모두 기억하여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3989호는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별한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모티콘 목록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조작방법을 단순화한 것이지만, 여전히 목록에서 원하는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과정이 불편한 것은 마찬가지다. As a result of this improvement, a method of inputting emoticons using a shortcut has recently been developed.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57374 discloses a method of inputting an emoticon using a preset shortcut symbol. It is convenient to use shortcut keys, but not all users can set up many shortcut keys, and it is impossible for users to memorize all the set shortcut key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43989 simplifies an operation method by displaying a list of emoticons when a user inputs a special pattern by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touch pad, but still selects a desired emoticon from the list The process is inconvenient.
[관련 기술 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7374호)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emoticon input function using a shortcut symbo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57374)
2. 간편한 이모티콘 입력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한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3989호)2. Simple emoticon input method and device implementing this metho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143989)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여 그 메시지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을 제시하는 방법, 그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gnizing a message inputted by a user and presenting emoticons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as a method for inputting an emotic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oftware distribution server for th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입력된 유니코드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모티콘을 표시부의 메시지-입력창에 표시하는 키이벤트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은, (1단계) 키보드처리부가 키보드와 이모티콘-표시창을 상기 메시지 창 하단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키를 입력받고,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유니코드를 상기 키이벤트처리부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상기 메시지-입력창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2 단계) 이모티콘검색부가 상기 입력된 키 또는 키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태그를 인식하고 상기 태그에 매칭된 복수 개의 이모티콘을 추출하는 단계와, (3단계) 이모티콘제공부가 상기 추출된 복수 개의 이모티콘을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4 단계) 상기 이모티콘제공부가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된 이모티콘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의 유니코드를 상기 키이벤트처리부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메시지-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이모티콘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5 단계)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이모티콘 선택이 없이 상기 키보드를 통해 다음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이모티콘 선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key event processing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a number, a symbol or an emoticon corresponding to an input Unicode on a message-input window of a display unit. In the emoticon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processing unit displays a keyboard and an emoticon-display window at the bottom of the message window to receive a key from a user, and transmits a Uni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 the key event Displaying the character, numb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on the message-input window by providing the input key to the processor; and (2) the emoticon search unit recognizes the tag composed of the input key or combination of keys (Step 3), the emoticon providing unit displays the extracted plurality of emoticons on the emoticon display window (step 4), and the emoticon providing unit displays the emoticon- The Unicode of the emoticon select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key event processing unit Displaying the selected emoticon on the message-input window; and (5) if the next key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without selecting the emoticon of the user after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emoticon-display window, And ending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selection window.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태그는, 상기 키보드 입력을 통해 조합할 수 있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문장일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ag may be a letter, number, symbol, or a combination or sentence that can be combined through the keyboard input.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태그는 기지정된 제1 단어와 제2 단어가 이어서 입력되고, 상기 제1 단어와 제2 단어 사이에 기설정된 개수의 불특정 낱말이 배치된 조합일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ag may be a combination in which a pre-designated first word and a second word are successively inpu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nspecified words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word and the second word.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이모티콘을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검색부가 인식한 태그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이 많은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plurality of emoticons on the emoticons-display window may display the tags recognized by the emoticons search unit in a descending order of the user's selection.
본 발명은, 상기 키보드처리부, 이모티콘검색부 및 이모티콘제공부의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에도 미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software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the keyboard processing unit, the emoticon search unit, and the emoticon providing unit, and a software downloading software for installing the software when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Internet It also goes to the distribution server.
본 발명의 이모티콘 입력방법은 사용자가 이모티콘 전용 키보드를 표시하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으며 원래의 메시지를 키 입력하는 것으로 이모티콘을 입력할 수 있다. The emoticon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r to perform a trouble of displaying the emoticon dedicated keyboard, and can input the emoticon by key inputting the original message.
또한, 본 발명의 이모티콘 입력방법은 단순히 사용자가 많이 선택하는 선호 이모티콘을 모아서 보여주는 방식을 넘어서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어나 문장, 또는 특정 문자, 숫자 조합을 인식하여 이모티콘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모티콘의 선택과정이 현저하게 간소화 된다.In addition, the emoticon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word or a sentence or a combination of a specific character and a numeral inputted by a user in addition to a method of collecting and displaying favorite emoticons that a user selects a lot, The process is significantly simplified.
