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292A -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Fablic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Fabl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3292A KR20180103292A KR1020170030015A KR20170030015A KR20180103292A KR 20180103292 A KR20180103292 A KR 20180103292A KR 1020170030015 A KR1020170030015 A KR 1020170030015A KR 20170030015 A KR20170030015 A KR 20170030015A KR 20180103292 A KR20180103292 A KR 201801032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fabric
- sheet
- patterned
- pattern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261 regiona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양 시트지에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형성하고,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생활용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fabricating a fabric, which comprises form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on a pattern sheet, using both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nitted fabric capable of minimizing waste of resourc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household goods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직물지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디자인을 형성하여,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의 생활용품에 사용하고 있다. 직물지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디자인을 형성할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자신의 개성을 외부로 드러내거나 자신의 사회적 평판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활용되는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Generally, various forms of desig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fabric, and they are used in daily necessities such as bags, clothes, or shoes. If the design of various shapes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is formed, it may be regarded as a means to expose the personality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or to increase the social reputation of the user.
통상적으로 생활용품 중의 가방은 자신의 소유 물건을 담아 둘 수 있는 가방 몸체와, 상기 가방 몸체를 손으로 들거나 어깨에 메어 달 수 있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가방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고급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bag of daily necessities consists of a bag body that can hold its own possessions, and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lifted by hand or carried to the shoulder.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emphasize the function as an advanced accessory by adding a design elem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bag.
또한, 생활용품 중의 의류는 착용자의 개성을 더욱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하므로, 개성이 있는 의류 제품의 출현을 고대하고 있기도 하다. In addition, clothing in daily necessities is regarded as a means for further revealing the personality of the wearer, so that the appearance of individualized clothing products is also anticipated.
이와 같은 생활용품으로서의 가방이나 의류 등은 직물지를 바탕으로 하여, 그 위에 다양한 모양을 가진 문양시트를 부착하거나 문양을 형성하고 있으나, 문양시트를 완전히 활용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소개된 사실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Such a bag or a garment as a household article is based on a fabric, and a pattern sheet having various shapes is attached or formed on the pattern sheet,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fully utilizing the pattern sheet has not been introduced yet .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양 시트지에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형성하고,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생활용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on a pattern sheet and using both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knitted fabric capable of minimizing the waste of resourc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household good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형지 위에 핫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핫멜트층의 위에 문양시트를 올려놓고 합지원단을 준비하는 이형지와 문양시트의 합지 단계(S 210)와;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커팅 플로터에 의해 상기 합지원단 중의 문양시트와 핫멜트층을 커팅함으로써, 상기 합지원단에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형성하여 구분하는 문양형성 단계(S 220)와; 상기 합지원단에서 상기 제1 문양부를 떼어내어서 분리하고, 상기 합지원단 중에 상기 제2 문양부를 그대로 위치시키는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의 분리단계(S 230)와; 상기 제1 문양부를 제1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1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와; 상기 제2 문양부를 제2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2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는 문양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melt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hot melt layer on a release sheet, placing a pattern sheet on the hot melt layer, The pattern information to be cut is inputted to the input device of the cutting plotter and the pattern sheet and the hot melt layer in the total support end are cut by the cutting plotter so that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are formed and separated A pattern formation step (S 220); A step (S 230) of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from the total support part and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in which the second pattern part is directly placed in the total support part; (S 240) of attaching the first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to form a first pattern fabric; (S 250) of attaching the second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fabric to form a second pattern fabric;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fabric comprising:
본 발명은 상기 제1 문양원단을 이용하여,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manufacturing household goods such as bags, clothes, shoes, etc. by using the first patterned fabric.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문양원단을 이용하여, 역시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so useful for manufacturing household goods such as bags, clothes, shoes, etc., by using the second patterned fabric.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양시트에 형성된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문양을 형성한 이후에, 외부에 버려지는 것이 전혀 없으며, 모든 재료를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both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formed on the pattern sheet, there is no discarding to the outside after the pattern is formed, and all the materials can be used completely .
