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3755A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55A
KR20180113755A KR1020170045242A KR20170045242A KR20180113755A KR 20180113755 A KR20180113755 A KR 20180113755A KR 1020170045242 A KR1020170045242 A KR 1020170045242A KR 20170045242 A KR20170045242 A KR 20170045242A KR 20180113755 A KR20180113755 A KR 20180113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holder
lens
disposed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8106B1 (en
Inventor
장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06B1/en
Publication of KR2018011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55A/en
Priority to KR1020220023281A priority patent/KR1025125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0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3Scanning systems hav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fibres, light guides or waveguides as scann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및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 light emitting modul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lens unit; A first holder coupled to the first lens unit;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 housing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second holder,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 first coil facing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unit, a light emitting module, a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 light emitting module, and a driving method of the driver and the driver.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can detect light toward a target and detect distances, directions, velocities, temperatures, material distributions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to objects.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되다가, 최근에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Lida has been used for weather observa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but recently it has been studied for autonomous driving and unmanned ballet parking.

라이다는, 광을 물체에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광출력 모듈에서는 렌즈의 형상에 따라 화각이 고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출력 모듈에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또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적용하는 경우 화각의 변위량은 소량에 그쳐 문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충격에도 약하여 문제가 된다.Rida includes an optical output module for emitting light to an object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for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However,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module has a problem that the angle of view is fix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ens. In addition, when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 focus (AF) function or a camera modul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 is applied to an optical output module,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angle of view is small. Also, in this case, it is also vulnerable to impact, which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렌즈 크기는 축소하면서 넓은 화각(FOV, field of view)의 구현이 가능한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및 라이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a light emitting module, and a lidar that can realize a wide field of view (FOV) while reducing a lens size.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및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한다.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lens unit; A first holder coupled to the first lens unit;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 housing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second holder,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 first coil facing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본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한다.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unit; A first holder coupled to the first lens unit; A secon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holder unit;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 housing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first holder portion; A second magnet disposed in the second holder portion; A thir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second lens unit; And a substrat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ens unit and having a light sourc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nd facing the second magnet.

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상기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을 포함한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ptical output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irradiated region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optical output module and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region, A first lens unit; A first holder coupled to the first lens unit; A secon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holder unit;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 housing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first holder portion; A second magnet disposed in the second holder portion; A thir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second lens unit; And a substrat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ens unit and having a light sourc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the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동 방법은 광원에 상측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를 포함하는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가 배치된 제1홀더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렌즈부가 배치된 제2홀더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렌즈부가 상기 제2방향과 반대되는 제4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lens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a light source, wherein the first holder, in which the first lens unit is disposed, ; Moving a second holder in which the second lens unit i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Moving the first holder in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moving the second lens unit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본 실시예를 통해 광원의 스캐닝(Scanning)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canning of the light sourc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렌즈 크기 축소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장이 축소될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이 구현 가능하며, X축/Y축의 화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overall length of the lens driving device can be reduced as the lens size is reduced, a wide angle of view can be realized, and an angle of view of the X axis / Y axis can be adjusted.

또한,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는 별도의 구동 유닛을 통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can be individually moved through separate driving units,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in terms of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d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d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1 - X2 of FIG. 6;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1-Y2 in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other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이하에서는, 제1마그넷(313), 제1코일(314), 제2마그넷(323), 제2코일(324)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하고 또 다른 하나를 '제3구동부'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4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넷(313)이 제2하우징(312)에 위치하며, 제1코일(314)이 제1하우징(31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마그넷(323)이 제4하우징(322)에 위치하며, 제2코일(324)이 제3하우징(321)에 위치할 수 있다.Hereinafter, any one of the first magnet 313, the first coil 314, the second magnet 323 and the second coil 324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driving unit' and the other as a 'second driving unit' Another one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driving part', and the other one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driving part'. Meanwhile, the first magnet 313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312, and the first coil 314 may be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311. The second magnet 323 may be located in the fourth housing 322 and the second coil 324 may be located in the third housing 321. [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detect the distance, direction, velocity, temperature, mater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to an object by irradiating light toward a target.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라이다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Lida can be used for weather observa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Also, Lida can be used for autonomous driving and unattended valet parking.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과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optical output module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Rida may include a light output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irradiated reg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module tha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and senses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region.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기판(410), 수광 센서(미도시),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에서 광원(420)을 수광 센서(미도시)로 대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광수신 모듈에서, 방열부재(430)는 생략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의 기판(41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광출력 모듈의 기판(41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ight receiving module can sens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output module and reflected at the irradiated area. The light receiving module may include a substrate 410, a light receiving sensor (not shown), a heat radiating member 430, and a lens driving device. The light receiving module may be manufactured by replacing the light source 420 in the light output module with a light receiving sensor (not shown). Further, in the light receiving module, the heat radiation member 430 may be omitted. Description of the substrate 410, the heat dissipating member 430 and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light receiving module will be give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ubstrate 410, the heat dissipating member 430 and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Can be applied. The light receiving sensor can sen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output module and reflected at the irradiated area. The light receiving sensor can detect infrared light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광출력 모듈은,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optical output module can irradiate light to the irradiated area. The optical output module may include a laser diode. The optical output module can irradiate infrared light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이 포함된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module including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d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d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10)는 케이스(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라이다(10)의 구동을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하면에는 별도의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2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0)와 상기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25)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lad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uter shape by a case 20. The case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components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ase 20 by driving the ladder 10. A separate cov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20. Therefore,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0 can be shield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and the case 20. Alternativel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ase 20 and the cover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space 25 can be formed therein.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에는 각각 광출력 모듈(30)과, 광수신 모듈(50)의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광출력 모듈(30)과 상기 광수신 모듈(5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되는 영역은 상기 광출력 모듈(30)에서 조사되는 빛이 출사 또는 입사되기 위한 렌즈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들은, 표면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0,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and a part of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50 are resp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a part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and a part of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case 20. The exposed region may be a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is emitted or incident. Therefore, the lenses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urface thereof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0.

