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99344A - Microwave range - Google Patents

Microwave r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44A
KR20180099344A KR1020170026675A KR20170026675A KR20180099344A KR 20180099344 A KR20180099344 A KR 20180099344A KR 1020170026675 A KR1020170026675 A KR 1020170026675A KR 20170026675 A KR20170026675 A KR 20170026675A KR 20180099344 A KR20180099344 A KR 20180099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point
hole
electric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344A/en
Publication of KR2018009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4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차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개방된 일측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지점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제1 지점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 지점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아래 식에 의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0 < 상기 간격 ≤ c / (2·f3)
단 c는 빛의 속도, f3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기본 주파수에 대한 제3 고조파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structure of a microwave oven.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that is opened at one side and can receive food therein, a magnetron for emitting microwaves into the main body, and a door that can close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first point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ed one side and the door has a plurality of second points each capable of contacting the first point when the main body is closed,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an be arranged at intervals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s.
0 < the interval? C / (2? F 3 )
Where c is the speed of light, f 3 is the third harmonic of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microwave,

Description

전자레인지 {MICROWAVE RANGE}Microwave {MICROWAVE RANGE}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차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wave ov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wave oven shielding structure.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방출함으로써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에 열이 발생하도록 하여 그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 기기로서, 음식물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되는 전자파는 인체에 각종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르몬 분비나 면역 체계에 이상을 일으키고 두통, 피로, 수면 장애 또는 소화 불량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지어 암 발생률을 높일 수도 있다. 이에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The microwave oven is a cooking device that can generate heat in the moisture contained in food by emitting a microwave and can heat the food. The microwave oven can effectively heat food in a short time, and is widely used in general households and restaurants. However, electromagnetic waves used in such microwave ovens can have various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For example, it can cause hormone secretion or abnormalities in the immune system, leading to headaches, fatigue, sleep disturbances or indigestion, and may even increase cancer incidence. Accordingly, methods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have been proposed.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171337호에는 λ/4만큼의 이동 경로를 갖는 비접촉식 초크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그 이동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가 두꺼워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체와 도어의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이 평탄하지 않거나 본체와 도어 간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으면 전자파를 제대로 차폐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도어의 체결 부위가 헐거워지면 본체와 도어 간의 간격이 부적절하게 변형되어 전자파가 더 많이 누설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171337 discloses a contactless choke structure having a travel path of? / 4. However, according to th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oor may be thickened in order to secure the moving route. In addition, if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door facing each other is not smooth or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is not uniform, the electromagnetic wave can not be shielded properly. Particularly, i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door is loosened due to the user's use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is inappropriately deformed and more electromagnetic waves are leaked.

KRKR 10-017133710-0171337 B1B1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wave oven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leakage of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개방된 일측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지점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제1 지점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 지점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아래 식에 의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that is opened at one side and can receive food therein, a magnetron for emitting microwaves into the main body, and a door that can close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first point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ed one side and the door has a plurality of second points each capable of contacting the first point when the main body is closed,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an be arranged at intervals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s.

0 < 상기 간격 ≤ c / (2·f3)0 < the interval? C / (2? F 3 )

단 c는 빛의 속도, f3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기본 주파수에 대한 제3 고조파Where c is the speed of light, f 3 is the third harmonic of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microwave,

또한 상기 본체의 제1 지점은 그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의 내부 영역에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쿠션이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의 제2 지점은 그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쿠션에 접촉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oint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hole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and a cushion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is installed in an inner region of the hole. The second point of the door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Each of which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formed with protrusions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and contact the cushion when the door is closed.

또한 상기 본체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may also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홀 중 상기 도어 측에 가까운 끝단에서부터 상기 쿠션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은 탄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Further,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a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le near the door side to the cushion, and the cushion can be elastically deformable.

또한 상기 본체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의 제2 지점은 그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body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point of the door may be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a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body sid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도어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door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또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될 수 있다.Further, a hole may be formed in the do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int, and the projection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ody side through the hole.

