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469A - Chair for idiopathic scoliokyphosis - Google Patents
Chair for idiopathic scoliokyphos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9469A KR20180109469A KR1020170039246A KR20170039246A KR20180109469A KR 20180109469 A KR20180109469 A KR 20180109469A KR 1020170039246 A KR1020170039246 A KR 1020170039246A KR 20170039246 A KR20170039246 A KR 20170039246A KR 20180109469 A KR20180109469 A KR 201801094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eat
- body support
- plate
- til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6 co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323 shoulder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63B21/002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isometric exercising,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여 학습이나 업무 등의 일상적으로 활용하면서,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몸통을 스스로 가쪽으로 밀어 몸통 지지판에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실시하여서, 비대칭인 몸통의 근력을 단련하고 골격을 교정하여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조기 예방 및 교정치료하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설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좌판의 후방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등받이 지지대; 및 상기 등받이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양측에는 각각, 몸통 지지판을 내측으로 탄성 틸팅시킨 몸통 지지체가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는, 몸통 측부를 몸통 지지체가 형성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쪽 이동시켜, 내측으로 탄성 틸팅된 몸통 지지판에 가쪽에 이동된 몸통을 지지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sometric exercise in which a user is seated on a seat and routinely uses the body such as learning or work while periodically pushing the body toward the body and continuously supporting the body on the body support plate, This is an idiopathic spine lateral bending chair for the early prevention and correction of idiopathic vertebral flex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at for providing a sitting spac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at a predetermined height; A backrest support formed upright on the rear of the seat; And a backrest supported by the backrest support,
On both sides of the seat, a body support body, which is elastically tilted inwardly of the body support plate, is arranged symmetricall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plate is configured to move the body side portion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formed with the body support body and to perform an isometric exercise to support the body that is moved to the side on the elastic tilted body support plate .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여 학습이나 업무 등의 일상적으로 활용하면서,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몸통을 스스로 가쪽으로 밀어 몸통 지지판에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실시하여서, 비대칭인 몸통의 근력을 단련하고 골격을 교정하여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조기 예방 및 교정치료하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자는, 인간공학 분야의 가장 전통적인 주제 중 하나이며, 특히 우리나라의 학생들은 학교와 가정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 각종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As we all know, chairs are one of the most traditional topics in the field of ergonomics, and in particular, students in our country sit in chairs for most of the time at school and home.
이처럼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를 취하는 것은, 신체의 특정부위 및 근·뼈대계 질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들이다.Taking a sitting position in such a chair for a long time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specific parts of the body and muscular and skeletal diseases.
그리고, 인체에 있어 척추는 우리 몸의 기둥 역할을 하며 머리뼈에서 골반까지 연결하는 골성 구조물로서, 강한 인대와 근육으로 강화되어 신체의 중심축을 이루고 옆에서 보면 부위별로 전만과 후만이 교차하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전체적인 균형을 이룬다.In the human body, the vertebra acts as a pillar of our body. It is an osseous structure that connects the head bone to the pelvis. It is reinforced by strong ligaments and muscles to form the center axis of the body. Form the overall balance.
그러나, 현대는 과거와 달리 가중되고 있는 공부와 관련된 정신적 스트레스와 부적절한 자세로 장시간 컴퓨터 사용하기 때문에, 체격을 무시한 책걸상의 높이, 무거운 책가방,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자세와 관련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because Hyundai uses computer for a long time due to mental stress and improper attitude related to study, which is increasing unlike the past, it causes health problems related to various postures due to the height of the bookcase, the heavy backpack, .
그러나, 현재 의자에 앉아 학습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고, 이러한 환경에서 신체의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의자에 관한 연구가 필요로 한다.However, it is inevitable to sit and learn or work on the chair now,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ir which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body in this environment.
이와 같이 앉은 자세로부터 발생되는 이상 체형을 해부학적, 생체 역학적으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Mandal(1981)은 허리통증을 피하기 위해 의자와 작업 자세에 대해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제안을 하였다. Many anatomical and biomechan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bnormal body shape resulting from the sitting posture. Typically, Mandal (1981) proposed an anatomical view of the chair and working posture to avoid back pain.
