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23823A - An air circulator - Google Patents

An air circ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823A
KR20180123823A KR1020170058026A KR20170058026A KR20180123823A KR 20180123823 A KR20180123823 A KR 20180123823A KR 1020170058026 A KR1020170058026 A KR 1020170058026A KR 20170058026 A KR20170058026 A KR 20170058026A KR 20180123823 A KR20180123823 A KR 20180123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blowing fan
circumferential hol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6903B1 (en
Inventor
강수민
Original Assignee
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강수민 filed Critical 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903B1/en
Publication of KR2018012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90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2003/1682
    • F24F2003/168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의 경로를 지면과 수평하게 방사상으로 흐르도록 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공기순환기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irc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irculator that allows a wind path to flow radially horizontally to a ground surface, thereby making room air more comfortable over a wide range.

Description

공기순환기{An air circulator}An air circulator

본 발명은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의 경로를 지면과 수평하게 방사상으로 흐르도록 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irc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irculator capable of making the air flow radially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along the ground to make room air more comfortable over a wide range.

공기순환기는 실내 또는 폐쇄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먼지, 악취, 세균, 담배연기 등의 오염물질에 의하여 오염되어 있는 실내 또는 폐쇄공간의 공기를 청정공기로 정화시키는 것으로, 그 종류와 구성은 다양하게 개발되었다.The air circulator purifies the indoor or closed space air contaminated by contaminants such as dust, odors, bacteria, and cigarette smoke by clean air in order to comfortably improve the indoor or the closed space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통상적인 공기순환기는 송풍기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며 프리필터, 헤파필터, 활성탄필터 등 여러 종류의 필터들에 의해 공기 중 오염물질을 다단계로 여과시키거나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Conventional air circulators circulate indoor air by driving a blower and adopt a method of filtering or adsorbing air pollutants in a multistage manner by various kinds of filters such as a pre-filter, a hepafar filter, and an activated carbon filter.

공기순환기에 관한 구조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025468호에서는 천장부착형 공기순환기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는 천장에 공기순환기를 설치함에 따라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공기순환기에 이상이 있을 경우 높은 곳에 올라가 공기순환기를 확인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공기순환기의 이상 유무를 직접 알아보기 힘들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25468 discloses a ceiling-mounted air circulator. However, such a structure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air circulator on the ceiling, If there is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ascend to a high place to check the air circulator, so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rectly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air circulator.

또한, 크기가 커 공간을 많이 점유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바람이 흐르는 방향이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is large and occupies a lot of spa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production cost is high,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 flows is limited.

이에 따라, 설비공정이 단순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구동 밥법이 쉬우며, 넓은 범위에 걸쳐 바람이 흐를 수 있는 공기순환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n air circulator that can simplify the installation process,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 is easy to drive, and can flow wind over a wide range.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025468 (공개일자 2015년 03월 1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5468 (published on March 10, 2015)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의 경로를 제어하여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구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며, 일정 형상으로 구비되는 풍향커버를 통해 바람의 경로를 방사상으로 수평방향으로 퍼져 불도록 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내는 공기순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provide an indoor environment more comfortably by controlling a wind path. The wind path is radially sprea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wind direction cover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improved over a wide range.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개방홀(110)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슬릿(120)이 형성되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슬릿(120)에 끼워지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케이스통풍홀(210)이 형성된 통풍케이스(200); 상기 몸체(100)의 개방홀(110) 상측에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을 따라 슬릿형의 제1원주홀(310)이 형성되는 풍향커버(300);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400) 및 상기 제1송풍팬(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body (100) having an opening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lit (120) formed at a side thereof; A ventilation case 200 fitted into the slit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case ventilation holes 210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ody 100 is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in a conical shap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110 of the body 100 and has a larger diameter s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 wind direction cover 300 on which a hole 310 is formed;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first blowing fan 400 provided below the body 100.

또한, 상기 공기순환기는 상기 제1원주홀(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개폐손잡이(6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원주홀(3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제1원주홀(31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circulator ha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handle 610 protruding out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and is slid along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And a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60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개방홀(110)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슬릿(120)이 형성되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슬릿(120)에 끼워지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케이스통풍홀(210)이 형성된 통풍케이스(200); 상기 몸체(100)의 개방홀(110) 상측에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풍향커버(300); 표면에 다수의 송풍홀(710)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풍향커버(3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풍향커버(300) 하면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풍향커버(300)의 원주면을 따라 슬릿형상의 제2원주홀(720)이 형성된 상부커버(700);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400) 및 상기 제1송풍팬(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body 100 formed with a hole 11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lit 120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a columnar shape; A ventilation case 200 fitted into the slit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case ventilation holes 210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bottom surface of the windshield 30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dy 100.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shield cov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 A plurality of blow holes 710 ar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wind cover 300 so as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wind cover 30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wind cover 300, An upper cover 700 having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formed in a slit shape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first blowing fan 400 provided below the body 100.

또한, 상기 제2원주홀(720)은 상기 제2원주홀(7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개폐손잡이(8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원주홀(72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제2원주홀(720)과 상기 송풍홀(71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handle 810 protruding out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and sliding along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And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and the air blowing hole 710.

또한, 상기 풍향커버(300)는 하부 경사면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indshield cover 3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ower inclined surface is recessed upward.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송풍팬(400)의 하부에 슬릿형상으로 형성된 흡입장홀(41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hole 410 formed in a slit shape below the first blowing fan 400.

또한,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성패드(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case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more functional pads 220 therein.

또한, 상기 기능성패드(220)는 상기 통풍케이스(200)에 형성된 케이스통풍홀(210)과 대응되는 패드통풍홀(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unctional pad 2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d vent hole 221 corresponding to the case vent hole 210 formed in the ventilation case 200.

또한, 상기 공기순환기는 상기 통풍케이스(200) 상부에 제2송풍팬(8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통풍케이스(200)의 상하에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800)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circulator further includes a second blowing fan 800 disposed above the ventilation case 200 so that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800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ventilation case 200, Respectively.

