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44A -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와 그 증강현실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와 그 증강현실 출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6044A KR20180116044A KR1020170048735A KR20170048735A KR20180116044A KR 20180116044 A KR20180116044 A KR 20180116044A KR 1020170048735 A KR1020170048735 A KR 1020170048735A KR 20170048735 A KR20170048735 A KR 20170048735A KR 20180116044 A KR20180116044 A KR 201801160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gmented reality
- sound
- interest
- information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에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에서 소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에서 관심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에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과 정보 출력 예를 나타낸 것이다.
관심 소리 후보명 | 방향 정보 | 순서 정보 | 경과시간 정보 |
D | F방향 | 1 | 2.4초 |
E | G방향 | 2 | 1.5초 |
120 : 소리 검출부 130 : 관성 센서
140 : 시선 추적 센서 150 : 카메라
160 : 제어부 170 : 저장부
180 : 통신부 190 : 출력부
Claims (9)
-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으로서,
검출된 소리의 방향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증강현실용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헤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소리의 방향과 상기 헤딩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관심 방향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 방향 내 객체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방향의 영상 정보를 원격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객체 인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증강현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의 방향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복수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상기 소리를 검출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소리의 세기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의 방향을 결정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관성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헤딩 정보를 결정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방향을 지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소리의 방향을 관심 소리 후보로 삼는 단계와,
상기 관심 소리 후보와 상기 헤딩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 소리 후보 중에서 상기 헤딩 정보에 일치된 관심 소리 후보에 대응하는 소리의 방향을 상기 관심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심 방향은, 상기 소리의 방향과 상기 헤딩 정보 및 상기 추적된 시선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지정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딩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시선 범위 내에 상기 소리의 방향이 존재하면 상기 소리의 방향이 상기 추적된 시선 방향에 일치할 때에 상기 소리의 방향을 상기 관심 방향으로 지정하는
증강현실 출력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강현실 출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착용이 가능한 증강현실용 디바이스로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실행시에,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스는,
검출된 소리의 방향을 판정하고,
상기 증강현실용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헤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소리의 방향과 상기 헤딩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관심 방향을 지정하고,
상기 관심 방향 내 객체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증강현실용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8735A KR20180116044A (ko) | 2017-04-14 | 2017-04-14 |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와 그 증강현실 출력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8735A KR20180116044A (ko) | 2017-04-14 | 2017-04-14 |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와 그 증강현실 출력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6044A true KR20180116044A (ko) | 2018-10-24 |
Family
ID=6413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8735A Ceased KR20180116044A (ko) | 2017-04-14 | 2017-04-14 |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와 그 증강현실 출력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1604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7886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상황 인식 서버 |
WO2023048466A1 (ko) * | 2021-09-27 | 2023-03-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컨텐츠 표시 방법 |
US12033382B2 (en) | 2021-09-27 | 2024-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esenting contents based on gaze dwell time |
-
2017
- 2017-04-14 KR KR1020170048735A patent/KR20180116044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7886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착용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상황 인식 서버 |
WO2023048466A1 (ko) * | 2021-09-27 | 2023-03-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컨텐츠 표시 방법 |
US12033382B2 (en) | 2021-09-27 | 2024-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esenting contents based on gaze dwell ti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2000640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US9921073B2 (en) | Eyewear-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092671B2 (en) | Visual line detection device and visual line detection method | |
US20200211512A1 (en) | Headset adjustment for optimal viewing | |
US20190107724A1 (en) | Computer display device mounted on eyeglasses | |
CN110167823A (zh) | 用于驾驶员监测的系统和方法 | |
JP2010061265A (ja) | 人物検索登録システム | |
US10002293B2 (en) | Image collection with increased accuracy | |
US20170344110A1 (en) | Line-of-sight detector and line-of-sight detection method | |
JP6631951B2 (ja) | 視線検出装置及び視線検出方法 | |
KR20190089627A (ko) |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 |
CN109002248B (zh) | Vr场景截图方法、设备及存储介质 | |
KR20150135847A (ko) |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20127790A (ko) | 시선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0514755B2 (en) | Glasses-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7078568B2 (ja) |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 |
JP2019164420A (ja) | 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
JP6554948B2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EP3640840B1 (en) |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glasses, smart glasses and storage medium | |
KR20180116044A (ko) | 증강현실용 디바이스와 그 증강현실 출력 방법 | |
JP2019066618A (ja) |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 |
JP2017169167A (ja) | 捜索支援装置、捜索支援方法及び捜索支援プログラム | |
JP2017191546A (ja) | 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プログラムおよび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 |
JP6576639B2 (ja) | 電子眼鏡および電子眼鏡の制御方法 | |
US2020037955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2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