또한 상기 도어의 홀과 상기 돌기 사이의 틈을 가리기 위한 차단 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locking film for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hole of the door and the projec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도어가 본체를 폐쇄했을 때 본체와 도어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함으로써, 본체와 도어 사이를 통해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lectromagnetic wave from leak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by making the electrical conductiv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the main body is clo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의 제2 접촉 지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or opened in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door in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or opened in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or closed state in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tact point of a door in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100)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First, a microwave ov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100)의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icrowave ov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전자레인지(100)는 본체(110), 마그네트론(120) 및 도어(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icrowave oven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magnetron 120, and a door 130.

본체(11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여 일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그 개방된 일측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open to one side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Thus, food can be receiv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open side.

도 1에서는 본체(1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체(110)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만 있다면 그밖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1,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open at its front.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other shapes may be used as long as the main body 110 can accommodate food in the main body 110 .

마그네트론(120)은 본체(110)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약 2.45GHz의 전자파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에 열이 발생하도록 하여 그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The magnetron 120 serves to emit a microwave into the body 110. For example, about 2.45 GHz. Therefore, the food can be heated by generating heat i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다만 이를 위한 마그네트론(120)의 구체적인 구조나 원리 등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since the specific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magnetron 120 for this purpose are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어(130)는 본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할 수 있다.The door 130 can close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open.

도 1에서는 도어(130)가 본체(110)의 개방된 전면의 좌측에 결합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전면을 폐쇄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도어(130)가 본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할 수만 있다면 그밖에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130)는 본체(110)의 하단에 결합될 수도 있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일측을 폐쇄할 수도 있다.1, the door 130 is shown as being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open front of the main body 110 and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close the front surface. However, this is also a mere example, But may be configured in other forms as long as it is capable of closing one open side of the main body 110. For example, the door 1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or may be closed by moving in a sliding manner.

한편 본체(110)는 복수 개의 제1 접촉 지점(P1)을 구비한다.Meanwhile, the main body 110 has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ints P1.

제1 접촉 지점(P1)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영역으로서, 본체(110)의 개방된 일측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이때 제1 접촉 지점(P1) 간의 간격(D)은 아래 식에 의해 정해진다.The first contact points P1 are regions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onstant distance 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 side of the body 110. [ At this time, the interval 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ints P1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간격(D) ≤ c / (2·f3)Interval (D) ≤ c / (2 · f 3)

여기서 c는 빛의 속도로 약 3×108m/s이고, f3는 마이크로파의 기본 주파수에 대한 제3 고조파이다. 예컨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의 기본 주파수가 약 2.45GHz라면 f3는 약 7.35GHz가 된다. 이 경우 상기 간격(D)은 약 20mm 이하가 된다.Where c is about 3 × 10 8 m / s at the speed of light, and f 3 is the third harmonic to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microwave. For example, if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microwave of about 2.45GHz as previously mentioned f 3 is about 7.35GHz. In this case, the interval D is about 20 mm or less.

또한 도어(130)는 복수 개의 제2 접촉 지점(P2)을 구비한다.The door 130 also has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oints P2.

제2 접촉 지점(P2)도 전기 전도성을 갖는 영역으로서, 도어(130)가 본체(110)의 일측을 폐쇄했을 때 본체(110)의 제1 접촉 지점(P1)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제2 접촉 지점(P2) 간의 간격(D)도 상기 식에 의해 정해진 바와 동일하게 된다.The second contact point P2 is also an electrically conductive area and is arranged to contact the first contact point P1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door 1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 As a result, the distance D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ints P2 becomes equal to that determined by the above equation.

만약 도어(130)가 조금의 미세한 틈도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본체(110)의 일측을 매우 긴밀하게 밀봉한다면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될 수 없겠지만, 이처럼 구성되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체(110)와 도어(130) 사이에는 작은 틈이 존재하게 되고, 그 틈을 통해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If the door 130 is sealed very tightly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as not to generate any minute gaps, the microwave may not leak to the outside. However, there is a real difficulty in constructing such a structure. Therefore, a small gap exists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30, and the microwave can leak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30)가 본체(110)의 일측을 폐쇄했을 때 본체(110)와 도어(130)가 제1 접촉 지점(P1)과 제2 접촉 지점(P2)에 의해 상기 간격(D)으로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하게 되면 본체(110)와 도어(130) 사이를 통해 상기 제3 고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1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contact point P1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P2, 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ird harmonic from leak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30.