또한, 상기 공기순환기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하는 풍력조절부(130)가 상기 몸체(100)의 표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circulator is provided with a wind control unit 130 on the surface of the body 100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wind intensity to the control unit 500.

또한, 상기 몸체(100)는 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 thereof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oncave shape inwar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된 풍향커버가 구비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서 공기 순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ir is circulated over a wide range by providing a wind direction cover having a conical bottom having a larger diameter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

또한,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지는 통풍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성패드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ventilation case that fits in the slit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various functional pads can be used.

예를 들어, 기능성패드가 방향제로 구비된 경우, 실내에 좋은 향을 남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functional pad is provided as a fragrance, there is an effect that a good fragrance can be left in the room.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패드가 해충퇴치패드로 구비된 경우, 바퀴벌레나 모기와 같은 해충들을 퇴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unctional pad is provided as an insect pest control pad, insects such as cockroaches and mosquitoes can be eliminated.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패드가 음이온필터로 구비되는 경우, 실내 공기를 보다 맑게 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functional pad is provided as an anion filter, indoor air can be cleaner and the body can be protected from fine dust.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패드가 항균패드로 구비되는 경우, 인체에 해로운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unctional pad is provided as an antibacterial pad, bacteria and microorganisms harmful to the human body can be removed.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슬릿과 이격되어 형성된 흡입장홀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송풍팬에 의한 공기 흡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ody further includes a suction hol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lit, thereby facilitating air suction by the first blowing fan.

또한, 몸체 표면에 콘넥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콘넥터에 어댑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댑터의 고장 시 어댑터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connecto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the adapter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adapter can be used only when the adapter fails,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본 발명의 공기순환기는 제1원주홀개폐장치 또는 제2원주홀개폐장치가 더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원주홀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풍량 및 풍향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ir cir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or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circumferential hole can be adjusted as much as the user desires, .

또한, 공기순환기의 송풍홀이 열리고 닫히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hole of the air circulator, the air volume can be adjusted as much as the user desires.

또한, 몸체의 통풍케이스 상부에 제2송풍팬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송풍팬을 통해 제1송풍팬이 구비된 경우보다 더 강한 풍력으로 공기순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second blowing fan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ntilation case of the body, air can be circulated with stronger wind than when the first blowing fan is provided through the second blowing fan.

또한, 상기 몸체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풍력조절부가 일면에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풍력조절부를 통해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ody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 power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wind power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wind power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wind control unit.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를 막아주는 받침대를 더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쌓인 먼지가 공기순환기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pedestal for block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is further provided, there is an effect that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air circul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운반이 용이하여,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spa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단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1의 몸통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제1원주홀개폐장치가 더 구비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도 6에 제2원주홀개폐장치가 더 구비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분해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부분 단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 tempor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Fig. 1; Fig.
Figure 3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f Figure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is further included in FIG. 1;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further including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FIG.
9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또는 "내장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 comprises ", " comprising ", " embedded ", or " compris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 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몸통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제1원주홀개폐장치가 더 구비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제2원주홀개폐장치가 더 구비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n engagement sectional view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f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and FIG. 8 is a cross-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9.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explana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장홀'이란 상대적으로 긴 형상의 구멍을 의미한다.&Quot; Long Hole " means a hole having a relatively long shape.

'대응'이란 어떤 두 대상이 주어진 어떤 관계에 의하여 서로 짝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Response' means that any two objects are paired with each other by a given relationship.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몸체(100), 통풍케이스(200), 풍향커버(300), 제1송풍팬(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1 to 4,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ventilation case 200, a wind direction cover 300, a first blowing fan 400, and a controller 500 ).

몸체(100)는 개방홀(110)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슬릿(120)이 형성되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dy 100 has an opening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lit 120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and formed into a columnar shape.

상기 몸체(100)는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0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and the body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부에 개방홀(11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dy 100 has an opening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개방홀(110)이란 뚫어지거나 파낸 자리와 같은 구멍을 의미한다.The open hole 110 means a hole such as a pierced or pierced hole.

예를 들어, 상기 개방홀(110)은 상기 몸체(100)가 드럼통과 같이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뚫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ning hole 1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is closed like a drum,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ed.

또 다른 예로, 상기 몸체(100)는 파이프의 형상과 같이 상부와 하부가 뚫려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ody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like a shape of a pipe.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개방홀(110)을 구비하는 구조라면, 드럼통과 파이프 형상 뿐 아니라, 다른 형상의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If the structure has the opening hole 110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it may have a structure of a different shape as well as a shape of a drum and a pipe.

또한, 상기 개방홀(110)에는 다른 물체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another object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110.

상기에서 상기 몸체(10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100)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각기둥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dy 100 may have a triangular prism, a square prism, or the like.

또한,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슬릿(120)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slit 12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상기 슬릿(120)은 다른 물체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공기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 12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other objects can be fitted.

예를 들어, 상기 슬릿(120)은 레일 구조로 구비되어, 통풍케이스(200)가 레일을 따라 끼워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lits 120 are provided in a rail structure so that the ventilation case 200 can be fitted along the rails.

다른 예로, 상기 슬릿(120)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른 물체가 끼워질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lit 12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so that another object can be fitted.

상기 슬릿(120)은 레일 구조나 홈 형상의 구조 뿐 아니라, 다른 물체가 끼워져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든지 형성될 수 있다.The slits 120 may be form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other objects can be fitted in addition to the rail structure or the groove structure.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측면에 슬릿(120)을 구비하며, 상기 슬릿(120)에는 통풍케이스(200)가 끼워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100 has a slit 120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ventilation case 200 can be fitted in the slit 120.

통풍케이스(200)는 상기 슬릿(120)에 끼워지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케이스통풍홀(210)이 형성된다.The ventilation case 200 is fitted in the slit 120, and a plurality of case ventilation holes 210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내부에 기능성패드(220)를 구비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The ventilation case 200 is provided to provide the functional pad 220 therein.

