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100A - The material for finishing edge of a furniture - Google Patents
The material for finishing edge of a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9100A KR20180099100A KR1020170026106A KR20170026106A KR20180099100A KR 20180099100 A KR20180099100 A KR 20180099100A KR 1020170026106 A KR1020170026106 A KR 1020170026106A KR 20170026106 A KR20170026106 A KR 20170026106A KR 20180099100 A KR20180099100 A KR 20180099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rniture
- panel
- side panel
- fixed
- ext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7—Furniture panels consisting of a frame with interchangeable insertable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일 끝단이 수직으로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두 개의 판넬을 고정하도록 할 때 절단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두개의 판넬이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테두리의 색상과 재질에 의하여 좀더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가구의 양측 테두리에 장착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판의 형상을 이루며 가구의 정면판넬의 일측면과 측면판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메인판와, 상기 메인판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정면판넬의 정면 일부를 감싸는 절곡 테두리부와, 상기 절곡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정면판넬의 배면을 감싸는 수직 연장리브와, 상기 수직 연장리브에서 후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측면판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후방 연장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정면판넬은 절곡 테두리부와 수직 연장리브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면판넬은 메인판과 후방 연장리브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finishing member for furniture, in which two panels for fixing one end to be vertically tightly fixed are fixed so that the two panels are structurally stabilized while the cut surfa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has been developed to make it more beautiful by its color and material.
An edge closing member of a furniture mounted on both side edges of furniture installed in a room, the edge closing member comprising:
A main plate which is in the shape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s and downward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front panel of the furniture and the outside surface of the side panel and a bent edge portion which is bent perpendicularly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plate, A vertically extending rib that vertically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bent rim and surrounds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nd a rearward extending rib that is vertically extended rearward from the vertically extending rib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anel;
The front panel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bent rim and the vertical extending ribs, and the side panel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main plate and the rear extending ribs.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 끝단이 수직으로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두 개의 판넬을 고정하도록 할 때 두개의 판넬이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절단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테두리의 색상과 재질에 의하여 좀더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finishing member of a furniture. More specifically, when two panels are fixed so that one end is vertically tightly fixed, the two panels are structurally stabil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finishing member of a furniture which is developed in order to make it more beautiful by the color and the material of the frame while being not exposed.
일반 가정에서는 각종 수납을 위한 가구들이 있으며 특히 주방의 싱크대와 장롱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편리한 수납과 사용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가구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households, there are many kinds of furniture for storage. In most cases, kitchen sinks and chests are mostly equipped with various kinds of furniture for convenient storage and use.
가구를 이루는 재질은 대부분이 목재로서 원목이나 합성목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목재는 재단한 후 금속이나 나무로 이루어진 못으로 고정하거나 못이 없이 맞물려 끼워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material of the furniture is mostly wood, which is mainly made of wood or synthetic wood. It is common to cut each wood after it is cut and fix it with a metal or wooden nail, or to fit it without a nail.
이때 두 개의 판넬의 끝단을 수직이 되도록 밀착한 후 고정을 하도록 하는데 보통 정면이나 배면은 합성목이라도 목재 특유의 무늬가 드러나도록 하여 미려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수직으로 고정한 경우 두 개의 판넬 중 어느하나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In this case, the ends of the two panels are fixed so that they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Usually, the front or back side is made of synthetic wood so that the unique pattern of the wood is exposed so that it can have a beautiful appearance. It is inevitable that any one of the cut surfaces is exposed to the outside.
즉 정면판넬과 측면판넬의 결합일 경우 정면판넬의 일측 끝단 배면에 측면판넬이 고정되도록 하여 정면에서는 절단면이 보이지 않도록 하지만 측면에서 볼 경우 정면판넬의 절단된 양측단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when the front panel and the side panel are coupled, the side panel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front panel so that the cut surface is not visible on the front surface, but both side edges of the front panel are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side.
