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05512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512A
KR20180105512A KR1020170032658A KR20170032658A KR20180105512A KR 20180105512 A KR20180105512 A KR 20180105512A KR 1020170032658 A KR1020170032658 A KR 1020170032658A KR 20170032658 A KR20170032658 A KR 20170032658A KR 20180105512 A KR20180105512 A KR 20180105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traffic
network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대식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5512A/en
Publication of KR20180105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51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VoIP 망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에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장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며,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통화 요청의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발신 단말로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리고,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발신 단말과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를 연결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between a calling terminal and a called terminal using a VoIP network. The communic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onitors the availability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the traffic volume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network,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informed that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aller terminal when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in a call state, Otherwise, a cal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Description

VoIP 망을 이용한 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using a VoIP network,

본 개시는 VoIP 망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간에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between a calling terminal and a called terminal using a VoIP network.

최근에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반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자들의 요구 사항은 날이 갈수록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세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의 증가와 데이터 트래픽의 사용 요구 증가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증대된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시스템 부하나 영향을 고려하여 설비 및 기술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mputer network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not only various servic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ave been provided, but the demand of users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global wireless Internet service market has been exploding Trend. Accordingly, a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being developed not only as a voice service, but also as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for transmitting various data.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smart phones and the demand for data traffic, mobile operators are investing equipment and technology considering the system part and the influence to accommodate the increased data traffic in various ways.

LTE(Long Term Evolution)는 접속망(access network)에 대한 고속 대용량(high data rate), 저지연(low-latency), 패킷 최적화된 무선 접속(packet optimized radio access)의 요구조건을 실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로서, 기존 3GPP/non-3GPP의 접속망에 대한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하면서 고속의 리치 미디어(rich media)를 수용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LTE는 기존의 회선교환(circuit-switched) 기반의 통신을 배제한 All-IP 기반의 네트워크로서, 서비스품질(QoS: Quality of Service) 관리 기능을 강화하여 실시간 서비스(예컨대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비실시간 서비스(예컨대 웹브라우징, Store and Forward 데이터 전송)에 대해 차별된 QoS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리소스(resource)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또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즉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을 도입함으로써 무선통신을 위한 대역폭을 확장하였다.Long Term Evolution (LTE) is a network for realizing requirements of high data rate, low-latency, and packet optimized radio access for an access network , And is designed to accommodate high-speed rich media whil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existing 3GPP / non-3GPP access networks. LTE is an All-IP-based network that excludes existing circuit-switched based communications, enhancing the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functions to provide real-time services (eg, voice communication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network resources by providing differentiated QoS for real-time services (e.g., web browsing, Store and Forward data transmission). We also extended the bandwidth for wireless communications by introducing smart antenna technology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LTE 핵심망(Core Network)인 EPC(Evolved Packet Core) 망에서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eNB(eNodeB) <->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 S-GW(Serving Gateway) 그리고 S-GW <->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음성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호처리를 수행한다. EPC 망에서는 호 설정 및 해제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IP 패킷(Internet Protocol Packet)으로 인식하고 P-GW로 전달하거나 P-GW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로 전달한다.In an EPC (Evolved Packet Core) network, which is an LTE core network, an eNodeB, an MME, a MME, a Serving Gateway, and an S-GW < -> P-GW (Packet Data Network-Gateway) to perform call processing for voice and data processing. In the EPC network, a control message such as call setup and release is recognized as an IP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P-GW or received from the P-GW and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UE).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패킷 교환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또는 VoLTE(Voice over LTE)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호들은 회선 교환 방식을 이용한 호들에 비해서 우선순위가 낮게 설정되므로, 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 회선 교환 방식의 호가 유입될 경우 VoIP 통화가 단절되거나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calls used in th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or Voice over LTE (VoIP) service, which can provide voice / video call service using the packet exchange method using the IP network, A VoIP call may be disconnected or stopped when a call of a call exchange method using a VoIP service is introduced.

