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24546A -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546A
KR20180124546A KR1020170059278A KR20170059278A KR20180124546A KR 20180124546 A KR20180124546 A KR 20180124546A KR 1020170059278 A KR1020170059278 A KR 1020170059278A KR 20170059278 A KR20170059278 A KR 20170059278A KR 20180124546 A KR20180124546 A KR 20180124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olid electrolyte
polymer solid
block
lith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0706B1 (en
Inventor
윤정애
윤성수
이제권
채종현
박노진
권수지
김경오
이연주
김대일
김루시아
곽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5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706B1/en
Publication of KR2018012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0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ymer solid electrolyte having high ionic conductivity. By using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performance and enhanced safety may be provided.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comprises: an ion supply compound; a block polymer having a phase separated structure; and an oxidizing agent.

Description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막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a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본 발명은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a polymer membrane containing the same.

리튬 이차전지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타블렛 PC를 비롯한 소형 전자기기에서 자동차 배터리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및 고 용량화의 기술 방향으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es such as smart phones and notebooks, as well as small electronic devices and automotive batteries. They are being developed in the technical direction of miniaturization, weight reduction, high performance, and high capacity.

리튬 이차전지는 음극, 양극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탄소 등이 사용되며, 양극 활물질로는 전이금속 산화물, 금속 칼코겐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되고, 전해질로는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및 고분자 전해질 등이 사용되고 있다.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athode, an anode, and an electrolyte.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lithium, carbon, or the like is used.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 transition metal oxide, a metal chalcogen compound, a conductive polymer, or the like is used, and a liquid electrolyte, a solid electrolyte and a polymer electrolyte are used as an electrolyte have.

그 중, 고분자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에서 발생하는 액체의 누액과 같은 문제점이 없어 환경 친화적이고, 박막화 및 필름 형태의 가공이 가능하여 원하는 모든 형태로 소자의 구조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mong them, the polymer electrolyte is environment-friendly because there is no problem such as leakage of the liquid generated in the liquid electrolyte,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in film and film type processing, so that it is eas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n any desired form.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와 리튬염, 비수계 유기용매(선택적) 및 기타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는 물질로서 이온 전도도이 우수하나, 비수계 액체 전해질보다 성능이 많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The polymer electrolyte is composed of a polymer, a lithium salt,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optional), and other additives. The polymer electrolyte is excellent in ionic conductivity, but has a problem that performance is lowered than that of a nonaqueous liquid electrolyte.

이에,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상온에서 이온 전도도이 높은 이온 전도도 고분자 전해질 개발이 필요하다.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on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having high ionic conductivity at room temperatur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76호(2013.01.30)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연료전지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176 (2013.01.30)) A block copolymer comprising a hydrophilic block and a hydrophobic block,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ntaining the same and a fuel cell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조성을 갖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상분리된 구조를 가지는블록 고분자를 이온 공급 화합물 및 산화제와 함께 혼합하여 용액으로 제조 후 고분자 막을 제조한 결과, 높은 이온 전도도을 가져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to develop a polymer solid electrolyte having a new composition. As a result, they have found that a block polymer having a phase-separated structure is mixed with an 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as a high ion conductivity and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for producing a polymer solid electroly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로 제조된 고분자 막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lymer membrane made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로 제조된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lymer membrane made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온 공급 화합물; 상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n-supplying compound; A block polymer having a phase-separated structure; And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comprising an oxidizing ag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로 제조된 고분자 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lymer membrane made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polymer membrane.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은 높은 이온 전도도을 확보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high ionic conductivity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상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온 전도도이 향상되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리튬 이차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을 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comprising a block polymer having a phase-separated structure and having improved ionic conductivity is prepared, and a technique for applying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esented.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은 이온 공급 화합물; 상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 및 산화제를 포함한다.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on-supplying compound; A block polymer having a phase-separated structure; And an oxidizing agent.

본 발명의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온 공급 화합물은 리튬 이온 전도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온 공급 화합물은 리튬염일 수 있다.The ion supplying compound used for preparing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n supplying compound may be a lithium salt.

상기 리튬염으로는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AsF6, LiSbF6, LiAlCl4, LiSCN, Li(FSO2)2N LiCF3CO2, LiCH3SO3, LiCF3SO3, LiN(SO2CF3)2, LiTFSI, LiFSI, LiOH, LiOHH2O, LiBOB, LiN(SO2C2F5)2, LiC4F9SO3, LiC(CF3SO2)3, (CF3SO2)2NLi, LiOH.H2O, LiB(C2O4)2,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리튬 이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리튬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lithium salt include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AsF 6 , LiSbF 6 , LiAlCl 4 , LiSCN, Li (FSO 2 ) 2 N LiCF 3 CO 2 , LiCH 3 SO 3 , LiCF 3 SO 3 , LiN (SO 2 CF 3 ) 2 , LiTFSI, LiFSI, LiOH, LiOHH 2 O, LiBOB, LiN (SO 2 C 2 F 5 ) 2 , LiC 4 F 9 SO 3 , LiC (CF 3 SO 2) 3, (CF 3 SO 2) 2 NLi, LiOH.H 2 O, LiB (C 2 O 4) 2, chloroborane lithium, lower aliphatic carboxylic acid lithium, lithium tetraphenyl borate, lithium A lithium sal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m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like can be used.

바람직하기로, 상기 이온 공급 화합물은 전체 고분자 고체 전해질 내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기로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만약 상기 이온 공급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리튬 이온 전도도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 상의 큰 증가가 없어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한다.Preferably, the ion-supplying compound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30% by weight,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in the whole polymer solid electrolyte. If the content of the ion supplying compound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is not easy to ensure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effect is not greatly increased, which is uneconomical.