또한 가구는 구입 후 집을 옮김에 따라 같이 옮겨 공간에 맞게 배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아파트와 같은 곳에서는 최초 분양시에 싱크대와 함께 각종 붙박이장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졌다.In addition, most of the furniture was moved to the apart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s after the purchase, but recently, in the apartments and other place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shelves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 sink.
붙박이장의 특성은 먼저 최적의 공간에 그 공간에 맞는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좌우 및 상부에 벽체 및 천장과 이격된 공간이 깔끔하게 마감되어 미려함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장점이 있다.The characteristic of the built-in cabinet is that it has a size suitable for the space in the optimal space,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s high, and the spaces between the walls and the ceiling and the spaces separated from the ceiling are cleanly finished.
반면에 일반 가구의 경우 좌우 및 상부와 인접한 공간에 틈이 형성되면 먼지가 쌓이고 물건이나 사람 및 애완동물이 들어갈 우려가 있으며 무엇보다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정돈되지 않은 듯한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rdinary furniture, when there is a gap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part, dust accumulates and there is a fear that objects, people and pets may enter, and moreover, the interior space seems to be relatively unorganized.
따라서 각종 가구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가구의 좌우 측과 상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은 더욱 다양한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of easily fitting the furniture to various furniture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furniture can be clo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구의 측면 모서리에서 수직으로 밀착하는 두 개의 판넬이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velop a corner finishing member of a furniture which can be assembled and fixed with two panels vertically close to each other at a side edge of the furniture.
또한, 가구의 좌우 및 상부와 실내의 벽면 및 천장 및 벽면 사이에 불균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틈새에 맞게 재단된 목재를 결합하여 견고하고 간편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velop a corner finishing member for furniture which can be firmly and easily finished by joining wood cut to fit a gap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and top of the furniture,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and the ceiling and the wall surfac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가구의 양측 테두리에 장착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dge closing member for furniture mounted on both sides of furniture installed in a room.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판의 형상을 이루며 가구의 정면판넬의 일측면과 측면판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메인판와, 상기 메인판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정면판넬의 정면 일부를 감싸는 절곡 테두리부와, 상기 절곡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정면판넬의 배면을 감싸는 수직 연장리브와, 상기 수직 연장리브에서 후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측면판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후방 연장리브를 구비하여;A main plate which is in the shape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s and downward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front panel of the furniture and the outside surface of the side panel and a bent edge portion which is bent perpendicularly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plate, A vertically extending rib that vertically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bent rim and surrounds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nd a rearward extending rib that is vertically extended rearward from the vertically extending rib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anel;
상기 정면판넬은 절곡 테두리부와 수직 연장리브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면판넬은 메인판과 후방 연장리브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panel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bent rim and the vertical extending rib, and the side panel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main plate and the rear extending rib.
아울러,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의 메인판은 수직 연장리브가 분기된 후 후방으로 갈수록 후방 연장리브와 폭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끝단은 라운드 처리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후방 연장리브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plate of the edge finishing member may include an elastic portion that is inclined to reduce the width of the rear extension rib and the width of the rear extension rib when the vertical extension rib is branched, and the end portion is rounded.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절곡 테두리부는 수직 연장리브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ent rim portion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of a vertical extending rib.
아울러, 상기 후방 연장리브의 측면판넬과 밀착하는 면에는 측면판넬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In additio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rear extension rib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panel, a gentle slope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ide panel is inserted, and a vertical surface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반대면에는 고정피스가 결합된 부분이 함몰되는 피스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iece groove is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engaging protrusion on which the stationary piece is engaged.
또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에는 절곡 테두리부와 수직 연장리브의 사이에서 수직 연장리브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측면에 방향성을 가진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정면판넬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편과, 메인판과 후방 연장리브의 사이에서 후방 연장리브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측면에 방향성을 가진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측면판넬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편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edge finish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vertically extending ribs between the bending rim and the vertical extending ribs and having a directionality on both sides thereof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ront panel. A first fixing piece extending parallel to the rear extending ribs between the main plate and the rear extending ribs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having directionality and inserted and fixed in a second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ide panel, And is further formed.
