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875A -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4875A KR20180104875A KR1020170031713A KR20170031713A KR20180104875A KR 20180104875 A KR20180104875 A KR 20180104875A KR 1020170031713 A KR1020170031713 A KR 1020170031713A KR 20170031713 A KR20170031713 A KR 20170031713A KR 20180104875 A KR20180104875 A KR 201801048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super capacitor
- battery unit
- battery
- dd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803 electron scatt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2 time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778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41 lithium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02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 Y02E10/5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리튬 계열의 배터리 셀이 구비된 배터리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슈퍼캐퍼시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고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의 방전 시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지하철의 각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에 설치되는 DDC에 공급하는 양방향 인버터;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의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DDC 및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설정된 동작 환경에 따라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에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패널; 및 태양광패널로 변환된 전기에너지로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MPPT 차져;를 포함하는 ESS를 가지는,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DDC에 무정전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러한 전원의 충전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안정적인 충전을 통해서 배터리 등의 내구성을 높이며, 복수의 DDC에 대한 전원공급을 일괄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도시철도 등(이하, '지하철'로 총칭함)의 역사, 철로, 환기실 등에는 여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현장 제어반인 DDC(Direct Digital Controller)에 전송된다.
이와 같은 DDC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모터의 작동 등과 같은 디지털 상태 및 온도, 습도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 프로그램의 설정값 및 제어방식에 따라 조작기의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DDC는 중앙관제센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중앙관제센터로부터 받은 명령을 수행하고, 중앙관제센터에 필요한 자료를 보내는 등 독립된 현장제어 기능을 갖춘 STAND-ALONE 시스템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DDC의 전원공급은 통상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나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UPS나 ESS는 DDC와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DDC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DDC에 전원을 공급하는 UPS 또는 ESS는 DDC에 무정전 상태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UPS 또는 ESS에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앙관제센터와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앙관제센터에서는 UPS 및 ESS의 운영 상태 및 이상 발생을 사전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순회점검 등을 통하여 직접 UPS 및 ESS 운영 상태를 파악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DDC와 UPS 또는 ESS가 설치되는 지하철 환기실은 지하철 역사와 역사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역사와 역사의 거리가 긴 구간은 환기실 간 거리 또한 길게 되어 순회점검 시 이동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환기실로의 진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사후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역사와 역사 사이에는 여러 개의 환기실이 위치하고, 각 환기실마다 DDC와 UPS 또는 ESS가 설치되기 때문에, 각 환기실을 이동하면서 여러 개의 UPS를 순회 점검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여 사실상 사전 점검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또한, DDC에 설치되는 UPS나 ESS의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납축전지 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납축전지 배터리는 정전보상시간이 30분 이내이기 때문에 정전시 단시간 내에 비상발전기를 가동하여야만 했으며, 정전보상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부피와 무게가 커져 설치의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690459호의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리튬 계열의 배터리 셀이 구비된 배터리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부를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부의 방전 시 배터리부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지하철의 각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에 설치되는 DDC(Direct Digital Controller)에 공급하는 양방향 인버터와,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상기 DDC 및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설정된 동작 환경에 따라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부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에 배터리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부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하는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설정을 통하여 배터리부의 충방전 시간이 설정된 에코 모드의 경우 설정된 충전 및 방전 시간에 배터리부의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되, 상기 에코 모드는 전력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 시간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부가 충전되도록 충전 시간이 설정되고, 주간의 전력수요 피크 시간대에 배터리부의 전원이 인버터를 통하여 DDC로 공급되도록 방전 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에코 모드의 방전 설정 시간에 따라 배터리부가 방전되는 경우 배터리부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가 되는 경우 방전 동작을 정지하고 배터리부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에 ESS의 운전 상태, 입력전압, 출력전압, 출력전류, 출력주파수, 온도,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셀 온도가 포함된 ESS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복수의 ESS와 통신을 설정하여, 복수의 ESS에 대한 동작 환경을 원격에서 설정하며, 복수의 ESS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배터리부를 야간에서만 충전할 수 밖에 없으므로 충전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리튬 계열의 배터리부만을 사용함으로써 리튬 계열 배터리의 특성으로 인한 동작 및 전원 공급의 신뢰성 향상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철 DDC에 전원을 공급하는 ESS에 통신 기능을 구비시켜 원격지의 중앙관제센터에서 