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08033A -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 Google Patents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033A
KR20180108033A KR1020170037137A KR20170037137A KR20180108033A KR 20180108033 A KR20180108033 A KR 20180108033A KR 1020170037137 A KR1020170037137 A KR 1020170037137A KR 20170037137 A KR20170037137 A KR 20170037137A KR 20180108033 A KR20180108033 A KR 2018010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ignal
bio
information
war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유
윤상구
이수남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8033A/en
Publication of KR2018010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03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정 결과를 토대로 운전자의 상태에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이를 운전자가 착용한 디바이스 및 차량 내 블랙박스 또는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동승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은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고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경고유닛은 상기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 또는 별도의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알람부와, 차량의 네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에 설치되어 차량의 동승자에게 상기 운전자의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제2 알람부를 구비한다.
When an abnormal symptom is detected in a driver's condition based on measurement results of a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a driver's bio-signal, the driver displays a device worn by the driver and a black box or navigation display in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 driver's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utilizing bio-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a driver worn on the body of a driver,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for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is analyzed and judged as a dangerous situation, wherein the warning unit measures a living body signal A first alarm unit provided in a device or a separate driver's wear device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and a second alarm unit installed in the navigation or black box of the vehicle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rider of the vehicle 2 alarm unit.

Description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정 결과를 토대로 운전자의 상태에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이를 운전자가 착용한 디바이스 및 차량 내 블랙박스 또는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동승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Device and a display of a black box or navigation in the vehicle, thereby enabling the passenger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차량 운행의 경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치명적인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음주운전 등과 같이 운전자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운행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음주나 운전을 금하는 약물을 섭취한 경우 등과 같이 명확하게 상태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운전 중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vehicle operation, the driver is prohibited from operating if the driver's condition is not normal, such as drunk driving because it can cause a fatal situation depending on the driver's condition. However, it is often the case that even if the condition is not clearly identified, such as when you drink alcohol or drugs that prohibit you to drive, you may still be at risk of driving.

예를 들어, 지속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와 같은 만성 질환이 있으나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하여 일상적으로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운전 중 신체적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자신은 물론이고 인접 운전자나 보행자에게도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you have chronic illnesses such as hypertension or diabetic patients who require continuous treatment, and you are able to live a normal life because of normal life, if a physical anomaly occurs while you are driving, you may experience fatal accidents . ≪ / RTI >

비단 이러한 만성적인 질환이 아니더라도 뇌경색, 심장마비와 같이 그 발병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나 졸음, 피로 등과 같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 상황의 경우 돌발적인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Even if it is not such a chronic disease, it can be a cause of sudden accidents in the case of a physical abnormality such as drowsiness or fatigue which can not be predicted such as cerebral infarction or heart attack.

특히, 자가용 운전의 경우와 달리 업무적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다소 간의 신체적인 불편함이 있더라도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신체적 이상 발생 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나 택시와 같이 승객의 안전을 책임지는 경우나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과 같이 사고 시 피해 규모가 큰 경우 등은 보다 정밀하고 시스템적인 안전 운전 관리가 필요하다.In particular, unlike the case of the self-driving,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by the business, the vehicle may be operated even if there is a physical discomfort between the vehicles. In such a case, serious injury may occur when a physical abnormality occurs. For example, more precise and systematic safe driving management is needed when the responsibility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such as buses or taxis, or the damage caused by accidents such as trucks and trailers are large.

하지만, 아직까지 운행 전반에 대해 통합적으로 안전성을 제공하는 운행 관리 시스템은 등장하고 있지 못한 상태이며, 고작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여 이상 여부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하거나 이상 발생 시 그 결과를 의료기관에 전달하고 구급차를 신속하게 파견하도록 하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not yet an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integrated safety for the entire operation, so it is necessary to notify the driver of abnormality of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or to transmit the result to the medical institution And to dispatch an ambulance quickly.

도 1은 종래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운전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예를 보인 것이다.FIG. 1 shows an example of a system for monitoring a driving situation of a driver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of a driver.