아울러, 상기 수직 연장리브는 좌우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어 끝단에 또 다른 메인판과 절곡 테두리부 및 후방 연장리브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extension rib is further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other main plate, a bending rim portion, and a rear extension rib are symmetrically formed at an end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구의 측면 모서리를 마감하여 판넬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고정을 위한 못이나 나사 또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가구의 기본 판넬과 다른 질감과 색감을 가지도록 하여 간결함과 미려함을 줄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edges of the furniture are closed so that the sides of the panel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nails and screws for fixing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provide a beautiful and structurally stable effect.
또한, 가구의 정면 좌우 및 상부에 고정되어 인근 벽체나 다른 가구와의 틈에 맞도록 재단된 마감판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틈새를 막으면서 동시에 일부가 노출된 측면 마감부재와 마감판에 의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finished plate which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urniture so as to fit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wall body and other furniture easily so as to cover the gap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o give a sense of beau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시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시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use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f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six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seven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n eigh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n eigh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 to 16 are schematic views according to a nin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실내에 설치되는 가구(1)의 양측 테두리에 장착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있어서;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closing member of a furnitu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판의 형상을 이루며 가구(1)의 정면판넬(11)의 일측면과 측면판넬(12)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메인판(21)와, 상기 메인판(21)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정면판넬(11)의 정면 일부를 감싸는 절곡 테두리부(22)와, 상기 절곡 테두리부(22)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정면판넬(11)의 배면을 감싸는 수직 연장리브(23)와, 상기 수직 연장리브(23)에서 후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측면판넬(1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후방 연장리브(24)를 구비하여;A
상기 정면판넬(11)은 절곡 테두리부(22)와 수직 연장리브(23)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면판넬(12)은 메인판(21)과 후방 연장리브(24)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를 나타내었다.The
기존에도 가구(1)의 테두리를 보통 금속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로 마감하여 금속 특유의 질감과 색감으로 심미감을 주고, 외부에 노출되는 판넬의 측면이나 틈새가 발생하는 두 판넬의 밀착부를 가리도록 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단순히 'ㄱ'의 형태로 절곡된 마감부재를 접착재를 이용하여 붙이거나 고정피스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the past, the edges of the furniture (1) are finished with a closure member made of a metal so as to give an aesthetics with a unique texture and color, and to cover the adhered portions of the two panels, , But it has been common to simply attach the closing member bent in the form of 'A' by using an adhesive or fix it by a fixing piece.
하지만 본원은 정면판넬(11)과 측면판넬(12)을 끼워 고정한 후 수직 연장리브(23)와 후방 연장리브(24)를 관통한 고정피스가 각각 정면판넬(11)과 측면판넬(12)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피스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면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메인판(21)은 정면판넬(11)의 측면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하여 목재의 미려함을 나타내는 정면과 배면과는 달리 외관상 이질감을 주는 측면부에 별도의 연마 및 도색 등의 처리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모서리 마감부재(2)는 보통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 모서리 마감부재(2)가 없이 고정되는 것보다 견고하면서도 외관에서 기존의 가구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으로 미려함을 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2)의 메인판(21)은 수직 연장리브(23)가 분기된 후 후방으로 갈수록 후방 연장리브(24)와 폭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끝단은 라운드 처리되는 탄성부(25)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25)는 후방 연장리브(24)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FIG. 3 is a conceptu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ceptual view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또한, 상기 절곡 테두리부(22)는 수직 연장리브(23)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도시하였다.Further, the
상기 실시 예는 정면판넬(11)과 측면판넬(12)을 조립할 때 각각 절곡 테두리부(22)와 탄성부(25)를 벌려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후 고정피스에 의하여 완전히 고정되기 전에 조립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또한, 외부로 노출되어 테두리를 형성하는 부분인 절곡 테두리부(22)와 탄성부(25)의 끝단이 정면판넬(11)과 측면판넬(12)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edges of the