따라서, 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 회선 교환 방식의 호가 유입되더라도 VoIP 통화가 단절되거나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prevent a VoIP call from being disconnected or stopped even if a call is exchanged during a call using a VoIP service.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을 이용한 통화 제공 방법은, VoIP 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요청의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call us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monitoring a call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using a traffic volume of at least one terminal using a VoIP network; Receiving a call request from an originating terminal; Checking whether a destination terminal of the call request is busy using the result of the monitoring;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party terminal when the called-party terminal is in a busy state,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alled-terminal and the called-party terminal when the called-party terminal is not in a call do.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방법에서,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으로 판단하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when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determining that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not in a busy state when the traffic volum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the predetermined time.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을 음성통화, 영상통화 및 SMS 송수신과 관련된 트래픽으로 각각 구분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 of monitoring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may comprise: separating the traffic volum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nto traffic related to a voice call, a video call, And monitoring.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트래픽량이,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량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해당 단말로 상기 트래픽을 유발한 주체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onitoring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traffic amount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ver a threshold time step; And notifying the terminal of information on the entity that caused the traffic when the traffic amount is includ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ver the threshold time.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정보를 통화 중 또는 통화 중 아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각각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onitoring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may include monitoring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 And stor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s based on the set information.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VoIP 망을 이용한 통화 제공 장치는, VoIP 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요청의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설정하는 처리부;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Also,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using a VoIP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onitor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using the traffic volume of at least one terminal using the VoIP network, And notifies the calling terminal that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in a call state, and if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in a call state, A processing unit for establish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으로 판단하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when the traffic volum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es that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not in a busy state if it is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을 음성통화, 영상통화 및 SMS 송수신과 관련된 트래픽으로 각각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cal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ing unit divides the traffic volume of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nto traffic related to voice call, video call, and SMS transmission / reception, And monitoring.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트래픽량이,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트래픽량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해당 단말로 상기 트래픽을 유발한 주체에 대한 정보를 통지한다.Also, in the communic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ing unit checks whether the traffic amount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includ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ver the threshold time, and if the traffic amoun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t notifies the terminal of the information on the entity that caused the traffic.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정보를 통화 중 또는 통화 중 아님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각각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Also, in the cal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ing unit may monitor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to set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result to be in a busy state or not in a busy state,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availability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in the storage uni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도중 중단되거나 멈추는 현상을 방지하여 VoIP 서비스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of interruption or stoppage during a call us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rvice, thereby ensuring VoIP service qu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EPC 망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40)의 트래팩량의 모니터링 결과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EPC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l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nitoring result of the traffic amount of the user terminal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procedure of a call pro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illustrating the disclosure and are not chosen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under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 comprising, "" having," "having, " and the like,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open-ended terms).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expressions of the singular form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same applies to the singular expressions set forth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term "part " as used in this disclosure refers to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software.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part (s) "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lem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 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of program code.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 and the "part "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the expression "based on" is used to describe one or more factors affecting an action or an action of a decision, judgment, as describ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contained, I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decision, act of judgment or action.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ption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is omitted, such components are not intended to be included in any embodim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무선통신망, LTE망(Long Term Evolution Network),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망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예컨대,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또는 현재 서비스 중인 4G 이동통신망 등} 및 매크로 기지국(macro eNodeB), 초소형 기지국(Pico eNodeB, Home-eNodeB) 및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임의의 기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LTE의 무선접속망인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위주로 설명한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2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Long Term Evolution Network (LTE),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E.g., a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CDMA or CDMA2000,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peed uplink packet access),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urrently in service, etc., macro base stations (macro eNodeBs), micro base stations (Pico eNodeBs, Home-eNodeBs) and user terminals But is not limited to, any 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d as an element. Hereinafter, an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as a radio access network of LTE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셀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망에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셀이 혼재할 수 있는 HetNet(Heterogeneous Network) 환경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망은 소규모의 네트워크 셀(예컨대, 피코셀, 펨토셀 등의 '소형셀(small cell)')을 관리하는 초소형 기지국(Pico eNodeB, Home-eNodeB, relay 등)(11~15, 21~23, 31~33), 넓은 범위의 셀(예컨대, '매크로셀(macro cell)')을 관리하는 매크로 기지국(macro eNodeB)(10, 20, 30), 사용자 단말(40), SON(Self Organizing & Optimizing Networks) 서버(5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60), S-GW(Serving Gateway)(80), P-GW(PDN(Packet Data Network) Gateway)(90)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가 도면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one or more network cells, and may include a Heterogeneous Network (HET) environment in which different kinds of network cells may be mix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miniature base stations (Pico eNodeB, Home-eNodeB, relay, etc.) 11 to 15, 21 to 23, and 23, which manage small-sized network cells (e.g., 'small cells' such as picocells, femtocells, (Macro eNodeBs) 10, 20 and 30 for managing a wide range of cells (for example, 'macro cells' (MSS) 60, an S-GW (Serving Gateway) 80, a 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 90 and an HSS (Home Subscriber Server) (100).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is illustrative, and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매크로 기지국(10, 20, 30)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km 내외의 반경을 갖는 셀을 관리하는 매크로셀 기지국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macro base stations 10, 20 and 30 can be used in an LTE network, a WiFi network, a WiBro network, a WiMax network, a WCDMA network, a CDMA network, a UMTS network, But is not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cro cell base station that manages the base station.

초소형 기지국(11~15, 21~23, 31~33)은, 예컨대 LTE망, 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수 m ~ 수십 m 내외의 반경을 갖는 셀을 관리하는 피코 기지국, 옥내용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 릴레이(relay)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micro base stations 11 to 15 and 21 to 23 and 31 to 33 can be used in an LTE network, a WiFi network, a WiBro network, a WiMax network, a WCDMA network, a CDMA network, a UMTS network, but is not limited to, the features of a pico base station, an indoor base station or a femto base station, or a relay that manages a cell having a radius of about m to several tens of meters.

