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6299A - 타이어용 요소 - Google Patents

타이어용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299A
KR20180116299A KR1020187025318A KR20187025318A KR20180116299A KR 20180116299 A KR20180116299 A KR 20180116299A KR 1020187025318 A KR1020187025318 A KR 1020187025318A KR 20187025318 A KR20187025318 A KR 20187025318A KR 20180116299 A KR20180116299 A KR 2018011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fastened
rim
elements
riding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6613B1 (ko
Inventor
폴 마그네 아문센
지그문트 아네네스
Original Assignee
테크늄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1603502.4A external-priority patent/GB2547722A/en
Priority claimed from NO20160335A external-priority patent/NO341356B1/en
Application filed by 테크늄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테크늄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8011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6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09Supplementary means for securing the bead
    • B60C15/022Supplementary means for securing the bead the bead being secured by turned-in rim flanges, e.g. rim of the clinch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09Supplementary means for securing the bead
    • B60C15/0223Supplementary means for securing the bead the bead being secured by clip-hook elements not forming part of the rim fl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63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formed of close material, e.g. leather or synthetic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12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기다란 요소(15)로서 형성된 트레드(tread)를 자전거 타이어와 같은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타이어(11)의 일 측부의 원주를 따라 체결되도록 구성된 2개의 기다란 부착 부재(16)를 포함한다. 요소(15)와 부재(16)에는, 요소(15)가 타이어(11)에 부착될 때 서로 결합하기 위한 상호 맞물림 수단(18)이 제공되어 있다. 이 상호 맞물림 수단(18)는 지퍼, 또는 훅크-루프 시스템, 이중 로크 시스템이다.

Description

타이어용 요소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 요소, 및 이러한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화물 자동차, 또는 트럭과 같은 차량을 위한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플라이(ply), 비드(bead), 벨트, 측벽, 숄더, 트레드(tread), 및 사이프(sipe)와 홈을 포함한다. 플라이는 타이어의 골격을 구성하는 직물 층으로 만들어지고, 일반적으로 섬유 코드로 만들어지고, 이 섬유 코드는 함께 직조되고 고무로 코팅되어, 타이어가 가요적일 수 있지만 탄성적이지는 않다. 비드는 고무로 코팅되는 고강도 편조 강으로 만들어지고 타이어와 바퀴 림(rim) 사이에 기밀한 시일을 형성하게 된다. 강 벨트가 타이어 주위에 배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고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측벽은 비드에서 트레드까지 이르는 여분의 두꺼운 고무 영역인데, 타이어에 측면 안정성을 준다. 숄더는 트레드가 측벽과 만나는 작은 경사 가장자리이며, 숄더의 설계와 구성은 타이어가 코너를 취하는데에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트레드는 고무가 도로와 만나는 타이어의 연한 영역이며, 쿠션과 그립 모두를 제공한다. 사이프와 홈은 타이어가 물, 눈 및 진흙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해주는 깊은 홈으로 형성되는 타이어 구성의 일부분이다. 사이프는 추가의 그립을 주기 위해 트레드 블럭 자체에 만들어지는 더 작은 홈 또는 절개부인데, 이는 눈 및 얼음에 대비해 만들어진 타이어에 특히 중요하다.