상기 케이스(20)의 외면 중 상기 광수신 모듈(50)이 노출되는 영역에는, 상기 광수신 모듈(50)에 인접하여 광 가이드(60)가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0)에는 상기 광수신 모듈(50)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홀의 외주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수신 모듈(50)이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에 노출된다할 때,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 light guide (60)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0) adjacent to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in a region where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is exposed. In detail, a hole for exposing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case 20. The light guide 6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hole. For example, when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 the light guide 6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호 대향하는 복수의 가이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 가이드(60)의 상호 마주하는 면은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62)과, 상기 수직면(6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6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인접한 복수의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직선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면(61)은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1 내지 10도를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 guide 60 may be a plurality of mutually opposed guides. At this tim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light guides 60 may be defined as inner surfaces of the light guides 60. A vertical surface 62 formed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 and an inclined surface 61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6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60 .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ight guides 60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further distanced from the straight line. For example, the inclined surface 61 may form 1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광출력 모듈(30)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수신 모듈(50)로 가이드되도록 한다. 이는, 반사된 광이 상기 광수신 모듈(50)의 제1 광수신 렌즈(52)로 입사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광수신 모듈(50)과 상기 광출력 모듈(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출력 모듈(30)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광수신 모듈(30)에 직접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ght guide 60 reflect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in the irradiated area and is guided to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eflected light is guided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ight receiving lens 52 of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The light guide 6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and the light output module 3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30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module 30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received.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연성기판(40)을 외부로 연장시키기 위한 기판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홀(22)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40)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성기판(40)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부에서 타 구성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성기판(40)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거나, 구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송신될 수 있다. Meanwhile, a substrate hole 22 for extending the flexible substrate 40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20. The substrate hole 22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se 20 so that the flexible substrate 40 can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20 to the outside. The flexible substrate 40 may be coupled to an actuator 300 having one end disposed inside the case 20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outside the case 20. Therefore, power for driving the actuator 300 can be supplied through the flexible substrate 40, or a control command necessary for driving can be transmitted.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라이다(10)는 상기 광출력 모듈(30)과 상기 광수신 모듈(5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Lada 10 includes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and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50.

상기 광수신 모듈(50)은 광수신 렌즈(52, 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 광수신 렌즈(52)와,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광수신 렌즈(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may include optical receiving lenses 52 and 54.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include a first light receiving lens 52 at least partially exposed upward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lens 54 positioned below the first light receiving lens 52, .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 가이드(6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54) can be accommodated in the light guide (60).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enter of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may be exposed upward.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광수신 기판(5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 중 상기 제2 광수신 렌즈(54)는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로부터 입사된 광을 통한 신호가 상기 광수신 기판(56)에 입력될 수 있다.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may be disposed on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56. The second light receiving lens 54 of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56 so that a signal through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And can be input to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56.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는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로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수신 렌즈(54)는 집광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후술할 제1렌즈부(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부로 더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광수신 렌즈(52, 54) 영역은 상하 방향길이가 상기 제1렌즈부(130) 보다 높게 형성된다. The first light-receiving lens 52 may have a curved surface whose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Therefor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region can be easily incident on the first light receiving lens 52. The second light receiving lens 54 may be a condensing lens. Further,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 the outside relative to the first lens unit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regions of the light receiving lenses 52 and 54 exposed to the outside ar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lens unit 130.

상기 광수신 기판(56)의 하측에는 별도의 기판(58)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상기 별도의 기판(58)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상기 별도의 기판(58)은 상기 고정나사와 이격된 양측에 별도의 연결기판(57)이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기판(58)의 하측에는 메인기판(90)이 배치되어 상기 광수신 모듈(50)과 상기 광출력 모듈(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판(90)은 상기 라이다(10)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전달하거나, 상기 각 모듈(30, 50)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A separate substrate 58 may be further disposed below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56.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56 and the separate substrate 58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fixing screw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56 and the separate substrate 5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disposing a separate connecting substrate 57 on both sides of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56 and the separate substrate 58. A main substrate 90 is disposed below the separate substrate 58 so that the light receiving module 50 and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main board 9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required for driving the ladder 10 or provide power to the modules 30 and 50.

이하에서는 상기 광출력 모듈(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8은 도6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1 - X2 in FIG. 6, and FIG. 9 is a cross-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1-Y2 in Fig.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30)은, 기판(410), 광원(42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에서는, 기판(410), 광원(42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방열부재(430)는, 광원(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생략되거나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2 to 8, the optical output modu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bstrate 410, a light source 420, a radiation member 430, and a lens driving device. However, in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ubstrate 410, the light source 420, the heat radiation member 430, and the lens driving device may be omitted or changed. In particular, the heat dissipating member 430 may be omitted as a member for emitting heat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420, or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member.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의 상면에는 상기 광원(420) 및 상기 제1방열판(43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의 하면에는 상기 제2방열판(43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일례로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판(410)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기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ubstrate 410 may be coupled to the light source 420. The substrate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420. In this case, the substrate 410 can supply a current necessary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420. The light source 420 and the first heat sink 43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The second heat sink 43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The substrate 410 may be,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ubstrate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substrate 90 disposed on the lower side.