초소형 기지국(11~15, 21~23, 31~33)이나 매크로 기지국(10, 20, 30)은 각각 독자적으로 SON 서버(50), MME(60), S-GW(80), P-GW(90), HSS(100) 등의 코어망과의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The micro base stations 11 to 15 and 21 to 23 and 31 to 33 and the macro base stations 10 and 20 and 30 independently control the SON server 50, the MME 60, the S-GW 80, (90), HSS (100),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40)은 GSM망, CDMA망과 같은 2G 무선통신망, LTE망, WiFi망과 같은 무선인터넷망, WiBro망 및 WiMax망과 같은 휴대인터넷망 또는 패킷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terminal 40 may be a mobile Internet network such as a GSM network, a 2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DMA network, a wireless Internet network such as an LTE network and a WiFi network, a WiBro network, and a WiMax network, But are not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초소형 기지국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인 관리 서버(O&M 서버)(70)는 초소형 기지국(11~15, 21~23, 31~33)과 매크로 기지국(10, 20, 30)의 구성정보 및 관리를 담당한다. 관리 서버(70)는 SON 서버(50), MME(60) 및 HSS(1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SON 서버(50)는 매크로/초소형 기지국 설치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각 기지국에 필요한 기본 파라미터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MME(60)는 사용자 단말(40)의 이동성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ME(60)는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의 기능을 수행하며, 자신에 연결된 기지국(pico eNodeB, Home-eNodeB, macro eNodeB 등)에 대하여 자원 할당, 호 제어, 핸드오버 제어, 음성 및 패킷 처리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HSS(100)는 가입자의 서비스/인증을 위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이다.The management server (O & M server) 70, which is a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of the micro-base station, is responsible for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micro base stations 11 to 15, 21 to 23 and 31 to 33 and the macro base stations 10, 20 and 30 . The management server 70 can perform all the functions of the SON server 50, the MME 60, and the HSS 100. [ SON server 50 may include any server that performs macro / micro base station installation and optimization and functions to provide basic parameters or data necessary for each base station. The MME 60 may include any entity used to manage the mobility of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ME 60 performs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nd performs resource allocation, call control, handover control, and handover control on base stations (pico eNodeB, Home- eNodeB, macro eNodeB, Voice and packet processing control, and the like. The HSS 100 is a kind of database for service / authentication of the subscri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관리 서버(70)가 SON 서버(50), MME(60) 및 HSS(1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SON 서버(50), MME(60) 및 HSS(100)는 하나 이상의 매크로 기지국(10, 20, 30)과 하나 이상의 초소형 기지국(11~15, 21~23, 31~33)을 관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ne management server 70 can perform all the functions of the SON server 50, the MME 60, and the HSS 100, and the SON server 50, the MME 60, The base station 100 may manage one or more macro base stations 10, 20 and 30 and one or more micro base stations 11 to 15, 21 to 23 and 31 to 33.

상기의 이동통신망을 LTE망으로 가정하는 경우, LTE망은 inter-RAT망(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 연동된다. inter-RAT망 중 하나(예컨대, WiBro망)가 상기 이동통신망인 경우 역시, 타 망(LTE망, WiFi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에 연동된다. 도면에는 일 망(예컨대, LTE망)과 타 망(WiFi망, WiBro망, WiMax망, WCDMA망, CDMA망, UMTS망, GSM망 등)이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일 망과 타 망은 오버레이(overlay) 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ssumed to be an LTE network, the LTE network is interworked with an inter-RAT network (WiFi network, WiBro network, WiMax network, WCDMA network, CDMA network, UMTS network, GSM network, etc.). (LTE network, WiFi network, WiMax network, WCDMA network, CDMA network, UMTS network, GSM network, etc.) when one of the inter-RAT networks (e.g., WiBro network) i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Fi network, WiMax network, WCDMA network, CDMA network, UMTS network, GSM network, etc.) are shown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drawing, it is assumed that it is overlai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PC 망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EPC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UTRAN(25)은 eNB(evolved NodeB, 25-1,... 25-n,...)로 구성되는 LTE의 무선접속망으로서, IP 기반이며, UE(40)와 무선통신 핵심망(Core Network)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LTE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말이 음성 서비스 이용 시, 기존의 2G/3G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CS(circuit switch) Fallback 목적의 페이징(Paging)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UE(40)로 전달하는 기능과 CS 서비스가 가능한 대상 셀(target cell)로의 직접 연결 기능 등을 지원한다.The E-UTRAN 25 is an LTE radio access network composed of eNBs (evolved NodeB, 25-1, ..., 25-n, Network) to transmit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a terminal using an LTE system moves to a conventional 2G /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s a voice service, a paging request for a circuit switch (Fallback) to receive a voice service, a short message service ) Message to the UE 40 and a direct connection to a target cell capable of a CS service.

