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2320A - 운동용 보틀 - Google Patents

운동용 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320A
KR20180112320A KR1020170043056A KR20170043056A KR20180112320A KR 20180112320 A KR20180112320 A KR 20180112320A KR 1020170043056 A KR1020170043056 A KR 1020170043056A KR 20170043056 A KR20170043056 A KR 20170043056A KR 20180112320 A KR20180112320 A KR 20180112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in body
exercise
body portion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겸
소병하
방준영
Original Assignee
김재겸
방준영
소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겸, 방준영, 소병하 filed Critical 김재겸
Priority to KR102017004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320A/ko
Publication of KR2018011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32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용 보틀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나 각종 음료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장소에 상관 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근력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웨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용 보틀{EXERCISE FOR BOTTLE}
본 발명은 운동용 보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보틀기능 이외에도 팔 근육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보틀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바쁜 생활에 쫓겨 운동량은 매우 부족한 반면, 식생활 변화로 인해 비만인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등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각종 언론매체 및 의료기관에서는 본인에 맞는 적절한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부의 사람들이 시간적, 공간적, 금전적제약으로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패트병 등 수지재 음료용기의 모양을 아령 모양으로 변형시킨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용기의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별히 제작된 아령용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마개 기능을 하면서 아령 기능을 하게 한 제품도 개발되었으나, 음료용기의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76399호(2016.11.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이나 각종 음료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장소에 상관 없이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보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웨이트의 중량을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보틀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웨이트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재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운동용 보틀.
또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와 그립부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재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캡, 상기 장착캡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무게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를 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에 수나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캡의 내주연에는 상기 수나선부와 체결되는 암나선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 또는 결합상태의 본체부와 웨이트부를 수납하기 위한 파우치 및 상기 웨이트부를 수납하기 위한 파우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은, 물이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본체부에 웨이트부를 장착하여 본체부의 중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근력 운동을 하거나, 전문적으로 아령운동의 교범에 따라 편리하게 근력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간편한 휴대가 가능함으로,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 어디에서든지 근력 운동을 하도록 할 있고, 특히, 조깅, 산책, TV 시청, 독서 중에도 틈틈히 근력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물이나 음료 등을 채우면 보다 무거운 중량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근력 운동 중 수분 보충이 필요할 경우에는 본체부에 수용된 물이나 음료를 그 자리에서 즉시 음용할 수 있는 등 별도의 물이나 음료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착탈부를 통해 웨이트부를 본체부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는 웨이트부를 중량 별로 구비해 놓고 자신이 원하는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로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와 웨이트부를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웨이트부의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의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에 적용된 장착캡과 무게추의 일 실 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에 측정기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에 적용된 제1파우치와 제2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의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에 적용된 장착캡과 무게추의 일 실 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에 측정기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에 적용된 제1파우치와 제2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1)은 물이나 각종 음료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신체의 근력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체부(10), 웨이트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물, 음료 등의 다양한 수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마개(12)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1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파지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중앙부분이 상측과 하측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몰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외면에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수용물의 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과 그에 해당하는 숫자가 인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외면 함몰된 부분에는 운동용 보틀(1)을 휴대하거나 또는 운동용 보틀(1)을 통해 웨이트 운동을 할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그립부(30)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다.
상기 그립부(30)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윤곽에 맞게 밀착된 상태에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30)는 사용자가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우수한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그립부(30)는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 또는 다수개의 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부(10)에는 사용자가 운동용 보틀(1)을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손잡이부(40)는 장착부(41), 그립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41)는 2개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측 외주연과 하측 외주연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파지부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그립부(42)는 일측이 본체부(10)의 상측에 장착된 장착부(41)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본체부(10)의 하측에 장착된 장착부(4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장착부(41)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그립부(42)는 대략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와 그립부(42)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4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41)는 상기 본체부(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우수한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42) 또한 사용자가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우수한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웨이트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중량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2개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이트부(20)는 장착캡(21), 무게추(22)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캡(21)은 무게추(22)를 본체부(10) 상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0)와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캡(21)은 쉽게 녹슬거나 부식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외면은 표면에 탄화피막이 형성되어 쉽게 변형되지 않고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가 없는 우레탄으로 마감처리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캡(21)의 외면에는 무게추(22)의 무게 또는 장착캡(21)과 무게추(22)의 합산된 무게를 나타내는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22)는 상기 각각의 장착캡(21) 내부에 수용되고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장착캡(21)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캡(21)을 본체부(10)에 장착시 본체부(10)의 중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무게추(22) 각각은 동일 중량으로 적용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양측에 동일한 중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무게추(22)의 길이는 크게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장착캡(21)을 본체부(10)에 장착하였을 경우, 무게추(22)의 끝단이 마개(12)에 접촉되지 않는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웨이트부(20)와 본체부(10)는 착탈부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부(10)의 상측 외주연과 하측 외주연에 수나선부(1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장착캡(21)의 개구부(11)측에 상기 수나선부(13)에 체결되는 암나선부(21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장착캡(21)에 형성된 암나선부(211)를 본체부(10)에 형성된 수나선부(13)에 위치 시킨 다음 장착캡(21)을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나선부(211)와 수나선부(13)가 체결되어 웨이트부(20)를 본체부(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웨이트부(20)가 본체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장착캡(21)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나선부(211)와 수나선부(13)의 체결이 점차 해제되어 웨이트부(20)를 본체부(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에 웨이트부(20)를 장착하여 본체부(10)의 중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42)를 잡고 팔을 구부렸다 펴는 근력 운동을 하거나, 전문적으로 아령운동의 교범에 따라 편리하게 근력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 어디에서든지 근력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조깅, 산책, TV 시청, 독서 중에도 틈틈히 근력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의 수용공간에 물이나 음료 등을 채우면 보다 무거운 중량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근력 운동 중 수분 보충이 필요할 경우에는 본체부(10)에 수용된 물이나 음료를 그 자리에서 즉시 음용할 수 있는 등 별도의 물이나 음료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착탈부를 통해 웨이트부(20)를 본체부(10)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함에 따라, 사용자는 웨이트부(20)를 중량 별로 구비해 놓고 자신이 원하는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20)로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부(10)에 웨이트부(20)를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웨이트부(20)의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게추(22)를 장착캡(21)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각각의 무게추(22) 일측에 수나선부(221)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캡(21)의 내부공간 끝단에는 상기 수나선부(221)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암나선부(21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에서 웨이트부(2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무게추(22)를 중량 별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무게추(22)를 중량 별로 구비해 놓고, 자신이 원하는 중량을 갖는 무게추(22)로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면에는 밴드(60)를 통해 장착되는 측정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기(50)는 통상의 만보기 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운동용 보틀(1)에 측정기(50)를 장착한 다음 근력 운동을 하면, 운동 중 팔을 펴고 굽힌 회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량을 정확하게 알도록 할 수 있고, 계획적인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보틀(1)은 상기 본체부(10) 또는 결합상태의 본체부(10)와 웨이트부(20)를 수납하기 위한 제1파우치(50) 및 상기 웨이트부(20)를 수납하기 위한 제2파우치(60)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파우치(50)는 내부에 상기 본체부(1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본체부(10)를 수납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개구부가 자크 및 지퍼를 통해 개폐되는 통상의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50)에는 끈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를 제1파우치(50)에 수납한 다음 어깨에 메거나 손으로 파지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파우치(60)는 내부에 상기 웨이트부(2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웨이트부(20)를 수납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개구부가 자크 및 지퍼를 통해 개폐되는 통상의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력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 상기 웨이트부(20)를 본체부(10)에서 분리한 다음 상기 제2파우치(60)에 수납하여 운동용 보틀(1)의 중량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운동용 보틀(1)만 제1파우치(50)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운동용 보틀 10 : 본체부
11 : 개구부 12 : 마개
13,221 : 수나선부 20 : 웨이트부
21 : 장착캡 22 : 무게추
211,212 : 암나선부 30,42 : 그립부
40 : 손잡이부 41 : 장착부
50 : 측정기 50 : 제1파우치
51 : 끈 60 : 제2파우치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운동용 보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재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운동용 보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와 그립부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재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운동용 보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캡,
    상기 장착캡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무게추로 구성되는 운동용 보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를 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에 수나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캡의 내주연에는 상기 수나선부와 체결되는 암나선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운동용 보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결합상태의 본체부와 웨이트부를 수납하기 위한 파우치 및 상기 웨이트부를 수납하기 위한 파우치를 더 포함하는 운동용 보틀.
KR1020170043056A 2017-04-03 2017-04-03 운동용 보틀 Ceased KR20180112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56A KR20180112320A (ko) 2017-04-03 2017-04-03 운동용 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56A KR20180112320A (ko) 2017-04-03 2017-04-03 운동용 보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20A true KR20180112320A (ko) 2018-10-12