단축키 방식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우선 이모티콘에 설정된 단축키를 외울 필요도 없다. 또한, 단축키 방식은 하나의 단축키에 하나의 이모티콘을 매칭할 수 있을 뿐인데, 본 발명은 다양한 이모티콘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됨에 따라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다양한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어서, 이모티콘을 통한 더욱 섬세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Compared with the shortcut key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memorize the shortcut key set in the emoticon first. In addition, since the shortcut key method can only match one emoticon to one shortcut key, various emoticons can be selected for the same 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emoticons for the same word, Can be expressed.
도 1은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종래의 키보드 및 메시지-입력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모티콘 입력방법의 동작 설며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모티콘-표시창이 표시된 화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모티콘-표시창이 표시된 다른 화면이다.1 illustrates a conventional keyboard and message-input window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the emoticon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oticon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other screen in which the emoticon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 가능한 컴퓨터 장치를 말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 개인디지털 단말기(PDA) 등이 해당한다.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ortable computer device, and correspond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blet computer, an MP3 play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표시부(201), 입력부(2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5), 메모리(207)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200)는 위 구성 이외에도 GPS 수신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설명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설명도 생략한다. 2, the
표시부(201)는 엘시디(LCD), 오엘이디(OLED) 등과 같이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고, 입력부(203)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표시부(201)와 입력부(203)가 하나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5)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3세대 또는 4세대 이동통신망이나 무선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미도시) 또는 웹 서버(미도시) 등에 접속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205 has a wireless interface such as a third-generation or fourth-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or Long Term Evolution (LTE) or a wireless LAN, A distribution server (not shown) or a web server (not shown).
메모리(207)에는 표시부(201)에 표시되는 유니코드(UNI Code)에 매핑된 문자, 숫자, 기호 및 그래픽 이모티콘의 폰트(Font)가 저장된다. 이모티콘은 그래픽 이미지로서 문자나 숫자와 마찬가지로 유니코드로 식별되며, 모바일 단말기(200)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구성으로 설치된 것이다. The
또한 메모리(207)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이모티콘-테이블'이 저장된다. 이모티콘-테이블에는 개별 이모티콘의 유니코드와, 그 이모티콘에 매칭된 태그(Tag)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태그는 키보드(Keyboard)의 키(Key) 입력으로(즉, 유니코드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에 매칭된 것을 의미한다. 표 1은 이모티콘-테이블의 일 예를 보인다. The
(유니코드)Emoticon # 1
(Unicode)
(유니코드)
(Unicode)
(유니코드)Emoticon # 3
(Unicode)
(유니코드)Emoticon # 4
(Unicode)
표 1을 참조하면, 하나의 태그에 복수 개의 이모티콘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태그에는 4개의 이모티콘에 매칭되었다. 반대로 하나의 이모티콘에도 복수 개의 태그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 'a00000002'에는 '사랑', 뽀뽀', '연인' 및 '의리'라는 태그가 매핑되어 있다. 한편, 이모티콘 #1 내지 #4는 다른 의미가 없을 수도 있으나, 이모티콘-표시창(403)에 표시되는 순서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a plurality of emoticons may be matched to one tag. For example, the tag 'love' matches four emoticons. Conversely, a plurality of tags can be matched to one emoticon. For example, the emoticon 'a00000002' has mapped the tags 'love', 'popo', 'lover' and 'honorific'. On the other hand, the emoticons # 1 to # 4 may be of the order displayed on the emoticons-
한편, 이모티콘 'b00000022'에 매칭된 '마음^아파'라는 태그는 '마음'이라는 제1 단어와 '아파'라는 제2 단어 사이에 기설정된 개수의 불특정 낱말이 배치된 조합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ag 'Mind ^ Aha', which is matched with the emoticon 'b00000022', is a combin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unspecified words are arranged between a first word 'Mind' and a second word 'Apa'.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이모티콘 입력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키이벤트처리부(211),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 및 이모티콘제공부(217)를 포함한다.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 및 이모티콘제공부(217)는 도 4와 같은 화면(40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입력수단을 생성한다. 도 4의 화면(400)에서 메시지-입력창(11)과 메시지 창(15)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다른 구성(예컨대, sms 메시지 소프트웨어, 페이스북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고, 키보드(401)와 이모티콘-표시창(403)은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 및 이모티콘제공부(217)에 의해 표시되고 처리된다. The