도시한 바와 같이 차랑(10) 내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소정의 센서를 통해 수집하고 이상 상황을 일부 파악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원격지의 의료서버(30)에 전달하며 대응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생체 측정 단말기(11)와,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생체 측정 단말기(11)가 제공하는 생체 정보나 이상상황에 따른 알람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적인 판단 기준이나 의료진의 검토에 기반한 진단 결과에 따라 운전자에게 전달할 대응 정보를 상기 생체 측정 단말기(11)에 제공하고, 앰블런스나 경찰 등의 출동을 외부 기관에 의뢰하는 의료 서버(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ehicle 10 is provided in the car 10 to collec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river through a predetermined sensor, grasp a part of the abnormal situation, deliver it to the remote medical server 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 biometric terminal 11 for deliver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driver and a biometric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iometric terminal 11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alarm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n abnormal situation, And a medical server 30 for providing correspondenc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er in accordance with the diagnosis result to the biometric terminal 11 and requesting an external agency to dispatch an ambulance or police.

도시된 구성을 통해서 운전자의 생체 정보 이상 시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심각한 이상이 발생 시 해당 위치로 앰블런스 등이 출동시키는 기본적인 운전자 보호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운전 이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복수의 센서들을 더 추가하여 운전자의 이상 행동이나 핸들의 이상 동작 등을 더 파악하기도 한다.Through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medic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when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is abnormal, and basic driver protection can be achieved in which an ambulance or the like is dispatch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when a serious abnormality occurs. Recently, a plurality of sensors are further added to grasp the abnormal situation of the driver, thereby further grasping the abnormal behavior of the driver and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하지만 도시된 구성을 기반으로 하는 운전자의 이상 상황 판단은 단순히 여러 센서의 출력을 정리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거나 얻어진 생체 정보를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수준에 불과하므로 센서의 오동작이나 사용에 따른 신호 선로의 노이즈 혹은 운전자의 운전 동작에 의한 노이즈 등에 의해 신뢰성이 낮아 잘못된 판단과 잘못된 출동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driver's abnormal situation judgment based o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is merely a judgment of abnormality by summarizing the outputs of various sensors or transmitting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to judge the abnormality. Therefore, The reliability is low due to the noise of the signal line due to use or the noise due to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driver and the like, so that misjudgment and erroneous dispatch can occur frequently.

한편, 차량에 대한 설계변경이나 외부 제어가 가능한 경우 이상 발생 시 차량을 갓길에 자동 주차하도록 하거나 비상등을 켜고 속도를 줄이는 기능이 더 부가된 기술도 소개되었으나 기본적으로 단순 센싱 정보의 처리에 따른 이상 판단으로는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오히려 이러한 강제적인 정지 동작에 의해 사고가 유발되는 부작용이 있어 그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sign change or external control of the vehicle is possible, a technique of automatically parking the vehicle at the shoulder or turning on the emergency light and reducing the speed is introduced. However, It is rather difficult to apply the system because there is a side effect that an accident is caused by such a forced stopping operation because the reliability is low.

무엇보다도 이러한 낮은 신뢰성과 잘못된 알람에 따른 출동 비용 손실 등에 의해 개인적인 용도로도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므로 잘못된 알람이나 오동작 발생 시 운행 지연, 승객의 불편함, 운송 시간 지연 등과 같은 상당한 영업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업 환경에 이러한 불안정한 시스템을 도입하기는 상당히 어렵다.Above all, it is difficult to apply for personal use due to such low reliability and loss of dispatch cost due to false alarm. Therefore, when false alarm or malfunction occurs, significant business loss such as operation delay, inconvenience of passenger, It is quite difficult to introduce such an unstable system into a business environment.