ESS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지하철 운행수요가 없는 시간에 충전하고 전기가 많이 사용하는 시간에 방전하여 수요 전력을 평준화시키며, 필요한 경우 여러 곳의 환기실에 설치된 복수의 ESS를 일괄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부 등에 대한 충전에 태양광을 이용함으로써 충전의 시간적 제한을 줄이며, 배터리부와 함께 슈퍼캐퍼시터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리튬 계열의 배터리의 특성으로 인한 동작 및 전원 공급의 신뢰성 향상 제한을 해소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ESS(Energy Storage System)를 가지는 지하철 DDC(Direct Digital Controller)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ESS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리튬 계열의 배터리 셀이 구비된 배터리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슈퍼캐퍼시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방전 시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지하철의 각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에 설치되는 상기 DDC에 공급하는 양방향 인버터;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DDC 및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설정된 동작 환경에 따라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에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패널; 및 상기 태양광패널로 변환된 전기에너지로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MPPT 차져;를 포함하는,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서 써지전압과 고전압의 +15% 범위와 새그전압과 저전압의 -30% 범위 내에서 상기 배터리모듈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설정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방전 시간이 설정된 에코 모드의 경우 설정된 충전 및 방전 시간에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되, 상기 에코 모드는 전력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 시간대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가 충전되도록 충전 시간이 설정되고, 주간의 전력수요 피크 시간대에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전원이 인버터를 통하여 DDC로 공급되도록 방전 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에코 모드의 방전 설정 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가 방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가 되는 경우 방전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에 ESS의 운전 상태, 입력전압, 출력전압, 출력전류, 출력주파수, 온도,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셀 온도가 포함된 ESS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복수의 ESS와 통신을 설정하여, 복수의 ESS에 대한 동작 환경을 원격에서 설정하며, 복수의 ESS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정상 운전모드의 경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인버터를 통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고,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상기 DDC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며, 정전 또는 절전 상황에 따라 정상적으로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정전 또는 절전 모드의 경우,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에 충전되었던 전원을 설정된 방전시간 동안 방전시켜 상기 인버터를 통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DDC에 공급하며, 정전 또는 절전 상황이 해제되어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인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지하철 DDC에 전원을 공급하는 ESS에 통신 기능을 구비시켜 원격지의 중앙관제센터에서 ESS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배터리를 지하철 운행수요가 없는 시간에 충전하고 전기가 많이 사용하는 시간에 방전하여 수요 전력을 평준화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여러 곳의 환기실에 설치된 복수의 ESS를 일괄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부 등에 대한 충전에 태양광을 이용함으로써 충전의 시간적 제한을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부와 함께 슈퍼캐퍼시터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리튬 계열의 배터리의 특성으로 인한 동작 및 전원 공급의 신뢰성 향상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에 따른 DDC 및 ESS의 설치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DDC 및 ESS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SS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SS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SS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설정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설정표시부의 LED 디스플레이를 나타내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DDC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의 시간별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에 따른 DDC 및 ESS의 설치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DDC 및 ESS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SS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SS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SS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설정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설정표시부의 LED 디스플레이를 나타내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DDC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의 시간별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에 각각 설치되는 DDC(200)와, DDC(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ESS(300)와, DDC(200) 및 ESS(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DDC(200) 및 ESS(300) 동작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DC(Direct Digital Controller)(200)는 지하철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 등(이하, '환기실'로 총칭함)에 설치된 여러 계측기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전송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계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작기를 통하여 지하철 환기실의 운영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DDC(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지하철 중앙관제센터(100)와 연결되어, DDC(200)의 운영 정보를 중앙관제센터(100)에 제공하고, 중앙관제센터(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조작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ESS(Energy Storage System)(300)는 DDC(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ESS(300)에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DDC(200) 및 중앙관제센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ESS(3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게 된다. 또한, ESS(300)에는 리튬 계열 배터리가 구비되어 부피가 작으면서도 정전보상시간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전력 수요 피크(Peak) 시간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이 제어되게 된다.