본 발명의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은 상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이란 고분자에 포함된 분자의 일부분으로 다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고 그 부분에 접하는 다른 부분과 화학 구조상 혹은 입체 배치상 다른 것을 블록이라 한다.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lock polymer having a phase-separated structure. The block is a block made of a plurality of constituent units as a part of molecules contained in the polymer and different in chemical structure or steric configuration from the other parts in contact with the block.

상기 상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는 구체적으로는 미세 상분리된 블록 고분자로서, 블록 고분자는 미세 상분리를 통해 나노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이온 전도도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lock polymer having the phase-separated structure is specifically a block polymer having a fine phase separation. The block polymer can form a nanostructure through fine phase separation, and the ionic conductivity can be improved by such a structural feature.

상기 미세 상분리된 블록 고분자의 제 1 블록은 하나의 예시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일 수 있다. The first block of the fine phase-separated block polymer may be a block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 one exampl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X는 단일 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S(=O)2-, 카보닐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C(=O)-X1- 또는 -X1-C(=O)-이며, 상기에서 X1은 산소 원자, 황 원자, -S(=O)2-,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이고, Y는 8개 이상의 사슬 형성 원자를 가지는 사슬이 연결된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1가 치환기이다.Wherein R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X is a single bond, an oxygen atom, a sulfur atom, -S (= O) 2 -, a carbonyl group, an alkylene group, an alkenylene group, (= O) -X 1 - or -X 1 -C (= O) -, wherein X 1 represents an oxygen atom, a sulfur atom, -S (= O) 2 -, an alkylene group, And Y is a monovalent substituent group comprising a ring structure having a chain having at least 8 chain-forming atoms linked thereto.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단일 결합"은 그 부위에 별도의 원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에서 X가 단일 결합이라면, Y가 직접 고분자 사슬에 연결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 single bond " a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at no separate atom is present at that site. For example, when X in the general formula (1) is a single bond, a structure in which Y is directly connected to a polymer chain can be realiz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단, 전술한 측쇄 사슬이 알킬기인 경우에 상기 알킬기는, 8개 이상, 9개 이상, 10개 이상, 11개 이상 또는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알킬기의 탄소 원자의 수는, 30개 이하, 25개 이하, 20개 이하 또는 16개 이하일 수 있다).The term "alkyl group" 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cludes straight chain,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Provided that when the above-mentioned side chain is an alkyl group, the alkyl group may have 8 or more, 9 or more, 10 or more, 11 or more And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lkyl group may be 30 or less, 25 or less, 20 or less, or 16 or les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일 수 있으며, 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단, 전술한 측쇄 사슬로서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8개 이상, 9개 이상, 10개 이상, 11개 이상 또는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의 탄소 원자의 수는, 30개 이하, 25개 이하, 20개 이하 또는 16개 이하일 수 있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alkenyl group" or "alkynyl group" as used herein refers to a straight chain alk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2 to 16 carbon atoms, 2 to 12 carbon atoms, 2 to 8 carbon atoms, Branched or cyclic alkenyl or alkynyl group, which may optionally be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provided that the above-mentioned alkenyl or alkynyl group as the side chain is at least 8, at least 9 , 10 or more, 11 or more, or 12 or more carbon atoms, and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lkenyl group or alkynyl group may be 30 or less, 25 or less, 20 or less, or 16 or less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렌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The term " alkylene group ", 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cludes a straight,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Lt; / RTI > alkylene group, which may optionally be substituted by one or more substituents.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다른 예시에서 -C(=O)O- 또는 -OC(=O)-일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1), X may be -C (= O) O- or -OC (= O) - in another example.

상기 화학식 1에서 Y는 전술한 사슬을 포함하는 치환기이고,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18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구조를 포함하는 치환기일 수 있다. 상기 사슬은, 예를 들면, 8개 이상, 9개 이상, 10개 이상, 11개 이상 또는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알킬기일 수 있다. 이 알킬기는, 30개 이하, 25개 이하, 20개 이하 또는 1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슬은, 상기 방향족 구조에 직접 또는 상기 언급한 링커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1), Y is a substituent containing the aforementioned chain, and may be, for example, a substituent containing an aromatic structure having 6 to 18 carbon atoms or 6 to 12 carbon atoms. The chain may be, for example, a straight chain alkyl group containing at least 8, at least 9, at least 10, at least 11 or at least 12 carbon atoms. The alkyl group may contain up to 30, up to 25, up to 20 or up to 16 carbon atoms. Such a chain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romatic structure or via the above-mentioned linker.

상기 제 1 블록은 다른 예시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block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n another example.

[화학식 2](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X는 -C(=O)-O-이며, P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렌기이며, Q는 산소 원자이고, Z는 사슬 형성 원자가 8개 이상인 상기 사슬이다.R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X is -C (= O) -O-, P is an arylene group having 6 to 12 carbon atoms, Q is an oxygen atom, Z is a chain Lt; / RTI > chain of 8 or more atoms.

상기 화학식 2에서 P는 다른 예시에서 페닐렌일 수 있고, Z는 다른 예시에서 탄소수 9 내지 20, 탄소수 9 내지 18 또는 탄소수 9 내지 16의 직쇄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에서 P가 페닐렌인 경우에 Q는 상기 페닐렌의 파라 위치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기, 아릴렌기, 페닐렌기 및 사슬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2), P may be phenylene in another example, and Z may be a straight chain alkyl group having 9 to 20 carbon atoms, 9 to 18 carbon atoms, or 9 to 16 carbon atoms in another example. In the above, when P is phenylene, Q may be connected to the para position of the phenylene. In the above, the alkyl group, arylene group, phenylene group and chain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상기 미세 상분리된 블록 고분자의 제 2 블록은 하나의 예시에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블록일 수 있다. The second block of the fine phase-separated block polymer may be a block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in one example.

