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760A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8760A KR20180118760A KR1020187028545A KR20187028545A KR20180118760A KR 20180118760 A KR20180118760 A KR 20180118760A KR 1020187028545 A KR1020187028545 A KR 1020187028545A KR 20187028545 A KR20187028545 A KR 20187028545A KR 20180118760 A KR20180118760 A KR 201801187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guide rail
- balance weight
- viewed
- hoistw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은,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 벽면과 대향하고 있다. 균형추 및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이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칸측으로부터 균형추측을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 브라켓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브레이크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the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car faces the elevator shaft wall surface with a space therebetwee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shaft. The balance weight and the traction machine are arranged in this space when viewed from above. The traction machine and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vator car guide rail and the second balance weight guide rail when the balance presumption is viewed from the elevator car side. The driving sheave overlaps at least part of the region of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rst elevator car guide rail is held by the uppermost rail bracke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hoisting frame supporting the hoisting machine. The uppermost rail bracket is disposed outside the region of the brak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traction machine when viewed from abo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hoisting machine for elevating and lowering an elevator car is provided in an upper part of a hoistway.
종래, 승강로 내에 권상기를 배치함으로써 기계실을 없앤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중,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배면(背面)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권상기의 모터의 일부를 배치하고, 승강장측으로부터 보아, 권상기의 쉬브를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겹치도록 배치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n elevator apparatus of a type without a machine room where a machine room is removed by arranging a hoisting machine in a hoistway is known. In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in order to save the space of the hoistway, of the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guiding the elevation of the car,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ar guide rail, A portion of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between the hoistingway wall and the hoistway wall, and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the second car guide rail, as seen from the landing sid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또, 종래,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으로 투영한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내에 권상기의 일부를 배치한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Further, in order to save the space of the hoistway, there has been known a type of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in which a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in the area of the elevator car projected i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for example,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의 모터의 일부와 엘리베이터 칸의 사이에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즈가 커지면,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져 버려, 승강로의 수평 방향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disclosed in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권상기의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과 겹쳐지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범위보다도 상부에 권상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승강로의 꼭대기부의 높이 치수, 즉 오바헤드 치수가 확대되어 버린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disclosed 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n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space of a hoistway.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고,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고,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균형추,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균형추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 권상기 본체와, 권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권상기를 지지하고 있는 권상기대(台), 및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구동 쉬브,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순차적으로 감아 걸려지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현가체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은,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 벽면과 대향하고 있고, 균형추 및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권상기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칸측으로부터 균형추측을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 쉬브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브레이크는, 권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고,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권상기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 브라켓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브레이크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car which is provided with an elevator car suspension sole and is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 hoistway,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provided in the hoistway for guiding the car and a balance weight suspension sheave A balance sheave provided in the hoistway an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balance weight guide rails for guiding the balance weight, a hoisting machine body, a driving sheave rotatably provided on the hoisting machine body, A traction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a hoisting hoist supporting the hoistway, and an elevator car suspension sheave, a driving sheave, and a balance weight suspension sheave Equipped with a suspension body hanging from the elevator car and balance weight Wherein the side of the elevator car faces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with a space therebetwee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balance weight and the hoistway are arranged in the space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hoistway and the first counterweight guide rail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vator car guide rail and the second weight balance guide rail when viewed from the elevator car side and the drive sheave has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 And the brake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traction machine. The first car guide rail is held by the uppermost rail bracke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hoistway, and the uppermost rail bracket , And when viewed from above, it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brak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 및 구동 쉬브가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간섭하지 않고 권상기를 엘리베이터 칸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in which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s and the driving sheaves are disposed can be reduc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elevator can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elevator car guide rails Can be close. In this way,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1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5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에는,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한 쌍의 승강로 벽면(1a, 1b)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저면, 