하지만 영업 차량 운전자의 신체적 이상에 의해 돌발적인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승객이나 인접 운전자에 대한 안전확보를 위해서 영업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단계적이거나 돌발적인 이상 상황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고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신속한 대응을 통해 영업적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운행 관리 시스템의 도입은 꼭 필요한 상황이다.However, in situations where accidental accidents are often caused by physical malfunctions of the driver of a business vehicl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 or the adjacent drive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tepwise or sudden abnormal situation that may occur to the driver of the business vehicl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ensure safe operation by preventing unexpected accidents and minimizing operating loss through quick respons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326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5326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19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1195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운전자 본인 뿐 아니라 동승자들이 운전자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prevent the risk of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by allowing passengers as well as passengers to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of a driver and take quick follow-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통해 인근 의료기관이나 관리 기관으로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송할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해 전송함으로써 운전자의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driver to a nearby medical institution or management institution through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driver by encrypt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state, And a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은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고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경고유닛은 상기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 또는 별도의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알람부와, 차량의 네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에 설치되어 차량의 동승자에게 상기 운전자의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제2 알람부를 구비한다.A driver's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utilizing bio-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a driver worn on the body of a driver,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for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is analyzed and judged as a dangerous situation, wherein the warning unit measures a living body signal A first alarm unit provided in a device or a separate driver's wear device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and a second alarm unit installed in the navigation or black box of the vehicle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rider of the vehicle 2 alarm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신호를 통해 위험상황으로 판단했을 때, 먼저 상기 제1 알람부를 통해 위험신호를 전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위험상황이 개선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2 알람부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ontroller transmits a danger signal through the first alarm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is a state through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e warning signal through the second alarm unit.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부는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제1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비콘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es one of Bluetooth, Wi-Fi, and beac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위험 상황 감지시 외부로 구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무선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무선통신부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메인관리서버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메인관리서버는 운전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의료관리서버 또는 운행관리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으로 구조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rescue signal to the outside when the driver senses a dangerous situa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of the driver to the main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ai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structural signals to one or both of the medical management server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driver's state information.

상기 운행관리서버는 상기 운행 차량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 및 차량의 운행 위치를 확인하고, 인근 소방서 또는 경찰서로 해당 구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confirms the driving position of the driver and the vehicle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driving vehicl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tructure signal to a nearby fire station or a police station.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의료기록 및 복용약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의료관리서버로 상기 운전자의 위험상황에 대한 구조신호를 전달할 때, 상기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driver database including information on a driver's medical record and medication, and transmits the stored information of the driver database when the driver transmits a rescue signal for the driver's risk to the medical management server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의 운전자 정보를 전달할 때, 전달되는 운전자 정보가 지정된 의료기관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정된 의료기관에서만 복호화 가능한 형태로 암호화되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driver database is transmitted, the controller may encrypt the driver information so that the driver information can be decrypted only in the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so that the driver information can be browsed only in the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 또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 또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는 특정 운전자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er information to identify a driver through the driver wearing device or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the driver wearing device or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unique ID code for a specific driver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은 운전 중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위험 상황의 발생을 미리 예견하고, 해당 정보를 운전자는 물론 동승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driver's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utiliz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river during driving and allows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The risk of accidents can be minimized.

아울러 사고 발생시 신속한 후속조치를 위해 운전자의 관련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운전자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for quick follow-up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leakage of the driver'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outside.

도 1은 종래의 운전자 감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의 개념도,
도 4는 차량내 제어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의 구동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외부 정보 전달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river monitoring system,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driver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utiliz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tiliz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vehicle control unit,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driving steps of a driver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utiliz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ternal information transfer proces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1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100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100)은 차량에 설치되고,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바탕으로 위험상황을 감지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100 u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a biological signal of a driver driving the vehicle, Lt; / RTI >

이를 위해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100)은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와,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의 측정정보를 전달받아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130)와, 운전자의 상태가 위험상황인 경우 이를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고유닛(140)을 구비한다.To this end, the driver condition information alarm system 100 using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a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device 110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of a driver worn by a driver's body, and a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device 110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device 110 And a warning unit 140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warn the driver when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tate.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는 운전자의 팔, 목, 다리 등 신체 일부에 착용되거나 피부 속에 삽입 설치되는 기구일 수 있으며, 운전자의 맥박, 혈당, 혈압 등 설정된 생체 신호를 측정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10 may be a device that is worn on a part of the body of the driver, such as an arm, a neck, or a leg, or inserted into the skin, and measures a biological signal such as a pulse, a blood sugar,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의 측정 정보는 제어부(130)로 전달되는데, 제어부(130)에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로부터 측정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제1 무선통신부(131)가 형성되어 있다.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1 for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from the bio- Respectively.