상기 통풍케이스(200)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케이스통풍홀(210)이 형성됨에 따라, 기능성패드(220)에 공기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Air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functional pad 220 by forming a plurality of case ventilation holes 210 through the ventilation case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케이스통풍홀(21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가 통과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The case ventilation holes 2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shape and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air can pass through the case ventilation holes 210.

또한,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기능성패드(22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 또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case 20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unctional pad 22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or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separat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상부 또는 하부 일측 면에 홈부를 다수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하부 또는 상부 면에 상기 홈부에 결합되는 핀부를 다수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ntilation case 20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n portions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o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groove portion.

이에 따라, 상기 홈부에 핀부가 결합되어 상기 통풍케이스(200)가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groove portion can be provided with a pin so that the ventilation case 200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또 다른 예로,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누름부가 형성되어 누름부를 누름에 따라, 힌지결합된 부분이 회동되어 통풍케이스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entilation case 200 may be hinged on one side and a push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hinged part is pivoted as the pushing part is pressed, so that the ventilation case can be opened and closed.

또 다른 예로,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두 개의 케이스가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entilation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two cases coupled in an interference fit.

또 다른 예로,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entilation case 200 may include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내측이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side is recessed.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았을 때,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이 생김에 따라, 기능성패드(220)는 상기 이격되는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so that the functional pads 220 can be provided in the spaced apart spaces.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핀결합이나 요홈결합을 통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engaged and disengaged through a pin or a groove.

상기와 같이,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든지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case 200 can be provid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be opened and closed.

또한, 상기 통풍케이스(200)가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패드(220)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ntilation case 200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various functional pads 220 can be used.

한편,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와는 다른 구조로 구비되어, 기능성패드(22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ventilation case 200 may have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unctional pad 220.

예를 들어,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일측 또는 양측이 개구된 홈 또는 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ntilation case 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hole having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opened.

즉, 상기 통풍케이스(200)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상기 삽입홈에 기능성패드(220)를 넣고 뺄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unctional pad 220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in a groove or a hole formed in the ventilation case 200.

상기 통풍케이스(200)를 거쳐 몸체(100)의 상부(수직)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통풍케이스(200) 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성패드(220)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기능성패드(220)의 효과를 볼 수 있다.When the air moves in the upper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00 through the ventilation case 200, one or more functional pads 220 are provided in the ventilation case 200, 220) can be seen.

풍향커버(300)는 상기 몸체(100)의 개방홀(110) 상측에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을 따라 슬릿형의 제1원주홀(310)이 형성된다.The windshield cover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hole 110 of the body 100 and has a conical bottom surface having a larger diameter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 slit-shaped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is form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커버(300)는 상기 몸체(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몸체(100) 하부에서 유입되어 몸체(100) 내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공기의 경로를 수평방향으로 퍼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3, the windshield cover 300 is spaced from th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irflow covers the air flow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and rising vertically along the inside of the body 100 It serves to guide the pa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풍향커버(3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windshield cover 30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diamet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풍향커버(300)가 상기 몸체(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에 따라, 원주 형상의 틈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틈이 제1원주홀(310)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indshield cover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100 by a certain distance, a circumferential gap is formed. The gap thus generated becomes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즉, 상기 풍향커버(300)의 하면을 따라 공기가 이동됨으로써, 공기가 방사상의 수평방향으로 퍼져 흐를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air is mov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 deflector cover 300 so that the air can flow in the radial direction.

공기가 방사상의 수평방향으로 흐름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순환기를 통해 공기의 순환을 넓은 범위에 걸쳐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s the air flows in the radial, horizontal direction, the circulation of air through the air cir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acilitated over a wide range.

이처럼, 상기 풍향커버(300)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변환해주기 위한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풍향커버(3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일부분이 몸체(100)에 형성된 개방홀(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windshield cover 3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110 formed in the body 100, Can be inserted.

상기 풍향커버(3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일부분이 몸체(100)에 형성된 개방홀(110) 내부로 삽입될 때, 풍향커버(300) 하면 표면적의 60 내지 90프로가 개방홀(1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공기직하다.When a portion protru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wind defl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open hole 110 formed in the body 100, 60 to 90% of the surface area of the wind defl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open hole 110 It is straightforward to be inserted.

만일, 상기 개방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풍향커버(300) 하면 표면적이 60% 미만인 경우, 제1원주홀(310)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가 상기 개방홀(110)을 통과할 때 풍속이 느려진다.If the bottom surfac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shield 300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110 is less than 60%,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becomes relatively large, ), The wind speed slows down.

반면, 상기 개방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풍향커버(300) 하면 표면적이 90%를 초과하여 삽입되어 구비되는 경우, 제1원주홀(310)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가 상기 개방홀(110)을 통과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up cover 300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110 is inserted with a surface area exceeding 90%,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becomes relatively small, May have difficulty in passing through the opening 110.

따라서, 상기 개방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풍향커버(300)의 돌출부는 상기 풍향커버(300) 표면적의 60 내지 90프로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공기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wind deflector cover 300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110 allows 60 to 90 percent of the surface area of the wind deflector cover 300 to be inserted.

제1송풍팬(400)는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된다.The first blowing fan 400 is installed under the body 100.

상기 제1송풍팬(4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송풍팬(400)은 몸체(100) 하부에 구비된다. The first blowing fan 400 is for supplying air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and the first blowing fan 400 is disposed under the body 100.

상기 제1송풍팬(400)은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여 날개가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blowing fan 400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and the air can be mov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while rotating the blades.

제어부(500)는 상기 제1송풍팬(400)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first blowing fan 400.

상기 제어부(500)는 공기순환기 어느 곳에나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제1송풍팬(400)의 공기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in the air circulation system, and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air in the first blowing fan 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하는 풍력조절부(130)가 몸체(100)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1 to 3,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 control unit 130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air to the control unit 50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또한, 상기 풍력조절부(130)는 버튼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wind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예를 들어, 상기 버튼이 1단, 2단, 3단 등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버튼을 각각 누름에 따라,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의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ttons may be provided in a first stage, a second stage, a third stage, or the like, and the intensity of air in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may be adjusted .