[화학식 3]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X2는, 단일 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S(=O)2-,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C(=O)-X1- 또는 -X1-C(=O)-이며, 상기에서 X1은 단일 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S(=O)2-,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이고, W는 적어도 1개의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이다.In Formula 3 X 2 is a single bond, an oxygen atom, sulfur atom, -S (= O) 2 - , alkylene group, alkenylene group, alkynylene group, -C (= O) -X 1 - or -X 1 -C (= O) - is, in the X 1 is a single bond, oxygen atom, sulfur atom, -S (= O) 2 -, and the alkylene, alkenylene or alkynylene group, W is at least one An aryl group containing a halogen atom.

상기 화학식 3에서 X2는 다른 예시에서 단일 결합이거나, 알킬렌기일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3), X 2 may be a single bond or an alkylene group in another example.

상기 화학식 3에서 W의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이거나, 페닐기일 수 있고, 이러한 아릴기 또는 페닐기는 1개 이상,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또는 5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할로겐 원자의 수는, 예를 들면, 30개 이하, 25개 이하, 20개 이하, 15개 이하 또는 10개 이하일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가 예시될 수 있다.The aryl group of W in Formula 3 may be an aryl group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may be a phenyl group. The aryl group or phenyl group may have one or more, two or more, three or more, four or more, . ≪ / RTI > The number of halogen atoms in the above may be, for example, 30 or less, 25 or less, 20 or less, 15 or less, or 10 or less. As the halogen atom, a fluorine atom may be exemplified.

상기 화학식 3의 블록은 다른 예시에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The block of Formula 3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in another example.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X2는,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할로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1 내지 R5가 포함하는 할로겐 원자의 수는 1개 이상이다.In Formula 4 X 2 are the same as defined in formula (2), the number of R 1 to R 5 is a halogen atom, each independently, comprise a hydrogen, an alkyl group, a haloalkyl group or a halogen atom, R 1 to R 5 is 1 Or more.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할로알킬기 또는 할로겐일 수 있고, 상기에서 할로겐은 염소 또는 불소일 수 있다.In Formula 4, R 1 to R 5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 halo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halogen, wherein the halogen may be chlorine or fluorine.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5의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5개 이상 또는 6개 이상은 할로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12개 이하, 8개 이하 또는 7개 이하일 수 있다.In Formula 4, at least 2, at least 3, at least 4, at least 5 or at least 6 of R 1 to R 5 may include a halogen.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of halogen ato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2 or less, 8 or less, or 7 or less.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와 같은 2종의 블록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다른 제 3의 블록과 함께 포함하거나, 상기 2종의 블록만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의 2종의 블록과 미세 상분리 되는 제 3의 블록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제 3 블록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폴리 알킬렌옥사이드류, 폴리올레핀류, 폴리티오펜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블록과 제 2 블록의 합은 블록 고분자 전체 중량에서 70 이상 100 중량%일 수 있으며, 제 3 블록은 블록 고분자 전체 중량에서 대비 30 중량% 미만일 수 있다.The block copolymer may be a block copolymer containing either one or both of the above two types of blocks together with another third block or containing only the two types of blocks.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lock which is fine-phase-separated with the above two types of blocks. Specific examples of the third block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 (meth) acrylates, polyalkylene oxides, polyolefins, and polythiophenes. The sum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may be 70 to 10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lock polymer, and the third block may be less than 30 wt% to the total weight of the block polymer.

이때, 상기 미세 상분리된 블록 고분자에 대해 측정한 d-spacing 값은 0.1 내지 10 nm 일 수 있다. 상기 d-spacing 은 GIWAXS (Grazing-Incidence Wide-Angle X-ray Scattering)로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d-spacing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이면 이온 전도도이 저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spacing value measured for the fine phase-separated block polymer may be 0.1 to 10 nm. The d-spacing can be measured by GIWAXS (Grazing-Incidence Wide-Angle X-ray Scattering). If the d-spacing is less than or greater than the above range, the ion conductivity may be lowered.

본 발명의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산화제는 상기 이온 공급 화합물과 함께 이온 전도도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The oxidizing ag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n ion conductive polymer together with the ion supplying compound.

상기 산화제는 강력한 전자 받게 작용기 (electron withdrawing group)를 지니는 유기화합물로서, 블록 고분자로 또는 이온 공급 화합물로부터 전자를 받을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퍼설페이트기 함유 화합물, 시안기 함유 화합물, 할로젠기 함유 화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제는 철(Ⅲ) p-톨루엔설포네이트, 암모늄 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암모늄 옥살레이트, 암모늄 퍼클로레이트,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클로라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특히, 이온 전도도 향상과 전지의 성능 향상 측면에서 철(Ⅲ) p-톨루엔설포네이트,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클로라닐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oxidizing agent is an organic compound having a strong electron withdrawing group,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capable of receiving electrons from a block polymer or from an ion supplying compound. However, the oxidizing agent is not limited to a persulfate group-containing compound, Group-containing compound. Specifically, the oxidizing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III) p-toluene sulfonate, ammonium sulfate, ammonium persulfate, ammonium oxalate, ammonium perchlorate, 2,3-dichloro-5,6-dicyano- (III) p-toluene sulfonate, 2,3-dichloro-5,6-dihydroxybenzene, and the like can be used in view of the improvement of the ionic conductiv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ell performance. -Dicyano-1,4-benzoquinone, tetracyanoethylene, chloranil and mixtures thereof may be preferred.