ESS(300)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DDC(200)와 함께 설치되는데, 도 2는 DDC 및 ESS의 설치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DDC 및 ESS의 설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는 상부 내측과 하부 내측에 각각 도어(11a)(12a)를 통하여 개방 가능한 공간(11)(12)이 형성되는데, 케이스(10)의 상부 내측 공간(11)에는 DDC(200)가 설치되고, 하부 내측 공간(12)에는 ESS(3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SS(300)는 DDC(200)와 하나의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설치 공간 및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ESS의 배치도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ESS(300)는 전원을 충방전하는 리튬 계열의 배터리부(350)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슈퍼캐퍼시터(380)와,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BMS(340)와, 교류 전원과 직류 전원을 변환하는 양방향 인버터(330)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60)와, 인버터(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0)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패널(391)과, 태양광패널(391)의 전기에너지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MPPT 차져(Maximum Power Point Tracker Charger; 392)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ESS(300)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고 표시하는 설정표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350)에는 리튬 이온이나 리튬 폴리머 등의 리튬 계열 배터리가 구비되는데, 이 리튬 계열 배터리는 종래 납축전지에 비해 부피가 작으면서도 많은 양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어, 정전시 DDC(200)에 장시간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부(350)는 지하철 사용이 많은 전력 피크 시간대에 방전되고, 심야시간이나 전력 수요가 적은 시간대에 충전되도록 제어되어 효과적인 전력 수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슈퍼캐퍼시터(38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서 외부로 출력하는데, 캐퍼시터(콘덴서)의 성능에서 전기 용량의 성능을 늘린 것으로서, 전지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부품. 전자 회로에 사용되어 충전지와 같은 기능을 가진다.
BMS(Battery Management System)(340)는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전압과 전류 및 온도 등을 측정하여 관리하고,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셀 간 전압 및 전류 밸런스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BMS(340)는 측정되는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상태 정보를 제어부(310)에 전송하여,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방전이 제어될 수 있도록 관리하게 된다.
인버터(33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전원 입출력부(32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필터링하여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에 공급하거나,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방전 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 입출력부(320)를 통하여 DDC(200)로 출력하는 양방향 인버터(330)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버터(330)는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용량에 맞는 적정한 정전압, 정전류 및 펄스(PULSE) 충전으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충전시키게 되는데, 이 인버터(330)는 PWM 제어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전원 입출력부(320)는 ESS(300)에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하고, ESS(300)를 통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 입출력 장치로서, 이 전원 입출력부(320)에는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인버터(330)에 제공함으로써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입력모듈(321)과,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방전에 따라 인버터(330)를 통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DDC로 공급하는 전원 출력모듈(322)이 구비된다.