상면, 정면, 배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일방의 승강로 벽면(1a)에 대향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2)의 타방의 측면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타방의 승강로 벽면(1a)에 대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정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각 층의 승강장(4)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1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균형추(3)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3)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균형추 가로 낙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되어 있다. The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이 마련되어 있다. A first elevator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의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고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의 각각의 단면 형상은, 플랜지부 및 안내부에 의해서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Each of the first elevator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이, 승강로(1)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은,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은, 타방의 승강로 벽면(1b)과 엘리베이터 칸의 타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The first and second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은, 승강로(1)의 깊이 방향, 즉 승강로(1)의 폭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도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B)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과 직교하고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alance
균형추(3)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3),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에 대해서, 승강장(4)으로부터 보아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은,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다. 균형추(3)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의 각각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The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권상기(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름 방향 치수가 축선 방향 치수보다도 큰 박형(薄型) 권상기가 권상기(9)로서 이용되고 있다. 권상기(9)는, 균형추(3)의 승강 범위보다도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에 대해서, 균형추(3)와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At the upper part of the
권상기(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91)와, 권상기 본체(9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권상기 본체(9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쉬브(92)와, 권상기 본체(91)에 마련되어 구동 쉬브(92)의 회전을 제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93)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9)는, 구동 쉬브(92)의 회전축을 수평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과 구동 쉬브(92)의 축선이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하고,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 즉 승강로 벽면(1a)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9)가 배치되어 있다. The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고, 권상기 본체(91)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나머지의 부분과 겹쳐져 있다. 또, 구동 쉬브(92)는,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2, the driving
각 브레이크(93)는, 권상기 본체(9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브레이크(93)는, 권상기 본체(91)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2개의 브레이크(93)가 공통의 권상기 본체(91)에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93)의 수는,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 이 예에서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브레이크(93)가 권상기 본체(91)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Each of the
권상기(9)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은,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부터 균형추(3)측으로 승강로(1)의 폭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 어느 것에도 겹치지 않고,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The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높이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의 각각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권상기대(10)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상단면에 놓여져 있다. 또, 권상기대(10)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에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9)는, 권상기대(1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권상기대(10)에 지지되어 있다. The height of the first balance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1)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을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레일 브라켓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승강로(1) 내에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2)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또, 승강로(1) 내에는,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3)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In the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1)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레일 브라켓(11)인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대(10)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3)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레일 브라켓(13)인 최상부 레일 브라켓(13a)도, 권상기대(10)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 the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 13a)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브레이크(93)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 13a)이 권상기(9) 전체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The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일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타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의 축선이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 및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에 대해서, 균형추(3)와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추측 메인 로프단(rope端)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현가체인 복수개의 메인 로프(18)에 의해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다는 현가체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벨트를 이용해도 괜찮다. 각 메인 로프(1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부(18a) 및 제2 단부(18b)를 가지고 있다. 각 메인 로프(18)의 제1 단부(18a)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에 접속되고, 각 메인 로프(18)의 제2 단부(18b)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18)는, 제1 단부(18a)로부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 구동 쉬브(9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에 순차적으로 감아 걸려져, 제2 단부(18b)에 이르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18)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 구동 쉬브(9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달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2: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져 있다. At the upper part of the
구동 쉬브(92)로부터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를 향하는 각 메인 로프(1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과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구동 쉬브(92)로부터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를 향하는 각 메인 로프(18)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권상기 본체(91)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쉬브(92)가 회전하면, 구동 쉬브(92)의 회전에 따라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Each