본 발명의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는 이온 공급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부탄올, 2-에톡시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디클로로에탄,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에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헥사메틸포스아미드, 1,3-디메틸-2-이미다졸디논(1,3-Dimethyl-2-imidazolidinone),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감마-부티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As the solvent used for preparing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 ion supplying compound may be used. As the organic solvent, for example, methanol, ethanol, 2-propanol, butanol, 2- ethoxyethanol N, N-dimethylformamide, N, N-dimethylformamide, N, N-dimethylformamide, N, N-dimethylformamide, N, N-dimethylacetamide, N, N-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xide, hexamethylphosphamide, 1,3-dimethyl-2-imidazolidinone, triethylphosphate, and gamma-butyrolacton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용매의 함량은 최종 얻어지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의 점도를 고려하여 그 함량을 한정한다. 즉, 용매의 함량이 많을수록 최종 얻어지는 조성의 점도가 높아 고분자 고체 전해질 막의 제조 공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와 반대로 적을수록 점도가 낮아 이 또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limit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cosity of the finally obtained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That is,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solvent, the higher the viscosity of the final composition. Thu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membrane is not easy.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e viscosity, the lower the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의 30 ℃ 에 있어서의 용액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 cP,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 cP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700 cP일 수 있다. 이러한 점도 조절은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막으로 제작함에 있어 필름 공정성을 높이는 점도를 확보 할 수 있게 해준다. The solution viscosity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30 캜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0 to 1,000 cP, preferably 300 to 800 cP or less, more preferably 500 to 700 cP . This viscosity control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viscosity enhancing film fairness in the production of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s a film.

만약, 점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코팅액의 평탄성 저하로 인한 횡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두께가 불균일해지며 유동성이 없어져 균일한 도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코팅시 코팅액의 과도한 흐름으로 인한 얼룩 발생을 막을 수 있고 기계방향(MD, Mechanical Direction) 두께가 불균일 해지는 문제를 일으킨다.If the viscosity exceeds the above range, the thickness of the transverse direction (TD) due to the lowering of the flatness of the coating liquid becomes uneven and the flowability is lost and uniform coating become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tain due to excessive flow of the coating liquid and to cause a problem that the MD (Mechanical Direction) thickness becomes uneven.

전술한 바와 같은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은 전자 전도성이 모두 우수하며, 구체적으로 이온 전도도이 10-8 S/㎝ 이상일 수 있다.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is excellent in all of the electronic conductivity, and may have an ionic conductivity of 10 -8 S / cm or more.

고분자 고체 전해질 막Polymer solid electrolyte membrane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은 공지된 바의 필름 제조 공정을 수행하여 고분자 고체 전해질 막을 형성한다.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is subjected to a known film production process to form a polymer solid electrolyte membrane.

상기 필름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캐스트법(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또는 압축 성형법 등 임의의 적절한 필름 성형법을 들 수 있다. 이들 필름 성형법 중 용액 캐스트법(용액 유연법) 또는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film forming method include any suitable film forming method such as solution casting (solution casting), melt extrusion, calendering, or compression molding. Among these film forming methods, a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or a melt extrusion method is preferable.

일례로, 필름 제조를 위해선 용액 캐스트법(용액 유연법)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may be used for film production.

용액 캐스트법은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코팅하여 수행한다. 이때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에 직접 코팅하거나, 별도의 기판 상에 코팅 후 이를 분리하여 양극 및 음극과 합지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Solution casting is performed by coating a polymeric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t this time,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may be directly coated on one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or may be coated on a separate substrate, and then separated therefrom, followed by lapping with the anode and the cathode.

이때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3초산 셀룰로오스, 2초산 셀룰로오스, 폴리(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폴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셀로판, 폴리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각종의 플라스틱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도 사용할 수 있으며, 광투과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5 내지 150 ㎛가 바람직하며, 10 내지 50 ㎛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ubstrate may be 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Examples of the plastic substrate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alkyl (meth) acrylates, poly (meth) acrylate copolymers, polyvinyl alcohol Various plastic films such as polycarbonate, polystyrene, cellophane, polyvinylidene chloride copolymer, polyamide, polyimide,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polytetrafluoroethylene, and polytrifluoroethylene have. A composite material composed of two or more of these materials may also be used,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5 to 150 mu m, more preferably 10 to 50 mu m.

상기 코팅은 예를 들어 스핀 코팅(Spi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 슬롯다이 코팅(Slot die coating), 스프레이 코팅. 롤코팅, 압출코팅, 커튼코팅, 다이코팅, 와이어바코팅 또는 나이프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ating can be applied, for example, by spin coating, dip coating, solvent casting, slot die coating, spray coating, Roll coating, extrusion coating, curtain coating, die coating, wire bar coating or knife coating may be used.

이때 균일한 필름의 제조를 위해 각 공정에서의 파라미터 조절이 필요하다. At this time, parameter adjustment in each process is required for producing a uniform film.

일례로, 스핀 코팅의 경우 500 내지 4000 rpm에서 수행하거나, 두 단계로 나누어 코팅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닥터 블레이드 코팅의 경우 10 내지 200 ㎛의 두께 갭을 갖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코팅을 수행할 경우 0.5 내지 20 MPa의 분사압을 통해 5 내지 100회 사이의 분사 횟수로 분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의 설계 및 파라미터의 선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in coating may be performed at 500 to 4000 rpm, the coating step may be divided into two steps, and in the case of doctor blade coating, a device having a thickness gap of 10 to 200 탆 may be used. In addition, when spray coating is carried out, spraying can be carried out with a spraying pressure of 0.5 to 20 MPa and a spraying number of 5 to 100 times. The design of such a process and the selection of parameters can be controll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상기 코팅 이후 부가적으로 필름 건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coating, an additional film drying step may be performed.