통신부(360)는 DDC(200) 및 중앙관제센터(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360)는 ESS(300)에서 생성되는 RS485신호를 IPv4/IPv6를 지원하는 시리얼 이더넷 변환기 등을 사용하여, Modbus TCP/IP에 접속하여 중앙관제센터(10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통신부(360)에는 해당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에 설치된 ESS(300) 별로 IP 주소가 부여되어, 중앙관제센터(100)와의 통신시 중앙관제센터(100)에서 ESS(300)의 IP를 통하여 ESS(300)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태양광패널(391)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배터리부(350)와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소요처, 예컨대 이동통신중계기 등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태양광패널(391)은 태양광 입사에 효율적인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MPPT 차져(392)는 태양광패널(391)의 출력전력이 최대인 점(최적 동작점)을 추적하는 제어함으로써, 태양광패널(391)로 변환된 전기에너지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충전시키도록 하며, 제어부(31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설정표시부(370)는 ESS(30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고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 설정표시부(370)는 제어부(310)의 인버터(330) 동작 제어 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 및 ESS(3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설정표시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설정표시부(370)에는 전원 입력스위치(371)와 배터리 출력스위치(372) 및 입력 퓨즈(373), LED 디스플레이(375) 등이 구비된다. 도 7은 LED 디스플레이의 일례로서, 이 LED 디스플레이(375)에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BATTERY CHARGE, 부하로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LOAD, 상용전원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UTIL INPUT, 충전 및 방전시의 인버터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INVERTER, 에코 모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ECO, 상용 입력전원의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NORMAL, ESS(300) 동작 중 기기 경보 발생을 경고하는 ALARM, ESS(300) 동작 중 기기 고장 발생을 경고하는 FAULT 표시 창이 구비된다.
제어부(310)는 외부, 예컨대 전력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서 써지전압과 고전압의 +15% 범위와 새그전압과 저전압의 -30% 범위 내에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도록 관리하며, 이로 인해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수명 증대를 위한 안정적인 충전 및 방전에 기여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ESS(300)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이 제어부(310)에는 설정 환경에 따라 인버터(3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동작제어부와, ESS(300) 구동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설정표시부(370)를 통하여 경고하는 경고 제공부와, 제어부(310)의 구동을 위한 전원부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와, 타이머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이 구비된다. 제어부(310)는 설정표시부(370)를 통하여 설정되는 배터리부 충방전 조건이나 BMS(340)를 통하여 파악되는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상태에 따라 인버터(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310)는 통신부(360)를 통하여 중앙관제센터(100) 및 DDC(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100)에 ESS(300)의 운전 상태, 입력전압, 출력전압, 출력전류, 출력주파수, 온도,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셀 온도 등의 ESS(300)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ESS(3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310)는 평상시 정상 운전모드로 ESS(300)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 정상 운전모드에서는 전원 입출력부(3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이 인버터(330)를 통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배터리부(350)를 충전시키고, 전원 입출력부(320)의 교류 전원이 DDC(20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타이머 설정을 통하여 에코 모드로 구동될 수 있는데, 이 에코 모드는 충전 및 방전 시간을 임의로 설정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지하철이 운행되지 않고 전력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 시간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부(350)를 충전하고 주간의 전력수요 피크 시간대에 배터리 전원을 인버터(330)를 통하여 DDC(200)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 에코 모드에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가 방전되는 경우,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잔량이 기준 잔량 이하가 되는 경우 방전 동작을 정지하고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전시를 대비하여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에코 모드에서의 배터리 등의 잔량 기준은 설정표시부(370) 또는 원격의 중앙관제센터(100)에 의해 설정되는데, 이 배터리 잔량 기준은 만충시의 25∼3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310)는 정전 또는 절전 발생에 따라 상용 전원이 차단되면, 정전 또는 절전 운전모드로 운영하여 평상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에 충전되었던 전원을 설정된 방전 시간 동안 인버터(330)를 통하여 DDC(200)에 공급하게 된다. 만약 정전 또는 절전 운전 중 상용 교류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제어부(310)는 인버터(330)를 구동하여 방전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자동으로 만충시키게 된다.
