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98823A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823A
KR20180098823A KR1020170025436A KR20170025436A KR20180098823A KR 20180098823 A KR20180098823 A KR 20180098823A KR 1020170025436 A KR1020170025436 A KR 1020170025436A KR 20170025436 A KR20170025436 A KR 20170025436A KR 20180098823 A KR20180098823 A KR 2018009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acro
integrated
control command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민
장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큐
Priority to KR102017002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823A/en
Publication of KR2018009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2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3/00Arrangements for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als at input and output, e.g. differentiating, dela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1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centraliz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를 확인하고,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리모콘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허브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firming a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when an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is detected, confirming an output order of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And outputs the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to the control command set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r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firming and outputting control commands output through an integrated control hub and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Description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0002]

이하의 실시 예들은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번의 입력으로 여러 장치들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techniques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with a single input.

최근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장치의 개수가 전통적인 PC(Personal Computer)나 스마트폰의 수를 상회하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시계나 액세서리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개인용 IoT 디바이스 뿐 아니라 가스밸브, 도어락 등 가정내 편의 제공 목적의 가정용 IoT 디바이스들이 속속 등장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여러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has surpassed the number of traditional PCs (personal computers) and smartphones, and penetration rate is rapidly increasing. Home IoT devices such as gas valves, door locks, and so on, as well as wearable personal IoT devices such as watches and accessories are emerging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various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uch IoT devices are emerging.

한편, 종래의 일반 리모콘은 가정에서 사용자가 사용시 복수의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해야 했다. 즉, 종래의 일반 리모콘의 경우는 원격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 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리모콘을 모두 관리하여야 하고 조작법을 익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이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리모콘은 유사한 제품들만 통합하고, 기능이나 키 값의 구성이 전혀 상이한 제품들은 통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추후에 개발, 생산되는 새로운 제품을 컨트롤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has to be separately provided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devices when a user uses the remote controller at home.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remote controller, si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remote controller for each apparatus to be controlled remotely, there is a need to manage all the remote controllers and learn the operation metho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remote controller has been developed. However, such a remote controller can not only integrate similar products, can not integrate products having completely different functions or key values, and can not control new products that are developed and produced in the future .

예를 들어, 비디오를 플레이 하려고 하는 경우 리모콘을 조작하는 동작을 보면, 비디오를 플레이 하기 위해, 우선 TV의 전원를 켜는 리모콘의 키조작을 한 후, TV와 비디오가 연결되도록 TV의 외부입력을 비디오가 연결된 외부입력으로 선택하는 리모콘의 키 조작을 하였다. 또한, 이러한 조작 이후에도, 비디오의 전원를 켜는 리모콘의 키조작, 비디오의 플레이를 시작하는 리모콘의 키조작 등 여러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이에 더해 사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커튼을 치고, 조명을 낮추는 것 등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를 리모콘으로 조작하려는 경우, IoT 디바이스의 조작을 위한 리모콘의 통신 프로토콜이 TV나 비디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의 통신 프로토콜과 달라 별도의 제어기를 통해서 제어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조작을 편리하게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play video, you need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In order to play the video, you must first operate the remote control to turn on the TV, then connect the external input of the TV to the video The key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to select the connected external input was performed. Further, even after such operations, there have been inconveniences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a key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video and a key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for starting playing the video. In addition, in order to operate a variety of IoT devices such as curtains, lowering of lighting, etc., due to the diffu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emote controller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is a communication Protocol, it is inconvenient to control it through a separate controll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facilitates such manipul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매크로 제어 신호를 감지하면,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여러 제어 명령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quentially performing a plurality of control commands corresponding to a macro control signal upon detecting a macro control signal.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여러 종류의 전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various kinds of electronic devices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set)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를 확인하고,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리모콘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허브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상기 통합제어 허브로 전달하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 및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출력하는 상기 통합제어 허브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checks a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hecking the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and checking the control command output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mong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ted according to the output order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for confirming a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hub among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ted according to the output order and deliver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integrated control hub; And the integrated control hub outputt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이때,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제어하는 목표 장치의 정보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 장치 정보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includes information on a target device controlled by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d device information on which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is output.