이때 건조는 각 구성 성분이나 유기 용매의 종류, 및 함량비에 따라 다르지만 60 내지 100℃에서 30초 내지 15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60 to 100 ° C for 30 seconds to 15 minutes although it depends on the content of each constituent component, the type of organic solvent, and the content ratio.

상기 건조는 열풍 건조, 전자파 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동결건조 중의 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열풍 건조를 수행한다.The drying may be performed by one of hot air drying, electromagnetic wave drying, vacuum drying, spray drying, drum drying and freeze drying, preferably by hot air drying.

상기 코팅 및 건조를 수행한 후 고분자 고체 전해질 막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막의 두께로 형성하며, 필요한 경우 상기 코팅-건조 또는 코팅 단계를 1회이상 수행한다.After the coating and drying,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membrane is finally formed to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to be manufactured, and if necessary, the coating-drying or coating step is performed at least once.

또 다른 예로, 필름 제조를 위해서 용융 압출법이 사용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melt extrusion method may be used for producing a film.

용융 압출법으로는 예를 들어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3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이다. Examples of the melt extrusion method include a T-die method and an inflation method. The mold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50 to 350 占 폚, more preferably 200 to 300 占 폚.

상기 T 다이법으로 필름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공지된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 다이를 장착하고, 필름 형상으로 압출된 필름을 권취하여 롤 형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When a film is formed by the T-die method, a T-die is attached to the tip of a known single-screw extruder or a twin-screw extruder, and a rolled film is obtained by winding a film extruded in a film form.

필요에 따라, 상기 가열 용융은 1차 가열 용융, 여과 필터 통과 및 2차 가열 용융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시 가열 용융된 온도는 17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일 수 있다. T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된 후에는 70℃ 내지 140℃에서 유지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금속 드럼을 이용하여 냉각 및 고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캐스팅 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온도 조건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압출하여도 된다.If necessary, the heating and melting can be sequentially carried out through a first heat melting, a filtration filter passing, and a second heating and melting process. The temperature at which melt-extrusion is heated and melted may be from 170 캜 to 320 캜, preferably from 200 캜 to 300 캜. After being melt-extruded from the T die, it may be cooled and solidified using at least one or more metal drums held at 70 占 폚 to 140 占 폚. When a drum (casting roll) is use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extruded at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condition or below.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 막의 제조를 위한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A specific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membrane can be suitab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리튬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상기 제시하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은 높은 리튬 이온 전도도과 같은 물성으로 인해 리튬 이차전지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due to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igh lithium ion conductivity.

특히, 본 발명의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은 경화된 이온 공급 화합물 내에 블록 고분자가 분산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블록 고분자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이온 전도도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 역시 향상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a block polymer is dispersed in a cured ion supplying compound, and not only the ion conductivity is improved, but also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improve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polymer.

또한, 내열성, 내구성, 내화학성 및 난연성 등으로 인해 리튬 이차전지의 구동시 발생하는 문제점(발열, 폭발, 필름 열화 등)을 해소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전압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tage st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further improved by solving the problems (heat generation, explosion, film deterioration, etc.) that occur during operation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due to heat resistance,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은 리튬 이차전지에 적용하되, 고분자 고체 전해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하다.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can be preferably used as a polymer solid electroly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1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튬 이차전지(10)는 양극(11), 음극(15)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전해질로서 고분자 고체 전해질(13)을 사용하되, 이로서 상기 제시한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11, a negative electrode 15, and an electrolyte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13 is used as the electrolyte, One polymer solid electrolyte is used.

상기 제시한 고분자 고체 전해질(13)은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전위차, 낮은 전기 전도도, 고온 안정성 등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면서도 높은 리튬 이온 전도도을 나타내어, 전지의 전해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하여 전지의 성능 및 열적 안정성을 개선한다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13 described above exhibits high lithium ion conductivity while satisfying electrochemically stable potential difference, low electric conductivity and high temperature stability, and is preferably used as an electrolyte of a battery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battery. Improve

더불어, 상기 전해질(13)은 리튬 이온 전도도을 더욱 높이기 위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e 13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used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필요한 경우,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13)은 무기 고체 전해질 또는 유기 고체 전해질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무기고체 전해질은 세라믹 계열의 재료로,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Thio-LISICON(Li3 . 25Ge0 .25P0. 75S4), Li2S-SiS2, LiI-Li2S-SiS2, LiI-Li2S-P2S5, LiI-Li2S-P2O5, LiI-Li3PO4-P2S5, Li2S-P2S5, Li3PS4, Li7P3S11, Li2O-B2O3, Li2O-B2O3-P2O5, Li2O-V2O5-SiO2, Li2O-B2O3, Li3PO4, Li2O-Li2WO4-B2O3, LiPON, LiBON, Li2O-SiO2, LiI, Li3N, Li5La3Ta2O12, Li7La3Zr2O12, Li6BaLa2Ta2O12, Li3PO(4-3/2w)Nw (w는 w<1), Li3 . 6Si0 .6P0. 4O4 등의 무기 고체 전해질이 가능하다.If necessary,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13 further comprises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or an organic solid electrolyte. The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s a ceramic-based material, a crystalline or amorphous and crystalline materials can be used, Thio-LISICON (Li 3. 25 Ge 0 .25 P 0. 75 S 4), Li 2 S-SiS 2, LiI -Li 2 S-SiS 2 , LiI-Li 2 SP 2 S 5 , LiI-Li 2 SP 2 O 5 , LiI-Li 3 PO 4 -P 2 S 5 , Li 2 SP 2 S 5 , Li 3 PS 4 , Li 7 P 3 S 11, Li 2 OB 2 O 3, Li 2 OB 2 O 3 -P 2 O 5, Li 2 OV 2 O 5 -SiO 2, Li 2 OB 2 O 3, Li 3 PO 4, Li 2 O-Li 2 WO 4 -B 2 O 3, LiPON, LiBON, Li 2 O-SiO 2, LiI, Li 3 N, Li 5 La 3 Ta 2 O12, Li 7 La 3 Zr 2 O 12, Li 6 BaLa 2 Ta 2 O 12 , Li 3 PO (4-3 / 2w) Nw (w is w <1), Li 3 .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such as 6 Si 0 .6 P 0 .4 O 4 is possible.