제어부(210)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치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주된 또는 기본 기능(예컨대, 입출력 제어, 파일 관리, 메모리 관리, 전화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제어부(210)가 모바일 단말기(200)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경우,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본적으로 보유하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Processor Chip)과, 그 칩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구성을 기능적으로 지시한 것일 수 있다. The
키이벤트처리부(211)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로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이모티콘(그 그래픽 폰트)도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로 설치된다. The key
반대로,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와 이모티콘제공부(217)는 그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또는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로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에 부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In contrast, the
결론적으로, 기존의 단말기의 메모리(207)에 '이모티콘-테이블'이 설치되고 제어부(210)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상에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 및 이모티콘제공부(217)가 설치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미도시)가 구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미도시)에 기록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미도시)는 소위 '앱 스토어(App Store)'라고 불린다. 모바일 단말기(200)가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해당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 및 이모티콘제공부(217)는 개별적으로 따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 및 이모티콘제공부(217) 그리고 이모티콘-테이블이 한 덩어리의 소프트웨어로 설치될 수도 있다. An emoticon-table is installed in the
키이벤트처리부(211)는 키보드처리부(213)가 제공하는 유니코드(UNI Code), 즉 키 입력 또는 키 입력들의 조합을 문자, 숫자, 또는 기호로 인식하여 표시부(201)의 메시지-입력창(11)에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201)의 화면(400)에 메시지-입력창(11)과 메시지 창(15)이 표시되어 있다. The key
키보드처리부(213)는 사용자의 조작 및 제어에 따라, 표시부(201)의 화면(400)에 키보드(401)를 표시한다. The
통상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조시에 기본으로 설치되는 별도의 '기본-키보드처리부(미도시)'가 있으며, 단문 메시지(SMS) 기능, 메모 기능, 검색 기능 등에 사용된다. 카카오톡, 왓츠앱 또는 위챗과 같은 메시징 소프트웨어나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소프트웨어가 키보드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본으로 설치되는 '기본-키보드 소프트웨어'를 호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키보드처리부(213)가 추가 설치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기본-키보드처리부에 더하여 본 발명의 키보드처리부(21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된다. Typically, the
위에 제시된 카카오톡, 왓츠앱 또는 위챗과 같은 메시징 소프트웨어나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소프트웨어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키보드처리부(213)를 호출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SMS) 기능, 메모 기능, 검색 기능에 관한 설정도 변경함으로써, '디폴트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대신하여 본 발명의 키보드처리부(213)가 동작한다. The
한편, 모바일 단말기(200)에 따라서는 기본-키보드 소프트웨어 없이 본 발명의 키보드처리부(213)만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이모티콘검색부(215)는 키보드(401)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완성되는 태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태그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을 추출한다. 이모티콘제공부(217)는 이모티콘검색부(215)가 추출한 이모티콘을 이모티콘-표시창(403)에 표시한 다음,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의 유니코드를 키이벤트처리부(211)에 제공하여 메시지-입력창(11)에 표시되도록 한다. Th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키보드처리부(213), 이모티콘검색부(215) 및 이모티콘제공부(217)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이모티콘 표시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moticon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the
<키보드를 표시하고 키 입력의 수신: S301, S303> ≪ Display keyboard and reception of key input: S301, S303 >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제어에 따라, 키보드처리부(213)는 표시부(201)의 화면(400)에 키보드(401)를 표시한 다음 사용자의 키 조작을 대기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03)를 통해 키를 입력하면(S301), 키보드처리부(213)는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유니코드(UNI Code)를 키이벤트처리부(211)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키이벤트처리부(211)는 입력된 키 또는 키들의 조합으로부터 인식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우선 메시지-입력창(11)에 표시한다(S303). The
<기설정된 태그가 입력되는지 판단: S305>≪ Determination of whether preset tag is inputted: S305 >
이모티콘검색부(215)는 키보드처리부(213)가 입력부(20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또는 키들의 조합으로부터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이모티콘-테이블에 등록된 태그가 있는지 판단한다. 현재 입력되는 키 또는 키의 조합으로 매칭되는 태그를 이모티콘-테이블에서 찾지 못하면, S301 단계를 통해 다음 키가 입력되기를 대기한다. The
도 4의 경우에, 사용자가 '사랑'이라고 입력하였고, 이모티콘검색부(215)는 입력되는 키를 통해 실시간으로 조합된 '사랑'이라는 단어가 이모티콘-테이블에 등록된 태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표 1에 의하면, '사랑'이 이미티콘-테이블에 등록된 태그로 확인된다. In the case of FIG. 4, the user inputs 'love', and the
앞서 "마음^아파"와 같은 태그는 사용자가 '마음'이라고 입력한 후 몇 칸을 띄우거나 다른 문자(예, '가' 또는 '너무' 등)를 입력한 후 다시 '아파'를 입력한 순간에 기등록된 태그로 판단할 수 있다. A tag such as "Mind ^ Hurting" may be displayed when the user types "Mind" and then displays a few boxes or other characters (eg, "a" or "too" As shown in Fig.