또한,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 및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시간 간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used for outputting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and an output time interval of the control commands.

이때,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은,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과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통합 제어 리모콘에 포함된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매크로 버튼의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may be received from a smart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or may be received through input of a macro button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이때,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은,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기 전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 셋과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can receive and register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 set and the control instruction set from the smart terminal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이때,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은,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기 전에,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서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제어 명령들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의 매크로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control command set by selecting control commands according to an input sensed through the input unit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macro button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which detects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

이때, 상기 통합제어 허브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grated control hub may output the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ccording to the order of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리모콘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허브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remote control in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ing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Confirming a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Confirming an output order of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hecking and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mong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ted according to the output order; And checking and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hub among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 according to the output order.

이때,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제어하는 목표 장치의 정보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target device controlled by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d device information on which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is output.

또한,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 및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시간 간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used for outputting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and an output time interval of the control commands.

이때,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of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may include receiving the macro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이때,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제어 리모콘에 매크로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 버튼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매크로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of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may include sensing an input of a macro button to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Retrieving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cro button; And sensing the retrieved macro control signal as an input.

이때,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셋과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generating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And register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이때, 상기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는 단계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 셋과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의 입력부를 통해서 감지된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어 명령들을 묶어 상기 제어 명령 셋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의 매크로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generating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may include receiving and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The control command set may be grouped into the control command set according to the input sense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 command set and the macro control button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that detects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본 발명은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매크로 제어 신호를 감지하면,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여러 제어 명령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여러 종류의 전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senses a macro contro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ce to the user by sequentially executing various control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control various kinds of electronic devices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란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허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매크로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입력부를 통해서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제어 신호로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control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macro control signal in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macro control signal through an input unit in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macro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smart terminal in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command set registered as a macro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ure forms, but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or the like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being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for example, "between" and "immediately" or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란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120)은 통합제어 리모콘(122)와 통합제어 허브(124)를 이용해서 TV(131), 셋톱(132), 가전(133~135) 및 사물 인터넷 기기(136~138)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120)은 스마트 단말기(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1,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120 is connected to the TV 131, the set top 132, the household appliances 133 to 135, and the to-be-watermarked Internet device 122 using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and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 (136 to 138). At this time,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120 may further include the smart terminal 11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단말기(1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110 described herein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glass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the like.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고,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을 확인하고,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를 확인하고,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통합제어 리모콘(122)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고,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허브(124)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통합제어 허브(124)로 전달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detects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onfirms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confirms the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control command are output to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The control commands output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The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may be confirm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

이때,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제어 명령들 각각이 제어하는 목표 장치의 정보와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추가로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 및 제어 명령들의 출력 시간 간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may include information of a target device controlled by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d device information on which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is output.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used for outputting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and an output time interval of the control commands.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통합제어 리모콘(122)과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에 포함된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매크로 버튼의 입력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receives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11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or the macro control button 122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Or through an input.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기 전에, 통합제어 리모콘(122)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서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제어 명령들을 선택하여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통합제어 리모콘의 매크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제어 명령 셋과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 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generates a control command set by selecting control commands according to the input sensed through the input unit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 set and the control instruction set can be registered by selecting the macro button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that detects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macro control signal.

또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기 전에,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제어 명령 셋과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Or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may receive and register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 set and the control instruction set from the smart terminal 110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통합제어 허브(124)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출력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may output to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

통합제어 허브(124)는 통합제어 리모콘(122)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제어 명령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해당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may output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protoco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in the order of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110)는 제어부(210), 매크로 제어 신호 생성부(211),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212), 통신부(22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인터페이스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mart terminal 11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macro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211, a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212, a communication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 display unit 240 And an interface unit 350.