현재 전국의 초, 중, 고등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책상과 의자 등 교구의 경우 대부분 중, 소 교구 제조업체에서 KS G 2010을 참조하거나 학교 주문자의 자체 요구지침에 의해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며, 인간공학을 전공한 연구 인력이나 연구재원이 미약한 중소기업에서는 최근 학생들이 빠른 성장과 변화하는 학생들의 체격을 고려한 학생용 책상과 의자의 개발에 적절히 대처해 나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In the case of teaching materials such as desks and chairs us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most of them are produced by small-scale manufacturers in reference to KS G 2010, In the case of SMEs with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or research funds, students have not been able to properly cope with the development of student desks and chairs considering rapid growth and changing student physique.
그리고, 문재호 등(1995)과 Drury와 Coury(1982)의 보고에 따르면 자신의 체격에 맞지 않는 책상과 의자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신체 발육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뿐만아니라 집중력이 저하되어 학습효과를 저하시키게 되며, 오래 지속될 경우 학생들의 척추 옆굽음증 및 척추 앞·뒤굽음증 등 이상체형 형성의 주요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하였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ports of Moon Jae-ho (1995) and Drury and Coury (1982), when a desk and chair that do not fit their physique are used for a long time, they cause great obstacles to physical development, , And that it is likely to be a major cause of abnormal body shape such as lateral bending of the vertebrae and anterior and posterior bending of the vertebrae when they last for a long time.
이에, 현대사회에서 최근에 자세이상과 통증, 척추변형 등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고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기의 척추이상은 그 문제가 심각하게 생각되어지고 있다.Therefore, in the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patients looking for a hospital due to postural abnormality, pain, and vertebral deformity is increasing. Especially, the problem of the spinal abnormality in adolescence in growing stage is seriously considered.
또한, 학교보건원(1997)의 통계에 따르면 척추 옆굽음증이 과거에 비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은 근뼈대계가 급성장하는 시기이고, 운동부족 등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문재호, 1998).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School Health Service (1997), the bending of the vertebrae gradually increases compared with the past, indicating that the students in adolescence are in a period of rapid growth of muscle skeletal system and are closely related to lifestyle such as lack of exercise (Moon, Jaeho, 1998).
특히, 청소년기 척추변형의 주류를 이루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은 10세에서부터 성장이 완료되는 시기 사이에서 흔히 나타나며, 12∼16세 사이에 급속히 발전되기 때문에(Gunnoe, 1990), 성장기의 바른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diopathic vertebrae, the mainstream of adolescent vertebral deformity, are common between the age of 10 and the completion of growth, and develop rapidly between the ages of 12 and 16 (Gunnoe, 1990) It is more important.
그리고, 척추 옆굽음증의 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으므로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더 나빠지지 않는지 관찰하는 것이 좋다는 연구도 있으나(Han과 Lee, 1998), 척추 옆굽음의 각도가 낮을수록 교정효과가 높기 때문에 초기에 자세관리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Moon 등, 1996).In addition, studies have shown that if the degree of lateral bending of the spine is weak, it is better to observe that it does not become worse without special treatment because there are no symptoms (Han and Lee, 1998) (Moon et al., 1996).
또한, 나영무 등(1996)은 청소년의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은 유전적 요소 외 생활습관 즉 책상과 의자에서 장시간 부적절한 자세로 컴퓨터 사용과 운동부족, 수업, 보충수업, 과외, 자율학습 등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성장기의 잘못된 자세와 체형이 맞지 않는 책상과 의자가 주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In addition, Na Young-moo et al. (1996) found that idiopathic vertebrae in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be at rest than in genetic factors, such as computer use and lack of exercise, This is the main reason for the growth of the era.
한편, 몸통 가쪽이동 방법을 통해 몸통을 골반 기준선을 넘어 가쪽 이동시키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척추 옆굽음증에 대한 능동적인 예방과 교정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몸통 가쪽 이동으로도 초기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은 교정되어 안정화될 수 있고, 또 조기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by continuously moving the body beyond the pelvic reference line through the body moving method, active prevention and correction of the lateral bending of the vertebrae can be performed, and thus, Bending can be corrected and stabilized, and it is known to be helpful for early prevention and treatment.