상기 광원(420)은, 렌즈 유닛(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상기 기판(4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상기 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상기 원(420)은, 상기 기판(4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일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light source 42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lens unit 100. The light source 42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lens unit 110. The light source 420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410. The light source 4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410.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420 can receive power from the substrate 410. The light source 420 may be a laser diode. The light source 420 can irradiate infrared light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 및/또는 상기 기판(41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광원(420) 및/또는 상기 기판(41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radiation member 4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ight source 420 and / or the substrate 410.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30 may emit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420. That is, the heat dissipation member 430 can prevent the light source 420 and / or the substrate 410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420.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제1방열판(431) 및 상기 제2방열판(4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member 430 may include the first heat dissipation plate 43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plate 432.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광원(420)이 배치된 상기 기판(4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기판(41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 및 상기 기판(410)의 사이에는, 상기 광원(42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광원(4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일부에서 상기 광원(4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원판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광원(420)을 수용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나사산에는 제3렌즈배럴(133)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heat sink 43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on which the light source 420 is disposed. The first heat sink 4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The light source 4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eat sink 431 and the substrate 410. That is, the first heat sink 431 may receive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source 420. The first heat sink 43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420 in a part thereof. The first heat radiating plate 431 may include a disc-shaped body, and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and accommodating the light sources 420 inward.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jection.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be coupled to the thread of the projection.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의 하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방열판(43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나사못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 및 상기 제1방열판(431)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홀더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heat sink 432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The second heat sink 4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410 at least partially. The second heat radiating plate 4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eat radiating plate 431 by a coupl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substrate 410. 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may be a bolt or a screw. Alternatively, the second heat sink 432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unit 200 by a coupl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substrate 410 and the first heat sink 431.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유닛(100), 홀더 유닛(200) 및 액츄에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렌즈 유닛(100), 상기 홀더 유닛(2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lens unit 100, a holder unit 200, and an actuator 300. [ However,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lens unit 100, the holder unit 200, and the actuator 300 may be omitted or changed.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기판(410)에 실장된 상기 광원(42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광원(420)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렌즈 유닛(100)을 통과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광원(4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고정하는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모두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The lens unit 100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light source 420 mounted on the substrate 410. With this structu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20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ns unit 100. The lens unit 100 may change the path of at least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20.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nd a barrel for fixing the plurality of lenses. The lens unit 100 may be composed of a total of six lenses.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first to sixth lenses 111, 112, 121, 122, 131, and 132.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lenses 111, 112, 121, 122, 131, and 132 may be an aspherical lens. Alternatively, the first to sixth lenses 111, 112, 121, 122, 131, and 132 may be aspherical lenses.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FOV, field of view)은, 135도 내지 145도 일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확보될 수 있다.The field of view (FOV) of the lens unit 100 may be 135 degrees to 145 degrees.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unit 100 may be formed by the actuator 300. That is,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unit 100 can be ensured as the actuator 300 moves at least a part of the lens unit 100.

상기 렌즈 유닛(100)은, 제3렌즈부(130), 제2렌즈부(120) 및 제1렌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렌즈 유닛(100)에서,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third lens unit 130, a second lens unit 120, and a first lens unit 110. However, in the lens unit 100, at least one of the third lens unit 130,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omitted or changed.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3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1렌즈부(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렌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the third lens unit 130.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lens unit 130 may be exposed upward.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second lens unit 120 positioned below the first lens unit 130.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lens unit 110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ens unit 120.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는 광원(420)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는 순서를 바꾸어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lens unit 130,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42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lens unit 110. However, the third lens unit 130,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order.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2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상면의 주변부는, 커버(22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third lens unit 1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unit 200.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lens unit 1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enter of the third lens unit 130 may be exposed upwar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third lens unit 130 may be received by the holder unit 200. [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ens unit 130 may be pressed downward by the cover 220 and fixed.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제5렌즈(131), 제6렌즈(132) 및 제3렌즈배럴(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렌즈부(130)에서, 상기 제5렌즈(131), 상기 제6렌즈(132) 및 상기 제3렌즈배럴(13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third lens unit 130 may include a fifth lens 131, a sixth lens 132, and a third lens barrel 133. In the third lens unit 130, at least one of the fifth lens 131, the sixth lens 132, and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be omitted or changed.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상기 제5렌즈(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5렌즈(13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6렌즈(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lens unit 130 may include the fifth lens 131 at least partially exposed upward. The third lens unit 130 may include the sixth lens 132 positioned below the fifth lens 131.