자전거용 타이어는 유사하게 케이싱을 포함하고, 이 케이싱은 고무 트레드로 덮히고 림에의 부착을 위한 비드 또는 클린처(clincher)가 제공되어 있다. 자전거 타이어 케이싱은 지면에 일치되게 해주는 충분한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내부 공기 압력을 수용하기 위해 신장에 대한 필요한 저항성을 제공한다. 트레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통의 사용 중에 지면과 접촉하는 타이어의 일 부분이다. 트레드의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내부의 케이싱의 형상에 맞게 되고, 자전거가 회전 또는 균형 잡기를 위해 기울어질 때 타이어가 옆으로 롤링할 수 있게 해준다. 케이싱의 측벽, 즉 트레드와 비드 사이에 있는 각 측부의 부분은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타이어의 이 부분을 타이어의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차량이 눈 도로 또는 얼음 도로 상에서 주행할 때 그 차량의 미끄러짐 또는 스키딩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에 체인을 설치하거나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 마모 및 체인과 타이어 사이의 접촉점에 집중되는 하중 때문에 타이어의 사용 수명이 단축된다. 체인이 위치되지 않는 타이어의 많은 영역은 노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므로, 미끄러짐의 발생은 여전히 회피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문제는, 바퀴 호와 같은, 타이어와 차량 사이의 영역에 체인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 및 체인을 갖고 주행할 때의 불편함이다. 스노우 체인을 자전거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종종 차량 브레이킹 시스템과 상충된다.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는 경우, 교체 작업은 귀찮고 시간 소비적이며 효과가 작을 수 있다. 또한, 각 차량에 대해 2개의 완전한 타이어 세트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 문제도 있다. 또 다른 문제는, 한 차량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래서 여러 종류의 트레드가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US 2012/0305152 및 US 2010/0200136에는, 타이어가 마모되어 또는 차량이 다른 종류의 노면 상에서(즉, 포장 도로에서 거친 구역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체될 수 있는 트레드를 갖는 타이어가 설명되어 있다. US 2010/0200136에 따른 타이어에는, 타이어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거 가능한 라이딩 (riding) 표면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드는 라이딩 표면을 교체하여 변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라이딩 또는 트레드 표면은 부착 기구에 의해 오목부 내에 체결된다. 그러나, 라이딩 표면은 차량 타이어의 사용 중에 자연적인 왜곡, 변형 및 신장 때문에 풀리는 경향이 있다.
GB 191118452에는,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밴드가 설명되어 있다. 그 밴드의 체결은 타이어 내부의 공기 압력에 달려 있고, 그 공기 압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밴드가 느슨하게 되어 타이어에서 떨어지게 될 것이다.
타이어의 트레드를 교체하기 위한 다른 공지된 방법은 트레드 바로 밑에서 스크류, 핀, 벨크로 등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부착 동안에 상당한 수고를 필요로 한다. 체결은 사용 중에 타이어의 자연적인 움직임, 신장 및 변형을 직접 억할 수 있고, 그래서, 타이어의 특성 및 사용자 경험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모든 차량 타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며, 동절기 타이어, 오프 로드 타이어 도는 경주용 타이어와 같은 타이어 특성을 규정하는 것은 주로 트레드 패턴과 트레드 고무의 종류이다. 타이어 교환은 전적으로 상당한 수고를 필요로 하고, 트레드만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타이어, 바람직하게는 자전거 타이어에 트레드, 라이딩 표면, 타이어 커버 등을 안전하기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라이딩 표면은 타이어 대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아야 하고 또한 얼음, 자갈 등과 같은 물질이 타이어와 라이딩 표면 사이에 접근할 수 없게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특성을 감소시킴이 없이, 그러한 대안적인 트레드를 부착하고 제거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 및 내구적인 부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는 타이어의 탄성을 감소시켜서는 안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갖는 타이어 상에 타이어 커버가 장착될 때에도, 자전가 타이어와 같은 타이어의 통상적인 사용 중에 일어나는 신장 및 변형 모두가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따른,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 타이어에 부착되는 요소, 및 이러한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달성된다. 추가의 특징, 실시 형태 또는 대안예는 대응하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라이딩 표면 또는 트레드를 갖는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타이어의 일 측면의 원주를 따라 체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와 부재에는, 상기 요소가 타이어에 부착될 때 서로 결합하기 위한 상호 맞물림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부착되는 요소는 직사각형 형태이고, 타이어의 원주 방향 길이에 다소 대응하는 길이 및 타이어의 트레드를 가로로 덮고 각 측면을 따라 측벽 아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면서 타이어를 둘러싸기에 충분히 큰 폭을 갖는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적이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 모두로 탄성적일 수 있고, 그래서 요소는 상기 양 방향으로 타이어 주위에 감싸일 수 있다. 요소는 직사각형인 것으로 설명되며, 평평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U-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U-형 단면의 경우, 형태는 요소가 장착될 타이어에 대응하고, 그래서 요소는 타이어의 표면에 밀접하게 지탱될 것이다.