도 2에서 "LTE-Uu"는 E-UTRAN(25)과 UE(40)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S1-MME"는 MME(60)와 E-UTRAN(25)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S1-U"는 S-GW(80)와 E-UTRAN(25)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S11"은 S-GW(80)와 MME(6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S5/S8"은 P-GW(90)와 S-GW(8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SGi"는 IP망(110)과 P-GW(9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S6a"는 HSS(100)와 MME(6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2, "LTE-Uu" represents an air interface between the E-UTRAN 25 and the UE 40, "S1- MME" represents an interface between the MME 60 and the E-UTRAN 25, "S1-U" represents an interface between the S-GW 80 and the E-UTRAN 25, "S11" represents an interface between the S-GW 80 and the MME 60, "S5 / SGI "represents the interface between the P-GW 90 and the S-GW 90, and" SGi "represents the interface between the IP network 110 and the P-GW 90. And "S6a" may represent the interface between the HSS 100 and the MME 60.

UE(40)와 E-UTRAN(25)의 eNB(25-1,... 25-n,...)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며, eNB(25-n)에서 자신이 제어하는 셀 영역으로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메시지는 RRC 메시지로 정의된다. RRC 메시지에는 NAS(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로부터 내려오는 제어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 메시지들은 E-UTRAN(25) 내에서 판독되지 않고 UE(40) 또는 핵심망으로 투명하게(transparently) 전달된다.The UE 40 and the eNBs 25-1 to 25-n of the E-UTRAN 25 communicate via the RRC (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 and the eNB 25- A broadcasting message to a cell area to be controlled by the RRC message is defined as an RRC message. The RRC message may include control messages from the Non-Access Stratum (NAS) protocol, which control messages are transparently transferred to the UE 40 or the core network without being read in the E-UTRAN 25 .

eNB(25-n)는 E-UTRAN(25)의 무선신호에 대한 종단점으로, 제어신호는 S1-MME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60)와 연동되고, 데이터 트래픽은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80)와 연동된다. S-GW(80)는 E-UTRAN(25) 내의 이동성(mobility)에 대한 앵커(anchor) 및 다운링크(downlink) 트래픽에 대한 버퍼링 기능을 수행한다. P-GW(90)는 외부 IP 망(110) 연결점으로, 이동 가입자에 대한 IP 할당 및 과금,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트래픽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P-GW(90)는 IP 망(110)을 통하여 IP 서버(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IP 서버(120)로부터 IP 망(11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eNB 25-n is an end point for the radio signal of the E-UTRAN 25 and the control signal is interlocked with the MME 60 via the S1-MME interface and the data traffic is transmitted to the S- (80). The S-GW 80 performs a buffering function for the anchor and downlink traffic for mobility in the E-UTRAN 25. [ The P-GW 90 is a connection point of the external IP network 110, performs IP allocation and billing for a mobile subscriber, and traffic control functions for user data. The P-GW 90 can be connected to the IP server 120 through the IP network 110 and can transmit traffic relate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IP network 110 from the IP server 120 .

IP 망(110)은 EPC 망에서 UE(40)에 대한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를 제공하고,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 IMS nodes(예를 들어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I-CSCF(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AF (Application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P network 110 provides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for the UE 40 in the EPC network, a 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 (PCRF), an IMS nodes (for example, a 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 An 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I-CSCF), a 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S-CSCF), and an Application Function Function (AF)).

UE(40)는 EPC 베어러(E-UTRAN/S-GW/P-GW에 의해 제공)를 통해 IMS node들과 Gm Interface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UE 40 sends and receives a call control message for multimedia services using IMS nodes and the Gm interface through an EPC bearer (provided by E-UTRAN / S-GW / P-GW).

E-UTRAN(25)은 UE(40)에게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UTRAN 25 provides a radio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UE 40 and performs a function of managing radio resources for the radio communication function.