또, 상기 탄성부(25)는 후방 연장리브(24)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한 것은 탄성부(25)를 벌려 측면판넬(12)을 끼워넣을 때 후방 연장리브(24)가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2)에는 절곡 테두리부(22)와 수직 연장리브(23)의 사이에서 수직 연장리브(23)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측면에 방향성을 가진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정면판넬(11)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111)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편(26)과, 메인판(21)과 후방 연장리브(24)의 사이에서 후방 연장리브(24)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측면에 방향성을 가진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측면판넬(12)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홈(121)에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편(27)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5 is a conceptual view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상기 실시 예는 조립되는 정면판넬(11)과 측면판넬(12)이 모서리 마감부재(2)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2 고정홈(111, 121)의 폭은 제1 내지 제2 고정편(26, 27)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한 후 억지끼움되도록 하면 고정피스나 접착제가 없어도 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 above embodiments prevent the assembled
도 6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시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원의 모서리 마감부재(2)는 실내에 설치되는 가구(1)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벽체와의 틈새를 가리도록 하는 가구의 측면 마감에도 사용하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 four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lso used for side finishing of furniture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먼저 메인판(21)은 후방으로 충분히 연장되었을 때 벽면과의 틈새를 가리는 마감판넬(3)이 수직 연장리브(23)와 절곡 테두리부(22)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판넬부(21)가 가구(1)와 직접 고정피스(5)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메인판(21)과 후방 연장리브(24)의 사이에 고정판넬(4)을 삽입한 후 고정판넬(4) 메인판(21) 및 측면판넬(12)를 관통 고정하는 고정피스(5)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본원의 모서리 마감부재(2)의 경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마감판넬(3)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절곡 테두리부(22)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 다른 색상이나 재질을 가진 띠와 같은 것이 가구(1)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주면서 외부로 드러나는 틈새가 없도록 하여 붙박이장과 같이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이때 마감판넬(3)과 모서리 마감부재(2)는 수직 연장리브(23)를 관통하여 마감판넬(3)에 고정되는 고정피스(5)에 의하여 견고한 고정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단순 끼워 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ing
이때 단순히 끼워 고정하는 방법이 적용가능한 것은 보통 마감판넬(3)과 벽면과의 사이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기 때문에 충분한 고정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a simple fixing method is applicable because a sufficient fixing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finishing
도 8은 본 발명의 제5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시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수직 연장리브(23)는 좌우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어 끝단에 또 다른 메인판(21)과 절곡 테두리부(22) 및 후방 연장리브(24)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f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ceptual view according to a six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seven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n eigh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onceptual view according to an eigh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이러한 실시 예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모서리 마감부재(2)를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하고 네 개의 마감판넬(3)을 조립하면 하나의 기둥 구조물이 되어 활용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be utilized as a single post structure by arranging the two
이때 탄성부(25)를 구비하거나 제2 고정편(27)을 구비하도록 하는 실시 예의 적용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n embodiment in which the
또 다른 방법으로는 모서리 마감부재(2)가 측면 마감판넬(6)까지 결합 고정되도록 하여 가구(1)의 일측 또는 양측이 확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이러한 실시 예는 측면 공간 즉 틈새를 전부 막지 않을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가구(1)의 바로 옆에 높이가 낮은 가구를 배치하였을 때 두 가구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면 이 부분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으며 높이가 낮은 가구의 상면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거나, 확보된 공간의 벽면에 거울을 장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의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Such an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side space, that is, the gap is not completely blocked, and when a low-height furniture is arranged next to the furniture (1),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two furniture, In this embodiment, a space for placing the article can be sec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height furniture, or a mirror can be moun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secured space.
