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00923A -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23A
KR20180100923A KR1020170027437A KR20170027437A KR20180100923A KR 20180100923 A KR20180100923 A KR 20180100923A KR 1020170027437 A KR1020170027437 A KR 1020170027437A KR 20170027437 A KR20170027437 A KR 20170027437A KR 20180100923 A KR20180100923 A KR 2018010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erminal device
data communication
controller
core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박정수
최영환
최윤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0923A/ko
Priority to US15/696,859 priority patent/US20180255139A1/en
Publication of KR2018010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2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IoT용 모듈과, 데이터 통신용 모듈과,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단말 장치의 지원 기능 및 선호도를 전송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IoT용 모듈 및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간 연동을 통해 최적화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요청은 상기 지원 기능 및 상기 선호도에 기초한 요청이다.

Description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NG USING MODULE FOR IoT(INTERNET of THINGS) AND MODULE FOR DATA COMMUNICATION AND CORE NETWORK DEVICE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에서는 LTE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해 저전력장거리통신을 수행하는 NB-IoT(NarrowBand-IoT) 기술을 물리계층, MAC 계층, 상위 네트워크 기능에 걸쳐서 정의하였다.
해당 기술은 저전력으로 넓은 커버리지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저렴한 전용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LTE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과 별도의 저가의 사물인터넷 전용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물인터넷 전용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물인터넷 단말에서만 사용된다.
실시예들은 IoT용 모듈 및 데이터 전송용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IoT용 모듈 및 데이터 전송용 모듈을 연동 사용하여 단말 장치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IoT(Internet on Things)용 모듈과, 데이터 통신용 모듈과,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단말 장치의 지원 기능 및 선호도(preference)를 전송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IoT용 모듈 및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간 연동을 통해 최적화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요청은 상기 지원 기능 및 상기 선호도에 기초한 요청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활성화 시키고,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위치 추적, 단말 도달 여부(Reachability) 판단 업데이트, 및 하향링크패킷 여부 페이징(pag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 시그널링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커버리지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IoT용 모듈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리지 환경이 상기 IoT용 모듈만 도달 가능한(reachable)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위치 업데이트 및 상태 보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최적화 요청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상기 IoT용 모듈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상기 IoT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 파라미터는, 추적 영역 관리(Tracking area management) 관련 파라미터와, 위치 갱신 타이머(Location update timer) 관련 파라미터와,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paging and inactive period) 관련 파라미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IoT(Internet on Things)용 모듈과, 데이터 통신용 모듈과,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지원 기능 및 선호도(preference)를 수신하고, 상기 지원 기능 및 상기 선호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최적화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원 기능 또는 네트워크에 저장된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포함하는지, 상기 단말 장치가 연동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최적화 요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위치 추적, 단말 도달 여부(Reachability) 판단 업데이트, 및 하향링크패킷 여부 페이징(pag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 시그널링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커버리지 환경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 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커버리지 환경이 상기 IoT용 모듈만 도달 가능한(reachable)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위치 업데이트 및 상태 보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최적화 요청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IoT용 모듈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IoT용 모듈에 할당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관리 파라미터는, 추적 영역 관리(Tracking area management) 관련 파라미터와, 위치 갱신 타이머(Location update timer) 관련 파라미터와,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paging and inactive period) 관련 파라미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전송 모듈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전송 모듈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10)은 사업자 중앙 집중 방식의 이동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10)은 단말 장치(100), 기지국(200),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100)는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기지국(20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와 직접적으로 통신하거나, 또는 기지국(200)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smart device)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이동국(mobile station), 고정국(fixed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BS-1~BS-n)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이동국(Mobile Station(MS)),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MT)),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UT)), 무선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AT),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SS)),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WTRU)), 이동 노드, 또는 모바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컨트롤러(110), IoT용 모듈(1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포함한다.