그 증거로, 28도 등허리 척추 옆굽음 각도와 Risser sign 4등급을 가진 15세 여자아이를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적용 시 23도로 감소되었고 4년 동안 지속적으로 적용하였더니 더 많은 각도 감소가 일어났으며, 비슷한 등허리 척추 옆굽음증 각도를 가진 또래 아이 2명을 같은 방법으로 검사한 결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As a result, a 15-year-old female child with a 28 degree backbone angle of bend and Risser sign grade 4 decreased 23 degrees when applied continuously for 6 months and continued to apply for 4 years,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when two peer children with similar backbone flexion angles were examined in the same way.
그러나, 최근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성장기 학생들의 의자에서의 자세를 개선해주는 교정장치들은 개발이 이루어져 일부 시판되고 있으나, 척추 옆굽음증의 Cobb’s 각의 개선 기능을 갖는 의자를 비롯한 교정장치의 개발 및 보급은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development of orthodontic appliances that improve the posture of the students in the chair during the long period of time has been developed and some of them have been marketed. Howeve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the chair having the improvement function of the Cobb's angle of the vertebrae Is not achieved.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여 학습이나 업무를 수행하면서,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몸통을 스스로 가쪽으로 밀어 몸통 지지판에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가동 이동방법을 통해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실시하여서,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조기에 예방하거나, 교정 치료하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body by holding a user on a seat while periodically performing a learning or work while sitting on a se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idiopathic vertebral proximal chair for early prevention or correction of idiopathic vertebral flexion by performing an isometric exercis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stitutio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는,The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부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좌판부의 후방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등받이 지지대를 갖는 등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A seating plate for providing a seating spac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eft plate portion away from the ground; And a backrest portion having a backrest support portion formed to stand upright behind the seat portion,
상기 좌판의 양측에는 각각, 몸통 지지판을 내측으로 탄성 틸팅시킨 몸통 지지체가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On both sides of the seat, a body support body, which is elastically tilted inwardly of the body support plate, is arranged symmetrically,
상기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는, 몸통 측부를 몸통 지지체가 형성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쪽 이동시켜, 내측으로 탄성 틸팅된 몸통 지지판에 가쪽에 이동된 몸통을 지지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seated on the seat plate is configured to move the body side portion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formed with the body support body and to perform an isometric exercise to support the body that is moved to the side on the elastic tilted body support plate .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 지지체는, 좌판의 측부 저면에 배치되며, 기립된 몸통 지지대를 내측으로 탄성 틸팅시키는 틸팅 어셈블리와; 상기 몸통 지지대에 고정되어 가쪽 이동되는 사용자의 몸통 측면을 지지하는 몸통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Preferably, the body support comprises: a tilting assembly disposed on a side bottom of the seat, the tilting assembly for resiliently tilting the standing body support inward; And a body supporting plate which is fixed to the body supporting member and supports the body side of the body which is moved to the sid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팅 어셈블리는 좌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힌지축을 통해 하단을 힌지구조로 고정한 몸통 지지대와; 상기 몸통 지지대의 상단을 내측으로 탄성 틸팅시키는 틸팅 스프링; 및 상기 틸팅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몸통 지지대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tilting assembly includes: a fixing bracket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a seat; A body support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racket is fixed via a hinge shaft in a hinge structure; A tilting spring for elastically tilt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support to the inside; And an adjusting bolt for adjusting an elastic holding force of the body support by adjusting a compression amount of the tilting spring.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하단이 틸팅 어셈블리에 회동구조로 조립된 주지지 부재와; 상기 주지지 부재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상단에 몸통 지지판이 설치된 승강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승강에 의해 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base includes a main support member whose lower end is assembled to the tilting assembly in a pivotal manner; And a lifting and supporting member disposed on the main supporting member in an ascending and descending structure and provided with a body supporting plate at an upper end thereof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plate by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and supporting member.