상기 제5렌즈(13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2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주변부는, 상기 커버(22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1 내지 제4렌즈(111, 112, 121, 122)와 비교하여 가장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fifth lens 131 may be received in the holder unit 200. At least a part of the fifth lens 131 may be exposed upward. The center of the fifth lens 13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enter of the fifth lens 131 may be exposed upwar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fth lens 131 can be received by the holder unit 200. [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lens 131 may be pressed downward by the cover 220 to be fixed. The fifth lens 131 may have the largest diameter as compared with the first through fourth lenses 111, 112, 121, and 122.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5렌즈(1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3렌즈(1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의 직경은, 상기 제5렌즈(131)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제3렌즈(121)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5렌즈(131)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ixth lens 132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fth lens 131. The sixth lens 13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third lens 121. The diameter of the sixth lens 132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fth lens 131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lens 121. The sixth lens 132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fifth lens 131 is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of the fifth lens 131.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커버(2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2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receive at least a part of the fifth lens 131.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receive at least a part of the fifth lens 131.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fth lens 131.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fth lens 131.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unit 200.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be received inside the cover 220.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be seated in the holder 210.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be supported by the holder 210.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lens barrel 133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der 210.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lens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actuator 300. The second lens unit 120 can be moved by the actuator 300.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00.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second lens unit 1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unit 100 may be restricte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contact the third lens unit 130 directl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third lens unit 13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lens unit 11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lens unit 110.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하고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 방향은 'X축 방향'이라 칭하고, 상기 제2축 방향은 'Y축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1축 방향으로 2.8mm 내지 3.2mm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2축 방향으로 88㎛ 내지 92㎛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135도 내지 145도 확보될 수 있다. The second lens unit 120 can be moved in a first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00. The second lens unit 120 can move in a second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00 and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may be orthogonal. In this case, the first 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Y-axis direction'.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be movable by 2.8 mm to 3.2 mm in the first axis direction.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be movable by 88 占 퐉 to 92 占 퐉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In this case,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unit 100 may be 135 to 145 degrees.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절홀(24, 도 1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홀(24)은, 상기 케이스(20)의 측면 중 상기 제2렌즈부(120)와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부(120)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절홀(24)에 별도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제2렌즈부(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an adjustment hole 24 (see FIG. 1) for exposing the second lens unit 120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20. The adjustment hole 24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20 which overlaps with the second lens unit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xpose the second lens unit 120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unit 120 by inserting a separate tool into the adjustment hole 24. [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3렌즈(121),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렌즈부(120)에서, 상기 제3렌즈(121), 상기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lens unit 120 may include a third lens 121, a fourth lens 122, and a second lens barrel 123. In the second lens unit 120, at least one of the third lens 121, the fourth lens 122, and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be omitted or changed.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6렌즈(132)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렌즈(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3렌즈(12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4렌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렌즈(121) 및 상기 제4렌즈(122)는, '구동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The second lens unit 120 may include the third lens 121 located below the sixth lens 132.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include the fourth lens 122 positioned below the third lens 121. Here, the third lens 121 and the fourth lens 122 may be referred to as a 'driving lens'.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6렌즈(132)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4렌즈(1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4렌즈(122)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의 직경은, 상기 제4렌즈(122)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The third lens 121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ixth lens 132. The third lens 12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ourth lens 122. The third lens 121 may be fixed to the second lens barrel 123. The third lens 121 may be coupled to the actuator 300. The third lens 121 can be moved by the actuator 300. The third lens 121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optical axis thereof coincides with the fourth lens 122. The diameter of the third lens 121 may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ourth lens 122.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3렌즈(1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5렌즈(13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The fourth lens 122 may be positioned below the third lens 121. The fourth lens 12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fth lens 131. The fourth lens 122 may be fixed to the second lens barrel 123. The fourth lens 122 may be coupled to the actuator 300. The fourth lens 122 can be moved by the actuator 300.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렌즈배럴(1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제1홀더부(1010)에 지지될 수 있다.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lens 121.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fourth lens 122.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lens 121.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suppor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urth lens 122.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unit 200.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be coupled to the actuator 300. The second lens barrel 123 can be moved by the actuator 300.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be supported by the third lens barrel 133. In detail, the second lens barrel 123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holder 1010 of the actuator 300.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광원(4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coupled to the actuator 300.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moved by the actuator 300. The first lens unit 110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00.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first lens unit 11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00 can be restricted.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ens unit 120.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light source 42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ens unit 110 ma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43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431.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상기 제2렌즈(112) 및 상기 제1렌즈배럴(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렌즈부(110)에서, 상기 제1렌즈(111), 상기 제2렌즈(112) 및 상기 제1렌즈배럴(11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lens unit 110 may include the first lens 111, the second lens 112, and the first lens barrel 113. In the first lens unit 110,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111, the second lens 112, and the first lens barrel 113 may be omitted or changed.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4렌즈(122)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렌즈(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및 상기 제2렌즈(112)를 수용하며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렌즈 배럴(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ens unit 110 may include the first lens 111 positioned below the fourth lens 122. The first lens unit 110 may include the second lens 112 positioned below the first lens 111. The first lens unit 110 includes the first lens barrel 113 that receives the first lens 111 and the second lens 112 and is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uator 300 .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4렌즈(122)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2렌즈(112)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1렌즈배럴(1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1렌즈(111) 및 상기 제2렌즈(112)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포커싱(focus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렌즈(111)는, '포커싱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The first lens 111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ourth lens 122. The first lens 11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econd lens 112. The first lens 111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lens barrel 113. The first lens 111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tuator 300. The first lens 111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111 and that of the second lens 112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first lens 111 may be a lens for focusing. In this case, the first lens 111 may be referred to as a 'focusing lens'.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광원(4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22)는, 상기 제1렌즈배럴(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컬리메이팅(collimat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광원(420)에서 조사되는 광을 통해 평행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렌즈(112)는, '컬리메이팅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The second lens 112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lens 111. The second lens 11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light source 420. The second lens 122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lens barrel 113. The second lens 122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tuator 300. The second lens 112 may be arranged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111 coincides with that of the first lens 111. The second lens 112 may be a lens for the collimating. That is, the second lens 112 can generate parallel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20. In this case, the second lens 112 may be referred to as a 'collimating lens'.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후술하는 제2홀더부(10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first lens barrel 113 can receive the first lens 111. The first lens barrel 113 can receive the second lens 112. The first lens barrel 113 may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ens 111. The first lens barrel 113 may support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lens 112. The first lens barrel 113 may be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uator 300. The first lens barrel 113 may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431. In detail, the first lens barrel 113 can be supported by a second holder 10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3렌즈부(1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내부에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3렌즈부(130) 는 고정하고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The holder unit 200 can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lens unit 100. The holder unit 200 may fix the third lens unit 130. The holder unit 200 can accommodate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movably therein. That is, the holder unit 200 can hold the third lens unit 130 and move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movably. The holder unit 200 may internally accommodate the second lens unit 120 or the actuator 300 that moves the first lens unit 110.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홀더 유닛(200)에서,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210)와 상기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20)의 제조 시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렌즈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The holder unit 200 may include the holder 210 and the cover 220. However, in the holder unit 200, at least one of the holder 210 and the cover 220 may be omitted or changed. Further, the holder 210 and the cover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holder 210 and the cover 220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to support the lens unit 100 when the case 20 is manufactured.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주변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홀더(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 중 상기 제5렌즈(131)의 외주측 영역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lens unit 100 and the holder 210 for accommodating the actuator 300 therein. The holder unit 200 may include the cover 220 that presse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lens 131 downward and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210. The cover 2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fth lens 131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