이때 마감판넬(3)은 수직 연장리브(23)와 전방 양측의 절곡 테두리부(2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되며, 측면 마감판넬(6)은 고정피스(5)를 사용하거나 탄성부를 형성하여 결합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도 14 내지도 16은 본 발명의 제9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후방 연장리브(24)의 측면판넬(12)과 밀착하는 면에는 측면판넬(12)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241)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14 to 16 are conceptual views according to the ninth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실시 예는 삽입된 측면판넬(12)이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걸림돌기(241)는 삽입될 때는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않지만 이탈되는 힘에 저항력이 작용하기에 고정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전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erted
또한 고정피스로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돌기(241)가 형성된 반대면에는 고정피스가 결합된 부분이 함몰되는 피스홈(242)을 형성하도록 하면 작업자는 용이하게 위치를 확인 후 고정피스를 박을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fix the fixing piece accurately at a necessary position, a
1 : 가구
11 : 정면판넬 111 : 제1 고정홈
12 : 측면판넬 121 : 제2 고정홈
2 : 모서리 마감부재
21 : 메인판 22 : 절곡 테두리부
23 : 수직 연장리브 24 : 후방 연장리브
241 : 걸림돌기 242 : 피스홈
25 : 탄성부 26 : 제1 고정편
27 : 제2 고정편
3 : 마감판넬
4 : 고정판넬
5 : 고정피스
6 : 측면 마감판넬1: Furniture
11: front panel 111: first fixing groove
12: side panel 121: second fixing groove
2: edge finishing member
21: Main plate 22: Bending rim
23: vertical extension rib 24: rear extension rib
241: locking protrusion 242: piece groove
25: elastic part 26: first fixing piece
27: second fixing piece
3: Finishing panel
4: Fixed panel
5: Fixing piece
6: Side finishing panel
Claims (6)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판의 형상을 이루며 가구(1)의 정면판넬(11)의 일측면과 측면판넬(12)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메인판(21)와, 상기 메인판(21)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정면판넬(11)의 정면 일부를 감싸는 절곡 테두리부(22)와, 상기 절곡 테두리부(22)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정면판넬(11)의 배면을 감싸는 수직 연장리브(23)와, 상기 수직 연장리브(23)에서 후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측면판넬(1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후방 연장리브(24)를 구비하여;
상기 정면판넬(11)은 절곡 테두리부(22)와 수직 연장리브(23)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면판넬(12)은 메인판(21)과 후방 연장리브(24)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
An edge closing member of a furniture mounted on both side edges of a furniture (1) installed in a room, the edge closing member comprising:
A main plate 21 formed in a shape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 and down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of the furniture 1 and the outside surface of the side panel 12, And a vertical extension rib 22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rear of the bending rim 22 to sur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And a rear extension rib (24) extending perpendicularly rearwardly from the vertical extension rib (23)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panel (12);
The front panel 11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bent rim portion 22 and the vertically extending ribs 23 and the side panel 12 is inserted between the main plate 21 and the rear extending ribs 24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fixed.
The edge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plate (21) of the edge finishing member (2) is inclined to reduce the width of the rear extension rib (24)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lient portion (25) is configur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rear extension rib (24).
3. The edge finishing member of claim 2, wherein the bending rim (22)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vertical extending rib (23).
상기 걸림돌기(241)가 형성된 반대면에는 고정피스가 결합된 부분이 함몰되는 피스홈(2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
The rear extension rib (2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rface of the rear extension rib (24)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anel (12) is formed with a gentle inclina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ide panel (12) Two locking protrusions 241 are formed;
And a piece groove (242) is formed i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241) on which the fixing piece is coupled.