다음으로, 권상기(9)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보수원이 최상층의 승강장(4)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 상에 오른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2) 상에 마련되어 있는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최상층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상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Next, a working method for performing maintenance on the hoisting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권상기(9)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예를 들면, 각 브레이크(93)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는, 각 브레이크(93)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권상기(9)의 상부로부터 각 브레이크(93)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하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4)으로 이동한다. Thereafter, the maintenance source on the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부터 균형추(3)측을 보았을 때, 권상기(9)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으므로,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구동 쉬브(92)가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간섭하지 않고 권상기(9)를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대(10)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각 브레이크(93)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지진 또는 강풍에 의해서 건물이 흔들린 경우에도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가 크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방해가 되지 않고 각 브레이크(93)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elevator apparatus, when the side of the
또,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져 있으므로,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구동 쉬브(92) 및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이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Since the
또, 구동 쉬브(92)의 축선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을 잇는 직선(A)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구동 쉬브(92) 및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이 배치되는 스페이스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더 축소할 수 있다. Since the axial line of the
또,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 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92)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에 이르는 메인 로프(18)의 경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92)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hoisting
또, 권상기대(10)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권상기대(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Since the hoisting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상기(9)의 방향이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즉,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하고,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 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고, 권상기 본체(91)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나머지의 부분과 겹쳐져 있다. 게다가, 권상기 본체(91)는,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4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이와 같이,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하고,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9)를 배치한 경우라도, 위로부터 보았을 때의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는 것에 의해, 권상기(9)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이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Even when the hoisting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권상기 본체(91)의 폭치수는, 권상기 본체(91)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9)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권상기 본체(91)의 하부가 각 브레이크(93)의 영역보다도 권상기(9)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브레이크(93)의 영역 밖에 배치되고, 또한 권상기 본체(91)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5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권상기 본체(91)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으므로, 승강로(1)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In this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에만 겹쳐져 있지만,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전부와 겹쳐져 있어도 괜찮다.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when the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 권상기(9)의 각각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을 잇는 직선(A)에 대해서,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아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 권상기(9)의 각각을, 직선(A)에 대해서,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아 바로 전측(前側)에 배치해도 괜찮다.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when the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브레이크(93)가 권상기 본체(91)의 상부에만 마련되어 있지만, 권상기 본체(91)의 하부에만 복수의 브레이크(93)를 마련해도 좋고, 권상기 본체(91)의 상부 및 하부의 각각에 브레이크(93)를 마련해도 괜찮다. 권상기 본체(91)의 하부에 브레이크(93)가 마련되어 있어도,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방해가 되지 않고 브레이크(93)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권상기 본체(91)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브레이크(93)가 마련되어 있으면, 브레이크(93)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s, a plurality of
Claims (7)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균형추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
권상기 본체와, 상기 권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구동 쉬브와,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고 있는 권상기대(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상기 구동 쉬브,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순차적으로 감아 걸려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현가체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은, 상기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 벽면과 대향하고 있고,
상기 균형추 및 상기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 및 상기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으로부터 상기 균형추측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쉬브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권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기 권상기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 브라켓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브레이크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car provided with a suspension sheave and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 hoistway,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provided in the hoistway for guiding the car,
A balance weight suspension sole is provided, a balance weight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hoistway,
First and second balance guide rails provided in the hoistway for guiding the balance weight,
A driving sheave rotatably provided on the hoisting machine body; a brak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ingway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A hoisting hopper supporting the hoisting machine, and
And a suspension body which is sequentially wound around the elevator car suspension suspension, the driving sheave, and the balance weight suspension sheave, and which hangs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The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car is opposed to the hoistway wall surface with a space therebetwee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Wherein the balance weight and the traction machine are disposed in the space when viewed from above,
The traction machine and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r guide rail and the second balance guide rail when the balance assumption is viewed from the elevator car side,
Wherein the driving sheave overlaps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of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 when viewed from above,
Wherein the brake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traction machine,
The first car guide rail is held by the uppermost rail bracke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hoist base,
Wherein the uppermost rail bracket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of the brake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구동 쉬브는, 승강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sheave overlaps at least part of an area of the first car guide rail when viewed from the landing side.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axis of the driving sheave is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구동 쉬브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측을 향하게 하고, 상기 권상기 본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such that the drive sheave is directed to the car compartment side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hoisting machine main body is dir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ar compartment.