상기 홀더(21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내부에 상기 광원(42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기판(4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제1방열판(43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방열부재(4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기판(4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의 상단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홀더(210)의 하단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직육면체의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액츄에이터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 수용홈은, 액츄에이터 수용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최외곽 형상인 원기둥형인 상기 제3렌즈배럴(133)을 수용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렌즈배럴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 수용홀은, 렌즈배럴 수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최외곽 배럴이 원기둥형인 렌즈 유닛(100)을 수용하고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액츄에이터(30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하단과 상단은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더(210)는, 중간 부분은 단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The holder 210 can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lens unit 100 therein. The holder 210 can accommodate the light source 420 therein. The holder 21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ubstrate 410. The holder 21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431. The holder 210 may be coupled to the heat dissipating member 430 by a coupling member. The holder 210 may be fixed to the substrate 410. The upper end of the holder 210 may be circular. The lower end of the holder 210 may be circular. The holder 210 can accommodate the actuator 300 therein. The holder 210 may include an actuator receiv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tuator 300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t this time, the actuator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as an actuator receiving hole. The holder 210 may include a lens barrel receiving hole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to receive the third lens barrel 133, which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outermost shape. At this time, the lens barrel receiving hole may be formed as a lens barrel receiving groove. The holder 210 can accommodate the actuator 3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ccommodating the lens unit 100 in which the outermost barrel is cylindrical. The holder 210 may have a circular shape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The holder 210 may have a rectangular-shaped groove in its cross-section.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주변부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홀더(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홀더(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내부에 상기 제3렌즈부(13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중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의 측면은, 상기 홀더(2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 및 상기 홀더(21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 및 상기 홀더(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상기 렌즈 유닛(1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수용될 수 있다.The cover 220 may pres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lens 131 downward. The cover 220 may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210. The cover 2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lder 210. The holder 210 can accommodate the third lens unit 130 therein. The cover 220 may include a hollow hole expos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lens 131. The cover 220 may be formed as a lower open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2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210. The cover 220 and the holder 2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erein. The lens unit 100 and the actuator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ver 220 and the holder 210. [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된 상기 렌즈 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actuator 300 may be referred to as a 'voice coil motor (VCM)'. The actuator 300 can move the lens unit 100 coupled to the actuator 300 through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를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광축'은 '상하 방향', '수직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광축에 수직인 방향'은, '전후좌우 방향', '수평 방향' 및 'X축/Y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1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경사를 이루도록 만날 수 있다. 또한,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때, 제1축은 'X축'으로 호칭되고, 제2축은 'Y축'으로 호칭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서로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제1렌즈부(110)는 X축 방향, 상기 제2렌즈부(120)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actuator 300 may move the second lens unit 120 or the first lens unit 110. The actuator 300 may move the second lens unit 120 or the first lens unit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100.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can be restricted. Here, the 'optical axis' may be referred to as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may be referred to as 'front / back / left / righ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X axis / Y axis direction'. The actuator 300 may move the second lens unit 120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lens unit 110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may be inclined. Further,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may be orthogonal. At this time, the first axis may be referred to as an 'X axis' and the second axis as a 'Y axis'. That is, the actuator 300 can move the second lens unit 120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irst lens unit 110 in the Y-axis direction or more. At this time,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changed in direction. That is,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하우징(1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하우징(1100)에 결합되는 제1 구동 유닛(1001) 및 제2 구동 유닛(1002) 및 기판(331, 3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액츄에이터(300)에서,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 및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 상기 기판(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actuator 300 is formed by the housing 1100. The actuator 30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1001 and a second driving unit 1002 coupled to the housing 1100 and substrates 331 and 333. However, in the actuator 300,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ing unit 1001, the second driving unit 1002, and the substrate 330 may be omitted or changed.

상기 하우징(1100)의 상, 하측에는 커버(39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39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커버와 상기 하우징(1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cover 39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using 1100. At this time, the cover 39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v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0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100. The first cover may have a hole for exposing the second lens unit 120 upward.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1홀더부(1010), 제1 마그넷(1012), 제1코일(1014), 제1가이드부(101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에서, 상기 제1홀더부(1010), 상기 제1 마그넷(1012), 상기 제1코일(1014), 상기 제1가이드부(101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1001 may include a first holder 1010, a first magnet 1012, a first coil 1014, and a first guide unit 1015. In the first drive unit 1001,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der 1010, the first magnet 1012, the first coil 1014, and the first guide unit 1015 May be omitted or changed.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하우징 기판(350)에 의해 상, 하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기판(350) 중 광축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부(1100)를 상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351)이 형성될 수 있다. 7, the actuator 300 can be partition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housing substrate 350. [ The first driving unit 100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00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A hole 351 for exposing the first lens unit 1100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may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상기 하우징(1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actuators 300 are mounted on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housing substrate 35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0. The housing substrate 3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100.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제1코일(1014), 제2코일(1034), 제1홀더부(1010), 제2홀더부(103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 하면에는 전술한 제1코일(1014), 제2코일(1034), 제1홀더부(1010), 제2홀더부(1030)가 결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상기 제1코일(1014), 제2코일(1034), 제1홀더부(1010), 제2홀더부(1030)의 배치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코일(1014)을 안착시키기 위한 코일 안착부(353)가 상기 제1코일(1014)의 위치 및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substrate 350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il 1014, the second coil 1034, the first holder unit 1010, and the second holder unit 1030. The first coil 1014, the second coil 1034, the first holder 1010, and the second holder 1030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seat portion can be formed. The seating part has a first coil 1014, a second coil 1034, a first holder part 1010, a second holder part 103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 coil seating part 353 for seating the first coil 10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coil 1014 .