요소를 부재(들)에 부착하기 위한 상호 맞물림 수단은 상기 요소와 부재의 기다란 측면을 따라 제공되어 있고, 상기 요소가 타이어에 배치될 때 상기 측면들은 서로 대향한다. 또한,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일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호 맞물림 수단'은, 일단 수단들이 서로에 체결되면, 다시 해제될 때까지 하나의 부분으로 작용하게 됨을 의미한다. 부분들은 체결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타이어의 공기 압력 등과 같은 제 3의 요인에 의존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수단은 지퍼이지만, 벨크로(velcro), 이중 로크(lock), 집(zip)-로크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의 측면" 또는 "타이어의 측벽"은,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림으로부터 라이딩 표면까지 이르는 타이어의 영역을 의미한다. 자건거 타이어에 사용되는 경우, 라이딩 표면은, 바퀴가 지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기울어진 경우에 갑작스런 회전 동안에도 지면에 지탱되는 타이어의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거친 지면에서 자전거를 탈 때, 또는 아마도 온도 변화로 인해 타이어 내부의 공기 압력이 다른 경우, 상호 맞물림 수단은 림과 상충되지 않거나 라이딩 표면의 일부분이 되지 않아야 한다. 당업자는, 이 정보에 근거하여 타이어의 어느 부분이 "타이어의 측면"이 될 것인지를 알고 있을 것이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수단은 림으로부터 1 cm 이상 떨어져 위치해야 하지만, 타이어의 측면에서 타이어 높이의 3/5 보다 높게 위치되지 않는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타이어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양 부재에 부착된다. 여기서, "타이어의 양 측면"은, 한 부재는 바퀴의 일 측면에 체결되고 다른 부재는 그 바퀴의 제 2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 바퀴의 일 측면은 자동차 아래에서 외측을 향하고 다른 측면은 내측을 향할 것이다. 부재는 타이어의 양 측면을 따라 대칭적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다란 부재" 및 "기다란 요소"는, 그 부재와 요소의 길이가 폭 보다 큰 것으로 이해해야 하고, "기다란 부재"가 "원주를 따라 체결되는" 경우, 이는, 부재의 더 긴 측면이 바퀴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부재가 체결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타이어에 부착될 요소의 라이딩 표면은, 다른 지면, 예컨대 포장 구역 또는 미끄럽거나 눈이 있는 상태와 같은 다른 도로 상태에 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요소는 지면에 의존할 것이고, 지면 상태가 변하면 교체되어야 한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외주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지먼, 요소가 더 길거나 더 ?은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것이다. 요소가 더 긴 경우에, 요소의 단부는 겹칠 것이고, 요소가 더 짧은 경우에는, 단부들 사이에 틈이 있을 것이다.
요소의 폭은 타이어의 일 측면으로부터 정상부를 넘어 그 타이어의 다른 측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해야 한다. 두 부재가 각 측부에 하나씩 타이어에 체결되는 경우, 요소의 폭은, 요소가 부착되어야 하는 부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해야 한다. 그러나, 요소가 부착시 신장되도록 요소의 폭은 부재 사이의 거리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요소의 영향에 영향을 줌이 없이, 요소를 신장시켜, 공기 압력 및 부재 사이의 거리의 차가 얻어질 것이다. 또한 이리하여, 하나의 요소가 더 많은 종류의 타이어에 설치될 수 있다.