또한, 본 발명은 문양 형성 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외부에 버려지는 재료가 없으므로, 부자재 쓰레기가 발생되지 않으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material discarded after being subjected to the pattern forming operation, it does not generate subsidiary material waste,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하나의 문양시트로 서로 다른 2개의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미적 감각을 제공하게 되므로, 디자인의 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한 효력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ake two different first patterns and second patterns with the same single pattern sheet, and each of them provides a different aesthetic sense, so that it has a very beneficial effect in terms of utilizing the design will be.
도 1은 합지원단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합지원단에 대해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디자인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합지원단에 대한 커팅플로터의 커터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a는 제1 문양부를 분리하여 제1 직물에 부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는 제2 문양부가 합지원단에 남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도 5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a는 합지원단에서 이형테이프를 가접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b는 상기 이형테이프에 제2 문양부가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c는 상기 이형테이프를 제거한 이후 상기 제2 문양부가 제2 직물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um support terminal,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attern portion and a second pattern portion are designed with respect to a sum support end,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utter action of a cutting plotter with respect to a sum support end,
Figure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pattern being detached and attached to a first fabric, Figure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a,
FIG. 5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ttern addition part is left on the support end, FIG. 5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FIG. 5A,
6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tape is bonded to the support tape at the support end, FIG. 6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ttern is bonded to the release tape, FIG. 6C is a schematic view Is attached to the second fabric.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nd parts that can be easily created by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ar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도 1은 합지원단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합지원단에 대해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디자인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um support end, and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designed with respect to the sum support end.
본 발명은 이형지 위에 핫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핫멜트층의 위에 문양시트를 올려놓고 합지원단을 준비하는 이형지와 문양시트의 합지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 210) of forming a hot melt layer on a release paper sheet, placing a pattern sheet on the hot melt layer, and preparing a release paper sheet and a pattern sheet to prepare a support support.
상기 합지단계(S 210)는 이형지(112)의 위에 핫멜트층(114)을 형성한다. 핫멜트층(114)은 외부에서 가열할 경우 열에 의해 접착력을 발생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이형지(112)의 위에 도포하거나 분사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핫멜트층(114)이 형성되어지면, 그 위에 문양시트(110)를 올려놓고 가접합시킨다. 상기 문양시트(110)는 인조가죽이거나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으로서는 PVC 원단 또는 우레탄 원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양시트(110)의 표면으로서 핫멜트층(114)에 접합되어지는 반대쪽 표면에는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apping step (S 210) forms a hot-melt layer (114) on the release paper (112). The
상기 이형지(112)와 상기 핫멜트층(114)과 상기 문양시트(110)가 가 접합되어 하나의 시트 형상으로 합지원단(120)을 형성하게 되면, 다음 단계로 이행되어진다.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 합지원단(120)에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를 형성하여 구분하는 문양형성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 forming step (S 220) for forming and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122) and the second pattern part (124) in the total support part (120).
도 3은 합지원단에 대한 커팅플로터의 커터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utter action of the cutting plotter with respect to the sum support end.
상기 문양형성 단계(S 220)는 전단계에서 얻어진 합지원단(120)에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를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커팅 플로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 플로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문양 정보는 상기 합지원단(120)을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로 구분하여 절단하기 위한 도형 정보를 말한다. 이때, 상기 제1 문양부(122)는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절단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형 부분을 말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2 문양부(124)는 상기 합지원단(120)에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제거하고 남겨져 있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모든 도형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도형 부분을 말한다. The pattern forming step S 220 forms the
상기 문양형성 단계(S 220)는 상기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한 다음에, 상기 합지원단(120)을 상기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는 상기 합지원단(120)을 절단하되, 절단되는 깊이는 상기 합지원단(120) 중의 문양시트(110)와 핫멜트층(1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형지(112)에 대해서는 절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의 절단 깊이는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125)에 의해 상기 제1 문양부(122)의 모양에 따라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상기 제2 문양부(124)의 모양으로 절단작업이 동시에 수행되어지게 된다. The pattern forming step S 220 may be performed by inputting the pattern information to be cut into the input device of the cutting plotter and then cutting the
본 발명은 상기 합지원단에서 상기 제1 문양부를 떼어내어서 분리하고, 상기 합지원단 중에 상기 제2 문양부를 그대로 위치시키는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의 분리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ion step (S 230) of separating and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in which the second pattern part is directly placed in the total support part.