상기 제1 무선통신부(131)는 블루투스, 비콘 등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무선통신부(131)를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의 측정신호는 생체신호 분석부(134)를 통해 분석된다.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110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1 may be transmitted to the bio-signal analysis unit 134 ).

생체신호 분석부(134)는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 생체신호 분석부(134)에는 혈압이나 맥박, 혈당 등 생체신호에 대한 설정치가 저장되어 있고, 측정신호가 설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안전상태, 측정신호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상태로 판단한다.The bio-signal analyzing unit 134 determines the state of the driver from the measured bio-signals. The bio-signal analyzing unit 134 stores a set value for a bio-signal such as a blood pressure, a pulse, and a blood sugar. When the measured signal is within the se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aratus is in a safe state.

위험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경고유닛(140)을 통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운전자의 위험 상태를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dangerous stat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dangerous state of the driver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 through the warning unit 140. [

경고유닛(140)은 운전자에게 위험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알람부와, 동승자에게 위험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알람부를 구비한다.The warn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alarm unit for indicating a dangerous state to the driver and a second alarm unit for indicating a dangerous state to the passenger.

제1 알람부는 운전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120)일 수 있고, 진동 또는 램프 점멸과 같은 형태로 운전자에게 측정된 생체신호가 위험상태임을 경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larm unit may be a band-shaped driver's wear device 120 worn on the driver's wrist and may be configured to warn the driver that the measured bio-signal is in a dangerous state such as vibration or lamp blinking.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가 손목에 착용하여 맥박과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가 제1 알람부의 역할을 하게될 수도 있다.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110 is formed to measure a bio-signal such as a pulse that is worn on the wrist,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110 may serve as a first alarm unit.

상기 제2 알람부는 차량에 동승한 동승자가 운전자의 상태가 위험상태임을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 네비게이션(141) 또는 블랙박스(142)의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The second alarm unit displays a display of the navigation 141 or the black box 142 to indicate that the occupant traveling in the vehicle recognizes that the driver is in a dangerous state.

제어부(130)는 상기 네비게이션(141) 또는 블랙박스(14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고표시를 출력하고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동승자가 운전자의 위험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 warning indication through the display of the navigation 141 or the black box 142 and outputs a warning sound so that the passenger can recognize the dangerous state of the driver.

상기 제어부(130)는 제1 알람부와 제2 알람부를 동시에 가동할 수도 있지만 순차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can simultaneously operate the first alarm unit and the second alarm unit, but can operate sequentially.

예를 들어, 측정된 생체신호를 통해 운전자의 위험상태를 인지하게 되면, 먼저 운전자에게 위험 상태를 알리도록 제1 알람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한다.For example, when the dangerous state of the driver is recognized through the measured bio-signal, the warning signal is first output to the first alarm unit so that the driver is informed of the dangerous state.

제1 알람부의 경고신호에 대하여 운전자가 반응하여, 차량을 주차해 휴식을 취하거나, 약을 섭취해 생체신호가 정상상태로 돌아오게 되면 경고신호의 출력을 중단한다.The driver responds to the warning signal of the first alarm part to stop the vehicle and to stop the output of the warning signal when the biological signal is returned to the normal state by taking the medicine.

제1 알람부의 경고신호 출력후에 설정된 시간동안 개선 없이 차량의 주행이 계속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알람부를 통해 동승자가 운전자의 위험상태를 인지하도록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second alarm unit so that the passenger recognizes the dangerous state of the driver when the vehicle continues to run without any improve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alarm unit.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30)는 조수석 또는 차량의 뒷좌석과 같이 운전석을 제외한 나머지 좌석에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동승자 감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passenger monitor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present on a seat other than the driver's seat, such as a passenger seat or a rear seat of the vehicle.

