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0165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652A
KR20180101652A KR1020170026953A KR20170026953A KR20180101652A KR 20180101652 A KR20180101652 A KR 20180101652A KR 1020170026953 A KR1020170026953 A KR 1020170026953A KR 20170026953 A KR20170026953 A KR 20170026953A KR 20180101652 A KR20180101652 A KR 2018010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broadcast
time zo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관
견재기
윤하정
전유현
조은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1652A/ko
Priority to PCT/KR2018/002524 priority patent/WO2018160030A1/en
Priority to EP18760384.0A priority patent/EP3539297B1/en
Priority to US15/911,513 priority patent/US20190199954A1/en
Publication of KR2018010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65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near-video-on-demand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제1망으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망(network) 또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제2망을 통해 상기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2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는,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채널의 제1 시간대의 이후 제2 시간대에 방송 계획(scheduling)된 제1 콘텐츠로서, 상기 제2 시간대에 방송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시간대에 방송 계획된 제2 콘텐츠이나, 상기 제2 시간대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방송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채널 목록 정보 및 이피지(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상 채널 번호와 상기 제2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선택에 따른 디지털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UHD 규격으로 ATSC 3.0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ATSC 3.0 규격은 UHD 표준 기술 중에서 가장 높은 화질을 제공 가능하며, 양방향 서비스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ATSC 3.0은 실시간 방송의 선택권을 제공하지 않는 종래의 디지털 방송과 달리, 링키지 서비스(linkage service)를 통해 실시간 방송에 대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사 편성표에 제1 시간대에 방송되는 축구 중계 방송의 다음인 제2 시간대에 제1 드라마 콘텐츠가 방송 계획될 수 있다. 만약, 축구 경기가 예정보다 길어진다면, 종래의 디지털 방송 서버는 방송 편성표에 따라 제1 시간대에 종료되면 축구 중계 방송을 더 이상 중계하지 않고 제1 드라마 콘텐츠를 방송할 수 있다. 종래의 디지털 방송 서버는 축구 중계 방송을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가 축구 경기를 더 시청하길 원해도 디스플레이 장치는 축구 중계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ATSC 3.0 규격에 따른 방송 서버는 제2 시간대에 제1 드라마 콘텐츠와 축구 중계 방송을 방송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시간대에 제1 드라마 콘텐츠와 축구 중계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ATSC 3.0은 링키지 서비스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실시간 디지털 방송에 대한 사용자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제1망으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망(network) 또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제2망을 통해 상기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2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는,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채널의 제1 시간대의 이후 제2 시간대에 방송 계획(scheduling)된 제1 콘텐츠로서, 상기 제2 시간대에 방송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시간대에 방송 계획된 제2 콘텐츠이나, 상기 제2 시간대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방송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채널 목록 정보 및 이피지(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상 채널 번호와 상기 제2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시간대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1망으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시간대에 상기 제1망 또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망을 통해서 상기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채널 목록 정보 및 이피지(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상 채널 번호와 상기 제2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키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는,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채널의 제1 시간대의 이후 제2 시간대에 방송 계획(scheduling)된 제1 콘텐츠로서, 상기 제2 시간대에 방송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시간대에 방송 계획된 제2 콘텐츠이나, 상기 제2 시간대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디지털 방송에 대한 사용자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시작을 안내하는 제1 UI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종료를 안내하는 제2 UI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로딩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오류를 안내하는 UI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 오류를 안내하는 UI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채널 정보 UI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EPG 정보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시작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종료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을 이용한 링키지 서비스 선택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규 방송 콘텐츠의 채널을 이용한 링키지 서비스 선택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시작을 안내하는 제1 UI 이미지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종료를 안내하는 제2 UI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로딩 이미지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오류를 안내하는 UI 이미지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 오류를 안내하는 UI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 모듈(110), 제1 통신 모듈(120), 제2 통신 모듈(130), 디스플레이(140), 오디오 모듈(150), 메모리(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입출력 관계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예를 들어, TV, 모니터,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터치 센서, 통신부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는 조작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고, 조작 수단의 터치 좌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또는, 터치 패널) 및 터치 제어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예: 리모컨, 마우스 등)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IR 