MME(60)는 UE(4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HSS(100)로부터 전송받아 UE(4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ME(60)는 UE(40) 및 eNB(25-n)의 이동성을 eNB(25-n)의 상위에서 관리하며, EPS(Evolved Packet System) 세션 및 베어러(Bearer)의 설정/해제와 같은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E(40)와 망간 이동성(mobility) 및 세션(session) 제어는 UE(40)와 MME(60)의 제어 평면에 위치한 NAS(Non-Access Stratum) 계층에서 NAS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되며 UE(40)와 MME(60)는 NAS 메시지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NAS 기능은 크게 EMM(EPS Mobility Management)과 ESM(EPS Session Management) 기능으로 구별된다. 아울러, MME(60)는 S-GW(80)와 P-GW(90)를 통해서 IP망(1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eNB(25-n)의 호처리 제어 신호는 MME(60)를 통해서 S-GW(80)에 전달되고, 호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서 호처리에 필요한 작업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P-GW(90)로 전송할 수 있다. EMM은 NAS 계층에 위치하는 부계층으로 EMM 절차가 수행됨에 따라 UE(40)는 7개의 EMM 상태를 갖고 MME(60)는 4개의 EMM 상태를 갖는다. UE(40)와 MME(60)가 NAS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UE(40)와 MME(60) 간에 NAS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는 시그널링 연결이 생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ECM(EPS Connection Management) 연결이라고 한다. ECM 연결은 논리 연결로 실제로는 UE(40)와 eNB(25-n) 간에 설정되는 RRC 연결과 eNB(25-n)와 MME(60) 간에 설정되는 S1 시그널링 연결로 구성된다. 즉, ECM 연결이 설정/해제되었다는 것은 RRC 연결과 S1 시그널링 연결이 모두 설정/해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ECM 연결이 설정된 경우 UE(40)에서 보면 RRC 연결이, MME(60)에서 보면 S1 시그널링 연결이 설정되어 있게 된다. ECM 연결은 NAS 시그널링 연결 즉, ECM 연결 설정 유무에 따라 ECM-Connected(연결 설정)와 ECM-Idle(연결 해제) 상태를 갖는다. EMM 절차에 따라서 ECM-Connected 상태와 ECM-Idle 상태 사이를 빈번히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 과정을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라 한다.The MME 60 may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E 40 from the HSS 100 and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UE 40. [ The MME 60 also manages the mobility of the UE 40 and the eNB 25-n at the upper level of the eNB 25-n and controls the setting and release of an Evolved Packet System (EPS) session and a bearer The same call control function can be performed. Mobility and session control with the UE 40 is handled by the NAS protocol at the NAS (Non-Access Stratum) layer located in the control plane of the UE 40 and the MME 60, And the MME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AS message. The NAS fun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EMM (EPS Mobility Management) and ESM (EPS Session Management) functions. In addition, the MME 6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P network 110 through the S-GW 80 and the P-GW 90. The call processing control signal of the eNB 25-n is transmitted to the S-GW 80 via the MME 60 and is transmitted to the P-GW 90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control signal, Lt; / RTI &gt; The EMM is a sublayer located in the NAS layer, and the EMM procedure is performed, so that the UE 40 has seven EMM states and the MME 60 has four EMM states. In order for the UE 40 and the MME 60 to send and receive NAS messages, a signaling connection must be created between the UE 40 and the MME 60 so that the NAS message can be transmitted. This is called an ECM (EPS Connection Management) connection . The ECM connection is a logical connection and consists essentially of an RRC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UE 40 and the eNB 25-n and an S1 signaling connection established between the eNB 25-n and the MME 60. That is, the ECM connection is turned on / off means that the RRC connection and the S1 signaling connection are both turned on / off. When an ECM connection is established, an RRC connection is seen from the UE 40, and an S1 signaling connection is established from the MME 60. [ The ECM connection has ECM-Connected and ECM-Idle status depending on whether the NAS signaling connection, ECM connection, or not. According to the EMM procedure, the ECM-Connected state and the ECM-Idle state are frequently moved. This change process is referred to as a state transition.

S-GW(80)는 3GPP 네트워크와 E-UTRAN(25)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며, eNB(25-n)들간 핸드오버 및 3GPP 네트워크-3GPP 네트워크(inter-3GPP) 간 UE(40)의 이동성 제공을 위한 이동성 앵커(mobility anch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GW(80)는 eNB(25-n)의 제어 신호에 따라 호처리에 필요한 작업을 P-GW(9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GW 80 acts as a gateway between the 3GPP network and the E-UTRAN 25 and performs the handover between the eNBs 25-n and the UE 40 between the 3GPP network and the 3GPP network (inter-3GPP) And can perform a mobility anchor function for providing the service. The S-GW 80 can transmit to the P-GW 90 a job necessary for cal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eNB 25-n.

P-GW(90)는 UE(40)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UE(40)별로 서로 다른 QoS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P-GW(90)는 PDN(Packet Data Network)으로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여 UE(40)로 하여금 인터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P-GW 90 may allocate an IP address to the UE 40 and apply different QoS policies to the UE 40. [ In addition, the P-GW 90 acts as a gateway to a PDN (Packet Data Network), allowing the UE 40 to access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the Internet to receive services.

일 실시예로서, S-GW(80)와 P-GW(90)가 분리되어 S5/S8 인터페이스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S-GW(80)와 P-GW(90)를 하나의 게이트웨이(single gateway)로 구현할 수 있다.Although the S-GW 80 and the P-GW 90 are illustrated as being separated and communicating at the S5 / S8 interface as an embodiment, the S-GW 80 and the P- single gateway).

