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158A - 자동 분류를 통한 출력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분류를 통한 출력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6158A KR20180106158A KR1020170033869A KR20170033869A KR20180106158A KR 20180106158 A KR20180106158 A KR 20180106158A KR 1020170033869 A KR1020170033869 A KR 1020170033869A KR 20170033869 A KR20170033869 A KR 20170033869A KR 20180106158 A KR20180106158 A KR 20180106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groups
- group
- completed
- image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2—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grouping or ganging job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에 따라 자동으로 취합하고, 취합된 복수의 데이터를 그룹별로 출력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 분류를 통한 출력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에 따라 자동으로 취합하고, 취합된 복수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강 검진 센터에서는 다수의 수진자의 다수의 검진 결과지들이 불규칙하게 담당자에게 수집되었고, 담당자는 수집한 검진 결과지들을 각 수진자 별로 분류하고, 누락된 문서가 없는지 검수하는 과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하였다. 개개인이 수작업으로 오랜 시간 동안 분류 및 검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업무의 효율과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외부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에 따라 자동으로 취합하고, 취합된 복수의 데이터를 그룹별로 출력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획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하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출력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출력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작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하는 단계; 및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측면에 따른 기록 매체는,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하는 단계; 및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출력을 수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요약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외부 저장 장치 및 서버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그룹들을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외부 저장 장치 및 서버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그룹들을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반에서, 전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캔 파일”이란 스캐너에서 화상을 스캔하여 생성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출력을 수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요약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200)는, 예를 들어 PC, 태블릿, 의료기기, 가전기기, 웨어러블(wearable) 장치,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와 더불어 서버(serv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200)가 될 수 있는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200)는 의료기기 또는 의료 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을 포함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들의 진료 기록에 관한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취합 및 출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활용되는 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교육 분야에서 교육 데이터를 취합 및 출력하는 경우, 기업이 신입 사원을 채용하면서 지원자의 데이터를 취합 및 출력하는 경우 등, 본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들을,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할 수 있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들을 그룹 단위로 출력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a 및 도 8b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란 외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들 각각을 구별할 때 이용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수진자의 이름(name), 수진자의 주민등록번호, 병원 내 수진자 ID 등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그룹"이란 외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들 중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데이터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수"라는 이름을 가진 수진자의 내과 진료 기록과 정형외과 진료 기록은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 하나의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mike"라는 이름을 가진 면접자의 대학 성적 증명서 및 공인 어학 증명 서류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서 하나의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들을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하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각 그룹이 취합한 데이터들을 그룹별로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에 병원에서 수진자들의 진료 데이터들의 출력물을 수작업으로 분류 및 검수해야 했던 것에 비해 편의성 및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프로세서(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식별 정보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 외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그룹이 외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들을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취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출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및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저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프로세서(1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외부 저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30)가 외부 저장 장치(200)로부터 인쇄 명령 신호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4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및 복수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프로세서(120)에서 생성된 출력 명령에 따라, 복수의 그룹에 할당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외부 저장 장치 및 서버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저장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 발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서버(300)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서버(300)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서버(300)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통신 인터페이스(420) 및 화상 형성 작업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도 2의 프로세서(12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420)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13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작업부(430)는 도 2의 화상 형성 작업부(15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42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0)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획득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1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출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작업부(430)는 프로세서(410)에서 생성된 출력 명령에 따라, 복수의 그룹이 취합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인덱스 페이지 생성부(122), 그룹 관리부(124), 검색부(126) 및 출력 명령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덱스 페이지(index page)"란 각 그룹이 취합한 데이터들을 요약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그룹의 대표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수"가 정형외과 및 내과 검진을 신청한 내역이 있고, 정형외과와 내과에 가서 검진을 완료한 경우, 인덱스 페이지에는 검진 신청 내역 및 각 검진 결과의 출력 여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인덱스 페이지는 검진 신청 내역과 대응되는 검진 결과 중 출력이 누락된 검진 