상기 버튼이 1단, 2단, 3단 등으로 다수 구비된 경우,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의 버튼을 한 번만 눌러 원하는 공기의 세기를 선택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buttons are provided in the first, second, third, or the like, the intensity of the desired air can be selected by pressing the buttons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once.

이에 따라, 상기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의 공기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ensities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can be easily adjusted.

다른 예로, 상기 버튼은 터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utton may be provided as a touch type.

즉, 하나의 버튼이 터치형으로 구비되어,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의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one button is provided as a touch type, and the intensity of the air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상기 버튼이 하나로 구비됨에 따라, 하나의 버튼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버튼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Since the buttons are provided as one unit, the buttons can be operated by one button,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buttons can be minimized.

또 다른 예로, 상기 풍력조절부(130)가 로터리스위치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As another example, the wind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otary switch (see FIGS. 1 to 3)

로터리스위치란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구조의 스위치를 의미한다.Rotary switch means a switch that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상기 풍력조절부(130)가 로터리스위치로 구비된 경우, 로터리스위치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의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wind control unit 130 is provided as a rotary switch, the air intensities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ry switch.

상기 풍력조절부(130)는 상기와 같은 구조뿐만 아니라 상기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의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든지 구비될 수 있다.The wind control unit 13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air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as well a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상기와 풍력조절부(130)를 몸체(100)에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의 공기의 세기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wind power control unit 130 and the wind power control unit 130 are provided on the body 1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air intensities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40)가 몸체(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1 to 3, the pedestal 14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받침대(140)는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edestal 14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columnar shape.

또한, 상기 받침대(140)는 삼각대와 같이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140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s such as a tripod.

또한, 상기 받침대(140)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 하측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받침대(140)는 저면의 중앙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edestal 1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the pedestal 140 may have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상기 받침대(140)는 몸체(10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공기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edestal 14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fitted in the body 100.

또한, 상기 받침대(140)를 구비함에 따라, 공기순환기를 바닥에 안정감 있게 세울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destal 140 is provided, the air circulator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floor.

또한, 상기 받침대(1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몸체(100)가 바닥과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edestal 140, the body 100 can be prevented from touching the floor.

상기 받침대(140)를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먼지가 쌓여 있는 경우 제1송풍팬(400)이 작동하게 될 때, 바닥의 먼지를 몸체(100) 내부로 끌어올리지 않아 공기순환기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By providing the pedestal 140, when the first blowing fan 400 is operated when dust is accumulated on the floor, the dust on the floor is not lifted up into the body 100, so that the air circulator can be used hygienically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제어부(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넥터(150)가 몸체(100) 또는 받침대(140)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1 to 3,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or a pedestal 140, which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ler 500, As shown in FIG.

상기 콘넥터(150)가 공기순환기 표면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콘넥터(150)에 어댑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nnector 150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air circulator, an adapter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50.

상기 콘넥터(150)에 어댑터를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어댑터의 고장 시 어댑터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the adapt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50, it is possible to use the adapter only when the adapter fails,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상기 제1원주홀(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개폐손잡이(6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원주홀(3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제1원주홀(31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5,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protruding out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and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And a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60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by sliding movement along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

다시 말해, 상기 풍향커버(300)가 몸체(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에 따라 형성된 제1원주홀(31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formed by the wind direction cover 300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또한,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제1개폐손잡이(6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는 상기 제1원주홀(31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vice 600, and the first opening / In order to control the degree to which

즉,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가 상기 제1원주홀(3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함에 따라, 제1원주홀(310)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s the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slides along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의 소정 부분에 접철의 기능을 제공하는 자바라 주름식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접고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may be formed in a bellows-like structure that provides a folding function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고, 구간 간에 겹쳐지는 부분이 항상 발생되도록 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되어, 각각의 구간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may be formed as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overlapping sections are always generated between sections,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구조 뿐 아니라,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는 상기 제1원주홀(310)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open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는 상기 풍향커버(300)와 몸체(100) 사이에 구비되어야 한다.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should be provided between the wind deflector cover 300 and the body 100.

예를 들어,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와 접촉되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풍향커버(300)에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의 상부와 하부가 레일과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상기 제1원주홀(310)을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rail is formed on the body 100 and the wind direction cover 30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And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600 may slide in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커버(300)와 몸체(100) 사이에 형성된 제1원주홀(310) 상에 제1원주홀가이드(62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원주홀가이드(620)에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결합 될 수 있다.5, a first circumferential hole guide 620 may be provided on a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formed between the windshield cover 300 and the body 100,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620.

상기 제1원주홀가이드(620)는 내부에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 면으로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guide 620 includes a space for receiving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600 therein. A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guide 620 to allow the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to move. have.

즉, 상기 제1원주홀가이드(620)의 외측 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에 연결된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움직이면서 제1원주홀(310)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Closing handle 610 is moved along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guide 620,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600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can be adjusted.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는 하나 또는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handle 610 may be provided in one or two openings.

예를 들어,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가 하나로 구비되고, 제1개폐손잡이(610)가 없는 측 끝단이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의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제1원주홀(310)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handle 610 is provided as one unit and the side end withou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handle 610 is fix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handle 610, And a part of the display unit 310 may be opened.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둘로 분할되고,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가 둘로 구비되며, 제1개폐손잡이(610)가 없는 측 끝단이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의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제1원주홀(310)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5,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is divided into two, the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is provided in two, and the side end without the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A part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may be ope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handle 610. [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의 한 쪽 끝단이 고정되는 경우, 제1원주홀(310)이 열리는 방향이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When one end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is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is limi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고정되는 부분이 없으며, 상기 제1개폐손잡이(610)가 두 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열고자 하는 제1원주홀(310)을 다양한 방향, 다양한 각도로 열 수 있음에 따라, 풍향 또한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is no portion where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600 is fixed,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10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can be opened in various directions and at various angles, the wind direction can als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몸체(100), 통풍케이스(200), 풍향커버(300), 상부커버(700), 제1송풍팬(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6 to 7,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ventilation case 200, a wind direction cover 300, an upper cover 700, a first blowing fan (not shown) 400 and a control unit 500.