HSS(100)는 UE(4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 UE(40)의 위치 정보 및 UE(40)의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UE(40)의 프로파일은 각 UE(40)가 가입한 서비스 상품에 맞는 QoS 등급 정보(예를 들어, 우선순위, 최대 사용 가능 대역폭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UE(4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 및 UE(40)의 프로파일은 UE(40)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HSS(100)에서 MME(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HSS 100 may man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E 40,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 40, and the profile of the UE 40. [ The profile of the UE 40 may include QoS rating information (e.g., priority, maximum available bandwidth, etc.) for each service item to which each UE 40 subscribes. In one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E 40 and the profile of the UE 4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HSS 100 to the MME 60 when the UE 40 connects to the network.

PCRF(미도시됨)는 정책(policy) 및 과금(charging)에 대한 규칙(rule)을 관리하고 P-GW(90) 및 S-GW(80)가 UE(40)에게 적절한 QoS 제공 및 이용된 베어러에 대한 과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PCRF (not shown) manages policies and rules for charging and allows the P-GW 90 and the S-GW 80 to provide appropriate QoS for the UE 40 and use Allows you to perform the billing function for the bearer.

IMS node(미도시됨)는 세부적으로 P-CSCF, I-CSCF, S-CSCF, AF 등과 같은 노드로 구성되며, UE(40)가 VoIP(Voice over IP) 및 화상 통화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The IMS node (not shown) is made up of nodes such as P-CSCF, I-CSCF, S-CSCF, and AF in detail and the UE 40 provides multimedia services such as VoIP give.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ll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제공 장치(300)는 처리부(310), 저장부(320), 송수신부(330) 및 시스템 버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처리부(310), 저장부(320) 및 송수신부(330)는 시스템 버스(34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제공 장치(300)는 P-GW(90) 내부에 포함될 수 있고, P-GW(90)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3, the communic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 processing unit 310, a storage unit 320,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30, and a system bus 340. [ In an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310, the storage unit 32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ystem bus 340. Also, the call providing apparatus 300 may be included in the P-GW 90 and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GW 90.

처리부(310)는 VoIP 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처리부(310)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는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처리부(310)는 특정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의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310)는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송수신부(330)를 통하여 발신 단말로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릴 수 있고,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발신 단말과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310 may monitor the availability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the traffic volume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using the VoIP network. In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results for at least one user terminal of the processing unit 31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When receiving the call request from the specific calling terminal, the processing unit 310 can check whether or not the called terminal of the received call request is in a call using the result of the monitoring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e processing unit 310 can notify the calling terminal that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via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30 when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I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not busy, the processing unit 310 cancall the call between the source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You can configure it to connect.

또한, 처리부(310)는,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으로 판단하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은 2초 내지 200초의 시간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소정 범위는 10 바이트(bytes) ~ 30 바이트의 트래픽량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40)의 트래팩량의 모니터링 결과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 단말(40, 착신 대상 단말을 포함함)의 트래픽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주기1에서는 소정 범위인 Range A와 Range B 사이에 존재하므로 해당 사용자 단말(40)이 VoIP 망을 이용하여 통화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주기2 및 3에서는 트래픽량이 소정 범위를 넘거나 소정 범위보다 작은 값을 가지므로 통화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ocessing unit 310 determines that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If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not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not busy.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may include a time range of 2 seconds to 200 seconds, and the predetermined range may include a traffic amount of 10 bytes to 30 byt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nitoring result of the traffic amount of the user terminal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4, since the traffic amount of the specific user terminal 40 (including the destination terminal) is monitored, the user terminal 40 exists between Range A and Range B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n the period 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call using the VoIP network. In the periods 2 and 3,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raffic is not busy because the traffic amount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or has a valu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또한, 처리부(310)는,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을 음성통화, 영상통화 및 SMS 송수신과 관련된 트래픽으로 각각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IP 망(110)을 통하여 IP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관련 정보는 서비스 타입에 따른 식별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음성통화와 관련된 트래픽에 대해서는 A라는 식별인자가 포함되고, 영상통화와 관련된 트래픽에 대해서는 B라는 식별인자가 포함되며, SMS와 같은 문자메시지와 관련된 트래픽에 대해서는 Z라는 식별인자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310)는 수신되는 트래픽 정보의 식별인자를 확인하여 각 어플리케이션별 서비스 타입별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310 may monitor the availability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by dividing the traffic volum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nto traffic related to voice call, video call, and SMS transmission / reception,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the traffic-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P server 120 through the IP network 110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factor according to the service type. That is, the traffic related to the voice call includes the identification factor of A, the traffic related to the video call includes the identification factor of B, and the traffic associated with the text message such as SMS may include the identification factor of Z . Accordingly, the processing unit 310 can monitor the traffic for each service type for each application by checking the identification factor of the received traffic information and calculate the monitoring result.