유기 고체 전해질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 에스테르 설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등의 폴리머 계열의 재료에 리튬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organic solid electrolyte include polymer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derivatives, polyethylene oxide derivatives, polypropylene oxide derivatives, phosphate ester polymers, agitation lysine, polyester sulfide,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idene fluoride. A lithium salt may be mixed. At this time, they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at least one.

고분자 고체 전해질(13)로의 구체적인 적용 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공지된 방법을 선정 또는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specific application method to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nown method can be selected or select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고분자 고체 전해질(13)이 전해질로서 적용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10)는 양극(11) 또는 음극(15)의 제한이 없으며, 특히 고온에서 작동하는 리튬-공기 전지, 리튬 산화물 전지, 리튬-황 전지, 리튬 금속 전지, 및 전고체 전지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to which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13 is applicable as an electrolyte is not limited to the anode 11 or the cathode 15 and can be applied to a battery such as a lithium-air battery, a lithium oxide battery, , A lithium metal battery, and an all solid battery.

리튬 이차전지(10)의 양극(11)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 + xMn2 - xO4 (0≤x≤0.33),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구리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 - xMxO2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0.01≤x≤0.3)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 - xMxO2(M = Co, Ni, Fe, Cr, Zn 또는 Ta; 0.01≤x≤0.1) 또는 Li2Mn3MO8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LiNixMn2 - xO4로 표현되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Cu2Mo6S8, FeS, CoS 및 MiS 등의 칼코겐화물, 스칸듐, 루테늄, 티타늄, 바나듐, 몰리브덴,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등의 산화물, 황화물 또는 할로겐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TiS2, ZrS2, RuO2, Co3O4, Mo6S8, V2O5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sitive electrode 11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is a layered compound such as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lithium nickel oxide (LiNiO 2 ), or a compound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Lithium manganese oxides such as Li 1 + x Mn 2 - x O 4 (0 ? X? 0.33), LiMnO 3 , LiMn 2 O 3 and LiMnO 2 ; Lithium copper oxide (Li 2 CuO 2 ); Vanadium oxides such as LiV 3 O 8 , LiFe 3 O 4 , V 2 O 5 and Cu 2 V 2 O 7 ; Formula LiNi 1 - x M x O 2 ; Ni site type lithium nickel oxide which is represented by (M = Co, Mn, Al , Cu, Fe, Mg, B or Ga 0.01≤x≤0.3); Formula LiMn 2 - x M x O 2 (M = Co, Ni, Fe, Cr, Zn or Ta; 0.01≤x≤0.1), or Li 2 Mn 3 MO 8 (M = Fe, Co, Ni, Cu or Zn Im A lithium manganese composite ox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 lithium manganese composite oxide having a spinel structure represented by LiNi x Mn 2 - x O 4 ; LiMn 2 O 4 in which a part of Li in the formula is substituted with an alkaline earth metal ion; Disulfide compounds; Iron, cobalt, nickel, copper, zinc and the like, such as Fe 2 (MoO 4 ) 3 , Cu 2 Mo 6 S 8 , FeS, CoS and MiS, scandium, ruthenium, titanium, vanadium, molybdenum, Oxides, sulfides or halides of TiS 2 , ZrS 2 , RuO 2 , Co 3 O 4 , Mo 6 S 8 and V 2 O 5 may be used. However, no.

이러한 양극 활물질은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집전체는 양극 활물질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도록,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Such a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may use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having fin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so as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또한, 음극(15)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을 갖는 음극 합제층이 형성되거나, 음극 합제층(일예로, 리튬 호일)을 단독으로 사용한다. The negative electrode 15 is formed with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layer hav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or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layer (for example, lithium foil) alone.

이때 음극 집전체나 음극 합제층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의 재질이 사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kind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or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nown material can be used.

또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For example, carbon,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an aluminum-cadmium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having fin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또한, 음극 활물질은 결정질 인조 흑연, 결정질 천연 흑연, 비정질 하드카본, 저결정질 소프트카본,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수퍼-P, 그래핀(graphene), 섬유상 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소계 물질, Si계 물질, LixFe2O3(0≤x≤1), LixWO2(0≤x≤1), SnxMe1 - 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티타늄 산화물; 리튬 티타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ystalline artificial graphite, crystalline natural graphite, amorphous hard carbon, low crystalline soft carbon,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black, Super-P, graphene, or more carbon-based material, Si-based materials, LixFe 2 O 3 (0≤x≤1) , Li x WO 2 (0≤x≤1), Sn x Me 1 - x Me 'y O z (Me: Mn, Fe , Pb, Ge; Me ': Al, B, P, Si, Group 1, Group 2, Group 3 elements of the periodic table, Halogen; 0? X? 1; 1? Y? Metal complex oxides; Lithium metal; Lithium alloy; Silicon-based alloys; Tin alloy; SnO, SnO 2, PbO, PbO 2, Pb 2 O 3, Pb 3 O 4, Sb 2 O 3, Sb 2 O 4, Sb 2 O 5, GeO, GeO 2, Bi 2 O 3, Bi 2 O 4, Bi 2 O 5 and the like;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acetylene; Li-Co-Ni-based materials; Titanium oxide; Lithium titanium oxide,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에 더하여, 음극 활물질은 SnxMe1 - 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와 같은 탄소계 음극 활물질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SnxMe 1 - x Me 'y O 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of the periodic table Group 1, Group 2, Group 3 element, Halogen; 0 <x? 1; 1? Y? 3; 1? Z? 8); SnO, SnO 2, PbO, PbO 2, Pb 2 O 3, Pb 3 O 4, Sb 2 O 3, Sb 2 O 4, Sb 2 O 5, GeO, GeO2 2, Bi 2 O 3, Bi 2 O 4 , and Bi 2 O 5 and the like, and carbonaceous anode active materials such as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or carbon composit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때, 상기 전극 합제층은 바인더 수지, 도전재, 충진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de mixtur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binder resin, a conductive material, a filler, and other additives.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전극 활물질과 도전재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을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The binder resin is used for bonding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bonding to the current collector. Examples of such a binder resin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 Examples thereof include 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polymer (EPDM), sulfonated-EPDM, styrene-butadiene rubber, fluorine rubber and various copolymers thereof.