또한, 상기 몸통 지지판은 가쪽 이동된 몸통의 측부를 감싸는 쿠션패드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통 지지판은 몸통 지지대의 상부에 힌지부를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설치되어서, 가쪽 이동된 몸통의 측부를 지지한 몸통 지지판은 상하 회전하여, 가쪽 이동되어 몸통 지지판에 밀착 지지된 사용자의 어깨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body support plate includes a cushion pad body which surrounds a side portion of the body which is moved in a forward direction. The body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an upper and lower hinge structure through a hinge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support, The one-body support plate rotates up and down, and is configured so as to be shifted to the side so as to prevent the shoulder sagging of the user closely supported by the body support plat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여 학습이나 업무를 수행하는 의자에, 가쪽 이동되는 사용자의 몸통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몸통 지지체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support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body of a user who is moved in a forward direction is provided on a chair in which a user sits and performs learning or tasks.
따라서, 몸통 가쪽이동 운동을 적용한 본 발명은, 기능성 의자에서의 동적착석(Dynamic sitting)의 효과로 정기적으로 사용자가 움직임으로써 척추의 운동효과로 인해 허리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고, 또 의자를 이용한 몸통 가쪽이동 운동은 기존의 몸통 가쪽이동 운동에서 거울을 보며 하는 시각적 피드백 없이도 책상에 팔을 기대고 학습을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어서,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성장기의 척추 옆굽음증 환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매일 운동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ying the body moving motion, the user can periodically move by the effect of dynamic sitting in the functional chair,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back due to the exercise effect of the spine, The movement of the lateral movement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while the arm is leaning on the desk without the visual feedback to look at the mirror in the movement movement of the body. Therefore, it is effective for the patients with the vertebral lateral bending of the growing period, It is expected to see the effect of exercise every day.
그리고, 사용자는 몸통 측부를 몸통 지지체가 형성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골반 기준선을 넘어가쪽 이동시켜, 내측으로 탄성 틸팅된 몸통 지지판에 가쪽에 이동된 몸통을 지지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실시함으로써,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조기에 예방하거나, 교정 치료가 가능하다.The user then performs an isometric exercise in which the body side portion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ody support member beyond the pelvic reference line to support the body moved to the side on the elastic support body, Idiopathic spinal bending can be prevented early, or orthodontic treatment is possible.
특히, 본 발명은 단순히 좌편에 착석한 상태에서 일상의 학습이나 업무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면서, 몸통의 가쪽 이동을 통한 등척성 운동을 실시하므로, 능동적으로 주기적인 몸통 가쪽 이동방법을 실시하므로, 사용자는 운동에 대한 부담없이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rries out an isometric movement by moving the body to the side while performing daily activities such as daily learning or work while being seated on the left side, The user is able to repeatedly perform isometric exercises without the burden of exercis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인 요건에 따라 몸통 지지판의 탄성 틸팅력을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하고, 또 몸통 지지판은 몸통 지지대에 상하 힌지구조로 설치된 관계로, 몸통이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항시 몸통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어서, 몸통의 가동 이동시 어깨의 처짐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바른 자세로 몸통의 가쪽 이동을 도모하여서,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조기에 예방하거나, 교정 치료를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tilting force of the body support plat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requirements of the user, and since the body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a vertical hinge structure on the body support base, even if the body is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sagging of the shoulder can be prevented at the time of moving the body,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diopathic vertebrae at an early stage or to achieve orthodontic treatment by moving the body in the right posture.