또한, 처리부(310)는, 모니터링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트래픽량이, 임계 시간 이상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모니터링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트래픽량이 임계 시간 이상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40)로 트래픽을 유발한 주체에 대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는 악의적인 목적으로 통화 중에 해당할 수 있는 트래픽(Garbage Pattern)이 수신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310 checks whether the traffic amount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that is monitoring i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exceeding the threshold time, and if the traffic amount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If the user terminal 40 i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the user terminal 40 can be notified of information on the entity that caused the traffic. Accordingly, the system administrator 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40 can take appropriate action when a garbage pattern that can be received during a call is received for a malicious purpose.

또한, 처리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정보를 통화 중 또는 통화 중 아님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 각각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310 may monitor the availability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to set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result to be in a busy state or not in a busy state, 4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availability of each call in the storage unit 320.

저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에 대한 트래픽량 모니터링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저장부(320)는 사용자 단말(40)별 어플리케이션별로 트래픽량 모니터링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별 어플리케이션별 서비스 타입별로 트래픽량 모니터링 결과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저장부(22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c)-ROM,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c), 광데이터(Optical Data) 저장장치 또는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traffic volume monitoring result for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traffic volume monitoring result by application for each user terminal 40, and may store the traffic volume monitoring result for each application type per application. 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220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CD (Compact Disc) -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c, Optical data storage, or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but are not limited to such implementations.

송수신부(330)는 본 개시의 통화 제공 방법 구현을 위해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 요소들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송수신부(330)는 IP 망(110)을 통하여 IP 서버(120)로부터 트래픽 관련 정보는 수신하고, 수신된 트래픽 관련 정보를 처리부(3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330)는 발신 단말과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ransmitter / receiver 330 can send and receive signals with components that are communicatively coupled to implement the call pres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30 can receive the traffic-related information from the IP server 120 through the IP network 110 and transmit the received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unit 310. Also, the transceiver 330 can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connect a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제공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procedure of a call provi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Although process steps, method steps, algorithms,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in this flowchart in a sequential order, such processes, methods, and algorithm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ny suitable order. In other words, the steps of the processes, methods and algorithm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need not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lso, although some of the steps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asynchronously, some of these steps may be performed concurrently in other embodiments. Also, an illustration of a process by way of illustration in the drawings is not intended to imply that the illustrated process excludes other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hereto, and that any of the illustrated processes or steps thereof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imply that it is necessary for more than one, and does not mean that the illustrated process is preferre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510)에서, VoIP 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제공 장치(300)는 VoIP 망을 이용하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트래픽에 관한 정보를 IP 망(110)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트래픽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step S510, the availability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can be monitored using the traffic volume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the VoIP network.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call providing apparatus 3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raffic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connected to be communicable using the VoIP network through the IP network 110 And monitor the availability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using information on the received traffic.

단계(S520)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사용자 단말(착신 대상 단말)과 통화를 위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520, a call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to 4, a call request can be received from a calling terminal f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user terminal (called terminal).

단계(S530)에서,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통화 요청의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제공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의 트래픽량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통화 요청에 정보가 포함된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53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estination terminal of the call request is busy using the monitoring resul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o FIG. 4, the call providing apparatus 300 determines whether a call target terminal including information in a call request is busy using the traffic amount monitoring result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 Can be determined.

단계(S540)에서,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발신 단말로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제공 장치(300)는 통화 요청이 포함하는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통화 중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발신 단말로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릴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40 that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it can be notified to the calling terminal that the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o FIG. 4, the call providing apparatus 300 checks whether or not a call is being made using the traffic volume monitoring result of a call destin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call request. If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The caller terminal can notify that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busy.

단계(S550)에서,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발신 단말과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가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제공 장치(300)는 통화 요청이 포함하는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통화 중 여부를 확인하고,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발신 단말과 착신 대상 단말간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550, if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s not in a call, a call between the caller terminal and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may be set to be connect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o FIG. 4, the call providing apparatus 300 confirms whether or not a call is being made using the traffic volume monitoring result of the call destin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call reques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 has been described through particular embodiments, the method may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something to do.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1~15, 21~23, 31~33: 초소형 기지국 10, 20, 30: 매크로 기지국
40: 사용자 단말 50: SON 서버
60: MME 80: S-GW
90: P-GW 100: HSS
110: IP 망 120: IP 서버
300: 통화 제공 장치 310: 처리부
320: 저장부 330: 송수신부
340: 시스템 버스
11 ~ 15, 21 ~ 23, 31 ~ 33: micro base stations 10, 20, 30: macro base station
40: User terminal 50: SON server
60: MME 80: S-GW
90: P-GW 100: HSS
110: IP network 120: IP server
300: a call providing device 310:
320: Storage unit 330: Transmitting /
340: System bus

