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32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9332A KR20180099332A KR1020170026646A KR20170026646A KR20180099332A KR 20180099332 A KR20180099332 A KR 20180099332A KR 1020170026646 A KR1020170026646 A KR 1020170026646A KR 20170026646 A KR20170026646 A KR 20170026646A KR 20180099332 A KR20180099332 A KR 201800993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terminal
- information
- base station
- candid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7—Triggering entity
- H04W28/0835—Access entity, e.g. eN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H04W28/086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of same hierarchy lev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33—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load-splitting rati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04W28/0967—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 H04W28/0983—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optimizing bandwidth or throughpu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사용량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체감 처리량(perceived throughpu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고려한 체감 처리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체감 성능 향상을 위한 스케쥴러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 밸런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 밸런싱을 위한 오버로드가 발생한 기지국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 밸런싱을 위한 기지국 및 단말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 밸런싱을 위한 기지국 및 단말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체감 성능 향상을 고려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8)
-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프로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인접 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후보 단말 정보 및 상기 후보 단말의 인접 셀의 로드(load)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로딩에 따른 처리량(throughput) 개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겟 셀에 대응하는 처리량 개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단말 중에서 오프로딩 대상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셀로 오프로딩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대상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각 셀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점유율 정보를 포함하는 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을 SCell(secondary cell)로 선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PCell(primary 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에게 상기 후보 단말의 인접 셀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P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후보 단말의 인접 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의 로드 정보 및 상기 인접 셀의 로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딩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을 SCell로 선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대상 단말의 P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을 통해 상기 오프로딩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딩 대상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을 SCell로 선택한 단말들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기지국을 PCell로 선택한 단말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트래픽이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 및 상기 인접 셀에서 가장 낮은 순위로 스케줄링 되는 것을 가정하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방법. -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오프로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인접 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후보 단말 정보 및 상기 후보 단말의 인접 셀의 로드(load)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로딩에 따른 처리량(throughput) 개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겟 셀에 대응하는 처리량 개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단말 중에서 오프로딩 대상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셀로 오프로딩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대상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의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각 셀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점유율 정보를 포함하는 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을 SCell(secondary cell)로 선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PCell(primary 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에게 상기 후보 단말의 인접 셀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의 P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후보 단말의 인접 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의 로드 정보 및 상기 인접 셀의 로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을 SCell로 선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대상 단말의 P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을 통해 상기 오프로딩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로딩 대상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을 SCell로 선택한 단말들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기 기지국을 PCell로 선택한 단말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량 개선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트래픽이 상기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 및 상기 인접 셀에서 가장 낮은 순위로 스케줄링 되는 것을 가정하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646A KR102793561B1 (ko) | 2017-02-28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PCT/KR2018/002486 WO2018160013A1 (ko) | 2017-02-28 | 2018-02-28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US16/489,643 US11463904B2 (en) | 2017-02-28 | 2018-02-28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646A KR102793561B1 (ko) | 2017-02-28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9332A true KR20180099332A (ko) | 2018-09-05 |
KR102793561B1 KR102793561B1 (ko) | 2025-04-11 |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60013A1 (ko) | 2018-09-07 |
US11463904B2 (en) | 2022-10-04 |
US20210282051A1 (en) | 2021-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4682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wireless 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275288B1 (ko) | V2X 통신을 위한 inter-carrier 방법 | |
US11317319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gestion | |
CN107005885B (zh) | 使用站点间载波聚合平衡流量负载的设备和方法 | |
JP5104769B2 (ja) | 通信システム | |
CN105101439B (zh) | 一种传输的方法及终端 | |
CN119316965A (zh) | 全双工下行链路和上行链路方向 | |
JP5990331B2 (ja) | 制御チャネル処理方法および装置 | |
KR102407944B1 (ko) | 혼잡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11140733B2 (en) | Method and device for allowing pedestrian terminal to transmit data in V2X communication | |
US11576177B2 (en) |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determining priorities of multiple BWPS | |
WO2012175362A1 (en) | Performing measurements in a digital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 |
KR20120037088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용량 증대를 위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 |
WO201005439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US9867195B2 (en) |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performing a joint reception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network | |
JP2019532538A (ja) |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ulデータ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装置 | |
RU2652321C1 (ru) | Узел сети и способ в нем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сомр-приема передачи от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CN112449431B (zh) | 无线通信系统中的基站及其控制方法 | |
CN107046703B (zh) | 接入控制方法和基站 | |
KR2017007463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의 d2d 신호 전송 지원을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 및 장치 | |
US1146390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196315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unlicensed band in communication system | |
WO2015085494A1 (zh) | 基站及用户调度方法 | |
KR102793561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7423121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