몸체(100)는 개방홀(110)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슬릿(120)이 형성되며, 단면이 원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dy 100 has an opening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lit 120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pillar shape having a circular section.

통풍케이스(200)는 상기 슬릿(120)에 끼워지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케이스통풍홀(210)이 형성된다.The ventilation case 200 is fitted in the slit 120, and a plurality of case ventilation holes 210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풍향커버(300)는 상기 몸체(100)의 개방홀(110) 상측에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다.The windshield cover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110 of the body 100 and has a conical bottom surface having a larger diameter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do.

제1송풍팬(400)는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된다.The first blowing fan 400 is installed under the body 100.

제어부(500)는 상기 제1송풍팬(400)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first blowing fan 400.

몸체(100), 통풍케이스(200), 풍향커버(300), 제1송풍팬(400) 및 제어부(500)는 도 1 내지 도 3를 예로 설명하면서 설명하였기에,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body 100, the ventilation case 200, the wind direction cover 300,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부커버(700)는 표면에 다수의 송풍홀(710)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풍향커버(3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풍향커버(300) 하면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풍향커버(300)의 원주면을 따라 슬릿형상의 제2원주홀(720)이 형성된다.The upper cover 700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710 formed in its surfac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irfoil cover 300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irfoil cover 300,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having a slit shap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 deflector cover 300.

상기 상부커버(700)는 상기 몸체(100)와 연결되며, 상기 풍향커버(300)와는 일정거리 이격된다.The upper cover 700 is connected to the body 1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windshield cover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즉, 도 1 내지 4의 실시예에서는 몸체(100)와 풍향커버(300) 사이에 제1원주홀(310)이 형성되었으나, 도 6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풍향커버(300)와 상부커버(700) 사이에 제2원주홀(720)이 형성된다.1 to 4,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wind direction cover 300.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S. 6 to 7, the wind direction cover 300,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700 and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다시 말해, 상기 풍향커버(300)와 상부커버(700)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에 따라, 원주 형상의 틈이 생기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틈이 제2원주홀(720)이 된다.In other words, as the windshield cover 300 and the upper cover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 circumferential gap is created, and the gap thus generated becomes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상기 상부커버(700)의 송풍홀(710)을 개폐할 수 있는 송풍홀개폐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low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w hole 710 of the upper cover 700.

예를 들어, 상부에서 바라볼 때, 부채꼴 형태로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top,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상기 제2원주홀(7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개폐손잡이(8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원주홀(72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제2원주홀(720)과 상기 송풍홀(71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8,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protruding out of the second circumference hole 720, and the second circumference hole 720 And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and the air blowing hole 710.

다시 말해, 상기 풍향커버(300)와 상부커버(700)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에 따라 형성된 제2원주홀(72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formed as the wind direction cover 300 and the upper cover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have.

또한,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제2개폐손잡이(8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는 상기 제2원주홀(72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device 800, and the second opening / In order to control the degree to which

즉,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가 상기 제2원주홀(72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함에 따라, 제2원주홀(720)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s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slides along the second circumference hole 720,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second circumference hole 720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의 소정 부분에 접철의 기능을 제공하는 자바라 주름식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접고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may be formed in a bellows-like structure that provides a folding function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

또 다른 예로,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고, 구간 간에 겹쳐지는 부분이 항상 발생되도록 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되어, 각각의 구간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8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is formed in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overlapping portions are always generated between the sections, so that each section slides along the rails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구조 뿐 아니라,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는 상기 제2원주홀(720)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80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open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는 상기 풍향커버(300)와 상부커버(700) 사이에 구비되어야 한다.The second circumference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should be provided between the windshield cover 300 and the upper cover 700.

예를 들어,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와 접촉되는 상기 풍향커버(300)와 상부커버(700)에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의 상부와 하부가 레일과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상기 제2원주홀(720)을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rail is formed on the windshield cover 300 and the upper cover 70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ircumference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800,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circumference hole opening / And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slides on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커버(300)와 상부커버(700) 사이에 형성된 제2원주홀(720) 상에 제2원주홀가이드(820)가 구비되어, 상기 제2원주홀가이드(820)에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결합 될 수 있다.8,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guide 820 may be provided on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formed between the windshield cover 300 and the upper cover 700, And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800 may be coupled to the hole guide 820. [

상기 제2원주홀가이드(820)는 내부에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 면으로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guide 820 has a space for receiving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therein, and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guide 820 to allow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to move. have.

즉, 상기 제2원주홀가이드(820)의 외측 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에 연결된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움직이면서 제2원주홀(720)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moves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along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guide 820,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can be adjusted.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는 하나 또는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may be provided in one or two openings.

예를 들어,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가 하나로 구비되고, 제2개폐손잡이(810)가 없는 측 끝단이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의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제2원주홀(720)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is provided as one unit and the side end without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is fix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And a part of the display unit 720 may be opened.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둘로 분할되고,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가 둘로 구비되며, 제2개폐손잡이(810)가 없는 측 끝단이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의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제2원주홀(720)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8,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800 is divided into two,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is provided in two, and the side end without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A part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may be ope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handle 810. [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의 한 쪽 끝단이 고정되는 경우, 제2원주홀(720)이 열리는 방향이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is limited when one end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apparatus 800 is fix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고정되는 부분이 없으며,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가 두 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열고자 하는 제2원주홀(720)을 다양한 방향, 다양한 각도로 열 수 있음에 따라, 풍향 또한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is no part where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is fixed,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810 is provided, thereby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can be opened in various directions and at various angles, the wind direction can als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상기 제2개폐손잡이(810)는 상기 제2원주홀(720)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다수의 송풍홀(710)이 개방되는 정도 또한 조절할 수 있도록, 송풍홀개폐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handle 810 is provided with a blow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and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plurality of blow holes 710 Can be connected.