요소에는, 그의 더 긴 측면을 따라 부재의 대응하는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시스템이 타이어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요소에는 그의 양 길이 방향 측면을 따라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수단은 요소에 직접 체결될 수 있고, 또는 제 2 부재에 체결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부재는 요소에 체결된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요소에는 일 길이 방향 측면을 따라 있는 결합 수단이 제공되고, 비탄성 와이어가 요소의 양 길이 방향 측면에 체결된다. 와이어의 단부는 서로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와이어는 팽팽하게 될 수 있다. 그러한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타이어에 체결되는 부재는 하나만 필요하다. 그러한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경우, 요소는 타이어 위에 배치되어야 하고, 와이어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 측면은 부재에 대해 반대편에 있어야 한다. 와이어의 단부는 서로에 연결되고, 요소의 대응하는 길이 방향 측면이 타이어의 측면을 따른 원하는 지점에 있을 때까지 와이어는 팽팽하게 된다. 요소와 부재에 있는 수단은 와이어가 팽팽하게 되기 전에 또는 후에 서로에 부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하나의 실시 형태" 또는 "일 실시 형태"라고 할 때, 이는 일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개시된 주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세서 전체의 여러 곳에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또는 "일 실시 형태에서" 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 형태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도 조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는 타이어의 일부분에만 부착되고, 다른 부분은 노출된 상태로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부재는 타이어의 일부분에만 체결되는데, 하지만 많은 부재가 원주 주위에 열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고, 그들 사이의 부분은 노출된다. 그리고 요소는 요소의 열에 부착될 수 있고 전체 타이어를 덮을 수 있고, 또는 대응하는 수의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요소의 라이딩 표면은 다른 종류의 트레드, 스파이크 트레드, 코스 트레드, 트레드 패턴이 없는 고무 표면, 팽창 가능한 고무 표면, 직물, 조합된 고무와 섬유의 표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재는 바퀴의 림과 타이어 사이에 체결되는 하나의 길이 방향 측면을 포함하고, 그 하나의 길이 방향 측면에는 상기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체결 지점에서 타이어의 원주에 대응하는 길이 및 바퀴 림으로부터 요소에의 부착 지점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부재와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상호 맞물림 수단은 타이어의 측면에 있어야 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부재(들)를 요구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은, 타이어 내부, 예컨대 내측 튜브로부터 림 쪽으로 작용하는 압력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바퀴 림과 타이어 사이에 체결되는 부재의 측면은 체결을 더욱더 확실하게 해주는 돌출부를 갖는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기다란 부재의 단부는 서로에 부착될 수 있고 그 부재는 원형이다. 림과 타이어 사이에 체결되는 측이 되는 내측 부분의 원주는 림의 원주와 유사하거나 그 보다 작을 수 있고, 그래서 제 1 부재의 체결은 림에 대한 타이어의 체결과 유사할 것이다.
요소가 타이어에 부착되지 않을 때에도, 부재는 바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사용자는 한번에 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편리할 때 요소만 사용할 수 있다. 부재는 가을에 바퀴에 체결될 수 있고, 도로가 미끄러울 때 사용자는 스파이크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를 부착할 수 있고, 도로가 마르면 그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하루 중에도 변할 수 있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일체화된 부분이고, 요소의 대응하는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은 노출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부재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스크류, 못,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측면에 있는 미리 만들어진 트랙 안으로 끼워져 타이어에 체결된다. 이 경우, 요소가 부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부재는 타이어에 체결될 수 있고 그 타이어의 일체화된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부재와 요소는 서로 결합하기 위한 상호 맞물림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수단은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고 그래서 심지어 거칠고 까다로운 표면 상에서도 타이어의 사용 중에 요소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또한, 상기 수단은 결합 및 분리가 쉬워야 하고 반복된 사용 및 오물과 물과 같은 거친 조건을 견디어야 한다.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데, 이는 요소가 별도의 체결 지점에서만 제 1 부재에 결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해서, 요소는 타이어에 대해 비틀리거나 회전할 수 없고, 물, 얼음 및/또는 오물이 수단을 가로질러 요소와 타이어 사이의 영역에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수단은 요소가 부착 중에 신장되게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한번의 연속적인 운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부재와 요소를 결합시기기 위한 수단은 지퍼이고, 이 지퍼의 치부는 인접한 측면을 따라 노출된다. 요소의 사용 없이도 부재가 타이어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지퍼 슬라이더가 바람직하게 요소에 있고, 따라서 그 슬라이더는 부재에 체결되면 더 거친 조건에 노출될 것이다.