통신부(220)는 수신기(Receiver)와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20)는 통합제어 리모콘(122)과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including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wire or wireless. 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저장부(230)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압축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등)를 저장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매크로 제어 신호와 대응하는 제어 명령 셋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3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230 stores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nd storage data (telephone number, SMS message, compressed image file, moving image, etc.)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110, And may store a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macro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230 may be a storage device including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240)는 스마트 단말기(110)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공유하는 제어할 수 있는 대상 장치인 목표 장치에 관한 정보, 각 목표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의 종류에 관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r an indicator), limited numbers and characters,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that ar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110. Further, it is possible to output information on a target device, which is a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which is sh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the kind of a control command that can control each target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350)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입력으로는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을 선택하는 입력, 매크로 제어 신호의 명칭의 입력, 매크로 제어 신호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 등이 있다.The interface unit 350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face with a user of the smart terminal 110, and receives input from a user. The input of the user of the smart terminal 110 includes an input for selecting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set, an input of a name of a macro control signal, and an input for requesting execution of a macro control signal.

매크로 제어 신호 생성부(211)는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실행되는 순서를 고려한 제어 명령들을 묶어 하나의 제어 명령 셋으로 생성하고, 제어 명령 셋을 구분하는 식별 정보이자 제어 명령 셋을 실행하는 실행 명령에 해당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명령 셋과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하기 위해서 통합제어 리모콘(12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매크로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정의하는 명칭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생성 방식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다.The macro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211 generates a control command set by grouping the control commands considering the selected execution orde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350,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an instruction set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for registering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ontrol instruction set. At this time, the macro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defined name or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eneration method.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212)는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전에 통합제어 리모콘(122)에 등록한 매크로 제어 신호의 실행을 요청 받으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으로 매크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매크로 제어 신호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When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212 is requested to execute 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in advanc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350, To request execution of the macro control signal.

제어부(210)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매크로 제어 신호 생성부(211) 및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21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 매크로 제어 신호 생성부(211) 및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212)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매크로 제어 신호 생성부(211) 및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212)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매크로 제어 신호 생성부(211) 및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212)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110. [ The control unit 21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macro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211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212. The control unit 210, the macro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211,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212 are separately described to distinguish the respective function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macro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211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212,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macro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211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detecting unit 212,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제어부(310),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 매크로 제어 신호 실행부(313), 통신부(320), 입력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 명령 송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includes a control unit 310, a macro control signal registration unit 311, a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312, a macro control signal execution unit 313, a communication unit 320, A storage unit 340, and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350. [0031]

통신부(320)는 수신기(Receiver)와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20)는 스마트 단말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2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including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wire or wireless. 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mart terminal 110.

입력부(330)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해서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제공하는 키패드(key pa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입력부(330)는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매크로 버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330 receives the input of the user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and provides the input to the control unit 110. For example,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number of numeric keys 0 to 9,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a menu key, a cancel key (clear) key, a confirmation key, navigation keys, And a key pad for providing the key input data to the control unit 110.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macro button for sensing an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한편, 입력부(330)는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매크로 버튼의 경우, 매크로 버튼이 어떤 매크로를 수행하는 버튼인지를 알리는 표시패널이 매크로 버튼의 주변 또는 매크로 버튼 위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33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 touch panel. In the case of a macro button, a display panel indicating whether a macro button is a macro- Button.

저장부(340)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매크로 제어 신호와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셋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340 stores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and may store a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orage unit 340 may be a storage device including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and the like.

제어 명령 송신부(350)는 매크로 제어 신호 실행부(313)의 제어에 따라서 통합제어 허브(124)를 통해서 출력된 제어 명령을 통합제어 허브(124)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unit 350 can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to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under the control of the macro control signal execution unit 313. [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는 제어 명령 셋과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는 입력부(330) 또는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서 제어 명령 셋과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할 수 있다.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 311 may register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and the control command set. At this time, 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 311 may register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and the control command set through the input unit 330 or the smart terminal 110. [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는 입력부(330)를 통해서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제어 명령들을 선택하여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의 매크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제어 명령 셋과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 할 수 있다.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ration unit 311 generates a control command set by selecting control command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ensed through the input unit 330 and outputs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to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 set and the control instruction set can be registered.