즉,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심점으로부터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개방된 지점까지 연결된 부채꼴 영역에 해당되는 송풍홀(71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viewed from above, the blow hole 710 corresponding to the fan-shaped area connected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point where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is opened can be open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풍향커버(300)는 하부 경사면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ir cover 300 of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with a lower inclined surface concaved in the upward direction.

이는,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된 제1송풍팬(400)이 작동되어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공기가 흐를 때,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풍향커버(300)의 하면을 따라 방사상의 수평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blowing fan 40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operates and air flow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So as to change the radial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urfac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몸체(100)는 상기 제1송풍팬(400)의 하부에 슬릿형상으로 형성된 흡입장홀(41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 to 4, a body 100 of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ction hole 410 formed in a slit shape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

본 발명의 공기순환기를 바닥에 올려두어 사용하게 되는 경우, 제1송풍팬(400)의 흡입 측 방향이 막혀 있을 수 있어, 상기 제1송풍팬(400)이 공기를 흡입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When the air cir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on the floor and used,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may be blocked, so that the first blowing fan 400 has difficulty in sucking in air .

상기 흡입장홀(410)은 상기 제1송풍팬(400)이 공기 흡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The suction hole (410)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suction of air by the first blowing fan (400).

이를 위해, 상기 흡입장홀(410)은 상기 제1송풍팬(400)의 흡입 측 방향(제1송풍팬(400)의 하측)에 상기 몸체(100)를 관통하도록 슬릿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the suction hole 410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so as to pass through the body 100 in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또한, 상기 흡입장홀(41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송풍팬(400)이 작동될 때, 공기순환기 내부에 바닥에 쌓인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공기순환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ventilation fan 400 is operated,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air circulator as the suction hole 410 is formed, so that the air circulator can be used hygienically.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통풍케이스(200)는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성패드(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entilation case 200 of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unctional pads 220 therein.

즉, 상기 통풍케이스(200) 내부에는 기능성패드(220)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복수로도 구비될 수 있다.That is, one functional pad 220 may be provided in the ventilation case 200, but a plurality of functional pads 220 may be provided.

상기 기능성패드(220)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패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unctional pad 220 may be a pad having various functions.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성패드(220)가 방향제로 구비되어 실내에 강한 향을 남겨 실내에 좋은 향이 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unctional pad 220 may be provided as a fragrance to leave a strong fragrance in the room, so that a good fragrance can be produced in the room.

방향제의 종류로는 아로마 향초, 석고방향제, 포푸리에서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fragrance may be selected from aromatherapy herb, gypsum fragrance, and potpourri.

상기 기능성패드(220)가 아로마 방향제로 구비되었을 때, 각 향에 따라, 심신 안정과 불면증 완화,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When the functional pad 220 is provided as an aroma fragrance agent, effects such as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relieving insomnia, and relieving stress can be imparted.

또한, 상기 기능성패드(220)가 석고방향제로 구비된 경우, 습기와 생활 속 냄새를 빨아들일 수 있으며, 실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곰팡이를 예방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unctional pad 220 is provided as a gypsum fragrance, it can suck moisture and a living smell, and can remove moisture in the room, thereby preventing fungi.

또한, 상기 기능성패드(220)가 포푸리로 구비될 수 있는데, 포푸리란 드라이 플라워와 향이 좋은 식물, 잎사귀, 과일 껍질 등을 조합하여 주머니에 넣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functional pad 220 may be provided as a potpourri, which means that a potpourri is a combination of a dry flower, a fragrant plant, a leaf, and a fruit skin.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주머니 형상으로 구비한 후, 포푸리 방향제를 넣어 실내에 좋은 향을 나게 하여 심신의 안정을 주고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After the functional pad 2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g, a potpourri fragrance is put into the room to give a pleasant fragrance to the room,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stabilizing the mind and body and relieving stress.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탈취제로 구비하여 실내의 냄새를 약하게 중화시켜 좁은 공간의 악취를 방지해 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pad 220 may be provided as a deodorant to neutralize the odor of the room lightly to prevent odor in a narrow space.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해충방지패드로 구비하여, 모기나 날파리와 같은 벌레들을 퇴치할 수 있어, 해충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since the functional pad 220 is provided as an insect-proof pad, insects such as a mosquito and a flea can be eliminated, and the damage caused by insect pests can be prevented.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항균필터로 구비하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이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pad 220 may be provided as an antibacterial filter to remove bacteria or microorganisms harmful to the human body.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음이온필터로 구비하여 공기 중에 떠있는 유해물질을 음이온을 이용해 제거하여, 실내의 공기 중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 및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어 공기 중에 불쾌한 냄새 등을 흡착하여 그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pad 220 may be provided as an anion filter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floating in the air by using anions to filter relatively large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in the room to remove unpleasant odors And the odor can be removed by adsorption.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복수로 구비하는 예로는, 방향기능과 항균기능을 원할 경우에는 방향제 역할을 하는 기능성패드와 항균기능을 하는 기능성패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the functional pads 220 are desired, a functional pad functioning as a fragrance and a functional pad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when a directional function and an antibacterial function are desired.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복수로 구비하는 다른 예로는, 방향기능과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원할 경우에는, 방향제 역할을 하는 기능성패드와 실내의 공기 중 큰 입자와 미세 입자를 걸러내는 음이온필터 역할을 하는 기능성패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functional pads 220 includes a function pad serving as a fragrance function and an anion filter for filtering large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in the room, Functional pads acting as a function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이 기능성패드를 복수로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성패드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functional pads are provided, the effects of various functional pads can be seen at the same tim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기능성패드(220)는 상기 통풍케이스(200)에 형성된 케이스통풍홀(210)과 대응되는 패드통풍홀(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 the function pad 220 of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ventilation hole 210 formed in the ventilation case 200 and a pad ventilation hole 221 corresponding to the case ventilation hole 210 And the like.