요소는 타이어의 라이딩 표면의 패턴에 상관 없이 어떤 타이어에도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타이어는 요소의 저면 쪽으로 양호한 그립을 주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타이어의 표면 및 요소의 저면은, 서로에 마찰을 주고 요소의 부착을 도와 주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시스템을 사용할 때,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을 또한 포함한다. 이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타이어의 일 측면에 체결하는 단계, 및
b) 상기 요소의 상호 맞물림 부착 수단을 상기 부재의 대응하는 수단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호 맞물림 부착 수단이 지퍼의 치부인 경우, 본 방법은 지퍼를 닫고 전체 요소를 전체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부재가 타이어의 일체화돤 부분인 경우, 단계 a)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요소가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단계 a)는 타이어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로 대체된다.
부재가 림과 타이어 사이에 체결되어야 하는 경우, 그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바퀴 림과 타이어 사이에 체결되는 돌출부를 갖는 일 측면을 포함하고, 그 일 측면은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타이어는 제 1 부재의 일 측면(돌출부를 가짐)을 바퀴의 림과 타이어 사이에 끼우기 위해 충분히 수축되어야 하고, 그래서 그 돌출부는 림의 내향 돌출부와 결합하게 될 것이다. 이는 림의 전체 원주를 따라 혹시 림의 양 측면에서 행해져야 한다. 림은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단부와 결합하는 내향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 1 부재(들)가 체결되면, 타이어는 다시 팽창되어야 하고, 타이어 내부의 공기 압력 때문에, 제 1 부재(들)가 타이어와 림 사이에 체결될 것이다.
일단 제 1 부재(들)가 체결되면,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가 부착된다. 2개의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요소의 수단을 부재와 결합시켜 행해진다. 결합 수단이 지퍼인 경우, 지퍼 슬라이더가 부재와 요소 모두의 지퍼 치부와 결합하게 되고, 지퍼의 길이를 따라 끌어 당겨지고 그래서 요소가 타이어에 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소가 일 측면을 따라 비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그 와이어가 먼저 부착되고 그런 다음에 요소의 수단이 부재의 수단과 결합하게 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방법은 요소의 단부를 서로에 체결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예컨대 단부를 서로에 묶는 탄성 밴드, 클립, 자석, 벨크로 등으로 행해질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신속하고 용이하며, 일단 부재가 체결되면, 라이딩 표면을 교체하기 위해 또는 스파이크 표면을 타이어에 추가하기 위해 타이어를 수축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의 나머지 부분과 간섭하지 않으며, 그래서 림 또는 바퀴의 종류에 독립적이며 결코 림을 에워싸지 않으므로 모든 종류의 브레이크와 함께 기능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면은 단순히 본 발명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면의 다른 부분은 서로 축척에 따를 필요는 없다.
이제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타이어 상의 라이딩 표면을 갖는 교체 가능한 요소를 갖는 자전거 바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퀴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바퀴의 림이 나타나 있지만 스포크는 나타나 있지 않다.
도 3은 도 1의 사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타이어와 림의 일부분만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는 없다.
도 5는 도 4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가 타이어에 부착되어 있다.
도 1은 자전거 바퀴(10)를 일측에서 개략적으로 본 것을 나타낸다. 타이어(11)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부착되는 라이딩 표면을 지지하는 요소(15)(도 2 참조)으로 덮힌다. 바퀴(10)는 일반적으로 허브(14), 다수의 스포크(13), 림(12) 및 통상적인 방식으로 림(12)에 체결되는 타이어(11)를 포함한다. 도 2 및 3은 내측 튜브(17)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바퀴(10)의 단면을 각각 나타낸다.