상기 동승자 감시수단은 운전석 이외의 시트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나, 열, 이미지 촬영과 같은 방식으로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만약 동승자가 없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알람부의 가동을 생략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도 있다.The passenger monitoring means may be a weight sensor mounted on a seat other than the driver's seat and sensing the weight of the occupant, or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boarded in the same manner as heat or image shooting. If there is no occupant, May skip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larm unit and proceed to the next step.

상기 제어부(130)는 또한 외부의 메인관리서버(150)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2 무선통신부(132)를 더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130 further includes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driver to an external main management server 150. [

상기 제2 무선통신부(132)는 인터넷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며, 운전자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신호가 설정된 정상범주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알람부와 제2 알람부를 통해 일정시간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운전자의 위험 상태를 경고하는 경고신호가 출력된다.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biometric signal measured by the driver is out of a predetermined normal rang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driver & A warning signal is output to warn the user of the dangerous state of the battery.

일정시간 동안 운전자의 생체 신호가 위험상태에 머물러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제2 무선통신부(132)를 통해 메인관리서버(15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in management server 150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when the driver's biological signal remains in a dangerous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이 때, 상기 제어부(130)에 포함된 운전자 데이터베이스(133)에 상기 운전자의 개인정보 즉, 의료기록과 복용하는 약의 정보, 운전자의 질병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운전자 정보를 메인관리서버(150)로 함께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river, that is, the medical record, medicine information to be taken, and the disease of the driver are stored in the driver database 133 included in the controller 130, And transmits the driver information to the main management server 150 together.

메인관리서버(150)에서는 의료관리서버(151)와 운행관리서버(152)로 해당 정보를 다시 전달한다.In the main management server 150,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management server 151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52 again.

의료관리서버(151)는 의료기관으로 운전자의 질병 정보를 전달하는데, 운전자의 주치의, 또는 운전자가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병원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운전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는 별도의 응급 의료 기관이나 관리 병원으로 운전자 정보를 전달해, 운전자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medical management server 151 transmits the disease information of the driver to the medical institution. The medical management server 151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doctor of the driver or the hospital visited by the driver periodically, or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medical care It may also be possible to send driver information to an institution or a managed hospital to diagnose the driver's current condition.

또한 운행관리서버(152)는 운행중인 차량의 GPS정보를 포함해 위험상태에서 경과된 시간 등의 정보를 차량 관리 기관이나 구조기관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정보 전달을 통해 사고 발생시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52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the elapsed time in the dangerous state including the GPS information of the running vehicle to the vehicle management institution or the rescue organization.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speed up follow-up in the event of an accident.

아울러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메인관리서버(150)로 전달할 때, 해당 정보를 암호화해서 업로드 하게 되며, 암호화된 개인 정보는 지정된 의료기관에서만 복호화해 열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river to the main management server 150, the controller 130 encrypts and upload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can be decrypted and read only at a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이를 통해 운전자의 개인 정보가 불필요하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is prevents the driver's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unnecessarily leaked to the outsid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100)의 작동 과정을 도 5 및 도 6의 순서도를 통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제어부(130)에서는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120) 또는 운전자의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에 입력된 고유 식별코드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5 and 6, when the driver gets on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r 130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a registered driver throug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put to the driver wearing device 120 or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device 110 for measuring the living body signal of the driver.

만약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경우 신규 운전자 등록 과정을 거쳐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취득하고,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맞춤형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If the driver is not a registered driver, the driver'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a new driver registration process, and customized monitor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er's condition.

운전자의 신원이 확인되면, 차량의 주행 중 해당 운전자의 식별 정보에 따른 모니터링이 시작된다. 운전자가 착용한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110)를 통해 생체신호를 습득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통해 운전자의 상태가 정상상태인지, 위험상태인지를 판별한다.When the identity of the driver is confirmed, monitoring is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A living body signal is acquired through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device 110 worn by the driver and the driver's state is determined to be in a normal state or a dangerous state through the measured living body signal.