IoT용 모듈(130)은 전력 소모, 커버리지 환경 등의 측면에서 우수하여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 넓은 커버리지 반경에서 통신할 수 있다. IoT용 모듈(130)은 협대역 사물인터넷(NarrowBand-Internet of Things(NB-Iot))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용 모듈(130)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저전력 광역(Low Power Wide Area(LPWA))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IoT용 모듈(130)은 저전력으로 네트워크 상황을 파악하고, 긴급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IoT용 모듈(130)은 응용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동작하여,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QoS))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IoT용 모듈(130)은 단말 장치(100)의 위치 등록, 페이징 메시지 수신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단말 장치(100)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가 접속할 때,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컨트롤러(110)의 명령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에 단말 장치(100)의 지원 기능 및 선호도(p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은 단말 장치(100)의 지원 기능 및 선호도(p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최적화 요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일 예로,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IoT용 모듈(1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의 최적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위치 추적, 단말 도달 여부(Reachability) 판단 업데이트, 및 하향링크패킷 여부 페이징(pag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 시그널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컨트롤러(110)는 초기 시그널링을 생략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가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컨트롤러(110)는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초기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 트래픽(signaling traffic)을 수집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시그널링 트래픽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상태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단말 장치(100)의 기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사용하여 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100)의 커버리지 환경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커버리지 환경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130) 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환경이 IoT용 모듈(130)만 도달 가능한(reachable) 경우, 컨트롤러(110)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 및 상태 보고(status repor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oT용 모듈(130)의 커버리지 환경과,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의 커버리지 환경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IoT용 모듈(1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에너지 효율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고, 음영 지역 문제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로부터 최적화 요청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IoT용 모듈(130) 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제1 파라미터를 IoT용 모듈(130)에 할당하여 사용하고, 제2 파라미터를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리 파라미터는 추적 영역 관리(Tracking area management) 관련 파라미터, 위치 갱신 타이머(Location update timer) 관련 파라미터, 및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paging and inactive period) 관련 파라미터 관련 파라미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적 영역 관리 관련 파라미터는 추적 영역(tracking area(TA))의 관리와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에서는 추적 영역의 개념을 사용한다. 추적 영역은 임의의 단말 장치(100)가 위치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공간 체적의 부분집합일 수 있다. 추적 영역은 하나의 기지국(200) 또는 다수의 기지국(2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갱신 타이머 관련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동작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위치 갱신 타이머 관련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0)는 위치 갱신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위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위치 갱신을 수행하고, 현재 단말 장치(100)가 속한 페이징 그룹에 대한 페이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paging and inactive period) 관련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100)의 페이징 동작 및 비활성 동작의 주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 관련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페이징 주기 및/또는 비활성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컨트롤러(310), IoT용 모듈(3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IoT용 모듈(3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350)은 IoT용 모듈(1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과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지원 기능 및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지원 기능 및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최적화 요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사업자의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단말 장치(100)의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가입 정보는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10)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사업자의 사업자 망 관리 서버)로부터 사업자 정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업자 정책 정보는 네트워크 운용 관련 사업자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가 가입 정보 및/또는 사업자 정책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는 동작은 컨트롤러(310)가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네트워크가 컨트롤러(310)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의 지원 기능 및 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가 IoT용 모듈(1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포함하는지, 단말 장치(100)가 연동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화 요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310)는 최적화 요청 여부 결정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과 함께, 단말 장치(100)가 IoT용 모듈(130)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의 최적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과 함께, 단말 장치(100)가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활성화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과 함께, 단말 장치(100)가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위치 추적, 단말 도달 여부 판단 업데이트, 및 하향링크패킷 여부 페이징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과 함께, 단말 장치(100)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 시그널링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초기 시그널링을 생략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가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단말 장치(100)는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초기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 