상기 제1코일(1014)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코일(1014)을 2개를 배치하였으나, 설계에 따라 1개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코일(1014)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1014)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측에 상기 제1홀더부(10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기판(350)에는 상기 제1코일(1014)이 배치되기 위한 제1 코일 결합부(1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1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40)은 제2렌즈부(120)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14)은,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wo of the first coils 101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of the first coils 1014 are disposed, but only one can be disposed according to the desig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il 1014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and the first holder 1010 is disposed on the housing substrate 350 on which the first coil 1014 is disposed Can be combined. To this end, a first coil coupling portion 1111 for disposing the first coil 1014 may be formed on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1014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first coil 104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lens unit 120. The first coil 101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330.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제1 가이드볼(1016)과, 상기 제1 가이드볼(1016)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 가이드홈(10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볼(1016)은 상기 제1홀더부(10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 중 상기 제1 가이드볼(1016)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홈(10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art 101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10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first guide portion 1015 may include a first guide ball 1016 and a first guide groove 1017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ball 1016 slides. The first guide ball 1016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unit 1010 and the first guide ball 101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ball 101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A guide groove 1017 can be formed. The first guide part 10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art 1010 and the housing substrate 350 in plural.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중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하면 중 상기 제1 마그넷(1012)의 배치영역과 상기 제1가이드부(1015)의 중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0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끝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제1코일(1014)과 하우징(1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part 1015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first holder part 1010.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part 101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rea of the first magnet 1012 and the center of the first guide part 1015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part 1010 have. The first guide portions 1015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first holder portion 1010. The first guide portion 101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10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end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ousing 1100.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10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il 1014 and the housing 1100.

상기 제1홀더부(1010)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가 수용되기 위한 제1 결합홀(10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홀(1011)은 대략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부(120)의 제2렌즈배럴(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와 제1홀더부(1010)는 나사결합 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 후 에폭시나 열경화성 접착제로 추가로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중심에 상기 제2렌즈부(120)가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제1 마그넷(1012)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1010 has a first coupling hole 1011 for receiving the second lens unit 120. The first coupling hole 101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holder 101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ens barrel 123 of the second lens unit 120.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holder unit 1010 may be screwed together and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n epoxy or a thermosetting adhesive after screwing.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lens unit 12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holder unit 1010, and the first magnet 1012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lens unit 1010.

보다 상세히,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제2렌즈부(120)가 끼워지는 홀더몸체(1010a)와, 상기 홀더몸체(1010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1012)가 배치되는 마그넷 결합부(1010b)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holder 1010 includes a holder body 1010a on which the second lens unit 120 is fitted, and a second magnet 1010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1010a, And a magnet coupling portion 1010b.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2홀더부(1030), 제2 마그넷(1032), 제2코일(1034), 제2가이드부(1035)을 포함할 수 잇다. 다만,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에서, 상기 제2홀더부(1030), 상기 제2 마그넷(1032), 상기 제2코일(1034), 상기 제2가이드부(103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e unit 1002 may include a second holder 1030, a second magnet 1032, a second coil 1034, and a second guide unit 1035. In the second drive unit 1002, at least one of the second holder 1030, the second magnet 1032, the second coil 1034, and the second guide unit 1035 May be omitted or changed.

상기 제2코일(1034)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 2개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코일(1034)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1034)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측에 상기 제2홀더부(10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기판(350) 에는 상기 제2코일(1034)이 배치되기 위한 제2 코일 결합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3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34)은 상기 제1렌즈부(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상기 제2코일(1034)의 배치 방향은, 복수의 상기 제1코일(1014)의 배치 방향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34)은,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wo of the second coils 1034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il 1034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and the second holder 1030 is disposed on the housing substrate 350 on which the second coil 1034 is disposed Can be combined. To this end, a second coil coupling portion 1112 for the second coil 1034 may be formed on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1034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second coil 1034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ens unit 110. At this time, the arrang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ils 1034 can be opposite to the arrang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ils 1014. The second coil 103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330.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제2 가이드볼(1036)과, 상기 제2 가이드볼(1036)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 가이드홈(10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볼(1036)은 상기 제2 홀더(103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 중 상기 제2 가이드볼(1036)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홈(10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art 1035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holder part 10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may include a second guide ball 1036 and a second guide groove 1037 through which the second guide ball 1036 slides. The second guide ball 1036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1030 and the second guide ball 1036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guide ball 1036, A groove 1037 can be formed.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may be disposed in plurality between the second holder portion 1030 and the housing substrate 350.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중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하면 중 상기 제2 마그넷(1032)의 배치영역과 상기 제2가이드부(1035)의 중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0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끝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제2코일(1034)과 하우징(1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part 1035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holder part 1030.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and the second magnet 1032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portion 1030, have. The second guide portions 1035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econd holder portion 1030.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1030 and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housing substrate 35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ousing 1100. That is,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il 1034 and the housing 1100.

상기 제2홀더부(1030)에는, 상기 제1렌즈부(110)가 수용되기 위한 제2 결합홀(10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홀(1031)은 대략 상기 제2 홀더(103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렌즈부(110)의 제3렌즈배럴(13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홀더(1030)는 중심에 상기 제1렌즈부(110)가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제2 마그넷(1032)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second holder portion 1030 is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1031 for receiving the first lens portion 110 therein. The second coupling hole 103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holder 1030 and may be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lens barrel 133 of the first lens unit 110.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lens unit 11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holder 1030, and the second magnet 1032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holder 1030.

보다 상세히,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제1렌즈부(110)가 끼워지는 홀더몸체(1030a)와, 상기 홀더몸체(1030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1032)가 배치되는 마그넷 결합부(1030b)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holder 1030 includes a holder body 1030a on which the first lens unit 110 is inserted, and a second magnet 1030a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1030a, And a magnet coupling portion 1030b.