한편, 중앙관제센터(100)는 지하철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에 각각 설치된 ESS(300)별로 IP 주소를 부여하여 식별하고 관리하게 되는데, 이 중앙관제센터(100)에서는 Modbus TCP/IP를 통하여 ESS(300)에 접속하여 ESS(300)의 날짜 및 시간 오차 발생시에 이를 보정할 수 있고, 에코 모드 선택 시간을 임의로 설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센터(100)에서는 ESS 배터리부(350)의 충전 상태, 방전 상태, 저전압 방전동작, 고전압 방전동작, 주파수 에러 방전동작, 과부하 충전동작, 시스템 FAULT 등 ESS(300) 운영 상태를 상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DDC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100, S110 : 먼저, ESS(300)의 전원 입출력부(320)에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어 ESS 장치가 턴온되면(S100), ESS(300)는 Modbus TCP/IP 통신을 통하여 DDC(200) 및 중앙관제센터(100)와 통신을 설정하게 된다(S110).
단계 S120 : ESS(300)의 동작 환경은 설정표시부(370)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할 수도 있고, 원격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중앙관제센터(1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ESS(300)의 동작 환경 설정으로는 ESS(300)의 에코 모드 운영을 위한 충전 및 방전 시간 설정과, 에코 모드 동작시 정전시 대비를 위한 배터리 방전 가능 잔량 설정,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보호를 위한 방전종지전압 및 SHUTDOWN 전압 설정 등이 있다.
단계 S130 : ESS(3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ESS(300)의 제어부(310)는 ESS(3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통신부(360)를 통하여 중앙관제센터(100)에 전송하게 되는데, 중앙관제센터(100)로 전송되는 ESS(300)의 동작 상태 정보로는 ESS(300)의 운전 상태, 입력전압, 출력전압, 출력전류, 출력주파수, 온도,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셀 온도 등이 있다.
단계 S140, S141 : ESS(300)와 Modbus TCP/IP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되는 중앙관제센터(100)에서는 ESS(300)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 ESS(30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게 된다. 만약, 중앙관제센터(100)로부터 배터리 등의 충전이나 방전 또는 동작 정지 신호 등과 같은 제어 신호가 ESS(300)에 수신되면(S140), ESS(300)는 우선적으로 중앙관제센터(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ESS(3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S141).
단계 S150, S151 : 한편, ESS(300)의 제어부(310)는 ESS(300)가 정상 운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S150), 전원 입출력부(32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인버터(330)를 통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충전시키고, 상용 교류 전원을 DDC(200)에 공급하여 DDC(200)가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을 통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하게 한다(S151).
단계 S160, S161 : 한편, ESS(300)의 제어부(310)는 ESS(300)가 에코 모드로 설정된 경우(S160), 에코 모드 설정 시 설정된 충방전 시간에 따라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게 된다(S161). 즉, ESS(300)의 제어부(310)는 운전 모드가 에코 모드인 경우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도, 설정된 방전 시간(예를 들면, 주간 전력수요 피크 시간)이 되면 배터리부(350)를 방전시켜 인버터(330)를 통하여 DDC(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설정된 충전 시간(예를 들면, 심야전력 이용 시간)이 되면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충전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전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하게 된다. 또한, 에코 모드 운전에 따라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방전이 진행되는 경우,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 잔량(약 25∼30%) 이하가 되면 방전 동작을 중지한후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전시 DDC(20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비하게 된다.
단계 S170, S171, S172 : ESS(300)의 정상 운전 또는 에코 모드 운전 중 정전이나 절전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면(S170), ESS(300)의 제어부(310)는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방전시켜 직류 전원을 인버터(330)를 통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DDC(200)에 무정전 상태로 설정된 방전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S171). 정전 또는 절전 모드로 ESS(300)가 동작하다가, 정전된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복구되면, ESS(300)의 제어부(310)는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방전을 정지하고 상용 교류 전원을 DDC(200)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용 교류 전원을 통하여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충전시키게 된다(S172).