상기 분리단계(S 230)는 상기 합지원단(120)에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떼어내는 작업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문양부(12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단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형 부분이므로, 이 부분의 어느 한쪽을 잡은 상태에서, 이것을 위쪽으로 걷어 올리면, 상기 제1 문양부(122)는 쭈욱 따라 올라오면서, 상기 합지원단(120)에서 분리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문양부(122)와 상기 제2 문양부(124)는 모두 상기 이형지(112)에 상기 핫멜트층(114)에 의해 가접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 문양부(122)가 상기 이형지(112)에서 분리되어지게 되면, 상기 제2 문양부(124)는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놓여있게 된다. The separation step (S 230) may be per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122) from the total support part (120).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제1 직물(142)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1 문양원단(140)을 형성하는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 240) of fabricating a first pattern fabric that forms the
상기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는 전 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취하고, 가방지 또는 의류 등과 같은 제1 직물(142)의 표면에 붙이고, 부착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가열 및 가압하여 제1 문양원단(14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직물(142)은 생활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방이나 의류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바탕지로서, 직물원단이나 합성수지 원단 또는 인조가죽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물(142)을 어떤 형태의 바탕지로 사용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의 상품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상기 제1 직물(142)에 부착하여 가열 가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상기 제1 직물(142)에 가접합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필름지를 올려놓고 가열 가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열 및 가압방법을 수작업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가열프레스 장치에 집어 넣어 기계작업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The first pattern fabric S 240 may be formed by taking the
본 발명은 상기 제2 문양부(124)를 제2 직물(152)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2 문양원단(150)을 형성하는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다. (S 250) of fabricating a second fabric to attach the second pattern (124)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fabric (152) to form a second pattern fabric (150); .
상기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는 전단계에서 상기 합지원단(120)에 남겨져 있는 제2 문양부(124)를 활용하여 제2 직물(152)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상기 제1 직물(142)에 부착하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어진다. The fabrication step S250 of the second fabric may be carried out by attaching the second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상기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는, 이를 위하여, 실리콘 접착제(132)가 표면에 부착된 이동테이프(130)를 상기 제2 문양부(124)의 위에 고르게 펼쳐서 덮는다. 상기 실리콘 접착제(132)는 상기 제2 문양부(124)를 접착시키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잡아당긴다. 이 경우, 상기 이형지(112)위에 핫멜트층(114)에 의해 접착되어 있던 상기 제2 문양부(124)가 에서 떨어지게 나오게 되고, 상기 이동테이프(130)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제2 직물(152)의 표면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이동테이프(130)의 위쪽 표면에서 가열 및 가압작업을 수행한다. 가열 및 가압작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step S250 of fabricating the second patterned cloth covers the moving
상기 이동테이프(130)의 위쪽에서 가열 및 가압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핫멜트층(114)의 핫멜트 성분은 상기 제2 직물(152)에 대하여 점점 강력한 접착력을 발휘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실리콘 접착제(132)는 오히려 그 접착력을 점차적으로 잃어가게 된다. 상기 가열 및 가압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2 문양부(124)를 상기 제2 직물(152)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테이프(130)가 떨어져 나오게 된다. When the heating and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above the moving
상기 제2 문양부(124)를 가열 및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 직물(152)을 바탕지로 한 제2 문양원단(15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직물(152)은 위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직물(142)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직물(152)은 역시 생활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방이나 의류 제품 등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본 발명은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이용하여,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문양원단(150)을 이용하여, 역시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이용하여 가방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서로 접합시키거나, 서로 봉제하여 결합시켜서 가방 몸체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방 몸체에는 상면부를 개방시킬 수도 있고, 상면부를 개방/폐쇄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벨크로를 형성하거나 지퍼를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의 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멜빵끈을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used to manufacture household goods such as bags, clothes, shoes, etc. by using the first patterned
도 7a은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이용하여 가방을 만든 실시예 중의 하나이고, 도 7b은 상기 제2 문양원단(150)을 이용하여 또 다른 가방을 만든 실시예 중의 하나를 보여주고 있다. FIG. 7A shows one embodiment of a bag using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하고 이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양시트(110)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전혀 없게 되고, 전체의 문양시트를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자원의 활용효율을 거의 100%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모양의 디자인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생활용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할 것이다. The first and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문양원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range is determined and limited by the claims.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문양시트, 112 : 이형지,