통신, USB, PS2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170)에 의해 해석 가능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프로세서(170)로부터 수신한 명령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와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입력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 상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은 전원 버튼, 채널 변경 버튼, 볼륨 조절 버튼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입력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방송 수신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 모듈(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의 신호(예: 영상 및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입력 모듈(110)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확인 버튼, 상 방향 이동 기능에 할당된 상 방향 버튼, 하 방향 이동 기능에 할당된 하 방향 버튼, 좌 방향 이동 기능에 할당된 좌 방향 버튼, 우 방향 이동 기능에 할당된 우 방향 버튼 및 리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120)은 통신망(예: 방송망, 인터넷망)을 통해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 및 VOD 방송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실시간 방송 콘텐츠는 정규 방송 콘텐츠 및 링키지 서비스로 방송되는 링키지 방송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규 방송 콘텐츠는 각 채널의 방송 편성표에 계획된 시간대(예: D1, D2)에 방송되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링키지 콘텐츠는 방송 편성표에서 계획된 시간대를 벗어난 때에 방송되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링키지 콘텐츠는 예컨대, 제1 채널의 방송 편성표에서 제1 시간대(D1)에 방송 계획된 제2 콘텐츠이나, 제1 시간대(D1)에 방송 완료하지 못하여, 제2 시간대(D2)의 적어도 일부까지(예: 현 시점까지) 링키지 서비스로 연장 방송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방송 편성표의 제1 시간대(D1)에는 제1 정규 방송 콘텐츠(C1)가 방송 계획되고, 제2 시간대(D2)에는 제2 정규 방송 콘텐츠(C2)가 방송 계획될 수 있다. 방송 서버는 방송 편성표와 같이, 제1 시간대(D1)에 제1 정규 방송 콘텐츠(C1)를 방송하고, 제2 시간대(D2)에 제2 정규 방송 콘텐츠(C2)를 방송할 수 있다. 방송 서버는 제1 시간대(D1)에 제1 정규 방송 콘텐츠(C1)의 방송을 종료하지 못하는 경우에, 제2 시간대(D2)에 제1 정규 방송 콘텐츠(C1)를 링키지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대(D1)에 제1 정규 방송 콘텐츠(C1)의 방송을 종료하지 못하는 경우는 제1 시간대(D1)에 제1 정규 방송 콘텐츠(C1)의 방송 중에 속보를 방송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제1 정규 방송 콘텐츠(C1)가 생방송일 경우에 생방송이 예정보다 길어지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버는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를 동일한 통신망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버는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 둘 다를 방송망으로 송신하거나,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방송 서버는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 중 하나를 방송망으로 송신하고 다른 하나를 인터넷망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모듈(120)은 방송 서버로부터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를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가 둘 다 방송망으로 송신한다면, 제1 통신 모듈(120)은 듀얼 튜너(dual tunn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 중 하나가 인터넷망으로 다른 하나가 방송망으로 수신된다면, 제1 통신 모듈(120)은 방송망과 인터넷망을 둘 다 지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 모듈(130)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예컨대, 모니터, 노트북, 전자 액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제2 통신 모듈(130)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된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50)은 재생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50)은 증폭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는 콘텐츠의 음량을 증폭할 수 있고, 스피커는 증폭된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채널이 선택되면, 제1 통신 모듈(120)이 선택된 채널의 콘텐츠(예: 정규 방송 콘텐츠)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1 통신 모듈(120)이 선택된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통신 모듈(120)을 통해 선택된 채널의 콘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40)로 출력하고 수신된 콘텐츠의 오디오를 오디오 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채널의 콘텐츠가 정규 방송 콘텐츠라면,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채널의 정규 방송 콘텐츠가 출력되는 중에 링키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링키지 서비스 정보는 예컨대, 제1 시간대에 방송 계획된 제1 정규 방송 콘텐츠가 제2 시간대 중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방송됨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링키지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시간대의 종료 이전에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서비스 정보가 수신되면, 제1 UI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1 시간대의 종료 직전(예: 종료 1분 전)에 제1 UI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UI 이미지는 도 3을 참조하면, 정규 방송 콘텐츠의 시청을 선택하기 위한 제1 키 오브젝트(310) 및 링키지 콘텐츠의 시청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키 오브젝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UI 이미지는 링키지 서비스가 시작될 것을 안내하는 안내 텍스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제1 키 오브젝트(310)를 선택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면, 링키지 콘텐츠를 시청 콘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제1 키 오브젝트(310)가 지정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의 확인 버튼의 조작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제2 키 오브젝트(320)를 선택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정규 방송 콘텐츠를 시청 콘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의 리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 가능한 제2 시간대에 정규 방송 콘텐츠와 링키지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던 중에 링키지 콘텐츠가 시청 콘텐츠로 선택된 경우에, 링키지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채널 변경(tunning), 방송 서버로의 콘텐츠 요청 송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인터넷망을 통해 방송 서버로 링키지 콘텐츠 요청을 송신하고, 링키지 콘텐츠가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링키지 콘텐츠가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프로세서(170)는 제1 통신 모듈(120)의 채널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수신 준비 중에 링키지 콘텐츠의 수신을 위한 준비중임을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 및 링키지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링키지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채널 번호는 링키지 콘텐츠의 시청 선택 및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상 