<이모티콘의 추출 및 제시: S307> <Extraction and Presentation of Emoticons: S307>
이모티콘-테이블에 등록된 태그 중에 입력되는 키로 구성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과 동일한 것이 있으면 이모티콘검색부(215)는 해당 태그에 매칭된 복수 개의 이모티콘을 추출하여, 그 이모티콘의 유니코드를 이모티콘제공부(217)에게 제공한다. 표 1의 경우처럼, 복수 개의 이모티콘이 추출되면, 이모티콘검색부(215)는 그 복수 개 이모티콘의 유니코드를 이모티콘제공부(217)에게 제공한다.The
이모티콘제공부(217)는 이모티콘검색부(215)가 제공한 이모티콘 유니코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을 메모리(207)로부터 추출하여 이모티콘-표시창(403)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도 4의 화면(400)에는 사용자가 '사랑'이라고 입력함에 따라, 이모티콘제공부(217)가 이모티콘-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이모티콘-표시창(403)에 표시한 복수 개의 이모티콘이 도시되어 있다. The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을 메시지-입력창에 표시: S309 내지 S313><Display the emoticon selected by the user in the message-input window: S309 to S313>
사용자가 이모티콘-표시창(403)에 표시된 복수 개의 이모티콘 중 하나를 선택하면(S309), 이모티콘제공부(21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모티콘의 유니코드를 키이벤트처리부(211)에게 제공함으로써, 키이벤트처리부(211)가 도 5에서처럼 메시지-입력창(11)에 표시되도록 한다(S311).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모티콘용 키보드를 표시하도록 조작할 필요도 없고, 그 이모티콘용 키보드에서 원하는 이모티콘을 선택하기 위하여 일일이 검색할 필요가 없다.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emoticons displayed on the
만약, S309 단계에서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선택하지 않고 키보드(401)를 통해 다음 키를 입력하는 경우라면, 이모티콘제공부(217)는 이모티콘-표시창(403)에 이모티콘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다만, 새로운 키가 입력되었으므로, S301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S313).If the user inputs the next key through the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이모티콘 표시방법이 수행된다. In this way, the emoticon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실시 예: 이모티콘-테이블의 변경><Example: Emoticon-change of table>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키이벤트처리부(2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서버(미도시)에는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접속할 수 있으며, 웹 서버(미도시)는 S309 단계에서 이모티콘이 선택되는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태그에 어떤 이모티콘이 많이 선택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모티콘의 배치 순서를 바꾼 이모티콘-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웹 서버(미도시)는 주기적으로 각 모바일 단말기(200)의 이모티콘-테이블을 새로운 테이블로 변경하여 반영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key
한편, 앞서 표 1의 이모티콘 #1 내지 #4가 이모티콘의 표시 순서라고 할 경우에, 이모티콘검색부(215)는 도 3의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확인되는 사용자의 선택 편향성을 고려하여 이모티콘-테이블의 이모티콘의 표시 순서를 직접 바꿀 수도 있다. Meanwhile, if the emoticons # 1 to # 4 in Table 1 are the display order of the emoticons,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키보드처리부가 키보드와 이모티콘-표시창을 상기 메시지 창 하단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키를 입력받고,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유니코드를 상기 키이벤트처리부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상기 메시지-입력창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이모티콘검색부가 상기 입력된 키 또는 키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태그를 인식하고 상기 태그에 매칭된 복수 개의 이모티콘을 추출하는 단계;
이모티콘제공부가 상기 추출된 복수 개의 이모티콘을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모티콘제공부가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된 이모티콘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의 유니코드를 상기 키이벤트처리부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메시지-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이모티콘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이모티콘 선택이 없이 상기 키보드를 통해 다음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이모티콘 선택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
And a key event processing unit for displaying characters, numbers, symbols, or emoticons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Unicode on a message-input window of the display unit, the method comprising:
The keyboard processing unit displays a keyboard and an emoticon display window at the bottom of the message window to receive a key from a user and provides the Uni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 the key event processing unit, Displaying a symbol in the message-input window;
The emoticon search unit recognizes a tag composed of the input key or combination of keys and extracts a plurality of emoticons matched with the tag;
Displaying the extracted plurality of emoticons on the emoticon display window;
Displaying the selected emoticon on the message-input window by providing the Unicode of the emotic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emoticons displayed on the emoticon display window to the key event processing unit; And
Displaying the emoticon in the emoticon selection window when the next key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without selecting the emoticon of the user after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emoticon display window; Input method.