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몸통 가쪽 이동방법을 매일 일상생활 속에서 아이들이 일상화하여, 최대 가쪽 이동 위치에서 10초간 유지한 후 원위치로 돌아오며, 사용자에게 거울을 보게 함으로써 습관적으로 유지해왔던 변형된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ethod of moving the trunk side moving body in daily life in daily life, maintaining the body at the maximum moving position for 10 seconds, returning to the home position, and viewing the mirror, The corrective effect will be obtain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및 결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있어, 몸통 지지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있어, 좌판부의 양편에 배치된 몸통 지지체들의 세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몸통 가쪽 이동 운동을 통한 저항 운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팔 거치부에 팔부위를 거치한 사용 상태도이다.FIG. 1 and FIG. 2 are exploded and coupled state diagrams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proposed to 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proposed to 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show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ody support in the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illustrate detailed operation states of the body suppo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late in the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which is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resistance exercise state of a user sitting on a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who is seated on a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which is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ts his or her arm on the arm re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및 결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있어, 몸통 지지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있어, 좌판부의 양편에 배치된 몸통 지지체들의 세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몸통 가쪽 이동 운동을 통한 저항 운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팔 거치부에 팔부위를 거치한 사용 상태도이다.FIGS. 1 and 2 are exploded and coupled state diagrams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idiopathic vertebrae for proximal vertebrae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diopathic vertebrae FIGS. 4 and 5 show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ody support in the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which is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detailed operation of the body suppo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late in the idle spinal lateral bending chair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resistance movement state o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is seated on a chair for idiopathic vertebrae, which has been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mounts an arm on an arm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1)는, 일반인 특히 성장기의 학생 등의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좌판부(10)에 착석하여 학습이나 업무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면서 능동적으로 몸통 가쪽 이동시켜 저항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조기 예방 및 교정치료하는 물품이다.The idiopathic vertebral lateral
여기서, 상기 몸통 가쪽 이동 운동은 척추 볼록면을 척추가 가쪽 방향으로 갈수 있는 만큼 최대로 이동시키는 것을 일컫으며, 본 발명에서는 몸통을 최대 가쪽 이동 위치에서 10초간 저항 운동을 유지시킨 후, 원위치로 돌아오는 과정을 수회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서,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조기 예방 및 교정치료를 도모하도록 한다.Herein, the body moving motion refers to moving the vertebra convex surface to the maximum extent as far as the vertebrae can go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intaining the resistance movement for 10 seconds at the maximum moving position of the body, This procedure will be repeated several times to promote early prevention and corrective treatment of idiopathic vertebrae.
즉, 몸통 가쪽 이동 운동시 척추 옆굽음된 반대쪽 골반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튀어나온 갈비우리 볼록면을 반대쪽으로 압력을 주어 밀면서 몸통을 가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몸통 가쪽 이동 운동을 실시하면 성장기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 아동의 Cobb's angle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That is, when the body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opposite pelvic side of the vertebrae, the ribs protrud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vex surface, and the body is moved to the side while the body is moved to the side. Side bending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hild's Cobb's angle.