또는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는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기 전에,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제어 명령 셋과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저장부(340)에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ration unit 311 receives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 set and the control instruction set from the smart terminal 110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an do.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에 등록되는 제어 명령 셋은 제어 명령들 각각이 제어하는 목표 장치의 정보와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명령 셋은 추가로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 및 제어 명령들의 출력 시간 간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명령 셋은 아래 도 8의 예와 같이 구성 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set registered in 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 311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target device controlled by each control command and device information on which each control command is output. The control command s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used for outputting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and an output time interval of the control commands. The control command set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8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제어 신호로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command set registered as a macro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명령 셋은 제어 유형, 매크로 제어 신호 식별자, 목표 장치의 식별자, 통신 프로토콜, 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 command set may include a control type, a macro control signal identifier, an identifier of a target device,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control value.

제어 유형은 일반 제어 명령인지 매크로 제어 명령인지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 일반 제어 명령인 경우 제1 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하고, 매크로 제어 명령인 경우 제2 값(예를 들어, '1')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type is a general control command or a macro control command. It is set to a first value (for example, '0') in the case of a general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value (for example, '1').

매크로 제어 신호 식별자는 매크로 제어 신호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이다.The macro control signal identifier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each macro control signal.

목표 장치의 식별자는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 각각이 제어하는 대상(목표)이 되는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이다.The identifier of the target device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device that is an object (target) to be controlled by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set.

통신 프로토콜은 목표 장치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이다.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used to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제어값을 제어 명령이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을 구분하는 정보로 예를 들어, 온(on), 오프(off), 볼륨 업, 볼륨 다운, 채널 변경 등의 여러 명령을 각각의 장치에서 정의한 값에 해당한다.Control value is the information that distinguishes the command that the control command wants to execute. For example, it is applicable to various commands defined on each device such as on, off, volume up, volume down, do.

한편, 제어 명령 셋은 제어 명령 셋의 끝(end of signal)을 표시하는 신호(string)을 제어 명령 셋의 후미에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ommand se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string) indicating the end of signal of the control command set at the end of the control command set.

도 8의 경우는 게임을 위한 제어 명령 셋에 해당하며 도 8의 제어 명령들은 TV를 켜는 제1 제어 명령, TV의 입력 방식을 게임 콘솔 HDMI in으로 입력 방식을 변경하는 제2 제어 명령, 게임 콘솔을 켜는 제3 제어 명령으로 구분된다.8 corresponds to a control command set for a game, and the control commands in Fig. 8 include a first control command to turn on the TV, a second control command to change the input method of the TV to the game console HDMI in, And a third control command for turning on the second control command.

제1 제어 명령과 제2 제어 명령의 경우는 통신 프로토콜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함으로, 통합제어 리모콘(122)를 통해 송신되고, 제3 제어 명령의 경우는 통신 프로토콜이 와이파이 이므로, 통합제어 허브(124)를 통해 송신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control command and the second control comm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using the infrared communication,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control comm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the Wi-Fi. ≪ / RTI >

도 8의 경우 외에도,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제어 명령 셋도 생성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case of FIG. 8, a control command set for presentation can also be generated.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제어 명령 셋(set)의 경우는 스크린을 펼치는 제어 명령, 빔 프로젝트를 켜는 제어 명령, 빔 프로젝트와 연결된 컴퓨터를 켜는 제어 명령, 커튼(블라인드)를 치는 제어 명령, 조명을 낮추는 제어 명령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위의 경우는 순서대로 진행해야 될 특별한 사유가 없으므로, 순서와 상관 없이 가능한 동시에 수행되도록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set of control commands for presentation, control commands for expanding the screen, control commands for turning on the beam project, control commands for turning on the computer connected to the beam project, control commands for setting the curtain (blind)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to proceed in this order, the control command may be transmitted so that i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regardless of the order.

다시 도 3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는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한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312 senses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는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통합제어 리모콘(122)과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여 감지하거나 또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에 포함된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매크로 버튼의 입력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312 receives an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11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and senses it or responds to a macro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Can be detected through the input of a macro button.