채널 번호는 링키지 콘텐츠와 연관된 정규 방송 콘텐츠의 채널 번호 및 가상 채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키지 서비스로 제공되는 정규 방송 콘텐츠의 채널 번호가 “11-1”이고, 가상 채널 코드가 “A”라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가상 채널 번호를 “11-1A”로 할당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링키지 콘텐츠를 용이하게 구분하고, 링키지 콘텐츠와 연관된 정규 방송 콘텐츠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형태로 링키지 콘텐츠에 대한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채널 목록 정보 및 이피지(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가상 채널 번호와 연관된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목록 정보와 이피지 정보는 채널 번호의 순으로 정렬되므로, 프로세서(170)는 채널 목록 정보와 이피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목록 중에서 가상 채널 번호의 순서에 따른 위치에 가상 채널 번호와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을 통한 채널 업 또는 다운 과정에서 링키지 콘텐츠의 가상 채널 번호가 선택되거나, 입력 모듈(110)을 통해 가상 채널 번호가 선택될 때에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이, 링키지 콘텐츠에는 가상 채널 번호가 할당되므로, 링키지 콘텐츠가 출력되던 중에 채널이 변경되었더라도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에 재진입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채널 업/다운 또는 채널 지정 등으로 링키지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 번호가 선택되면,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채널 목록 정보와 이피지 정보에서 가상 채널 번호 및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는 UI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채널 목록 정보와 이피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가상 채널 번호 및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링키지 콘텐츠에 대해 지정된 심볼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채널 정보 UI 이미지(info. Banner)에 링키지 콘텐츠에 대해 지정된 심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심볼은 예를 들어, 지정된 텍스트 및 지정된 아이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를 둘 다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의 이미지를 같은 크기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40)의 좌측에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 중 입력 모듈(110)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140)의 우측에 나머지 콘텐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의 이미지를 다른 크기로 출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40)의 전체 영역에 입력 모듈(110)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 이미지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140)의 일부 영역(예: PIP 형태)에 다른 콘텐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하고, 나머지 콘텐츠를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일 예와 다른 예와 같이,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를 동일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의 오디오를 오디오 모듈(150)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오디오 모듈(150)의 복수의 오디오 포트(예: 스피커, 이어잭 등)를 통해 동시에 오디오를 출력 가능한 경우에는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를 둘 다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와 같이, 링키지 콘텐츠와 정규 방송 콘텐츠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70)는 서로 다은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제2 시간대에 링키지 콘텐츠가 출력되는 중에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종료를 확인하면, 도 4와 같이,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종료를 안내하는 제2 UI 이미지(400)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UI 이미지(400)를 출력한 후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지정된 기간(예: 링키지 콘텐츠의 종료 이전)에만 링키지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 번호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지정된 기간에만 채널 변경 과정에서 가상 채널 번호를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지정된 기간에만 채널 목록 정보 및 EP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가상 채널 번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하기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하지 않고, 제5 UI 이미지에 링키지 콘텐츠의 시청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제5 UI 이미지는 정규 방송 콘텐츠의 채널 정보 및 EP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망은 특성상 네트워크 지연 또는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수신하는데 로딩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 로딩중임을 안내하는 제3 UI 이미지(510)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수신하는데 로딩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 로딩중임을 안내하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위한 네트워크 오류를 안내하는 제4 UI 이미지(610, 71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UI 이미지(610, 710)는 오류 번호(또는, 오류 코드), 네트워크 오류 번호, 네트워크 오류의 세부 내용(예: 네트워크 연결 불가, 서버 오류 등) 및 링키지 콘텐츠의 채널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한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4 UI 이미지(610, 710)는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예: 가상 채널 번호의 로고 및 채널 이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4 UI 이미지(610)는 네트워크 오류 해결을 위한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 안내 메뉴에 진입하기 위한 제3 키 오브젝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콘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채널 정보 UI 이미지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EPG 정보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규 방송 콘텐츠의 채널 정보 UI 이미지는 콘텐츠의 정보(예: Bing Bang Theory Season 7) 이외에도 원격 제어 장치의 상 방향 버튼과 연관된 업 키 오브젝트(810), 하 방향 버튼과 연관된 다운 키 오브젝트(820), 좌 방향 버튼과 연관된 레프트 키 오브젝트(830) 및 우 방향 버튼과 연관된 라이트 키 오브젝트(8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업 키 오브젝트(810)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통신 모듈(120)의 수신 채널을 업 변경하고, 다운 키 오브젝트(820)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하면, 제1 통신 모듈(120)의 수신 채널을 다운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레프트 키 오브젝트(830)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직전 정규 방송 콘텐츠의 정보를 출력하고, 라이트 키 오브젝트(840)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미래 정규 방송 콘텐츠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채널의 직전 정규 방송 콘텐츠가 현재까지 링키지 서비스로 방송 중이면, 채널 정보 UI 이미지 상에 직전 정규 방송 콘텐츠가 링키지 