Family

ID=6387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56A Ceased KR20180112320A (ko) 2017-04-03 2017-04-03 운동용 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3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4359A3 (en) * 2022-02-24 2024-04-11 Sporty Solutions Sports drinking bott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4359A3 (en) * 2022-02-24 2024-04-11 Sporty Solutions Sports drinking bot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262B1 (en) Convex push-up handles
US20130012358A1 (en) Combined Beverage Holder and Exercise Apparatus
US8382647B1 (en) Weighted exercise device providing two grips
US5692996A (en) Sculpted weight for physical fitness routines
US9011300B2 (en) Weighted exercise device providing multiple grips
US7179210B2 (en) Club-weight(s)
CN118265559A (zh) 锻炼设备夹持件和手柄
US11730994B2 (en) Handgrip for skipping ropes
US20040259699A1 (en) Exercise cane
US20170282001A1 (en) Barbell Drinking Fluid Container
US20090029830A1 (en) Grip strengthener with therapy ball
KR20180112320A (ko) 운동용 보틀
KR101626945B1 (ko) 복합 운동 기구
KR20190000292U (ko) 생수용기 또는 음료용기가 결합 되어 아령이 되도록 하는 아령 손잡이
US20160022066A1 (en) Weight Training Beverage Mug
US20200397165A1 (en) Mug with removable base for attaching weights
US2015023879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fitness stick
JP2017527321A (ja) 筋力を強化するための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US20230271048A1 (en) Weight plate
JP2003047671A (ja) フィットネス用具
US20120295767A1 (en) Handgrip exercising device
CN208770754U (zh) 一种大人小孩通用的跳绳
US20170259108A1 (en) Weigh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701411B1 (ko) 야구 선수용 악력기
JP2003102867A (ja) 運動具用握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7101005135

Request date: 201710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1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23

Effective date: 2019012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1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71023

Decision date: 20190122

Appeal identifier: 2017101005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