만약 위험상태로 판정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1차로 제1 알람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이상상태임을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출력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dangerous state,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through the first alarm unit.

운전자가 해당 경고신호에 반응하여 상황을 개선하게 되어 생체신호가 정상범주로 되돌아오는 경우 제어부(130)는 다시 운행 및 모니터링 상태로 복귀한다.The driver improves the situation in response to the warning signal. When the bio-signal returns to the normal category, the controller 130 returns to the operating and monitoring state again.

만약 제1 알람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제2 알람부를 통해 동승자에게 운전자의 위험상태를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한다.If the situation is not improved even though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to the driver through the first alarm unit, the warning signal indicating the dangerous state of the driver to the passenger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alarm unit.

상술한 것처럼 차량에 동승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동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황인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제2 알람부를 통한 경고신호의 출력을 생략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omit the output of the warning signal through the second alarm unit if the vehicle is not occupied with a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boarding the vehicle.

만약 지속적으로 운전자의 위험상태가 개선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제2 무선통신부(132)를 통해 외부통신을 진행한다.If the dangerous state of the driver is not continuously improv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통해 운전자의 상태를 다시 긴급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으로 구분하고, 긴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의료관리서버(151)를 통해 지정된 의료기관이나 담당 주치의 또는, 관리병원으로 해당 운전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측정된 생체신호 정보를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6, first, 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driver's state into an emergency state and a non-emergency state based on the driver's bio-signal. If the driver's state is not an emergency state, And transmits the measured bio-sign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driver'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rimary care physician or the management hospital.

의료 정보를 전달받은 의료기관이나 관리병원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기초로 운전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후속조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A medical institution or a management hospital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can accurately diagnose the driver's condition based on the data and decide the direction of the follow-up action.

만약 제어부(130)에서 판단한 운전자의 상태가 긴급상황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운행관리서버(152)를 통해 인근 구조대로 구조신호를 전송하여, 구조대가 해당 차량으로 접근해 도움을 받도록 조치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driver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30 is an emergency, the rescue team can send a rescue signal to the nearby rescue team through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52, so that the rescue team can approach the rescue vehicle and receive assistance.

이 때, 제어부(130)는 운행관리서버(152)에 해당 차량의 GPS 정보와, 블랙박스(142)의 촬영 영상을 함께 전송하여, 구조대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위치와 주행상태를 통한 상황의 위급정도를 용이하게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GP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black box 142 together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152, and displays the emergency status of the vehicle through the position and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Can easily be judg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100)은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안전 운전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해당 상황이 개선되도록 하거나,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생명을 더욱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The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100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monitors the driver's safety information so that the driver can operate safely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river, , Or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s promptly structur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o that the life of the driver can be kept more secur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110: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
120: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
130: 제어부
131: 제1 무선통신부
132: 제2 무선통신부
133: 운전자 데이터베이스
134: 생체신호 분석부
140: 경고유닛
141: 네비게이션
142: 블랙박스
150: 메인관리서버
151: 의료관리서버
152: 운행관리서버
100: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110: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device
120: driver wearing device
130:
131: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3: Driver database
134: bio-signal analysis unit
140: Warning unit
141: Navigation
142: Black box
150: main management server
151: medical management server
152: Operation management server