트래픽(signaling traffic)을 수집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시그널링 트래픽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상태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단말 장치(100)의 기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과 함께, 단말 장치(100)가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사용하여 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310)는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과 함께, 단말 장치(100)가 단말 장치(100)의 커버리지 환경를 측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커버리지 환경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130) 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환경이 IoT용 모듈(130)만 도달 가능한(reachable) 경우,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 및 상태 보고(status repor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IoT용 모듈(130) 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가 통신을 수행할 때, 단말 장치(100)는 직접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100)는 기지국(20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에 단말 접속 요청, 지원 기능, 및 선호도를 전송할 수 있다(S410). 지원 기능은 단말 장치(100)가 다중 통신 모듈 설치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통신 모듈은 IoT용 모듈(130)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도는 단말 장치(100)의 공동 최적화 기능 이용에 대한 선호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다중 통신 모듈 설치 여부 및 공동 최적화 기능 이용에 대한 선호도를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가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사업자의 가입자 정보 서버에서 단말 장치(100)의 가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입 정보는 사업자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네트워크 사업자 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사업자의 사업자 망 관리 정책 서버에서 네트워크 운용 관련 사업자 정책을 획득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복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접속 요청을 승인하고, 가입 정보 및 사업자 정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에 최적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40). 최적화 요청은 IoT모듈(130) 및 데이터 전송용 모듈(150)의 연동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단말 장치(100)에 관리 파라미터를 전송하여 할당할 수 있다(S450). 관리 파라미터는 추적 영역 관리(Tracking area management) 관련 파라미터, 위치 갱신 타이머(Location update timer) 관련 파라미터, 및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paging and inactive period) 관련 파라미터 관련 파라미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IoT용 모듈(130)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에 관리 파라미터를 할당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최적화 및 관리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저전력 모드로 기존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훨씬 적은 에너지 소모량으로, 배터리의 지속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 기지국(200),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단말 접속, 운용 모드 결정, 및 세부 파라미터 설정을 할 수 있다(S510). 단말 접속, 운용 모드 결정, 및 세부 파라미터 설정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S520).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컨트롤러(110)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단말 장치(100)에 컨트롤러(110)의 명령과 관련된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가 단말 장치(100)에 데이터 통신용 모듈 사용을 요청하면, 컨트롤러(110)는 IoT용 모듈(130)이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에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상기 정책에 따라, IoT용 모듈(130)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활성화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이동성을 관리할 수 있다(S530).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단말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 등록, 위치 갱신, 페이징 메시지 수신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패킷이 발생한 경우,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전송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데이터 종류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130)을 사용할 지, 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사용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가 전송 모듈을 결정하는 동작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전송 모듈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데이터 종류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데이터 종류가 작은 데이터(small data)인 경우,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IoT용 모듈(13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620 및 S630).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전송 모듈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데이터 종류가 큰 데이터(large data)인 경우,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IoT용 모듈(130)에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 사용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720).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이 IoT용 모듈(130)의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도록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IoT용 모듈(130)은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에 활성화 및 데이터 수신을 요청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IoT용 모듈(130)은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에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S740).
활성화된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과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S750). 이전에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과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가 접속한 적이 있는 경우, 데이터 통신용 모듈(150)과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은 재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재접속은 접속보다 절차가 간이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300)는 데이터 전송용 모듈(1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760 및 S77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IoT(Internet on Things)용 모듈;
    데이터 통신용 모듈;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단말 장치의 지원 기능 및 선호도(preference)를 전송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IoT용 모듈 및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간 연동을 통해 최적화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요청은 상기 지원 기능 및 상기 선호도에 기초한 요청인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활성화 시키고,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위치 추적, 단말 도달 여부(Reachability) 판단 업데이트, 및 하향링크패킷 여부 페이징(pag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 시그널링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커버리지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IoT용 모듈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환경이 상기 IoT용 모듈만 도달 가능한(reachable)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최적화 요청에 응답하여, 위치 업데이트 및 상태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최적화 요청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상기 IoT용 모듈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상기 IoT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하는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파라미터는,