한편,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좌판부(10)와; 상기 좌판부(10)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20); 및 상기 좌판부(10)의 후방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등받이 지지대(31)를 갖는 등받이부(3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idiopathic vertebrae
상기 등받이부(30)는, 좌판부(10)의 하부에 배치된 좌판 어셈블리(11)에 의해 틸팅구조로 배치되어, 좌판부(1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좌판부(10)와 지지부(20)와 등받이부(30)는 범용의 의자에 마련된 각 구성요소들과 대동소이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착석 시의 편안한 자세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기의 앉은 뒷무릎 높이와 거의 일치하는 의자 좌면의 높이에 앉았을 때 편안하게 느끼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좌판부(10)의 높이가 너무 높아 발이 지면에서 들리게 되면 좌판부(10)의 앞쪽으로 체중부하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체중 지지와 몸통 가쪽 이동 동작이 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laxed posture when sitting on a chair generally feels comfortable when people sit at the height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ir, which almost coincides with the height of the sitting seat of the person. In this study, The weight is loaded to the front side of the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판부(10)와 지지부(20)의 지지대(21) 사이에 좌판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좌판 높이 조절구조를 배치하여, 좌판부(1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각 개인의 앉은 자세에서 좌면부(10)와 뒷무릎 높이가 항시 일치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a seat height adjusting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상기 좌판부 높이 조절구조는, 좌판부(10)과 지지부(20)의 지지대(21)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공압 실린더(22)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압 실린더(22)의 신축 작용에 의해 좌판부(10)가 지상에서 최하 380mm에서 최상 470mm로 자유로운 높이 조절되도록 한다.The seat plat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includes a
따라서, 사용자는 공압 실린더(22)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구조를 통해 자신의 키에 적합한 높이로 높이가 조절된 좌판부(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몸통 가쪽 이동을 도모하여서, 몸통 가쪽 이동 시 발바닥이 지면에 항시 고정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body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의자(1)의 좌판부(10) 좌우 양측에, 가쪽 이동된 사용자의 몸통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몸통 지지판(41)을 갖는 몸통 지지체(40)를 각각 배치하여, 좌판부(10)에 착석한 사용자는 몸통 측부를 몸통 지지체(40)가 형성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쪽 이동시켜서, 내측으로 탄성 틸팅된 몸통 지지판(41)에 가쪽에 이동된 몸통을 지지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을 수회 반복하여 실시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몸통 지지체(4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판부(10)의 양측 저면에 배치되며, 기립된 몸통 지지대(42)를 내측으로 탄성 틸팅시키는 틸팅 어셈블리(43)와; 상기 몸통 지지대(42)에 고정되어 가쪽 이동되는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시켜 저항 운동시키는 몸통 지지판(41)을 포함한다.4 to 7, the
그리고, 상기 틸팅 어셈블리(43)는 좌판부(20)의 측부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43a)과; 상기 고정 브라켓(43a)에 힌지축(H)을 통해 하단을 힌지구조로 고정한 몸통 지지대(42)와; 상기 몸통 지지대(42)를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몸통 지지대(42)의 상단을 내측으로 탄성 틸팅시키는 틸팅 스프링(43b); 및 상기 고정 브라켓(43a)과의 체결에 의해 몸통 지지대(42)를 지지한 틸팅 스프링(43b)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몸통 지지대(42)의 탄성 틸팅력을 조절하는 틸팅 조절볼트(43c)를 포함한다.The tilting
따라서, 상기 틸팅 조절볼트(43c)와 고정 브라켓(43a) 사이의 체결량에 따라 틸팅 스프링(43b)의 압축력은 증감되고, 이를 통해 몸통 지지대(42) 및 몸통 지지판(41)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하여 사용자는 몸통 지지판(41)의 탄지력을 자신의 체형이나 체력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그리고, 상기 몸통 지지판(41)에 의한 가쪽 이동된 몸통의 지지는 틸팅 스프링(43b)의 탄지작용에 의해 구현되므로, 가쪽 이동되어 몸통 지지판(41)에 지지된 착용자의 몸통은 탄력적인 지지상태를 형성하며, 결과적으로 자발적인(능동적인) 몸통의 동적인 움직임과 힘으로 인하여 정적인 보조기 착용의 단점인 높은 체압으로 인한 부작용, 높은 체압이 신체의 일부분에 집중됨에 따른 혈액 순환이 방해되거나, 장시간 지속됨에 따라 통증, 마비, 심한 피로감 등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Since the support of the body moved by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이 상기 좌판부(10)의 저면에는 틸팅 어셈블리(43)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안내 레일(44)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레일(44)을 따라 틸팅 어셈블리(43)는 좌판부(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몸통 지지대(42) 및 몸통 지지판(41)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6, a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틸팅 어셈블리(43)가 동시에 동일한 간격으로 좌판부(10)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서, 좌판부(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물통 지지대(42)와 몸통 지지판(43)은 좌판부(10)와 항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좌판부(10)는 항시 양편에 배치된 몸통 지지체(40)의 정중앙에 정렬하여 위치되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tilting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레일(4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우 진퇴구조로 설치된 틸팅 어셈블리(43) 사이에 이송볼트(44a)를 체결을 통해 고정하여서, 이송볼트(44a)의 정역 회전에 의해 틸팅 어셈블리(43)는 동시에 안내레일(44)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동시에 안내레일(44)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conveying