서비스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8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레프트 키 오브젝트(830)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된 후 아이콘(830)를 선택하는 신호(예: 원격 제어 장치의 확인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링키지 서비스중인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가 선택되면,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6 UI 이미지(90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UI 이미지(900)는 링키지 콘텐츠의 컨텐츠 정보(930), 링키지 콘텐츠의 개요(synopsis) 정보(910) 및 링키지 콘텐츠의 시청 선택을 위한 키 오브젝트(9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40)의 제6 UI 이미지(900)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는 정규 방송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키 오브젝트(920)가 선택되면,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0)는 EPG 정보 이미지에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로부터 링키지 서비스중인 채널의 콘텐츠의 정보(1010)를 선택하는 신호(예: 입력 모듈(110)의 확인 버튼의 롱 프레스에 따라 수신된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70)는 콘텐츠의 정보(1010)의 서브 리스트로서, 복수의 키 오브젝트(1020, 103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오브젝트(1020, 1030)는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키 오브젝트(1020) 및 링키지 콘텐츠의 세부 정보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키 오브젝트(10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10)로부터 제1 키 오브젝트(1020)를 선택하는 제3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신호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의 상 방향 버튼 및 하 방향 버튼 등으로 제1 키 오브젝트(1020)를 지정된 상태에서 수신된 원격 제어 장치의 확인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입력 모듈(110)로부터 제2 키 오브젝트(1020)를 선택하는 제4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세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의 상/하 버튼 등으로 제2 키 오브젝트(1020)를 지정된 상태에서 수신된 확인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시작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면 111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선택된 채널(Channel 101)의 정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 112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면, 시청중인 정규 방송 콘텐츠 또는 링키지 콘텐츠의 선택을 위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UI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화면 1120과 같이, 제1 UI 이미지는 정규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전환 오브젝트(Switch Channel),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캔슬 오브젝트(Cancel)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I 이미지는 시청중인 정규 방송 콘텐츠의 시간 만료를 안내하고 시청중인 정규 방송 콘텐츠를 링키지 서비스로 시청 가능함을 안내하는 안내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113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화면 1020을 표시하던 중에 입력 모듈(110)로부터 채널전환 오브젝트(Switch channel)를 선택하는 제5 신호가 수신되면, 링키지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제5 신호는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의 좌 방향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에 이어서 수신된 원격 제어 장치의 확인 버튼의 조작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화면 113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준비중임을 안내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캔슬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6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 1010과 같이 선택된 채널(Channel 101)의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6 신호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의 리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화면 1140과 같이, 링키지 콘텐츠의 출력 준비가 완료되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Linkage Service Program)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링키지 서비스 종료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 121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하던 중에, 링키지 서비스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방송 서버로부터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종료를 알리는 링키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면 122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컨텐츠의 방송 종료를 확인하면,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종료를 안내하는 UI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화면 123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방송 종료를 안내하는 UI 이미지를 출력한 후 링키지 콘텐츠와 연관된 채널(Previous Channel)의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링키지 콘텐츠 방송이 종료되면, 입력 모듈(110)로부터 다른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링키지 콘텐츠와 연관된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을 이용한 링키지 서비스 선택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링키지 콘텐츠에 대한 가상 채널을 생성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 131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선택된 채널(Channel 11-1)의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화면 132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던 중에 채널 변경(예: 채널 업)으로 링키지 콘텐츠의 가상 채널(Channel 11-1A)이 선택되면,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화면 133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하던 중에 링키지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Channel 11-1A)에서 벗어나면, 선택된 채널(Channel 11-1)의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를 출력하던 중에 링키지 서비스가 종료되면, 선택된 채널(Channel 11-1)로 채널 변경되어, 정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링키지 콘텐츠에 대한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함에 따라 채널 변경 과정에서 링키지 콘텐츠를 노출시킬 수 있고, 가상 채널을 선택함에 따라 링키지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링키지 콘텐츠의 시청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규 방송 콘텐츠의 채널을 이용한 링키지 서비스 선택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링키지 콘텐츠에 대한 가상 채널을 생성하지 않는 경우의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화면 141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제1 시간대에 선택된 채널로 방송되는 제1 정규 방송 콘텐츠 “Sherlock Season 3”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시간대의 종료 이전에 제1 정규 방송 콘텐츠에 대해 지정된 제1 시간대에 제1 정규 방송 콘텐츠의 방송을 완료하기 못하여, 제1 정규 방송 콘텐츠를 링키지 서비스로 방송할 것임을 알리는 링키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면 1420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제1 시간대 이후 제2 시간대에 선택된 채널로 방송되는 제2 정규 방송 콘텐츠 “Big Bang Theory Season 7”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제2 정규 방송 콘텐츠의 정보상에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키 오브젝트를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