    추적 영역 관리(Tracking area management) 관련 파라미터;
    위치 갱신 타이머(Location update timer) 관련 파라미터; 및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paging and inactive period) 관련 파라미터
    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1. IoT(Internet on Things)용 모듈;
    데이터 통신용 모듈; 및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지원 기능 및 선호도(preference)를 수신하고, 상기 지원 기능 및 상기 선호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최적화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원 기능 또는 네트워크에 저장된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포함하는지, 상기 단말 장치가 연동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최적화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위치 추적, 단말 도달 여부(Reachability) 판단 업데이트, 및 하향링크패킷 여부 페이징(paging)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 시그널링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초기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IoT용 모듈을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커버리지 환경에 기초하여 IoT용 모듈 또는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요청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환경이 상기 IoT용 모듈만 도달 가능한(reachable)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가 위치 업데이트 및 상태 보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최적화 요청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IoT용 모듈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요청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리 파라미터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IoT용 모듈에 할당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용 모듈에 할당하도록 요청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파라미터는,
    추적 영역 관리(Tracking area management) 관련 파라미터;
    위치 갱신 타이머(Location update timer) 관련 파라미터; 및
    페이징 및 비활성 주기(paging and inactive period) 관련 파라미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KR1020170027437A 2017-03-03 2017-03-03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Withdrawn KR20180100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37A KR20180100923A (ko) 2017-03-03 2017-03-03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US15/696,859 US20180255139A1 (en) 2017-03-03 2017-09-06 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ng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module and data communication module and core networ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37A KR20180100923A (ko) 2017-03-03 2017-03-03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23A true KR20180100923A (ko) 2018-09-12

Family

ID=6335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437A Withdrawn KR20180100923A (ko) 2017-03-03 2017-03-03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255139A1 (ko)
KR (1) KR201801009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1776A (zh) * 2019-12-20 2020-05-08 中译语通文娱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视频物体替换系统
CN118549949B (zh) * 2024-07-30 2024-10-29 温州职业技术学院 基于北斗卫星系统的高精度物联网定位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2412B (zh) * 2010-06-03 2014-03-12 开曼群岛威睿电通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装置及其用于机器类型通信数据的传输方法
CN102510569A (zh) * 2010-12-14 2012-06-20 美商威睿电通公司 通信方法及其通信装置
EP2755429A1 (en) * 2013-01-10 2014-07-16 Fujitsu Limited Mobility and connection management of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EP3703427B1 (en) * 2014-11-28 2023-11-01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s for enabling a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coverage enhancement mode
US10700827B2 (en) * 2015-11-17 2020-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ownlink power allocation when narrowband system is deployed within a wideband system
US10506403B2 (en) * 2017-02-27 2019-12-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integrated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service capability server (SCS) and application server (AS)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55139A1 (en)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039391B (zh) 用于提供边缘计算服务的方法和装置
US11991260B2 (en) Dynamic service discovery and offloading framework for edge computing based cellular network systems
WO2020029798A1 (zh) 一种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设备
US10356663B2 (en) Service allocation determining methid
EP3731495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dge computing service
US20210274340A1 (en) Method For Obtaining Capability Information Of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JP2020530245A (ja) Rna割り当て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
JP2021523639A (ja) 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dci)のサイズ調整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10119504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엔티티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17125025A1 (zh) 寻呼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202251134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間欠受信
CN112236989A (zh) 用于无线网络的移动边缘计算应用管理
EP3934191A1 (en) Method for edge computing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230337056A1 (en) Coordination of Edge Application Server Reselection using Edge Client Subnet
CN104471601A (zh) 设备到设备的广告
CN112449418A (zh) 通信方法及装置
KR20200139180A (ko) 5g 네트워크에서 접속 설정 동안 확장된 길이를 갖는 임시 구독자 식별자 관리
EP3298753A1 (en) Renewing registrations for cli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different proximate client devices
KR101916746B1 (ko) 증강된 무선 커버리지 및 감소된 배터리 전력 소모
US12342334B2 (en) Detection of group membership for coordinated connectivity
WO2023071979A1 (zh) 一种寻呼方法及装置
KR20180100923A (ko) IoT용 모듈 및 데이터 통신용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
US20250097286A1 (en) Assisting local service management on edge terminal devices
JP2021523635A (ja) 無線接続を安全に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9545326A (zh) 无线传输/接收单元(wtru)和由其实现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