Claims (9)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고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경고유닛은 상기 운전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 또는 별도의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알람부와,
차량의 네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에 설치되어 차량의 동승자에게 상기 운전자의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제2 알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a driver,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being worn on the driver's body;
A controller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for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nd determines that the measurement signal is a dangerous situation,
The warning unit includes a first alarm unit, which is provided in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or another driver's wear device worn on the body of the driver, and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And a second alarm unit installed in a navigation box or a black box of the vehicle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occupant of the vehicle about a dangerous situation of the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의 측정신호를 통해 위험상황으로 판단했을 때, 먼저 상기 제1 알람부를 통해 위험신호를 전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위험상황이 개선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2 알람부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transmits a danger signal through the first alarm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is in a dangerous state,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through the second alarm unit when the risk has not improv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부는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제1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비콘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es one of Bluetooth, Wi-Fi, and a beacon communication metho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위험 상황 감지시 외부로 구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무선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rescue signal to the outside when the driver senses a dangerous situa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통신부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메인관리서버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메인관리서버는 운전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의료관리서버 또는 운행관리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으로 구조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of the driver to the main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i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rescue signal to one or both of the medical care server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driver's state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관리서버는 상기 운행 차량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 및 차량의 운행 위치를 확인하고, 인근 소방서 또는 경찰서로 해당 구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confirms the driving position of the driver and the vehicle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driving vehicl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tructure signal to the nearby fire department or the police st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의료기록 및 복용약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의료관리서버로 상기 운전자의 위험상황에 대한 구조신호를 전달할 때, 상기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driver database including information on a driver's medical record and medication,
Wherein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driver database together with the driver signal to the medical care management server when the structural signal of the driver's risk condition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management serv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의 운전자 정보를 전달할 때,
전달되는 운전자 정보가 지정된 의료기관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정된 의료기관에서만 복호화 가능한 형태로 암호화되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controller transmits driver information of the driver database,
Wherein the driver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in a form that can be decrypted only by the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so that the driv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can be browsed only at the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 또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운전자 착용 디바이스 또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는 특정 운전자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riv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river through the driver wearing device or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driver wearing device or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nclud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a specific driver.
KR1020170037137A 2017-03-23 2017-03-23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eased KR201801080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37A KR20180108033A (en) 2017-03-23 2017-03-23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37A KR20180108033A (en) 2017-03-23 2017-03-23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033A true KR20180108033A (en) 2018-10-04

Family

ID=6386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137A Ceased KR20180108033A (en) 2017-03-23 2017-03-23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803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2119A (en) * 2019-02-21 2020-04-1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sequencing risk orders
KR20200113631A (en) * 2019-03-26 2020-10-07 (주)파트론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 and warning using the same
KR20230099705A (en) * 2021-12-24 2023-07-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Drowsy driving prevention system
US12263869B2 (en) 2022-04-20 2025-04-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dical emergency detection in-vehicle caretak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2119A (en) * 2019-02-21 2020-04-1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sequencing risk orders
KR20200113631A (en) * 2019-03-26 2020-10-07 (주)파트론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 and warning using the same
KR20230099705A (en) * 2021-12-24 2023-07-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Drowsy driving prevention system
US12263869B2 (en) 2022-04-20 2025-04-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dical emergency detection in-vehicle careta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1823B (en) Automobile driver health monitoring and response system
CN108032860B (en) Emergency evacuation using autonomous driving
JP4191313B2 (en) Accident suppression device
US11225258B2 (en) Safe driving assistance system
US11334066B2 (en)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human-driven vehicle
JP6627684B2 (en) Driver status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control system
KR20180108033A (en)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KR102303023B1 (en) Taxi nomitoring system using smart band, gateway module and integrated control device connected with taxi service using smart band
KR20180120901A (en) Health care apparatus with a passenger physical condition measurement in a vehicle and method there of
US20170247037A1 (en) Driver readiness and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KR102337143B1 (en) Method of assistance to at least one occupant of an accident affected vehicle and dedicated assistance system
JP2019199176A (en) Safe driving support system
CN114496181A (en) Automatic triage nurse system in vehicle
KR102073561B1 (en) Health care method with a passenger physical condition measurement in a vehicle
KR101798535B1 (en)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KR102267948B1 (en) Driver's Health Status Diagnostic System using Noncontact Bio-signal
KR100925219B1 (en) Vehicle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JP6850764B2 (en) Safe driving support system
KR20170126244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Driver's State of Accidient Vehicle
EP3445224B1 (en) Dead man'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KR20150009729A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health in vehicle
WO2018222028A1 (en) A system and a method to determine and control emotional state of a vehicle operator
WO2016063490A1 (en) Automobile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automobile accident reporting apparatus
KR102433378B1 (en)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Dineshkumar et al. Safety-Enhanced Driv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Road Accidents i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