또한 구조의 특성상 일정 수준 이상의 부피를 차지할 수밖에 없었던 종래의 초크 구조와 비교할 때, 전자레인지(100)의 전체적인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제1 접촉 지점(P1)과 제2 접촉 지점(P2) 간에 접촉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되므로 본체(110)와 도어(130) 간의 간격을 조정해야 될 필요성도 줄어든다.The overall space of the microwave oven 100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than the conventional choke structure which occupies a volume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due to the nature of the structure and the first contact point P1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P2 The necessity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30 is also reduced.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100)의 특징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200, 300)에서 본체(210, 220)의 제1 접촉 지점(P1)과 도어(230, 330)의 제2 접촉 지점(P2)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The first contact point P1 of the main body 210 or 220 of the microwave oven 200 or 300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microwave ov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P2 of the doors 230 and 330 are construc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200)에서 도어(23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200)에서 도어(23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인데,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230 is opened in a microwave ov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oor 23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and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is shown.

도 2와 3을 참조하면 본체(210)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그 표면에 에폭시나 에나멜 등이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main body 21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surface may be treated with epoxy or enamel.

또한 본체(210)에는 복수 개의 홀(211)이 형성된다. 이때 홀(211)은 앞서 설명한 제1 접촉 지점(P1)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형성된다. 즉 홀(211)은 본체(210)의 개방된 일측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A plurality of holes 211 are formed in the main body 210. At this time, the holes 21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point P1 described above. That is, the holes 21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interval 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 side of the body 210.

홀(211)의 내부 영역에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쿠션(212)이 배치된다.A cushion 212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hole 211.

도 2에서는 본체(210)의 개방된 일측의 둘레 중 도어(230) 측으로부터 더 먼 면 상에서 쿠션(212)이 홀(211)의 내부 영역을 가리도록 설치됨으로써 홀(211)의 내부 영역에 쿠션(212)이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쿠션(212)이 홀(21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홀(211)에 삽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2, the cushion 212 is disposed on a surface farther from the side of the door 230 in the periphery of the opened side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cover the inner area of the hole 211, As shown in FIG. However, in some cases, the cushion 21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e 211 and inserted into the hole 211.

이로써 본체(210)는 홀(211)과 쿠션(212)을 통해 제1 접촉 지점(P1)마다 전기 전도성을 갖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body 210 to have an electrically conductive region at each of the first contact points Pl through the holes 211 and the cushion 212. [

한편 도어(230)에는 복수 개의 돌기(231)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231)는 앞서 설명한 제2 접촉 지점(P2)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형성된다. 즉 돌기(231)는 도어(230)가 본체(210)의 일측을 폐쇄했을 때 본체(210)의 홀(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23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1 formed thereon.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31 is form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ct point P2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231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211 of the main body 210 when the door 2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

또한 돌기(231)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기(231)에 해당하는 부분만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돌기(231)를 포함하는 도어(230) 전체가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rojections 231 ar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t this time,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31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or the entire door 230 including the protrusion 231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아무튼 이로써 도어(230)는 돌기(231)를 통해 제2 접촉 지점(P2)마다 전기 전도성을 갖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door 230 can be provided with an area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very second contact point P2 through the projection 231. [

이 경우 돌기(2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30)가 본체(210)의 일측을 폐쇄했을 때 그 돌출된 끝단이 쿠션(2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230)가 본체(210)의 일측을 폐쇄하면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돌기(231)가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쿠션(212)에 접촉함으로써, 본체(210)의 제1 접촉 지점(P1)과 도어(230)의 제2 접촉 지점(P2) 간의 전기 전도성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231 is formed so th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rotrusion 231 can contact the cushion 212 when the door 2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When the door 2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protrusion 231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contacts the cushion 212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first contact point P1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P2) of the door (230).

특히 돌기(231)는 그 돌출된 길이가 홀(211) 중 도어(230) 측에 가까운 끝단에서부터 쿠션(212)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쿠션(212)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Particularly, the projecting length of the protrusion 231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le 211 near the door 230 to the cushion 212. Further, the cushion 212 can be elastically deformable.