이러한 몸통 지지체(40)의 동시 이동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이나, 요구되는 저항 운동량에 따라 몸통 지지체(40)를 좌우로 동시 이동시켜서, 자신의 체형이나 저항 운동량에 적합한 몸통 가쪽 이동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imultaneous movement of the
또한, 상기 몸통 지지대(42)는 도 5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이 틸팅 어셈블리(43)에 회동구조로 조립된 주지지 부재(42a)와; 상기 주지지 부재(42a)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상단에 몸통 지지판(41)이 설치된 승강 지지부재(42b)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 지지부재(42b)의 승강에 의해 몸통 지지판(41)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5 and 7,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지지 부재(42a)에 고정공(42a-a)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 지지부재(42b)에는 상하로 길게 절개된 승강장공(42b-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고정공(42a-a)에는 승강장공(42b-a)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2c)를 체결시켜서, 상기 승강 지지부재(42b-a)는 고정공(42a-a)에 단부를 체결하는 고정볼트(42c)에 의해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다.A fixing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1)는 공압 실린더(22)를 통한 좌판부(10)의 높이 조절구조와, 분할 구성된 몸통 지지대(41)와 고정볼트(42c)로 이루어진 몸통 지지높이 조절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좌판부(10)의 높이와 몸통 지지판(41)의 높이를 적절이 조절하여서 몸통 가쪽 이동 운동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idiopathic vertebrae
그리고, 상기 가쪽 이동된 사용자의 몸통을 지지하여 저항 운동시키는 몸통 지지판(41)은 가쪽 이동된 몸통의 측부를 감싸는 쿠션패드(41a)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패드(41a)는 가쪽 이동된 몸통의 오목한 척추 방향의 어깨관절 겨드랑이 아랫부분을 지지하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예컨대, 사용자가 S자형의 척추 옆굽음증이라면 몸통 가쪽 이동시 오목한 방향의 등과 허리 부위 몸통 근육이 폄심활성(eccentric contraction)과 동시에, 볼록한 면에서는 동심활성(concentric contraction)으로 인하여 오목한 방향에 있던 가시돌기가 중립 상태로 활성화되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user has an S-shaped vertebral flexion, the muscles of the torso muscles in the waist region in the concave direction and in the concave direction due to the concentric contraction on the convex surface simultaneously with the eccentric contraction, To be activated in the neutral stat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몸통 지지판(41)을 몸통 지지대(42)의 상부에 상하 힌지부(41b)를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설치하여, 몸통을 가쪽 이동시킨 사용자 어깨의 처짐을 방지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즉, 가쪽 이동된 몸통의 측부를 지지한 몸통 지지판(41)은 상하 힌지부(41b)에 의해 상하로 힌지 회전하여, 가쪽 이동되어 몸통 지지판(41)에 지지된 사용자의 어깨 처짐을 방지한다.That is,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통 지지판의 상부에 지지 스프링(41c)에 의해 지지된 승강 지지편(41d)을 배치하여, 가쪽 이동되어 몸통 지지판(41)에 지지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승강 지지편(41d)이 보다 안정되게 상향 지지하여서, 사용자의 어깨 처짐을 보다 안정되게 방지하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따라서, 좌판부(10)에 착석한 사용자가 도 8과 같이 몸통을 가쪽 이동시키면, 상기 사용자의 어깨는 처짐 없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가쪽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어깨가 처지지 아니한 바른 자세로 몸통을 가쪽으로 이동시켜 저항 운동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실시하여서,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의 조기 예방과 교정치료를 도모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ho is seated on the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1)는 몸통의 가쪽 이동을 통한 저항운동을 통해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의 조기 예방과 치료를 도모하기도 하지만,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착석하여 일상적인 학습이나 업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통 지지판(41), 또는 몸통 지지대(42)에는 팔 거치대(45)를 상하 힌지구조로 설치하여, 몸통 가쪽 이동 운동을 실시하여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을 예방, 및 교정 치료하는 과정에서는 팔 거치대(45)를 기립시켜서, 가쪽 이동된 몸통이 팔 거치대(45)에 의한 간섭 및 가압을 방지한다.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 rests 45 are provided on the
그리하여, 평상시에는 도 9와 같이 팔 거치대(45)를 내측으로 선회시켜 수평으로 전개시켜서,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착석한 사용자는 팔 거치대(45)에 팔 부위를 편안하게 거치함으로써, 일상적인 사용과정에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한다.9, the occupant seated on the
1.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
10. 좌판부 11. 좌판 어셈블리
20. 지지부 21. 지지대
22. 공압 실린더
30. 등받이부 31. 등받이 지지대
40. 몸통 지지체 41. 몸통 지지판
41a. 쿠션패드 41b. 상하 힌지부
41c. 지지 스프링 41d. 승강 지지편
42. 몸통 지지대 42a. 주지지 부재
42a-a. 고정공 42b. 승강 지지부재
42b-a. 승강장공 42c. 고정볼트
42d. 수납홈
43. 틸팅 어셈블리 43a. 고정 브라켓
43b. 틸팅 스프링 43c. 틸팅 조절볼트
44. 안내레일 44a. 이송볼트
45. 팔 거치대1. Idiopathic vertebrae
10.