단계 S180 :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ESS(300)는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정상 운전모드와, 설정된 시간에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에코 모드와, 정전 또는 절전시 배터리 등의 방전이 이루어지는 정전 또는 절전 모드를 통하여 DDC(200)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시스템에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한편, ESS(300)의 제어부(310)는 운전 도중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오류 정보를 전원 입출력부(320)를 통하여 경고하고, 오류 정보를 중앙관제센터(100)에 전송함으로써 원격에서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ESS(300)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를 충전시키고 상용 교류 전원을 부하인 DDC(200)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게 되며, 정전이나 절전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에 충전된 전원을 DDC(200)에 공급하여 무정전 상태로 DDC(2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코 모드 시 충방전 시간을 설정하여, 상용 교류 전원의 상태와 관계없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의 충방전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수요 관리 및 전력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ESS(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제센터(1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ESS(300)의 동작 상태를 중앙관제센터(100)에 전송하며, 중앙관제센터(100)에서는 원격에서 ESS(300)의 동작을 설정하고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원격에서 ESS(3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중앙관제센터(100)는 각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 등에 설치된 복수의 ESS(300)에 대한 일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비상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개별적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DDC(200)의 전원 공급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의 시간별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오후 8시부터 오전 7시까지는 전력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외부 전원을 통해서 배터리부(350)에 대한 충전이 수행되고, 오전 7시부터 오전 10시까지는 배터리부(350)와 슈퍼캐퍼시터(380)에 대한 에코방전이 수행되며, 태양광을 활용할 수 있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태양광패널(291), 배터리부(350) 및 슈퍼캐퍼시터(380)에 대한 방전이 수행되고, 해가 진 오후 5시부터 오후 8시까지는 배터리부(350)와 슈퍼캐퍼시터(380)에 대한 에코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와 다르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지하철 DDC에 전원을 공급하는 ESS에 통신 기능을 구비시켜 원격지의 중앙관제센터에서 ESS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배터리를 지하철 운행수요가 없는 시간에 충전하고 전기가 많이 사용하는 시간에 방전하여 수요 전력을 평준화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여러 곳의 환기실에 설치된 복수의 ESS를 일괄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부 등에 대한 충전에 태양광을 이용함으로써 충전의 시간적 제한을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부와 함께 슈퍼캐퍼시터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리튬 계열의 배터리의 특성으로 인한 동작 및 전원 공급의 신뢰성 향상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중앙관제센터 200 :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300 : ESS(Energy Storage System) 310 : 제어부
320 : 전원 입출력부 321 : 전원 입력모듈
322 : 전원 출력모듈 330 : 인버터
340 :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50 : 배터리부 360 : 통신부
370 : 설정표시부 380 : 슈퍼캐퍼시터
391 : 태양광패널 392 : MPPT 차져
300 : ESS(Energy Storage System) 310 : 제어부
320 : 전원 입출력부 321 : 전원 입력모듈
322 : 전원 출력모듈 330 : 인버터
340 :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50 : 배터리부 360 : 통신부
370 : 설정표시부 380 : 슈퍼캐퍼시터
391 : 태양광패널 392 : MPPT 차져
Claims (4)
- ESS(Energy Storage System)를 가지는 지하철 DDC(Direct Digital Controller)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ESS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리튬 계열의 배터리 셀이 구비된 배터리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슈퍼캐퍼시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방전 시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지하철의 각 역사나 철로 또는 환기실에 설치되는 상기 DDC에 공급하는 양방향 인버터;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DDC 및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설정된 동작 환경에 따라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에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패널; 및
상기 태양광패널로 변환된 전기에너지로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MPPT 차져;