상기 도전재는 전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휘스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is used to further improve the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for exampl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 and metal fiber;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r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Polyphenylene derivative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충진제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The filler is optionally used as a component for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olefin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r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s and carbon fibers are used.

전술한 바의 리튬 이차전지(1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젤리-롤형, 스택형, 스택-폴딩형(스택-Z-폴딩형 포함), 또는 라미네이션-스택 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스택-폴딩형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jelly-roll type, a stack type, a stack-fold type (including a stack-Z-fold type), or a lamination- Preferably stack-folded.

이러한 상기 음극(15), 고분자 고체전해질(13), 및 양극(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제조한 후,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캡 플레이트 및 가스켓으로 밀봉하여 조립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한다.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15,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13 and the positive electrode 11 are sequentially laminated is manufactured,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a battery case. Then, the battery assembly is sealed and assembled with a cap plate and a gasket, .

이때 리튬 이차전지(10)는 사용하는 양극/음극 재질에 따라 리튬-황 전지, 리튬-공기 전지, 리튬-산화물 전지, 리튬 전고체 전지 등 다양한 전지로 분류가 가능하고,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코인형, 파우치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이즈에 따라 벌크 타입과 박막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전지의 구조와 제조 방법은 이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of batteries such as a lithium-sulfur battery, a lithium-air battery, a lithium-oxide battery, and a lithium total solid battery depending on the anode / , Coin type, pouch type, etc., and can be divided into a bulk type and a thin film type depending on the size. Th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se cell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10)는 고용량 및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 (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device requiring a high capacity and a high rate characteristic. Specific examples of the device include a power tool which is powered by an electric motor and moves;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and the like; An electric motorcycle including an electric bike (E-bike) and an electric scooter (Escooter); An electric golf cart; And a power storage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 1Example 1

미세 상분리되는 블록 고분자의 제1 블록으로 poly(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 및 제2 블록으로 poly(pentafluorostyrene)을 포함하는 블록 고분자 poly(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b-poly(pentafluorostyrene) (Mn 1.6만, Mw/Mn 1.15, 1 블록 대 2 블록 62:38 중량부) 2 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 10 ml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였다.Poly (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 -b-poly (pentafluorostyrene) (Mn 1.6 million, poly (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 as the first block of the fine phase-separated block polymer and poly (pentafluorostyrene) Mw / Mn 1.15, 1 block vs. 2 block 62:38 parts by weight) was dissolved in 10 ml of a tetrahydrofuran solvent to prepare a solution.

상기 용액에 산화제로서, 클로라닐 1 g, 이온 공급 화합물로서 LiTFSI 1 g을 첨가하고 용해시켜,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o the solution was added 1 g of chlororanil as an oxidizing agent and 1 g of LiTFSI as an ion supplying compound and dissolved to prepare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그 후,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전극 위에 도포하고 상온에서 하루 건조 후 180 ℃ 오븐에서 추가로 하루 동안 가열하여 두께 130 ㎛의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Then,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was coated on a stainless steel electrode using a bar coater,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and further heated in an oven at 180 ° C for one day to prepare a 130 탆 thick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실시예 2Example 2

미세 상분리되는 블록 고분자의 제1 블록으로 poly(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 제2 블록으로 poly(pentafluorostyrene), 및 제3 블록으로 polyethylene oxide을 포함하는 블록 고분자 poly(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b-poly(pentafluorostyrene)-b-polyethylene oxide (Mn 2.2만, Mw/Mn 1.30, 1 블록+2블록 대 3 블록 76:24 중량부) 2 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용매 10 ml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였다.(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 poly (pentafluorostyrene), and poly (4-dodecyloctylphenyl methacrylate), which contain polyethylene oxide as the third block, as the first block of the micro- 2 g of pentafluorostyrene-b-polyethylene oxide (Mn 2.2 million, Mw / Mn 1.30, 1 block +2 block 3 block 76:24 parts by weight) was dissolved in 10 ml of tetrahydrofuran solvent to prepare a solution.

상기 용액에 산화제로서, 클로라닐 1 g, 이온 공급 화합물로서 LiTFSI 1 g을 첨가하고 용해시켜,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o the solution was added 1 g of chlororanil as an oxidizing agent and 1 g of LiTFSI as an ion supplying compound and dissolved to prepare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그 후, 상기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전극 위에 도포하고 상온에서 하루 건조 후 180 ℃ 오븐에서 추가로 하루 동안 가열하여 두께 130 ㎛의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Then,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was coated on a stainless steel electrode using a bar coater,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and further heated in an oven at 180 ° C for one day to prepare a 130 탆 thick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비교예 1: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메틸 메타아크리레이트)을 사용하여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 및 고분자 막을 제조하였다.Except that the poly (methyl methacrylate) was used instead of the block polymer having a phase-separated structur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a polymer membrane.