결과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수 결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스 페이지 생성부(122)는, 각 그룹이 취합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덱스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덱스 페이지 생성부(122)는 특정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것에 응답하여 특정 그룹의 인덱스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관리부(124)는, 통신 인터페이스(130)가 외부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그룹이 메모리(14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희"가 정형외과에서 의사와 진료 상담을 하여 의료 정보 시스템(HIS)이 "영희"와 관련된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송신하였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영희"와 대응되는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룹 관리부(124)는 그룹 "영희"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관리부(124)는,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관리부(124)는, 각 그룹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각 그룹의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관리부(124)는 각 그룹의 출력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출력이 완료된 그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최하단부터, 출력이 완료되지 않은 그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최상단부터 배열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관리부(124)는,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그룹들의 데이터를 메모리(14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그룹들을 삭제하는 것과 관련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부(126)는, 복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부(126)는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가지는 그룹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명령부(128)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그룹들의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0, 400)의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6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인덱스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610 내지 630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화상 형성 장치(100) 내 프로세서(12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 각각은 하나의 아이콘(icon)과 매칭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에서는 각 그룹이 바인더(binder) 모양의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나, 각 그룹을 디스플레이 하는 아이콘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에 도시된 "Amy" 및 "Ben"과 대응되는 그룹(710)은 데이터 할당이 완료되지 않은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y"가 정형외과에 가서 검진을 하였으나 아직 검진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그룹 "Amy"로의 데이터 할당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특정 그룹의 출력이 완료된 후 특정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인더(720)와 같이 "Revised(수정됨)"이라는 문구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에 도시된 "Paul" 및 "Samuel"과 대응되는 그룹(720)은, 해당 그룹의 데이터들이 출력된 후에 데이터들 중 일부가 수정된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amuel"이 내과에서 받은 검진 결과가 모두 나와서 그룹 "Samuel"로의 데이터 할당이 완료되었고, 그에 따라 그룹 "Samuel"에 할당된 데이터들 및 인덱스 페이지의 출력이 완료된 후에 "Samuel"의 검진 결과 중 일부가 오진임이 판명된 경우(즉, 그룹 "Samuel"에 할당된 데이터들 중 일부에 수정 사항이 발생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해당 그룹의 데이터들 중 일부를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0)에 도시된 "Harries"와 대응되는 그룹(730)은, 사용자가 특별 관리를 하고자 하는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ries"가 특정 병원에서 10년 이상 진료를 받고 있는 오래된 고객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그룹 "Harries"를 특별 관리 그룹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없이도, 병원에 최초 등록한 지 10년 이상이 경과한 수진자의 그룹을 특별 관리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그룹의 수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는 경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출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20개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20개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출력이 완료된 후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출력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10)가,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출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20)에 도시된 출력 버튼(820)을 누름으로써,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지시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출력이 완료된 후,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이 완료된 그룹들(910)은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이 완료된 그룹들(910)의 아이콘은, 나머지 그룹들의 아이콘의 색상과 달리, 회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출력이 완료된 그룹들(910)의 아이콘의 음영은 변할 수 있고,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출력이 완료된 그룹들(9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8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는 경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출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가 메모리(140)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b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10)가,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출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가 메모리(140)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그룹들을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에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그룹명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검색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검색 조건은 상태(status)와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는, 예를 들어 인쇄 여부, 데이터 취합 완료 여부, 수정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태가 포함하는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임라인은, 예를 들어 그룹이 오늘, 어제 또는 오늘로부터 일주일 내에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임라인이 포함하는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에 "seo"라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 조건은 "상태(Status): 출력된 그룹(printed)" 및 "타임라인(Timeline): 어제 생성된 그룹(yesterday)"으로 설정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seo"라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그룹명을 가지고 어제 생성되었으며 출력이 완료된 그룹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개시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질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획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하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출력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출력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작업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경우 상기 출력 명령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을 나타내는 아이콘(icon)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그룹 각각의 인덱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작업부는,