상기 태그는,
상기 키보드 입력을 통해 조합할 수 있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문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g,
A character, a number, a symbol, a combination thereof, or a sentence that can be combined through the keyboard input.
상기 태그는
기지정된 제1 단어와 제2 단어가 이어서 입력되고, 상기 제1 단어와 제2 단어 사이에 기설정된 개수의 불특정 낱말이 배치된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ag
Wherein a predetermined first word and a second word are sequentially inpu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nspecified words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word and the second word.
상기 복수 개의 이모티콘을 상기 이모티콘-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검색부가 인식한 태그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이 많은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이모티콘 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plurality of emoticons on the emoticons display window displays the tags recognized by the emoticon search unit in a descending order of the user's selec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oftware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the keyboard processing unit, the emoticon search unit, and the emotic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when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Said software distribution server enabling said software to be downloa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832A KR20180125237A (en) | 2017-05-15 | 2017-05-15 | Method for inputting Emoticon on Mobile Device, and Server for Distributing a Software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832A KR20180125237A (en) | 2017-05-15 | 2017-05-15 | Method for inputting Emoticon on Mobile Device, and Server for Distributing a Software theref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237A true KR20180125237A (en) | 2018-11-23 |
Family
ID=6456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9832A Ceased KR20180125237A (en) | 2017-05-15 | 2017-05-15 | Method for inputting Emoticon on Mobile Device, and Server for Distributing a Software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2523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1306B1 (en) * | 2022-07-06 | 2022-11-25 | 김봉근 |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KR20230023804A (en) * | 2020-09-25 | 2023-02-17 |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Text-video creation methods, devices, facilities and media |
US12111977B2 (en) | 2022-07-06 | 2024-10-08 | Bonggeun Kim |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
2017
- 2017-05-15 KR KR1020170059832A patent/KR2018012523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3804A (en) * | 2020-09-25 | 2023-02-17 |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Text-video creation methods, devices, facilities and media |
US11922975B2 (en) | 2020-09-25 | 2024-03-05 | Beijing Zitiao Network Technology Co., Ltd. |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for generating video in text mode |
KR102471306B1 (en) * | 2022-07-06 | 2022-11-25 | 김봉근 |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US12111977B2 (en) | 2022-07-06 | 2024-10-08 | Bonggeun Kim |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2646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ddress entry | |
US8364134B2 (en) | Automatic language selection for text input in messaging context | |
US9977779B2 (en) | Automatic supplementation of word correction dictionaries | |
US8605039B2 (en) | Text input | |
CA2911850C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selectable elements | |
KR20140092873A (en) | Adaptive input language switching | |
US20080266262A1 (en) | Shared symbol and emoticon key and methods | |
CN105045800A (en) |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method | |
US841306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completion of composite characters | |
WO201419079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contact object, and storage medium | |
KR2016001967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 |
KR20180125237A (en) | Method for inputting Emoticon on Mobile Device, and Server for Distributing a Software therefor | |
JP2013149273A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input order independent character input mechanism | |
US708834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 |
CA2692964C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ddress entry | |
CN112068764B (en) | Languag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for language switching | |
CN105554296A (en) |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terminal | |
KR100942123B1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s,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and systems for keystroke identification | |
KR20080095823A (en) | Device and method for multilingual mailing capable of selecting text input mode | |
CN106126048B (en) | Method and device for inquiring contact information of mobile equipment | |
CN110580126A (en) | virtual keyboard and input method based on virtual keyboard | |
US20150035756A1 (en) | Keypad device for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 |
KR100761807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1795620B1 (en) | Message transmission method in smart phone | |
WO2022031495A1 (en) | Digital contact dat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