실험예 1: 리튬 이온 전도도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lithium ion conductivity

Maker: Bio-Logic SAS의 VSP모델의 임피던스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고분자 고체 전해질 막의 리튬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Maker: Lithium ion conductivity of the polymer solid electrolyte membrane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an impedance meter of VSP model of Bio-Logic SA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예 2: d-spacing 측정Experimental Example 2: Measurement of d-spacing

GIWAXS (Grazing-Incidence Wide-Angle X-ray Scattering)로 d-spacing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d-spacing value was measured by GIWAXS (Grazing-Incidence Wide-Angle X-ray Scattering)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이온 전도도Ion conductivity 3 x 10-6 S/㎝3 x 10 -6 S / cm 5 x 10-5 S/㎝5 x 10 -5 S / cm 측정 불가Not measurable d-spacingd-spacing 0.48 nm0.48 nm 0.42 nm0.42 nm 측정 불가Not measurable

그 결과,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경우 리튬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고, 동시에 d-spacing 값이 0.1 내지 10 nm 범위 내인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리튬 이온 전도도의 측정이 불가하고, d-spacing을 측정할 수 있는 peak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 in Examples 1 and 2,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was excellent and the d-spacing value was in the range of 0.1 to 10 nm, whereas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was measured And no peaks were found to measure d-spacing.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리튬 이차전지
11: 양극
13: 고분자 고체 전해질
15: 음극
10: Lithium secondary battery
11: anode
13: Polymer solid electrolyte
15: cathode

Claims (4)

이온 공급 화합물;
상분리 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
Ion-supplying compounds;
A block polymer having a phase-separated structure; And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comprising an oxidizing agent.
제1항의 상분리 된 구조를 가지는 블록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막. A polymer membrane comprising a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block polymer having the phase-separated structure of claim 1. 제2항에 있어서, GI-WAXS로 측정한 d-spacing 값이 0.1 nm 내지 10 nm 인 고분자 막.The polymer membra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spacing value measured by GI-WAXS is 0.1 nm to 10 nm. 제2항에 있어서, 25 ℃ 이온 전도도가 10-8 S/cm 이상인 고분자 막.
The polymer membra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onic conductivity at 25 캜 is 10 -8 S / cm or more.
KR1020170059278A 2017-05-12 2017-05-12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2160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78A KR102160706B1 (en) 2017-05-12 2017-05-12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78A KR102160706B1 (en) 2017-05-12 2017-05-12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46A true KR20180124546A (en) 2018-11-21
KR102160706B1 KR102160706B1 (en) 2020-09-28

Family

ID=6460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278A Active KR102160706B1 (en) 2017-05-12 2017-05-12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70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472A1 (en) * 2019-05-09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lyte membrane for all-solid-state battery, and all-solid-state battery comprising same
CN113265055A (en) * 2020-02-14 2021-08-17 原子能与替代能源委员会 Comb polymer
EP3865533A1 (en) * 2020-02-14 2021-08-18 Commissariat à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Solid polymer electrolyte made of comb polymer
US12272783B2 (en) 2019-09-11 2025-04-08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membrane for all-solid state battery and all-solid state battery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176A (en) 2011-06-23 2013-01-03 오메크 인터렉티브, 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close-range movement tracking
KR20160105712A (en) * 2015-02-27 2016-09-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 copolymer with an enthanced ion transfer 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048379B2 (en) * 2018-03-27 2022-04-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steel she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176A (en) 2011-06-23 2013-01-03 오메크 인터렉티브, 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close-range movement tracking
KR20160105712A (en) * 2015-02-27 2016-09-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 copolymer with an enthanced ion transfer 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048379B2 (en) * 2018-03-27 2022-04-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steel shee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472A1 (en) * 2019-05-09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lyte membrane for all-solid-state battery, and all-solid-state battery comprising same
US12272783B2 (en) 2019-09-11 2025-04-08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membrane for all-solid state battery and all-solid state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3265055A (en) * 2020-02-14 2021-08-17 原子能与替代能源委员会 Comb polymer
EP3865533A1 (en) * 2020-02-14 2021-08-18 Commissariat à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Solid polymer electrolyte made of comb polymer
FR3107276A1 (en) * 2020-02-14 2021-08-20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Solid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comb polymer
CN113265055B (en) * 2020-02-14 2022-12-30 原子能与替代能源委员会 Comb polymers
US12095032B2 (en) 2020-02-14 2024-09-17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Solid polymer electrolyte including comb polymer containing polypentafluorostyrene grafted with solvating polymeric side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706B1 (en)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773B1 (en) Polymer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9863634B (en) Polymer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CN110476279B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10785886B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984727B1 (en)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12191498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7078741B2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metal batteries and lithium metal batteries containing them
KR102160705B1 (en)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EP3675243A2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90127604A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ll solid-state battery comprising polymer-based solid electrolyte and all solid-state battery manufactured thereby
CN112602208B (en) Electrode for all-soli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13678284B (en) Method for producing posi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produced thereb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N11213623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containing polymer-based solid electrolyte and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same
CN11193719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comprising a polymer solid electrolyte and electrode obtained by this method
KR102160706B1 (en)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nd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CN107851845A (en) A battery cell that includes a gel electrolyte component in the pores of the separator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KR102791146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311802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comprising polymer-based solid electrolyte for all solid-state battery and an electrode manufactured thereby
KR102268183B1 (en) Polymer Electroly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30091531A (en) A solid electrolyte membrane and all solid-stat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30032092A (en) A solid electrolyte membrane and all solid-stat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639661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