를 포함하는,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서 써지전압과 고전압의 +15% 범위와 새그전압과 저전압의 -30% 범위 내에서 상기 배터리모듈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도록 관리하는,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설정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방전 시간이 설정된 에코 모드의 경우 설정된 충전 및 방전 시간에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되, 상기 에코 모드는 전력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 시간대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가 충전되도록 충전 시간이 설정되고, 주간의 전력수요 피크 시간대에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전원이 인버터를 통하여 DDC로 공급되도록 방전 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에코 모드의 방전 설정 시간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 및 슈퍼캐퍼시터가 방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가 되는 경우 방전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중앙관제센터에 ESS의 운전 상태, 입력전압, 출력전압, 출력전류, 출력주파수, 온도,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셀 온도가 포함된 ESS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복수의 ESS와 통신을 설정하여, 복수의 ESS에 대한 동작 환경을 원격에서 설정하며, 복수의 ESS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정상 운전모드의 경우,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인버터를 통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고,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상기 DDC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며, 정전 또는 절전 상황에 따라 정상적으로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정전 또는 절전 모드의 경우,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에 충전되었던 전원을 설정된 방전시간 동안 방전시켜 상기 인버터를 통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DDC에 공급하며, 정전 또는 절전 상황이 해제되어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인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슈퍼캐퍼시터를 충전시키는,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1713A KR20180104875A (ko) | 2017-03-14 | 2017-03-14 |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1713A KR20180104875A (ko) | 2017-03-14 | 2017-03-14 |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4875A true KR20180104875A (ko) | 2018-09-27 |
Family
ID=6371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1713A Withdrawn KR20180104875A (ko) | 2017-03-14 | 2017-03-14 |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04875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46671A (zh) * | 2019-01-03 | 2019-03-29 | 深圳市东辰科技有限公司 | 新型结构的智能电源 |
CN113410049A (zh) * | 2021-06-24 | 2021-09-17 | 景亮 | 基于超级电容的轨道交通车站集中电源系统 |
KR102741237B1 (ko) * | 2023-10-19 | 2024-12-11 | 주식회사 동평기술 | 슈퍼커패시터 ups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및 시각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
-
2017
- 2017-03-14 KR KR1020170031713A patent/KR20180104875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46671A (zh) * | 2019-01-03 | 2019-03-29 | 深圳市东辰科技有限公司 | 新型结构的智能电源 |
CN109546671B (zh) * | 2019-01-03 | 2024-06-07 | 深圳市东辰科技有限公司 | 智能电源 |
CN113410049A (zh) * | 2021-06-24 | 2021-09-17 | 景亮 | 基于超级电容的轨道交通车站集中电源系统 |
KR102741237B1 (ko) * | 2023-10-19 | 2024-12-11 | 주식회사 동평기술 | 슈퍼커패시터 ups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및 시각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31497B2 (en) |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and control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 |
KR101833381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 연결 장치 및 방법 | |
KR101605475B1 (ko) | 무정전 전원기능을 갖는 계통연계형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 | |
CN103283108A (zh) | 电源装置 | |
CN111316530B (zh) | 具有一体式电池的致动机构 | |
CN114342205B (zh) | 具有集成电池的致动机构 | |
KR20140137545A (ko) | 에너지 저장 모듈을 구비한 지능형 배전반 시스템 | |
KR20180104873A (ko) | 리튬 배터리 보호 시스템 | |
KR101674855B1 (ko) | 저온 환경에서의 리튬 배터리 보호 시스템 | |
CN111316531B (zh) | 具有一体式电池的致动机构 | |
KR20180104875A (ko) |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
JP2015015855A (ja) | 系統連携電源装置 | |
KR20170048992A (ko) | 에너지 저장 시스템 | |
KR101690459B1 (ko) |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 |
JPWO2012050206A1 (ja) | 管理システム | |
WO2016117315A1 (ja) | 電力供給装置 | |
KR102340097B1 (ko) |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102684713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
WO2019073652A1 (ja) |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電源システム | |
KR20190093405A (ko) | 리튬 이온 배터리 호환 배터리 컨트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991340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bient temperature at a power-consuming site | |
JP2000004545A (ja) | 電源電力供給総合管理システム | |
KR101439233B1 (ko) | 보조 전원을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 |
KR20210053103A (ko) | 배터리 감시 장치 및 방법 | |
KR20180131666A (ko) | 태양광 발전장치와 계통 전원의 상태 감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