114 : 핫멜트층, 120 : 합지원단,
122 : 제1 문양부, 124 : 제2 문양부,
125 : 커터, 130 : 이동테이프,
132 : 실리콘 접착제, 140 : 제1 문양원단,
150 : 제2 문양원단, 110: pattern sheet, 112: release paper,
114: hot melt layer, 120:
122: first pattern part, 124: second pattern part,
125: cutter, 130: moving tape,
132: silicone adhesive, 140: first patterned fabric,
150: second pattern fabric,
Claims (7)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커팅 플로터에 의해 상기 합지원단 중의 문양시트와 핫멜트층을 커팅함으로써, 상기 합지원단에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형성하여 구분하는 문양형성 단계(S 220)와;
상기 합지원단에서 상기 제1 문양부를 떼어내어서 분리하고, 상기 합지원단 중에 상기 제2 문양부를 그대로 위치시키는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의 분리단계(S 230)와;
상기 제1 문양부를 제1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1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와;
상기 제2 문양부를 제2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2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S 210) a release sheet and a pattern sheet on which a hot melt layer is formed on a release paper sheet, a pattern sheet is placed on the hot melt layer,
The pattern information to be cut is inputted to the input device of the cutting plotter and the pattern sheet and the hot melt layer in the total support end are cut by the cutting plotter so that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are formed and separated A pattern formation step (S 220);
A step (S 230) of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from the total support part and separating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in which the second pattern part is directly placed in the total support part;
(S 240) of attaching the first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to form a first pattern fabric;
(S 250) of attaching the second pattern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fabric to form a second pattern fabric; To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제1 문양부는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절단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형 부분을 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a portion cut by the cutter (125) of the cutting plotter, and refers to a graphic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 whole in the cut state.
상기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제2 문양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 문양부는 합지원단(120)에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제거하고 남겨져 있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든 도형들이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pattern portion is formed as a portion cut by the cutter 125 of the cutting plotter,
Wherein the second pattern is composed of a portion remaining after removing the first pattern (122) at the sum support end (120), wherein all the patter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ay.
상기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는
상기 제1 문양부를 취하여 제1 직물의 표면에 가접합하여 붙이고, 가접합된 상기 제1 문양부의 표면을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제1 문양부의 이면에 존재하는 핫멜트 성분이 상기 제1 직물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제1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fabricating the first fabric (S 250)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so as to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to which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bonded is heated and pressed, So as to form a first patterned fabric.
상기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는 실리콘 접착제가 표면에 부착된 이동테이프를 상기 제2 문양부의 위에 고르게 펼쳐서 덮고,
상기 실리콘 접착제와 상기 제2 문양부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테이프를 잡아당겨서, 상기 제2 문양부가 이형지에서 떨어지게 나와서, 상기 이동테이프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테이프를 제2 직물의 표면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이동테이프의 위쪽 표면에서 가열 및 가압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문양부의 이면에 존재하는 핫멜트 성분이 상기 제2 직물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잡아당겨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문양부를 제2 직물에 접착시켜서 제2 문양원단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S 250) of fabricating the second patterned fabric may be performed by evenly spreading a moving tape having a silicone adhesive on the surface thereof over the second patterned portion,
The second pattern part is pulled out from the releasing paper so as to maintain the state of being adhered to the moving tape by pulling the moving tape in a state in which the silicone adhesive and the second pattern part are adhered to each other,
The hot tapping material pres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patterned portion is firm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fabric by attaching the moving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fabric and then performing heating and pressing opera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tape To-
Wherein the moving tape (130) is pulled and removed to adhere the second pattern to the second fabric to form a second pattern fabric.