한편,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더 자세하게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양단에 상기 제1 마그넷(1012)이 배치되는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양단에 상기 제2 마그넷(1032)이 배치되는 상기 제2홀더부(1030)는, 마그넷의 배치 형태가 상호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코일(1014)과 상기 제2코일(1034)의 배치 형태 또한 상호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이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이 상기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holder 1010 and the second holder 1030 may be disposed so as to intersect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holder 1010 at which the first magnet 1012 is disposed at both ends and the second holder 1030 at which the second magnet 1032 is disposed at both ends, Can form mutual verticals. Therefor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oil 1014 and the second coil 1034 can als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first driving unit 1001 moves the second lens unit 120 in the X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002 moves the first lens unit 110 in the Y axis direction . In other words, the first holder 1010 may b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holder 1030 may be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제2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제1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uide part 1015 i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holder part 1010 can be driven in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i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1030 can be driven in the first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홀더부(1010)가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고, 제1가이드부(1015)가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제1가이드부(1015)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older 1010 is arranged lo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guide 1015 i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1010 and the first guide portion 1015 may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상기 제2홀더부(1030)가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제2가이드부(1035)가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제2가이드부(1035)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lder 1030 is arranged lo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1035 i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holder 103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can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다만,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제2홀더부(10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부(1015)와 제2가이드부(1035)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부(1015)와 제2가이드부(1035)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holder 1010 and the second holder 1030 are driven in different directions, the first guide part 1015 and the second guide part 1035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1015 and the second guide part 1035 may be arrang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는 제1기판(331)이 배치된다. 상기 제1기판(331)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10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코일(1014)은 상기 제1기판(331)의 상면에서, 상기 제1코일(10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332)의 하면에는 상기 제2코일(1034)이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3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판(331)은 상기 하우징(1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substrate 33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1010 and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first substrate 331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014.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coil 10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014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331. The second coil 1034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332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331. Meanwhile, the first substrate 33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100.

한편, 상기 제1기판(331)에는 홀(332)이 형성된다. 상기 홀(332)은 상기 제1기판(332)의 상,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332)과 상기 제1코일(1014) 사이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1015)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332)과 상기 제2코일(1034) 사이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1035)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hole 332 is formed in the first substrate 331. The holes 332 are formed throug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ubstrate 332. The first guide part 10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le 332 and the first coil 1014. The second guide portion 103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le 332 and the second coil 1034. [

그리고,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는 제2기판(333)이 배치된다. 상기 제2기판(333)은 상기 제2코일(10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 second substrate 333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older 1030 and the housing substrate 350. The second substrate 3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103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1 마그넷(1012)과 상기 제1코일(1014)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2 마그넷(1032)과 상기 제2코일(1034)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개별적인 구동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렌즈 크기 축소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장이 축소될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이 구현 가능하고, X축/Y축의 화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second lens unit 120 is driven by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1012 and the first coil 1014, Direction. The first lens unit 110 can be moved in the Y axis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magnet 1032 and the second coil 1034. [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can be operated by individual driv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can be reduced as the lens size is reduced, and a wide angle of view can be realized And the angle of view of the X axis / Y axis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개별적인 구동으로 동작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X축/Y축 구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lens unit 120 and the first lens unit 110 are operated by separate driving, it is possible to drive the X-axis / Y-axis more stably.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다.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3렌즈부(130) 및 광원(420)은 기판(410)에 대하여 고정된다. 다만, 제1렌즈부(110) 및 제2렌즈부(120)는, 기판(410)에 대하여 각각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lens unit 130 and the light source 420 are fixed to the substrate 410. However, the first lens unit 110 and the second lens unit 120 can move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41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2렌즈부(120)의 이동을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의 이동을 Y축 방향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제2렌즈부(120)가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렌즈부(110, 120)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도 있다. Here, the movement of the second lens unit 120 is limited 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lens unit 110 is limited to the Y-axis direction. However, the second lens unit 120 may be moved in the X- The first lens unit may move in the Y axis direction. Further, each of the lens units 110 and 120 may be movable in three or more axes direc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은, 도 10의 start로 표시된 지점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후,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2렌즈부(120)를 X축과 평행한 제1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도 10의 A 참조). 보다 상세히, 제1코일(10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제1마그넷(313)이 제1코일(1014)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제2렌즈부(120)가 배치된 상기 제1홀더부(1010)가 제1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홀더부(1030)는 고정된다.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rradiate light at a point indicated by start in Fig. Thereafter, the first driving unit 1001 moves the second lens unit 120 by a second distance L2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X axis (see A in Fig. 10). More specifical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il 1014, the first magnet 313 of the first holder unit 1010 performs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coil 1014, and the second lens unit The first holder unit 1010 in which the first holder unit 120 is disposed moves integrally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holder 1030 is fixed.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B). 보다 상세히, 제2코일(103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홀더부(1030)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1032)이 제2코일(1034)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제1렌즈부(110)가 배치된 상기 제2홀더부(1030)가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Then, the second driving unit 1002 moves the first lens unit 110 by a first distance L1 in a second direction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B). More specifical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il 1034, the second magnet 1032 located in the second holder 1030 performs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second coil 1034, The second holder part 1030 in which the first holder part 110 is disposed moves integrally in the second direction.

이후,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2렌즈부(120)를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C). 이 경우에도, 제1코일(10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렌즈부(120)가 배치된 상기 제1홀더부(1010)가 일체로 이동한다.Then, the first driving unit 1001 moves the second lens unit 120 by a second distance L2 in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C). In this case also,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il 1014, the first holder portion 1010 in which the second lens portion 120 is disposed moves integrally.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1렌즈부(110)를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D). 이 경우에도, 제2코일(103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렌즈부(120)가 포함된 제2홀더부(1030)가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Then, the second driving unit 1002 moves the first lens unit 110 by the first distance L1 in the second direction (D). Also in this cas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oil 1034, the second holder portion 1030 including the first lens portion 120 moves integrally in the second direction.