상기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권상기 본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측을 향하게 하고, 상기 구동 쉬브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in such a state that the hoisting machine body is directed toward the car body side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driving sheave is dir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ar body.
상기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권상기 본체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uppermost rail bracket overlaps with a part of an area of the hoist main body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권상기대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hoisting support is supported by the first car guide rail, the first balance guide rail, and the second balance guide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6/061781 WO2017179119A1 (en) | 2016-04-12 | 2016-04-12 | Elevato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8760A true KR20180118760A (en) | 2018-10-31 |
KR102088908B1 KR102088908B1 (en) | 2020-03-13 |
Family
ID=6004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854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8908B1 (en) | 2016-04-12 | 2016-04-12 | Elevator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395975B2 (en) |
KR (1) | KR102088908B1 (en) |
CN (1) | CN108883897B (en) |
DE (1) | DE112016006730T5 (en) |
WO (1) | WO2017179119A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62654A1 (en) | 2000-02-22 | 2001-08-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KR20060036042A (en) * | 2005-10-10 | 2006-04-27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device |
JP2007284254A (en) * | 2007-07-09 | 2007-11-01 | Hitachi Ltd | Traction elevator |
WO2013084310A1 (en) | 2011-12-07 | 2013-06-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57631B2 (en) * | 1998-11-19 | 2008-10-01 |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 Elevator device |
JP4549616B2 (en) * | 2002-08-28 | 2010-09-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EP1693330A4 (en) * | 2003-12-11 | 2011-07-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apparatus |
CN2851210Y (en) * | 2005-11-16 | 2006-12-27 | 北京航天金羊电梯有限公司 | Overhead typ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KR101690856B1 (en) * | 2012-07-04 | 2016-12-2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device |
CN106573756B (en) * | 2014-08-13 | 2019-02-15 | 三菱电机株式会社 | The traction machine of elevator base mounting device |
-
2016
- 2016-04-12 WO PCT/JP2016/061781 patent/WO20171791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4-12 CN CN201680084373.9A patent/CN108883897B/en active Active
- 2016-04-12 JP JP2018511796A patent/JP6395975B2/en active Active
- 2016-04-12 DE DE112016006730.5T patent/DE112016006730T5/en active Pending
- 2016-04-12 KR KR1020187028545A patent/KR1020889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62654A1 (en) | 2000-02-22 | 2001-08-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KR20060036042A (en) * | 2005-10-10 | 2006-04-27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device |
JP2007284254A (en) * | 2007-07-09 | 2007-11-01 | Hitachi Ltd | Traction elevator |
WO2013084310A1 (en) | 2011-12-07 | 2013-06-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device |
JP5805212B2 (en) * | 2011-12-07 | 2015-11-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395975B2 (en) | 2018-09-26 |
JPWO2017179119A1 (en) | 2018-06-28 |
CN108883897A (en) | 2018-11-23 |
DE112016006730T5 (en) | 2018-12-20 |
CN108883897B (en) | 2020-10-16 |
WO2017179119A1 (en) | 2017-10-19 |
KR102088908B1 (en) | 2020-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91331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6818909B2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JP2002080178A (en) | Elevator device | |
KR20180132821A (en) | How to install the elevator traction machine | |
WO2015025396A1 (en) | Elevator device | |
JP2010184791A (en) | Elevator | |
CN107555289B (en) | Refitting method of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nd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
JP2010208822A (en) | Elevator car | |
JP6738964B2 (en) | Elevator | |
JP6567143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4291131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6336225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3276970A (en) | Elevator device | |
KR20180118760A (en) | Elevator device | |
CN1741953B (en) | Elevator device | |
JP6095026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16008131A (en) | Elevator and remodeling method of existing elevator | |
JP4397896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7657356B1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735338B1 (en) | Elevator device | |
JP5570602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6151625A (en) | Elevator device | |
KR100763089B1 (en) | Elevator device | |
JP5473961B2 (en) | Elevator car | |
JP2008273745A (en) | Elevat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