A first patter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or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0015A KR102007262B1 (en) | 2017-03-09 | 2017-03-09 |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Fabli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0015A KR102007262B1 (en) | 2017-03-09 | 2017-03-09 |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Fabli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3292A true KR20180103292A (en) | 2018-09-19 |
KR102007262B1 KR102007262B1 (en) | 2019-10-21 |
Family
ID=6371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0015A Active KR102007262B1 (en) | 2017-03-09 | 2017-03-09 |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Fabli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26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24472A (en) * | 2019-11-21 | 2021-05-21 | 现代坦迪斯株式会社 | Hot melt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seat filler using same |
CN113580695A (en) * | 2020-04-30 | 2021-11-02 | 罗伯特·博世有限公司 | Method for producing a textile composite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two textile layer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734B1 (en) | 2001-03-10 | 2003-06-02 | 남준 | Vinyl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90004058U (en) * | 2007-10-26 | 2009-04-30 | 최동희 | Decorative sheet |
KR20090083577A (en) * | 2008-01-30 | 2009-08-04 | 주식회사 빈코퍼레이션 | How to make decorative paper for clothing |
KR101000079B1 (en) * | 2009-09-18 | 2010-12-09 | 덕 희 홍 | Manufacturing method of attachment for applique |
KR101045164B1 (en) | 2008-09-02 | 2011-06-30 | 송영진 | Bags, bag bodi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
KR101497478B1 (en) | 2014-03-05 | 2015-03-02 | 하성호 | Method for forming of an engraving pattern on the clothing |
-
2017
- 2017-03-09 KR KR1020170030015A patent/KR1020072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734B1 (en) | 2001-03-10 | 2003-06-02 | 남준 | Vinyl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90004058U (en) * | 2007-10-26 | 2009-04-30 | 최동희 | Decorative sheet |
KR20090083577A (en) * | 2008-01-30 | 2009-08-04 | 주식회사 빈코퍼레이션 | How to make decorative paper for clothing |
KR101045164B1 (en) | 2008-09-02 | 2011-06-30 | 송영진 | Bags, bag bodi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
KR101000079B1 (en) * | 2009-09-18 | 2010-12-09 | 덕 희 홍 | Manufacturing method of attachment for applique |
KR101497478B1 (en) | 2014-03-05 | 2015-03-02 | 하성호 | Method for forming of an engraving pattern on the clothing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24472A (en) * | 2019-11-21 | 2021-05-21 | 现代坦迪斯株式会社 | Hot melt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seat filler using same |
CN112824472B (en) * | 2019-11-21 | 2023-03-03 | 现代坦迪斯株式会社 | Hot-melt adhesiv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seat filling material using hot-melt adhesive tape |
US12128801B2 (en) | 2019-11-21 | 2024-10-29 |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 Hot melt tape for velcro without sew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at padding material for vehicles using the same |
CN113580695A (en) * | 2020-04-30 | 2021-11-02 | 罗伯特·博世有限公司 | Method for producing a textile composite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two textile lay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262B1 (en) | 2019-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15623A (en) | Decoration of sheet material | |
CN102548752B (en) | Method for bonding supplemental material to textiles | |
US12172460B2 (en) | Three-dimensional decorative piece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H0687298A (en) | Thermally transferred decorative piece of thermally plastic synthetic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1408857B1 (en) | A manufacturing method of velcro transfer label and velcro transfer label using the same | |
KR20180103292A (en) |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Fablic | |
KR200454946Y1 (en) | Sequin Transfer Paper Using Thermal Transfer Method | |
EP3138695B1 (en) |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mblem with incorporated ic chip | |
KR20190066287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atterned Fablic by Using Hydraulic Press | |
TW201800024A (en) | Leather shaping composite material forming method enabling the user to quickly achieve the formation of composite material, and to directly perform negative pressure shaping on the composite material | |
JP2011224791A (en) | Decoration tool and method for fitting decoration tool | |
TW202005808A (en) | Repeatedly adherable character-carving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including a character film layer that has a first surface formed with an anti-counterfeiting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provided with a heat-bonding layer | |
KR101759892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decoration band | |
JP3093555U (en) | 3D molded fabric | |
KR101695064B1 (en) | Adhesion embroid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JP2008246871A (en) | Embossed sheet | |
KR20190082105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Hat in Whole Garment Knitting by using Heat Plate Bonding Mold and Hat of the Same | |
TWM565130U (en) | Decoration pattern piece | |
US20090277572A1 (en) | Fabrication and attachment of multi-part appliques | |
KR200282795Y1 (en) | Label cloth structure for heat processing and heat fixing | |
US20060108060A1 (en) | Fusible web appliqu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KR101891691B1 (en) | Material with embroiderer design | |
JPH07166455A (en) | Applique and production thereof | |
JP3126861U (en) | Jewelery with irregular patterns on the surface | |
KR20150111139A (en) | Holes are provided in the fabr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