상기 기능성패드(220)에 상기 패드통풍홀(221)이 구비됨에 따라, 제1송풍팬(400)에서 불어오는 공기가 상기 기능성패드(22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As the pad ventilation hole 221 is provided in the functional pad 220, the air blown from the first ventilation fan 400 can easily pass through the functional pad 220.

만일, 상기 패드통풍홀(221)이 상기 케이스통풍홀(210)과 대응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된다면, 공기의 경로가 막히게 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If the pad ventilation holes 221 are provided in a manner not corresponding to the case ventilation holes 210, the path of the air is blocked and the airflow can be interrupted.

상기 패드통풍홀(221)의 형상은 상기 케이스통풍홀(210)의 형상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케이스통풍홀(210)과 패드통풍홀(221)이 형성된 위치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공기직하다.The shape of the pad ventilation hole 221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ase ventilation hole 210 but the position where the case ventilation hole 210 and the pad ventilation hole 221 are formed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airy.

즉,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공기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pass.

또한, 상기 패드통풍홀(221)은 앞서 언급했던 케이스통풍홀(210)의 형상에서와 같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통풍홀(210)과 대응되도록 상기 패드통풍홀(221)은 원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공기직하다.The pad vent holes 22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as in the shape of the case ventilation hole 210. The pad ventilation holes 22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ase ventilation holes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221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는 상기 통풍케이스(200) 상부에 제2송풍팬(9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통풍케이스(200)의 상하에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9 to 10, an air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blowing fan 90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ntilation case 200, and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ventilation case 200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송풍팬을 하부에 구비하는 것에 비해 상부에 구비하는 것이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를 더욱 강하게 할 수 있으나, 통풍케이스(200)로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송풍팬을 통풍케이스(200) 하부에 구비하는 것이 공기직하다.The ventilation fan 20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ntilation case 200 so that the ventilation fan 20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ntilation case 200.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passage of air into the ventilation case 2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따라서, 상기 제1송풍팬(400)의 공기가 상기 통풍케이스(200)를 통과하도록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하는 것이 공기직하며, 상기 통풍케이스(200) 상부에는 제2송풍팬(900)을 더 구비하여, 공기의 세기를 더 강하게 하여 공기순환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of the first blowing fan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so as to pass through the ventilation case 2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So that the air circulation can be facilitated by making the intensity of air strong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기의 몸체(100)는 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body 100 of the air circ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ide surface concaved inward.

또한, 상기 몸체(100)는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는 중앙부근이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공기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shape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thereof so as to facilitate air circulation.

다시 말해, 상기 몸체(100)의 내경 단면적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공기직하다.In other words, the inner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100 is relatively narrow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to the central portion, and is relatively wider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00 toward the upper portion.

이때, 상기 슬릿(120)을 중심부 측에 형성하는 것이 공기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lit 120 on the center side.

상기 몸체(100)가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몸체(100)의 중심부로 갈수록 몸체(100)가 좁아지므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하여 몸체(100)의 중심부로 갈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며,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Since the body 100 is narrowed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100 due to the concave shape of the body 100 in the inward direction,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decreases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100 due to the principle of Bernoulli And the pressure is lowered.

이는,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확산(기화 등)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도록 하여 기능성 패드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is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al pad by allowing diffusion (such as vaporization) to progress more rapidly as the air pressure is lowered.

베르누이 원리란, 유체(공기나 물처럼 흐를 수 있는 기체나 액체)는 빠르게 흐르면 압력이 감소하고, 느리게 흐르면 압력이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그래서 유체가 좁은 곳을 통과할 때에는 속력이 빨라지기 때문에 압력이 감소하고, 넓은 곳을 통과할 때에는 속력이 느려지기 때문에 압력이 증가하는 원리이다.The Bernoulli principle is that a fluid (a gas or liquid that can flow like air or water) will decrease in pressure when it flows, and a pressure will increase if it flows slowly. Therefore,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a narrow space, the pressure decreases because the speed increases, and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a wide area, the pressure is increased because the speed is slowed.

이상 본 발명의 공기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몸체
110 : 개방홀 120 : 슬릿
130 : 풍력조절부 140 : 받침대
150 : 콘넥터
200 : 통풍케이스
210 : 케이스통풍홀
220 : 기능성패드
221 : 패드통풍홀
300 : 풍향커버
310 : 제1원주홀
400 : 제1송풍팬
410 : 흡입장홀
500 : 제어부
600 : 제1원주홀개폐장치
610 : 제1개폐손잡이 620 : 제1원주홀가이드
700 : 상부커버
710 : 송풍홀
720 : 제2원주홀
721 : 제2원주홀차단부
800 : 제2원주홀개폐장치
810 : 제2개폐손잡이
900 : 제2송풍팬
100: Body
110: opening hole 120: slit
130: wind force control unit 140: pedestal
150: Connector
200: ventilation case
210: Case ventilation hole
220: Functional pad
221: Pad ventilation hole
300: Wind direction cover
310: first circumferential hole
400: first blowing fan
410: Suction chamber
500:
600: First circumference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610: first opening / closing handle 620: first circumferential hole guide
700: upper cover
710: Ventilation hole
720: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1: second circumferential hole blocking portion
800: Second circumference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10: second opening / closing handle
900: Second blowing fan

Claims (10)