이에 의하면 도어(230)가 본체(210)의 일측을 폐쇄했을 때 돌기(231)가 쿠션(212)을 압박하게 되어 돌기(231)와 쿠션(212) 간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31 presses the cushion 212 when the door 2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protrusion 231 and the cushion 212 can be assured more reliably.

한편 이상에서는 본체(210)에 홀(211)과 쿠션(212)이 형성되고 도어(230)에 돌기(23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반대로 본체(210)에 돌기가 형성되고 도어(230)에 홀과 쿠션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a hole 211 and a cushion 212 are formed in the main body 210 and a protrusion 231 is formed in the door 230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a hole and a cushion may be formed in the door 23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300)에서 도어(33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300)에서 도어(33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300)에서 도어(330)의 제2 접촉 지점(P2)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330 is opened in a microwave ove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tact point P2 of the door 330 in the microwave ove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체(310)는 전기 전도성 소재,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어(330)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4 to 6, the main body 310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lso, the door 33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도어(330)에는 복수 개의 홀(331)이 형성된다. 이때 홀(331)은 앞서 설명한 제2 접촉 지점(P2)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형성된다. 즉 홀(331)은 도어(330) 중 본체(310)의 개방된 일측의 둘레에 대응되는 구역을 따라 상기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A plurality of holes 331 are formed in the door 330. At this time, the hole 331 is form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ct point P2 described above. That is, the holes 33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terval D along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opened one side of the main body 310 of the door 330.

돌기(332)는 그 끝단이 홀(331)을 관통하여, 도어(330)가 본체(31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했을 때 본체(310) 측을 향하게 되는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돌기(332)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The protrusion 332 is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main body 310 side when the door 330 passes through the hole 331 and the open end of the main body 310 is closed. These protrusions 332 ar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이로써 도어(330)는 홀(331)과 돌기(332)를 통해 제2 접촉 지점(P2)마다 전기 전도성을 갖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door 330 to have an electrically conductive region at each second contact point P2 via the hole 331 and the projection 332. [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30)가 본체(310)의 일측을 폐쇄하면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돌기(332)가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310)에 접촉함으로써, 본체(310)와 도어(330) 간에 상기 간격(D)을 따라 전기 전도성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체(310)의 제1 접촉 지점(P1)은 본체(310) 중 돌기(332)가 접촉하게 되는 지점으로 자연적으로 정의된다.5, when the door 3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310, the protrusion 332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contacts the main body 310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the door (330) ar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ed along the gap (D). Here, the first contact point P1 of the main body 310 is naturally defined as a point at which the projection 332 of the main body 310 comes into contact.

특히 돌기(332)는 그 끝단이 본체(310) 측을 향하게 되는 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protrusion 332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its end protrudes toward the body 310 side.

도 4에서는 돌기(332)가 스트립(333)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스트립(333)은 탄성 소재, 예컨대 베릴륨동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의 판재로 이루어져 대략 C자 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돌기(332)에 그 끝단이 홀(33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스트립(333)은 C자 형의 양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변형되고(도 5 참조), 외력이 제거되면 C자 형의 양 끝단이 다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원됨으로써(도 4 참조), 결국 돌기(332)의 끝단이 홀(331)을 관통하여 본체(310)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물론 돌기(332)가 탄성 지지될 수만 있다면 그밖에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돌기(332)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도 있고, 돌기(332) 자체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형태가 채용될 수도 있다.In Fig. 4, the protrusion 332 is illustrated as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trip 333. The strip 33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a plate material such as beryllium copper or stainless steel,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jection 33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thereof is drawn into the hole 331, the strip 333 is deformed while moving both ends of the C-shape toward each other (see FIG. 5) The ends of the projections 332 penetrate through the holes 331 and protrude toward the main body 310. As a resul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nds of the C-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Of course, the protrusions 332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as long as they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For example, the protrusion 332 may be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the protrusion 332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is possible.

이에 의하면 도어(330)가 본체(310)의 일측을 폐쇄했을 때 돌기(332)가 본체(310)를 압박하게 되어 본체(310)와 돌기(332) 간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The protrusion 332 presses the main body 310 when the door 330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310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protrusions 332 can be ensured more reliably.