화면 1430과 같이, 링키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 및 링키지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의 좌 방향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원격 제어 장치의 확인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예: Sherlock Season 3)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의 정보와 함께 현재 정규 방송 콘텐츠 “Big Bang Theory Season 7”를 출력할 수 있다.
화면 1440과 같이, “continue watch”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70)는 링키지 콘텐츠 “Sherlock Season 3”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채널 정보 UI 이미지 상에 링키지 콘텐츠가 방송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예:
Figure pat00001
)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제1망으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망(network) 또는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제2망을 통해 상기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2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는,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채널의 제1 시간대의 이후 제2 시간대에 방송 계획(scheduling)된 제1 콘텐츠로서, 상기 제2 시간대에 방송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시간대에 방송 계획된 제2 콘텐츠이나, 상기 제2 시간대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방송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채널 목록 정보 및 이피지(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상 채널 번호와 상기 제2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대의 만료 이전 또는 직전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키 오브젝트 및 상기 제1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 모듈을 상기 제1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시간대에 상기 제2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시간대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채널 업 또는 다운 시나, 상기 가상 채널 번호의 선택 시에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번호 정보 및 EPG 정보에서 상기 가상 채널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콘텐츠의 인포 배너, 상기 가상 채널 번호 및 상기 제2 콘텐츠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제2 콘텐츠를 구분 가능한 심볼을 포함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콘텐츠 또는 상기 제1 콘텐츠의 시청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콘텐츠 및 제1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콘텐츠 및 제1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 표시하고, 나머지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콘텐츠 및 제1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 표시하고, 나머지 콘텐츠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서,
    지정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콘텐츠 또는 상기 정규 방송콘텐츠의 시청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콘텐츠 및 제1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나머지 콘텐츠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중에, 상기 제2 콘텐츠의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제1 시간대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1망으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시간대에 상기 제1망 또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망을 통해서 상기 제1 콘텐츠와 연관된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콘텐츠에 대해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채널 목록 정보 및 이피지(EPG: 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상 채널 번호와 상기 제2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시키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는,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채널의 제1 시간대의 이후 제2 시간대에 방송 계획(scheduling)된 제1 콘텐츠로서, 상기 제2 시간대에 방송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방송 편성표에서 상기 제1 시간대에 방송 계획된 제2 콘텐츠이나, 상기 제2 시간대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방송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시간대에 방송중인 제1 콘텐츠가 링키지 서비스로 제공됨을 알리는 링키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시간대의 만료 이전 또는 직전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키 오브젝트 및 상기 제1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시간대에 상기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시간대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채널 업/다운에 의한 상기 가상 채널 번호가 선택되거나 상기 가상 채널 번호가 지정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가상 채널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1항에서,
    상기 채널 번호 정보 및 EPG 정보에서 상기 가상 채널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1항에서,
    상기 제2 콘텐츠의 인포 배너, 상기 가상 채널 번호 및 상기 제2 콘텐츠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제2 콘텐츠를 구분 가능한 심볼을 포함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1항에서,
    상기 제2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콘텐츠 및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콘텐츠 및 제1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6항에서, 상기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콘텐츠 및 제1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콘텐츠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6항에서, 상기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콘텐츠 및 제1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지 않은 콘텐츠를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1항에서,
    상기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제2 콘텐츠의 방송이 종료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콘텐츠의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70026953A 2017-03-02 2017-03-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eased KR20180101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953A KR20180101652A (ko) 2017-03-02 2017-03-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CT/KR2018/002524 WO2018160030A1 (en) 2017-03-02 2018-03-02 Display device and linkage service method