개방홀(110)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슬릿(120)이 형성되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슬릿(120)에 끼워지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케이스통풍홀(210)이 형성된 통풍케이스(200);
상기 몸체(100)의 개방홀(110) 상측에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을 따라 슬릿형의 제1원주홀(310)이 형성되는 풍향커버(300);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400) 및
상기 제1송풍팬(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A body 100 having an opening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lit 120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formed into a columnar shape;
A ventilation case 200 fitted into the slit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case ventilation holes 210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ody 100 is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in a conical shap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110 of the body 100 and has a larger diameter s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 wind direction cover 300 on which a hole 310 is formed;
A first blowing fan 4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first blowing fan (4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기는
상기 제1원주홀(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개폐손잡이(6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원주홀(3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제1원주홀(31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1원주홀개폐장치(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irculator
A first opening and closing handle 610 protruding out of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is provided and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along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310 And a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600) for controlling the first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개방홀(110)이 상부에 형성되고, 측면에 슬릿(120)이 형성되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슬릿(120)에 끼워지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케이스통풍홀(210)이 형성된 통풍케이스(200);
상기 몸체(100)의 개방홀(110) 상측에 결합되고,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풍향커버(300);
표면에 다수의 송풍홀(710)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풍향커버(3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풍향커버(300) 하면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풍향커버(300)의 원주면을 따라 슬릿형상의 제2원주홀(720)이 형성된 상부커버(700);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되는 제1송풍팬(400) 및
상기 제1송풍팬(4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A body 100 having an opening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lit 120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formed into a columnar shape;
A ventilation case 200 fitted into the slit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case ventilation holes 210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bottom surface of the windshield 30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dy 100.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shield cov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
A plurality of blow holes 710 ar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wind cover 300 so as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wind cover 30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wind cover 300, An upper cover 700 having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formed in a slit shape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blowing fan 4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first blowing fan (40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기는
상기 제2원주홀(7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개폐손잡이(8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원주홀(72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제2원주홀(720)과 상기 송풍홀(710)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2원주홀개폐장치(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circulator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handle 810 protruding out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and sliding along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The second circumferential hole 720 and the ai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ircumferential hole opening / closing device (800)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the first circulation hole (710).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커버(300)는
하부 경사면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windshield cover (300)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is concave in the upward direction.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송풍팬(400)의 하부에 슬릿형상으로 형성된 흡입장홀(41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body 100 is
And a suction hole (410) formed in a slit shape below the first blowing fan (400).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케이스(200)는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성패드(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ventilation case 200
And one or more functional pads (220) are further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air circulato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패드(220)는
상기 통풍케이스(200)에 형성된 케이스통풍홀(210)과 대응되는 패드통풍홀(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unctional pad 220 includes
And a pad vent hole (221) corresponding to the case vent hole (210) formed in the ventilation case (2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기는
상기 통풍케이스(200) 상부에 제2송풍팬(9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통풍케이스(200)의 상하에 제1송풍팬(400)과 제2송풍팬(900)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irculator
A second blowing fan 9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ventilation case 200 and the first blowing fan 400 and the second blowing fan 900 ar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ventilation case 200 Air circul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100 is
Wherein the side wall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oncave shape in an inward direction.
KR1020170058026A 2017-05-10 2017-05-10 An air circulator Active KR101966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26A KR101966903B1 (en) 2017-05-10 2017-05-10 An air circ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26A KR101966903B1 (en) 2017-05-10 2017-05-10 An air circ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823A true KR20180123823A (en) 2018-11-20
KR101966903B1 KR101966903B1 (en) 2019-08-27

Family

ID=6456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026A Active KR101966903B1 (en) 2017-05-10 2017-05-10 An air circ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9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500B1 (en) 2020-05-15 2021-04-21 양세연 Heat Recovery Ventilation
KR20230001046A (en) 2021-06-25 2023-01-04 주식회사 플랜제로인더스트리 Air circulation apparatus with filter life measur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147A (en)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비메스얼리언스 height adjustable air circul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908U (en) * 1993-12-29 1995-08-11 明治乳業株式会社 Air cleaner
JP2001038122A (en) * 1999-07-30 2001-02-13 Sanyo Electric Co Ltd Air purifier
KR101345593B1 (en) * 2011-12-06 2013-12-31 주식회사 리홈쿠첸 Spray nozzle assembly for humidifier
KR20150025468A (en) 2013-08-29 2015-03-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ircul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908U (en) * 1993-12-29 1995-08-11 明治乳業株式会社 Air cleaner
JP2001038122A (en) * 1999-07-30 2001-02-13 Sanyo Electric Co Ltd Air purifier
KR101345593B1 (en) * 2011-12-06 2013-12-31 주식회사 리홈쿠첸 Spray nozzle assembly for humidifier
KR20150025468A (en) 2013-08-29 2015-03-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ircul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500B1 (en) 2020-05-15 2021-04-21 양세연 Heat Recovery Ventilation
KR20230001046A (en) 2021-06-25 2023-01-04 주식회사 플랜제로인더스트리 Air circulation apparatus with filter life meas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903B1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1955B2 (en) Air purifier with adjustable wind direction
KR102242187B1 (en) Indoor surface and airborne disinfection apparatus
KR102162454B1 (en) Anion release, sterilization and aroma diffuser generating multi functional air cleaner for automotive vehicles
KR20180123823A (en) An air circulator
CN101098716A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fragrancing
KR102045846B1 (en) Interior disinfection and deodorization booth
KR101752965B1 (en) The filtration method of bad smell and fine dust and thereof device
KR102163690B1 (en) Closed Booth Having Air Conditioning Part
GB2609000A (en) An air purifier
KR100867110B1 (en) Air Purifier with Directional Function
KR20150123037A (en) Apparatus of insect trap including air conditioning ability
JP2023533997A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101885904B1 (en) vermin trap with sterilization function
US11826499B2 (en) System for treating air
WO2005116543A2 (en) Fungus abatement system
US2136254A (en) Filter-fan-lamp equipment
TWI507646B (en) Air cleaner
WO2022058148A1 (en) Table-top unit for generating a substantially microbe-inactivated room zone
KR200384758Y1 (en) Air Diffuser to protect indoor air from airborne infections by Germicidal ultraviolet lamp and Photocatalyst coated honeycomb plate
KR20180056988A (en) Air cleaner
KR20150092455A (en) The eco-friendly wooden type air purifier
KR200419106Y1 (en) Clothing manager
CN212108811U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virus
KR20190030979A (en) Vehicle humidifier
KR102774365B1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