상기 각각의 인덱스 페이지를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출력이 완료된 후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 명령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선택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하는 단계; 및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취합하는 단계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 제 10 항에 있어서,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경우 상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 제 1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그룹 각각의 인덱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인덱스 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출력이 완료된 후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선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나머지 그룹들과 구별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출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취합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된 복수의 그룹에 따라 취합하는 단계; 및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취합하는 단계는,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취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 취합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기 결정된 수 이상의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869A KR20180106158A (ko) | 2017-03-17 | 2017-03-17 | 자동 분류를 통한 출력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N201880003766.1A CN109804345B (zh) | 2017-03-17 | 2018-02-13 | 通过自动分类进行打印 |
EP18768285.1A EP3475806A4 (en) | 2017-03-17 | 2018-02-13 | AUTOMATIC SORT PRINTING |
US16/491,687 US10754601B2 (en) | 2017-03-17 | 2018-02-13 | Printing through automatic sorting |
PCT/KR2018/001877 WO2018169219A1 (en) | 2017-03-17 | 2018-02-13 | Printing through automatic sor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869A KR20180106158A (ko) | 2017-03-17 | 2017-03-17 | 자동 분류를 통한 출력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6158A true KR20180106158A (ko) | 2018-10-01 |
Family
ID=6352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3869A Withdrawn KR20180106158A (ko) | 2017-03-17 | 2017-03-17 | 자동 분류를 통한 출력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754601B2 (ko) |
EP (1) | EP3475806A4 (ko) |
KR (1) | KR20180106158A (ko) |
CN (1) | CN109804345B (ko) |
WO (1) | WO2018169219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8449B1 (ko) * | 2018-12-03 | 2019-04-11 | 엄성민 | 데이터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학습 기반의 레이블 타입 데이터 자동 검수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07911B1 (ko) * | 2018-12-03 | 2020-05-07 | 엄성민 | Ai 학습 기반의 레이블 타입 데이터 자동 검수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04607B2 (en) * | 2001-09-14 | 2010-09-28 | Canon Kabushiki Kaisha | Group printer for multiple member printers |
JP2005216103A (ja) | 2004-01-30 | 2005-08-11 | Seiko Epson Corp | 印刷物提供方法、印刷物提供プログラム、及び印刷物提供システム |
JP3903995B2 (ja) * | 2004-03-03 | 2007-04-11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データ配信装置、画像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DE102005008520B4 (de) * | 2005-02-24 | 2011-03-03 | OCé PRINTING SYSTEMS GMBH | Verfahren, Computerprogramm-Produkt und Drucksystem zum Sortieren von Druckjobs in eienm solchen Drucksystem |
CN1940853A (zh) * | 2005-09-28 | 2007-04-04 | 富士施乐株式会社 | 打印处理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
JP5528136B2 (ja) * | 2010-01-29 | 2014-06-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JP5556338B2 (ja) * | 2010-04-28 | 2014-07-23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US20130012802A1 (en) | 2011-07-05 | 2013-01-10 | Saudi Arabian Oil Company |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Cognitive and Emotive Health of Employees |
JP5897721B2 (ja) | 2012-09-14 | 2016-03-3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および多機能携帯端末用の制御装置 |
KR20150117190A (ko) | 2014-04-09 | 2015-10-19 | 주식회사 디플렉스 |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
US8995001B1 (en) * | 2014-05-28 | 2015-03-31 | Ricoh Company, Ltd. | User-specified instructions for hot folder documents |
KR20160066076A (ko) | 2014-11-30 | 2016-06-10 | (주)씨어스테크놀로지 |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
2017
- 2017-03-17 KR KR1020170033869A patent/KR20180106158A/ko not_active Withdrawn
-
2018
- 2018-02-13 EP EP18768285.1A patent/EP3475806A4/en active Pending
- 2018-02-13 CN CN201880003766.1A patent/CN109804345B/zh active Active
- 2018-02-13 US US16/491,687 patent/US10754601B2/en active Active
- 2018-02-13 WO PCT/KR2018/001877 patent/WO2018169219A1/en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8449B1 (ko) * | 2018-12-03 | 2019-04-11 | 엄성민 | 데이터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학습 기반의 레이블 타입 데이터 자동 검수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07911B1 (ko) * | 2018-12-03 | 2020-05-07 | 엄성민 | Ai 학습 기반의 레이블 타입 데이터 자동 검수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804345A (zh) | 2019-05-24 |
EP3475806A1 (en) | 2019-05-01 |
WO2018169219A1 (en) | 2018-09-20 |
US10754601B2 (en) | 2020-08-25 |
EP3475806A4 (en) | 2020-03-18 |
US20200183630A1 (en) | 2020-06-11 |
CN109804345B (zh) | 202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9036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US20110016398A1 (en) | Slide Show | |
WO2012081649A1 (ja) | 医用システム | |
CN106488057A (zh) | 用于生成图像形成作业的工作流的方法和图像形成装置 | |
US11047809B2 (en) | Radiation imaging system, radiation imaging method,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JP5742979B1 (ja) | 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09205220A (ja) |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100850347B1 (ko) | 통합의료진단 시스템 및 방법 | |
KR20180106158A (ko) | 자동 분류를 통한 출력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867053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perty se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JP2008070777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 |
KR20100076793A (ko) |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9076031B2 (en) | Image capture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captur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
JP2008245742A (ja) | 医用情報処理装置 | |
US10609231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quiring biological information and associating same with operating state | |
US20170076044A1 (en) | Medical-document management appratus,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edical-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JP6780262B2 (ja) | 画像変換装置、プログラム | |
US20180278755A1 (en) | Image management system, image management serve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JP5962489B2 (ja) |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 | |
US8675236B2 (en) | Image processing method | |
JP2018092304A (ja) | 印刷設定装置、印刷設定システム及び印刷設定プログラム | |
CN112201321A (zh) | 文件管理方法和电子设备 | |
JP2009230450A (ja) | 文書属性情報登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19036224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JP2020181470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