시스템은 타이어(11)의 양 측면에서 2개의 부재(16)를 포함하고, 이들 부재 각각은 바퀴(10)의 림(12)과 타이어(11) 사이에 체결된다. 부재(16)가 장착될 때, 타이어(11)와 림(12) 사이에 공간을 만들기 위해 타이어(11) 및/또는 경우에 따라 내측 튜브(17)는 약간 수축되어야 하고, 부재(16)는 타이어(11)와 림(12) 사이의 요망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타이어(11) 또는 내측 튜브(17)가 다시 팽창되면, 부재(16)는 림(12) 쪽으로 가압되어 타이어(11) 내부의 압력에 의해 움직임으로부터 체결되거나 잠금된다. 부재(16)는, 체결되면 타이어(1)의 측벽을 따라 돌출하고, 상기 요소에 있는 대응하는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
요소(15)는 타이어(11)의 원주 방향 길이에 다소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폭은 부착 부재(16) 중의 하나에서 다른 부착 부재까지의 타이어(10)의 호를 가로지르는 거리에 대응한다. 상기 요소에는, 공통 접촉선(18)을 따라 요소(15)를 타이어(11)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부재의 수단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상호 맞물림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요소의 수단은 바퀴의 일측에 있는 한 부재 및 바퀴의 다른 측에 있는 다른 부재에 부착되고, 타이어(11)의 전체 호는 요소(15)로 덮혀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기 요소의 저면과 타이이의 라이딩 표면 모두는 매끄럽고, 바퀴가 구를 때 서로에 어느 정도의 마찰을 주게 된다. 나타나 있지 않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인접하는 힘이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타이어 표면은 패턴화된 라이딩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5는 도 2 및 3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하지만 부재는 타이어의 일체화된 부분이다. 도 4에서, 부재의 수단은 돌출 가장자리(22)로서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지퍼의 일부분이고, 도 5에서,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가 도 4에 나타나 있는 지퍼에 의해 타이어에 부착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형태에서, 도면에서 공통 접촉선(18)으로 나타나 있는, 부재(16)의 주변 가장자리와 요소(15)의 주변 측면을 따라 있는 대응하는 수단 사이의 부착은 타이어(11)의 라이딩 표면 또는 접촉 표면 보다 림(12)의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그러나, 그러한 조인트는 타이어의 측벽을 따른 어느 지점에도 위치될 수 있지만, 타이어의 높이의 3/5 보다 높게는 위치되지 않는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림(12)에는 2개의 상향 돌출 아암(19)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아암은 자유 단부에서 내향 돌출 비드 또는 벌브(20)로 끝나 있고, 타이어(11)에는 바람직하게 대응하는 외향 돌출 비드 또는 벌브(21)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부재(16)의 고정을 향상시켜 림(12)의 내면과 타이어(11)의 하측 외면 사이의 잠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부재(16)의 대응하는 단부에는 만곡된 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고 이하의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서 주어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 범위로 한정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본 발명의 변형 및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라이딩(riding) 표면을 갖는 기다란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타이어의 일 측면의 원주를 따라 체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와 부재에는, 상기 요소가 타이어에 부착될 때 서로 결합하기 위한 상호 맞물림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맞물림 수단은 상기 요소와 부재의 기다란 측면을 따라 제공되어 있고, 상기 요소가 타이어에 배치될 때 상기 측면들은 서로 대향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맞물림 수단은 벨크로(velcro), 이중 로크(lock) 또는 바람직하게는 지퍼의 치부인,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타이어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기다란 양 측면에 있는 상호 맞물림 수단을 가지며 또한 양 부재에 부착되는,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의 라이딩 표면에는 트레드(tread) 또는 스파이크 직물(spiked fabric)이 제공되어 있는,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바퀴의 림과 타이어 사이에 체결되는 일 단부를 포함하고, 일 단부는 상기 요소의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지퍼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측벽에 일체화되어 있는,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타이어에 부착되는 기다란 요소로서, 라이딩 표면, 및 타이어에 체결되는 부재와 상호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다란 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양 길이 방향 측면을 따라 부재와 상호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는, 기다란 요소.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 시스템을 사용할 때, 라이딩 표면을 갖는 요소를 타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타이어의 일 측면에 체결하는 단계, 및