EP18760384.0A EP3539297B1 (en) 2017-03-02 2018-03-02 Display device and linkage service method
US15/911,513 US20190199954A1 (en) 2017-03-02 2018-03-05 Display device and linkage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953A KR20180101652A (ko) 2017-03-02 2017-03-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652A true KR20180101652A (ko) 2018-09-13

Family

ID=6337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953A Ceased KR20180101652A (ko) 2017-03-02 2017-03-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99954A1 (ko)
EP (1) EP3539297B1 (ko)
KR (1) KR20180101652A (ko)
WO (1) WO2018160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166B2 (en) * 2019-12-26 2022-11-01 Sling T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 sourc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7867A (en) * 1989-06-08 1991-09-10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Interface for a TV-VCR system
US5900916A (en) * 1996-12-30 1999-05-04 Mitsubishi Consumer Electronics America, Inc. Apparatus for control of images from multiple sources
US6097441A (en) * 1997-12-31 2000-08-01 Eremote, Inc. System for dual-display interaction with integrated television and internet content
US6320623B1 (en) * 1998-11-13 2001-11-2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event in a program of a video and/ or audio signal and for providing the program to a display upon detection of the event
US7570871B2 (en) * 2002-11-12 2009-08-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inue recording channel feature for personal video recorder
US20040268417A1 (en) * 2003-06-30 2004-12-30 Gray James Harol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hot key functionality
US20100257561A1 (en) 2005-09-22 2010-10-07 Nds Limited Surfer's Paradise
US20080271078A1 (en) * 2007-04-30 2008-10-30 Google Inc. Momentary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100309376A1 (en) * 2008-01-15 2010-12-09 Yungchun Lei Multimedia Presenting System, Multimedia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and Method for Presenting Video and Audio Signals
CN101600060B (zh) * 2008-06-04 2012-03-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蓝牙子母立体双声道的数字电视
KR101564415B1 (ko) * 2009-01-07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채널 관리를 통한 컨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US9210354B2 (en) * 2009-12-15 2015-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and transmission
US20130055313A1 (en) 2011-08-31 2013-02-28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from a plurality of content sources
KR102001215B1 (ko) * 2012-07-20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공유 방법 및 시스템, 그 기기 및 기록 매체
TWI552610B (zh) * 2012-11-02 2016-10-0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切換電視頻道的方法、裝置及電腦程式產品
US9124937B2 (en) 2013-03-15 2015-09-0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ulti-option sourcing of content and interactive television
GB2516328B (en) * 2013-07-19 2017-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cluding an additional service in a channel guide
KR101729407B1 (ko) * 2015-08-18 2017-04-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채널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615124B1 (en) * 2015-12-23 2017-04-04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media viewing experiences
US20170272828A1 (en) * 2016-03-17 2017-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645454B2 (en) * 2016-06-22 2020-05-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ynamic multi-mode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9297B1 (en) 2024-11-20
EP3539297A1 (en) 2019-09-18
WO2018160030A1 (en) 2018-09-07
EP3539297A4 (en) 2019-09-18
US20190199954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773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20090089675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8337570B (zh) 电子装置、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10310298A1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US88789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mot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472489A2 (en) Control device, broadcast receiver,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JP7131383B2 (ja) 情報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209725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broadcast program and AV apparatus therefor
US2014018439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67916A1 (e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KR201801016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4119011A1 (ja) 情報処理装置、遠隔操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84754B1 (ko)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115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62183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TV program accompanying sounds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JP6091800B2 (ja) 電子機器、及び放送信号の送信装置
KR10204221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9154729B2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KR20130015560A (ko)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00922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410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72094A (ko) 방송사 애플리케이션 원격 제어 키 처리
US20080158423A1 (en) Digit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key signal
KR20130015559A (ko)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