나아가 도어(33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막(334)이 더 설치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door 33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film 334 as shown in FIG.

차단 막(334)은 홀(331)과 돌기(332) 사이의 틈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단 막(334)은 도어(330) 중 홀(331)의 주변으로부터 돌기(332) 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그 틈 사이로 음식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끼어 돌기(332)의 탄성 지지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334 serves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hole 331 and the projection 332. For this, the blocking film 33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periphery of the hole 331 of the door 330 toward the projection 332 side.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or other foreign matter from interfering between the gaps to prevent the elastic support effect of the protrusion 332 from being deteriorated.

한편 이상에서는 본체(310)에는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지 않고 도어(330)에만 홀(331)과 돌기(3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반대로 본체(310)에 홀과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ody 310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tructure and the holes 331 and the protrusions 332 are formed only in the door 330. However, if necessary, May be form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improve or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laims (8)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개방된 일측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지점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제1 지점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 지점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아래 식에 의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자레인지.
0 < 상기 간격 ≤ c / (2·f3)
단 c는 빛의 속도, f3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기본 주파수에 대한 제3 고조파
A body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can receive food therein,
A magnetron for emitting a microwave into the body;
And a door capable of closing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The body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oint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 side,
Wherein the door has a plurality of second points each capable of contacting the first point when the main body is closed,
Wherei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re arranged at an interval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0 < the interval? C / (2? F 3 )
Where c is the speed of light, f 3 is the third harmonic of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microwa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 지점은 그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의 내부 영역에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쿠션이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의 제2 지점은 그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쿠션에 접촉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전자레인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point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hole for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and a cushion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is provided in an inner region of the hole,
And a second point of the door is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so that protrusions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when the door is closed to contact the cush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자레인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홀 중 상기 도어 측에 가까운 끝단에서부터 상기 쿠션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은 탄성 변형 가능한 전자레인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jec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a distance from an end of the hole near the door to the cushion,
The cushion is elastically deform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의 제2 지점은 그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전자레인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a second point of the door is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and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main body side is install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자레인지.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oor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전자레인지.
6. The method of claim 5,
A hole is formed in the do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int,
And the protrusion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hol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main body s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홀과 상기 돌기 사이의 틈을 가리기 위한 차단 막을 더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hielding film for shielding a gap between the hole of the door and the projection.
KR1020170026675A 2017-02-28 2017-02-28 Microwave range Pending KR201800993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75A KR20180099344A (en) 2017-02-28 2017-02-28 Microwave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75A KR20180099344A (en) 2017-02-28 2017-02-28 Microwave ra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44A true KR20180099344A (en) 2018-09-05

Family

ID=6359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75A Pending KR20180099344A (en) 2017-02-28 2017-02-28 Microwave r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3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3044A (en) Slot configuration for choke seal
US2958754A (en) Electronic ovens
US2956143A (en) Microwave ovens
EP2031939A1 (en) A wave choke device for a microwave oven door
CA2757416A1 (en) A wave choke system for a door of a microwave oven
US3351730A (en) Energy seal for microwave ovens
US3525841A (en) Door seal for microwave ovens
US20190021145A1 (en) Structure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doo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WO2002039470A2 (en) Rfi shielding enclosures and their closure seals
FI83829B (en) CONTACT DETERMINATION FOR AVSKAERMADE SKAOP OCH RUM MED HOEGFREKVENSSKAERMADE, RELATIVT VARANDRA ROERLIGA HUSDELAR.
KR100662457B1 (en) Hea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waves
US3448232A (en) Microwave unit seal
KR20180099344A (en) Microwave range
KR880003542A (en) Ultra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JPH1051174A (en) Equipment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field existing in dead air space
KR100662415B1 (en) Hea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waves
KR100700543B1 (en) Microwave Cooking Machine
JPS6225920Y2 (en)
KR100652600B1 (en) Microwave Cooking Machine
FI106911B (en) Screening device for screened rooms, rooms, enclosures or the like
CN211600807U (en) He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KR101217483B1 (en) heat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0595570B1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of Electromagnetic Heater
KR100662416B1 (en) Hea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waves
JP4647548B2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