    b) 상기 요소의 상호 맞물림 부착 수단을 상기 부재의 대응하는 수단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부착 수단은 지퍼의 치부이고,
    c) 상기 지퍼를 닫고 전체 요소를 전체 부재에 결합하는 다른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하여 상기 요소가 상기 타이어에 부착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타이어에 체결하는 것은 상기 부재의 일부분을 타이어와 바퀴의 림(rim) 사이에 삽입하여 수행되는,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양 길이 방향 측면을 따라 있는 상호 부착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우, 두 부재는 각 측면에 하나씩 타이어에 체결되고, 상기 요소와 인접 부재의 기다란 일 측면을 따라 있는 인접 수단이 서로 결합하는,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딩 표면의 단부를 서로에 체결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25318A 2016-02-29 2017-02-27 타이어용 요소 Active KR102696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03502.4 2016-02-29
GB1603502.4A GB2547722A (en) 2016-02-29 2016-02-29 Element for tyre
NO20160335A NO341356B1 (en) 2016-02-29 2016-02-29 Element for tyre
NO20160335 2016-02-29
PCT/NO2017/050053 WO2017150983A1 (en) 2016-02-29 2017-02-27 Element for ty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299A true KR20180116299A (ko) 2018-10-24
KR102696613B1 KR102696613B1 (ko) 2024-08-19

Family

ID=5842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318A Active KR102696613B1 (ko) 2016-02-29 2017-02-27 타이어용 요소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20190092107A1 (ko)
EP (1) EP3423296B1 (ko)
JP (1) JP6956345B2 (ko)
KR (1) KR102696613B1 (ko)
CN (1) CN109070667B (ko)
AU (1) AU2017228213B2 (ko)
BR (1) BR112018069536B1 (ko)
CA (1) CA3014416A1 (ko)
CL (1) CL2018002379A1 (ko)
DK (1) DK3423296T3 (ko)
EA (1) EA037047B1 (ko)
ES (1) ES2797075T3 (ko)
HR (1) HRP20200994T1 (ko)
HU (1) HUE049784T2 (ko)
LT (1) LT3423296T (ko)
MX (1) MX2018010356A (ko)
NZ (1) NZ745015A (ko)
PL (1) PL3423296T3 (ko)
PT (1) PT3423296T (ko)
RS (1) RS60484B1 (ko)
WO (1) WO2017150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05951A1 (en) * 2017-10-06 2019-04-11 Wali Brown Over-tire cover incorporating bolt-like studs and tread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which cover easily fits over tires for wheelchairs, bicycles and the like to provide more traction, safety and security when rolling over various outdoor surfaces, which cover may after use be easily slipped off
NO346344B1 (en) 2020-11-12 2022-06-20 Retyre As Mould and method for moulding double curved elements of elastomeric material
NO347412B1 (en) * 2021-12-01 2023-10-23 Retyre As A Surface Adapting Assembly for a Ty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urface Adapting Assembly for a Ty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3140A (en) * 1922-04-03 1923-04-24 Crusselle B Jackson Tire protector
US2158398A (en) * 1936-02-15 1939-05-16 Bryant Tom Automobile tire
US3107713A (en) * 1962-02-26 1963-10-22 Walton W Cushman Pneumatic tires and replaceable treads therefor
KR200320512Y1 (ko) * 2003-04-15 2003-07-22 (주)유진메디케어 휠체어용 타이어커버
US20100200136A1 (en) * 2008-09-08 2010-08-12 Hamilton Brian H Modular Tire with Variable Tread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547958A (en) * 1957-10-29 S. Downey Clem Tires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GB190419947A (en) * 1904-09-16 1905-03-23 Henry Garner Improvements in or connected with Self Propelled Vehicle Wheel Tyres.
GB190929614A (en) * 1909-12-17 1910-10-06 Thomas Lawson B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heels for Motor Cars, Bicycles and the like.
GB191329614A (en) * 1912-12-30 1915-03-25 Lauritz Petersen-Hviid Method of Dyeing, Impregnating, or Softening Wood at Temperature, and of Preventing the Desctruction of the Wood during such Process.