Claims (10)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을 이용한 통화 제공 방법으로서,
VoIP 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요청의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using a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onitoring a call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a traffic amount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a VoIP network;
Receiving a call request from an originating terminal;
Checking whether a destination terminal of the call request is busy using the result of the monitoring;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party terminal when the called-party terminal is in a busy state,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alled-terminal and the called-party terminal when the called-party terminal is not in a call ,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으로 판단하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call includes:
When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estination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busy, and if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the predetermined tim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How to provide a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을 음성통화, 영상통화 및 SMS 송수신과 관련된 트래픽으로 각각 구분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of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mprises:
And monitoring the traffic volum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by dividing the traffic volume into traffic related to voice call, video call, and SMS transmission / reception, respectively.
How to provide a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량이,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량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로 상기 트래픽을 유발한 주체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of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mprises:
Confirming whether the traffic volume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includ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ver a threshold time; And
And notifying the user terminal of information on the entity that has caused the traffic when the traffic volum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ver the threshold time.
How to provide a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정보를 통화 중 또는 통화 중 아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of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comprises:
Monitoring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se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monitoring result to be in a busy state or not in a busy state; And
And stor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each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s based on the set information.
How to provide a cal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을 이용한 통화 제공 장치로서,
VoIP 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요청의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닐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대상 단말 간의 통화를 연결하도록 설정하는 처리부;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통화 제공 장치.
A communic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a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Monitoring a call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a traffic amount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using a VoIP network and determining whether a call target terminal of the call request received from the caller terminal is in a call using a result of the monitoring And notifies the calling terminal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alled terminal, and when the called terminal is not in communication, sets the calling terminal to connect the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ed target terminal ; And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Call provid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으로 판단하고,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이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통화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estination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busy, and if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not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for the predetermined time, Judging that it is not in the middle,
Call provid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착신 대상 단말의 트래픽량을 음성통화, 영상통화 및 SMS 송수신과 관련된 트래픽으로 각각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통화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d monitoring traffic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by dividing traffic amounts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to traffic related to a voice call, a video call, and an SMS transmission / reception,
Call provid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량이,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트래픽량이 상기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소정 범위 이내에 포함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로 상기 트래픽을 유발한 주체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화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whether a traffic volume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includ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ver a threshold time and, when the traffic volum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ver the threshold time, Lt; / RTI &gt;
Call provid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통화 가능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정보를 통화 중 또는 통화 중 아님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통화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통화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rei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monitors the availability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to set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result to be in a busy state or not in a busy state and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vailability of each of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s based on the set information Storing in a storage unit,
Call providing device.


KR1020170032658A 2017-03-15 2017-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Ceased KR201801055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58A KR20180105512A (en) 2017-03-15 2017-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58A KR20180105512A (en) 2017-03-15 2017-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512A true KR20180105512A (en) 2018-09-28

Family

ID=6372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658A Ceased KR20180105512A (en) 2017-03-15 2017-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551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53B1 (en) 2019-05-03 2020-09-16 (주)아크로메이트 Distributed network system for handling call, call handling method performed by distributed network system
KR20200127614A (en) 2019-05-03 2020-11-11 (주)아크로메이트 Relay device for handling call, call handling method performed by re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call handling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53B1 (en) 2019-05-03 2020-09-16 (주)아크로메이트 Distributed network system for handling call, call handling method performed by distributed network system
KR20200127614A (en) 2019-05-03 2020-11-11 (주)아크로메이트 Relay device for handling call, call handling method performed by re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call handling method
WO2020226350A1 (en) 2019-05-03 2020-11-12 (주)아크로메이트 Distributed network system for call processing provided are a call processing method performed by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all processing method is recorded
WO2020226349A1 (en) 2019-05-03 2020-11-12 (주)아크로메이트 Relay device for call processing, call processing method performed by re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call processing method is recorded
US11750665B2 (en) 2019-05-03 2023-09-05 Acromate Co., Ltd. Distributed network system for call processing provided are a call processing method performed by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all processing method is recorded
US11757952B2 (en) 2019-05-03 2023-09-12 Acromate Co., Ltd. Relay device for call processing, call processing method performed by re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call processing method is stor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884B1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mf node
KR102160007B1 (en) Method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access control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6119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rio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80551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detach procedure
EP2805458B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multiple prior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25137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applying an extended access barring
CN109644388B (en) Method for access control using relay UE and apparatus therefor
EP35920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ower consumption parameter
KR102127780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US10285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US10306520B2 (en)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device for same
EP404476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296578B1 (en) Paging node apparatus for long term evolution network and paging method thereof
KR201801055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by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KR1020840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Processing Important Data Packet
KR101613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KR102362560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21610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of packet
KR201900524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processing
KR1022372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acket
KR102151533B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cell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055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subscribers
KR20140008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iling handover for user equipment in long connected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347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processing
KR201900565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et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