The edge closing member (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dge closing member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vertically extending ribs (23) between the bending rim portion (22) and the vertically extending ribs A first fixing piece 26 formed and fixed to a first fixing groove 111 formed in the front panel 11 and a second fixing piece 26 formed between the main plate 21 and the rear extending rib 24, And a second fixing piece 27 formed on the side panel 12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121. The second fixing piece 27 is formed in the side panel 12, The corner closure member of furni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106A KR20180099100A (en) | 2017-02-28 | 2017-02-28 | The material for finishing edge of a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106A KR20180099100A (en) | 2017-02-28 | 2017-02-28 | The material for finishing edge of a furni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9100A true KR20180099100A (en) | 2018-09-05 |
Family
ID=6359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6106A Ceased KR20180099100A (en) | 2017-02-28 | 2017-02-28 | The material for finishing edge of a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9100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0948B1 (en) * | 2021-05-10 | 2021-11-04 | 주식회사 넵스 | Lower cabinet with easy replacement of lower panel |
KR20220000776U (en) | 2020-09-28 | 2022-04-05 | 임관영 | Panel for furniture with improved edg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611Y1 (en) | 1997-11-13 | 2000-01-15 | 박유재 | Fixture for finishing furniture for kitchen |
KR200228921Y1 (en) | 2001-01-20 | 2001-07-19 | 장인가구 주식회사 | The Structure Of A Sectional Junction Of A Finishing Material For Decorating A Furniture |
KR20010103531A (en) | 2000-05-10 | 2001-11-23 | 박유재 | Breaket for edge construction and furniture using the bracket |
KR200419240Y1 (en) | 2006-03-31 | 2006-06-19 | 박성수 | Built-in furniture niche closure moldings |
KR200425842Y1 (en) | 2006-06-15 | 2006-09-13 | 박성수 | Built-in furniture niche closure moldings |
KR101344906B1 (en) | 2013-06-25 | 2013-12-26 | 남기태 | Frame connector for furniture |
-
2017
- 2017-02-28 KR KR1020170026106A patent/KR20180099100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611Y1 (en) | 1997-11-13 | 2000-01-15 | 박유재 | Fixture for finishing furniture for kitchen |
KR20010103531A (en) | 2000-05-10 | 2001-11-23 | 박유재 | Breaket for edge construction and furniture using the bracket |
KR200228921Y1 (en) | 2001-01-20 | 2001-07-19 | 장인가구 주식회사 | The Structure Of A Sectional Junction Of A Finishing Material For Decorating A Furniture |
KR200419240Y1 (en) | 2006-03-31 | 2006-06-19 | 박성수 | Built-in furniture niche closure moldings |
KR200425842Y1 (en) | 2006-06-15 | 2006-09-13 | 박성수 | Built-in furniture niche closure moldings |
KR101344906B1 (en) | 2013-06-25 | 2013-12-26 | 남기태 | Frame connector for furnitu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0776U (en) | 2020-09-28 | 2022-04-05 | 임관영 | Panel for furniture with improved edge |
KR102320948B1 (en) * | 2021-05-10 | 2021-11-04 | 주식회사 넵스 | Lower cabinet with easy replacement of lower pan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76329A (en) | Decorative mirror frames | |
KR20180099100A (en) | The material for finishing edge of a furniture | |
KR200491434Y1 (en) | Furniture door frame | |
US4674254A (en) | Wood track suspension ceiling system | |
KR101745450B1 (en) | The door for the sink with a warp prevention structure | |
US5486324A (en) | Method of making tight radius plastic corner components for static structures | |
US3837721A (en) | Molding and cabinet construction | |
KR102147195B1 (en) | Shelf supporter assembly for assembly furniture | |
US5794372A (en) | Picture frame molding | |
JP6548534B2 (en) | Disappointing and missing frames and fittings using the disappointing | |
KR200434569Y1 (en) | Side finish of furniture panel | |
JP5877378B2 (en) | Storage furniture | |
KR200360505Y1 (en) | Deposit furniture | |
CN216076866U (en) | Door plate structure with thin plate | |
US3751131A (en) | Rectangular wall cabinet for recessed or surface mounting | |
KR20080004610U (en) | Decorative frames for kitchen and interior doors | |
KR20170030767A (en) | Door frame capable of installing decoration part different in thickness | |
KR200495840Y1 (en) | Furniture panels with improved edges | |
KR101565308B1 (en) | A cover structure for panel | |
RU98036U1 (en) | VERTICAL PROFILE - HANDLE FOR DOORS OF CABINETS AND INTERIOR PARTITIONS (OPTIONS) | |
KR102137684B1 (en) | Furniture Door Frame | |
KR200439806Y1 (en) | Furniture panel finishing member and furniture panel provided therewith | |
KR200406555Y1 (en) | Kitchen furniture door | |
KR20110095683A (en) | Furniture panel | |
KR101809523B1 (en) | Joint Member for Assembled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