GB510999A (en) * 1937-09-25 1939-08-11 Jules Bernard Vercruysse Means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er covers of bicycle tyres
US3260294A (en) * 1965-01-19 1966-07-12 Campion Rosana Convertible tire
AT392761B (de) * 1987-06-12 1991-06-10 Urleb Alfred Ing Gleitschutzvorrichtung fuer reifen an antriebsraedern von kraftfahrzeugen
US5170827A (en) * 1987-06-12 1992-12-15 Alfred Urleb Detachable anti-skid chain for a vehicle wheel
RU2091243C1 (ru) * 1995-03-23 1997-09-27 Игнатьев Валерий Борисович Смен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протектор шины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DE29719314U1 (de) * 1997-10-30 1998-01-29 Blumberg, Rolf, 26135 Oldenburg Spikesüberzug für Zweiradfahrzeuge
CN2415956Y (zh) * 2000-02-23 2001-01-24 张培吉 车辆防滑套
CN201021083Y (zh) * 2007-01-16 2008-02-13 辛克鑫 一种雪地防滑单片帘、帘及防滑设施
CN103158454A (zh) * 2013-03-09 2013-06-19 周峰 一种轮胎增摩带
KR20150025113A (ko) * 2013-08-28 2015-03-10 이광희 스노우 체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3140A (en) * 1922-04-03 1923-04-24 Crusselle B Jackson Tire protector
US2158398A (en) * 1936-02-15 1939-05-16 Bryant Tom Automobile tire
US3107713A (en) * 1962-02-26 1963-10-22 Walton W Cushman Pneumatic tires and replaceable treads therefor
KR200320512Y1 (ko) * 2003-04-15 2003-07-22 (주)유진메디케어 휠체어용 타이어커버
US20100200136A1 (en) * 2008-09-08 2010-08-12 Hamilton Brian H Modular Tire with Variable Tread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423296T3 (da) 2020-06-29
EP3423296A1 (en) 2019-01-09
LT3423296T (lt) 2020-07-10
US20190092107A1 (en) 2019-03-28
MX2018010356A (es) 2019-03-28
PT3423296T (pt) 2020-06-23
CL2018002379A1 (es) 2018-12-28
PL3423296T3 (pl) 2020-12-28
NZ745015A (en) 2023-04-28
WO2017150983A1 (en) 2017-09-08
HUE049784T2 (hu) 2020-10-28
CN109070667A (zh) 2018-12-21
HRP20200994T1 (hr) 2021-01-08
BR112018069536A2 (pt) 2019-01-29
RS60484B1 (sr) 2020-08-31
AU2017228213B2 (en) 2020-11-26
EA037047B1 (ru) 2021-01-29
CA3014416A1 (en) 2017-09-08
BR112018069536B1 (pt) 2022-05-03
EA201800462A1 (ru) 2019-01-31
JP2019512420A (ja) 2019-05-16
CN109070667B (zh) 2022-03-29
KR102696613B1 (ko) 2024-08-19
JP6956345B2 (ja) 2021-11-02
AU2017228213A1 (en) 2018-08-23
EP3423296B1 (en) 2020-03-25
ES2797075T3 (es)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1766C1 (ru) Шипованная шина
KR20180116299A (ko) 타이어용 요소
KR101557940B1 (ko) 스노우 체인
US2533151A (en) Antiskid device
US4886100A (en) Traction device adapted to compensate for tire size variations resulting from inflation and road deflection
US4275781A (en) Cleated snow chain
KR200467704Y1 (ko) 이륜차용 스노우체인
GB2547722A (en) Element for tyre
HK40000893A (en) Element for tyre
NO341356B1 (en) Element for tyre
US5249615A (en) Two zone tread pattern
KR101582052B1 (ko) 오토바이용 미끄럼 방지 체인
CN222116458U (zh) 一种可拆卸全包带钉防滑外胎
WO2015105005A1 (ja) タイヤ滑止装置およびタイヤ滑止装置用本体
JP3124113U (ja) タイヤ用滑止具
JP3563794B2 (ja) タイヤの防滑具
US5180454A (en) Anti-skid tire apparatus
KR20040085860A (ko) 자동차용 조립식 스노우 체인
US20070017616A1 (en) Traction aid for wheeled vehicles
US1669939A (en) Nonskid shoe
US2263724A (en) Antiskid tire
JP2661888B2 (ja) タイヤ滑り止め具
KR101081049B1 (ko) 이중 바퀴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스노우 체인 장치
CA1335423C (en) Tread pattern and belted tire
RU45337U1 (ru) Самонаматывающееся противобуксовочное сред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