20.
22. Pneumatic cylinder
30.
40.
41a.
41c. Support springs 41d. Lifting support
42.
42a-a. Fixed
42b-a.
42d. Storage home
43. Tilting
43b. Tilting
44.
45. Arm rest
Claims (3)
상기 좌판의 양측에는 각각, 몸통 지지판을 내측으로 탄성 틸팅시킨 몸통 지지체가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는, 몸통 측부를 몸통 지지체가 형성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가쪽 이동시켜, 내측으로 탄성 틸팅된 몸통 지지판에 가쪽에 이동된 몸통을 지지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A seating plate for providing a seating spac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a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 backrest portion having a backrest support formed to stand upright behind the seat,
On both sides of the seat, a body support body, which is elastically tilted inwardly of the body support plate, is arranged symmetrically,
The user seated on the seat plate is configured to move the body side portion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formed with the body support body and to perform an isometric exercise to support the body that is moved to the side on the elastic tilted body support plate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ebra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rtebr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246A KR101945833B1 (en) | 2017-03-28 | 2017-03-28 | Chair for idiopathic scoliokyphosi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246A KR101945833B1 (en) | 2017-03-28 | 2017-03-28 | Chair for idiopathic scoliokyphosi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9469A true KR20180109469A (en) | 2018-10-08 |
KR101945833B1 KR101945833B1 (en) | 2019-02-08 |
Family
ID=6386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9246A Active KR101945833B1 (en) | 2017-03-28 | 2017-03-28 | Chair for idiopathic scoliokyphosi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583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52125A (en) * | 2019-10-30 | 2020-01-07 | 安徽农业大学 | A spine-protecting and pressure-relieving bamboo shrapnel reclining chair |
CN114305822A (en) * | 2021-09-18 | 2022-04-12 | 付兆宗 | Orthosis and method for scoliosis treatmen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65988B2 (en) * | 2000-03-22 | 2008-03-26 | 順一 鍋谷 | Stretching device |
-
2017
- 2017-03-28 KR KR1020170039246A patent/KR101945833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52125A (en) * | 2019-10-30 | 2020-01-07 | 安徽农业大学 | A spine-protecting and pressure-relieving bamboo shrapnel reclining chair |
CN110652125B (en) * | 2019-10-30 | 2024-05-31 | 安徽农业大学 | Spine-protecting pressure-relieving bamboo spring deck chair |
CN114305822A (en) * | 2021-09-18 | 2022-04-12 | 付兆宗 | Orthosis and method for scoliosis treat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5833B1 (en) | 2019-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87339B2 (en) | Sitting device | |
US10918213B2 (en) |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 |
US5176706A (en) | Spinal curvature correction device | |
EP0224564A1 (en) | ERGONOMIC SEAT UNIT. | |
KR20140046443A (en) | A seat | |
US6655731B2 (en) | Therapeutic chair | |
US8282171B1 (en) | Seat assembly | |
US20090054929A1 (en) |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ack Pain | |
US20070252419A1 (en) | Seating Mechanism and Chair | |
KR20160096253A (en) | Segmental Motion Spine Health Chair | |
US7931339B1 (en) | Seat assembly | |
US20200046591A1 (en) | Modular Therapeutic Vibration Rehabilitation System | |
CN102105085A (en) |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 |
KR101945833B1 (en) | Chair for idiopathic scoliokyphosis | |
WO2010089447A9 (en) | Chair back support system | |
US11166564B2 (en) | Ergonomically configured muscle release office chair | |
KR20190048682A (en) | Sitting posture correction chair | |
KR101647461B1 (en) | Saddle type Spine Health Chair | |
KR102628170B1 (en) | the chair in which the inclined type seat back and the seat back in which the vertical type seat back is combined are dually structured | |
US6251123B1 (en) |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 |
KR101198554B1 (en) |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Seated Regulating Function of Seat | |
KR200357018Y1 (en) | A chair for orthospine | |
KR101187635B1 (en) | A seat for stabilization of pelvic girdle | |
Muscolino | Lumbopelvic rhythm | |
JP7440901B2 (en) | Training equipment, training methods, and training chai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