이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유닛(1001)과 제2 구동 유닛(1002)이 교대로 작동하여 제2렌즈부(120) 또는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킨다(도 7의 E, F, G 참조).The first driving unit 100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002 alternately operate to move the second lens unit 120 or the first lens unit 110 as described above (see E, F, G).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이 제2방향과 반대인 제4방향으로 제1거리(L1)의 3배만큼 이동시킨다(H). 이로써, 제1렌즈부(110)는, End/Start로 표시된 지점에 도착하게 되고 1회 사이클(cycle)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제1렌즈부(110)의 구동 사이클은 20Hz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되는 제1거리(L1)는, 0.6mm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Y축 변위량은 0.6mm일 수 있다. 또한, 제2거리(L2)는, 4mm 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X축 이동 변위량은 4mm일 수 있다.Thereafter, the second driving unit 1002 is moved by three times the first distance L1 in the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H). Thus, the first lens unit 110 arrives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End / Start and completes one cycle. At this time, the driving cycle of the first lens unit 110 may be performed at a cycle of 20 Hz.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stance L1 shown in Fig. 7 may be 0.6 mm. That is, the Y axis displacement amount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0.6 mm. Also, the second distance L2 may be 4 mm. That is, the X axis shift amount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4 mm.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제1렌즈부(110)와 상기 제2렌즈부(120)의 이동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부(110)와 상기 제2렌즈부(120) 중 어느 일 렌즈부의 이동은 타 렌즈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각 렌즈부가 개별적,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될 수 있다. However, the movement of the first lens unit 110 and the second lens unit 120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movement of any one of the first lens unit 110 and the second lens unit 120 does not affect the other lens unit, so that each lens unit can be individually and independently drive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i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및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A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lens unit;
A first holder coupled to the first lens unit;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 housing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in the second holder portion,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nd facing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and facing the second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홀더부는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older portion i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holder i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기판은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과 상기 제1코일 사이에 제1가이드부가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comprises a hole,
And a first guide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hole and the first coi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과 상기 제2코일 사이에 제2가이드부가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econd guide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hole and the second coi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볼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볼이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제1 가이드홈이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uide ball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lder,
And a first guide groove for sliding the first guide ball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의 상면에는 제2 가이드볼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볼이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제2 가이드 홈이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guide ball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lder,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 sliding the second guide ball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 상기 제2홀더부 및 상기 제1기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제1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는 제2커버가 결합되는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surrounding the first holder portion, the second holder portion, and the first substrate,
Wherein a first cover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cover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hou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older portion is drive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holder is driven in the first direction.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광출력 모듈.
A first lens unit;
A first holder coupled to the first lens unit;
A secon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holder unit;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 housing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first holder portion;
A second magnet disposed in the second holder portion;
A thir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second lens unit; And
And a substrate disposed below the first lens unit and having a light sourc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nd facing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the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상기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 light output module for emitting light to the irradiated region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and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region,
The optical output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unit;
A first holder coupled to the first lens unit;
A secon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holder unit;
A second hold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 housing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der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portion;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first holder portion;
A second magnet disposed in the second holder portion;
A third lens unit disposed above the second lens unit; And
And a substrate disposed below the first lens unit and having a light sourc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housing substrat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and facing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bstrate, the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광원에 상측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를 포함하는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가 배치된 제1홀더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렌즈부가 배치된 제2홀더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렌즈부가 상기 제2방향과 반대되는 제4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다의 구동 방법.

A method of driving a ladder including a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lens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a light source,
Moving the first holder in which the first lens unit i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Moving a second holder in which the second lens unit i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Moving the first holder in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nd moving the second lens unit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KR1020170045242A 2017-04-07 2017-04-07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 Active KR102368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42A KR102368106B1 (en) 2017-04-07 2017-04-07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
KR1020220023281A KR102512573B1 (en) 2017-04-07 2022-02-22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42A KR102368106B1 (en) 2017-04-07 2017-04-07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281A Division KR102512573B1 (en) 2017-04-07 2022-02-22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55A true KR20180113755A (en) 2018-10-17
KR102368106B1 KR102368106B1 (en) 2022-02-28

Family

ID=640993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42A Active KR102368106B1 (en) 2017-04-07 2017-04-07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
KR1020220023281A Active KR102512573B1 (en) 2017-04-07 2022-02-22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281A Active KR102512573B1 (en) 2017-04-07 2022-02-22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810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920A1 (en) * 2019-03-05 2020-09-10 Waymo Llc Alignment of optical transmitter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KR20200117494A (en) * 2019-04-04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Cross-talk prevention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 to external object
WO2022212003A1 (en) * 2021-04-02 2022-10-06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ed adhesive bonding in a lida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47A (en) * 2007-05-17 2008-11-21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Zoom lens for mobile
KR20150118012A (en) * 2014-04-11 2015-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70035467A (en) * 2015-09-23 2017-03-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448B2 (en) * 2005-09-30 2007-09-25 Institut National D'optique Short range LIDAR apparatus having a flat spatial response
KR20100043333A (en) * 2008-10-20 2010-04-29 (주)캠톤 Optical image correction system
JP6632301B2 (en) * 2015-10-02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347A (en) * 2007-05-17 2008-11-21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Zoom lens for mobile
KR20150118012A (en) * 2014-04-11 2015-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50118005A (en) * 2014-04-11 2015-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70035467A (en) * 2015-09-23 2017-03-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920A1 (en) * 2019-03-05 2020-09-10 Waymo Llc Alignment of optical transmitter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KR20200117494A (en) * 2019-04-04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Cross-talk prevention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 to external object
WO2022212003A1 (en) * 2021-04-02 2022-10-06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ed adhesive bonding in a lida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573B1 (en) 2023-03-20
KR102368106B1 (en) 2022-02-28
KR20220027135A (en)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573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CN109690887B (en) Light output module and LIDAR
US9360653B2 (en) Lens moving apparatus
EP2728378B1 (en) Optical sensor
KR20180029585A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102553963B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20160077024A (en) Displacement sensor
KR102624097B1 (en) LiDAR
KR20220103897A (en)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KR20150128264A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545310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102481506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102463901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102437691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20180026143A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102638695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102361051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KR102487277B1 (en)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US20240255643A1 (en) Distance measurement camera module
EP3065034B1 (en) Light output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