매크로 제어 신호 실행부(313)는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에서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면,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을 확인하고,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를 확인하고,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통합제어 리모콘(122)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고,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허브(124)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통합제어 허브(124)로 전달할 수 있다.The macro control signal execution unit 313 checks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when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312 detects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hecks the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checks and outputs the control commands output through the control commands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 according to the output order, The control command outputt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among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an be confirm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

제어부(310)는 통합제어 리모콘(12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 및 매크로 제어 신호 실행부(31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 및 매크로 제어 신호 실행부(313)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 및 매크로 제어 신호 실행부(313)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매크로 제어 신호 등록부(311), 매크로 제어 신호 감지부(312) 및 매크로 제어 신호 실행부(313)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 The control unit 31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 311,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312,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execution unit 313. The control unit 310, 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 311,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ing unit 312,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execution unit 313 are separately described to distinguish the respective functions. The control uni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 311,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e unit 312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execution unit 313, respectively . The control unit 31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macro control signal register 311, the macro control signal sense unit 312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execution unit 313 can do.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허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control h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통합제어 허브(124)는 제어부(410), 제어 명령 확인부(411), 제어 명령 실행부(412), 제어 명령 수신부(420), 저장부(430) 및 송신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includes a control unit 410, a control command confirmation unit 411, a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a control command reception unit 420, a storage unit 430, and a transmission unit 440 ).

제어 명령 수신부(420)는 통합제어 리모콘(122)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명령을 저장부(43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receiving unit 420 may receive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and store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in the storage unit 430. [

저장부(430)는 통합제어 허브(12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30 stores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and may temporarily store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before executing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송신부(440)는 복수의 송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 명령 실행부(412)의 제어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출력한다. 이때, 송신부(440)에 포함되는 복수의 송신 장치로는 범용 무선 통신 장치에 해당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T; Bluetooth), RF4CE 등과 사물 인터넷 무선 통신 장치에 해당하는 Zigbee, Z-wave, BTLE(Bluetooth low energy)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440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tting apparatuses and outputs control commands through the transmitt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command executing unit 412.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ransmitting devices included in the transmitting unit 440 may be Wi-Fi, Bluetooth (BT), RF4CE, etc. corresponding to the univers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Zigbee, Z- wave, Bluetooth low energy (BTLE), and the like.

제어 명령 확인부(411)는 제어 명령 수신부(420)를 통해 수신되어 저장부(430)에 저장된 제어 명령을 해석한다. 제어 명령 확인부(411)는 저장된 제어 명령이 제어하고자 하는 목표 장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제어 명령이 출력될 때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제어 명령 실행부(412)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command confirmation unit 411 analyzes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command reception unit 42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0. The control command confirmation unit 411 confirms what the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stored control command is, checks what communication protocol is used when the control command is output, and provides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

제어 명령 실행부(412)는 제어 명령 확인부(411)를 통해 확인한 제어 명령을 수신된 순서대로 송신부(440)를 통해서 제어 명령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해당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may output the control command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protoco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40 in order of the control command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command confirmation unit 411. [

이때, 제어 명령 실행부(412)는 제어 명령을 순서대로 출력함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거나, 제어 명령에 포함된 이전 제어 명령과의 시간 간격을 고려해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may output the control commands 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ay output the control commands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previous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또는, 제어 명령 실행부(412)는 이전 제어 명령이 수행이 완료됨을 확인한 후에 다음 제어 명령이 실행될 수 있는 경우, 이전 제어 명령을 수신한 목표 장치의 응답을 수신하여, 다음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음을 확인한 후에, 다음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may receive the response of the target apparatus that has received the previous control command and receive the next control command when the next control command can be executed after confirming that the previous control command is completed ,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next control command.

제어부(410)는 통합제어 허브(12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제어 명령 확인부(411) 및 제어 명령 실행부(41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10), 제어 명령 확인부(411) 및 제어 명령 실행부(412)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410)는 제어 명령 확인부(411) 및 제어 명령 실행부(412)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어 명령 확인부(411) 및 제어 명령 실행부(412)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 The control unit 41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command confirmation unit 411 and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The control unit 410, the control command confirmation unit 411, and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are separately shown to distinguish the respective function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command verifying unit 411 and the control command executing unit 412,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4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command verification unit 411 and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unit 412, respectively.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매크로의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macro in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매크로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macro control signal in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면(510),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을 확인한다(512).Referring to FIG. 5, w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detects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510, it checks 512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그리고,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과 제어 명령들의 순서를 확인하여 현재 출력 순서의 제어 명령을 확인한다(514).T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checks the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and confirms the control command of the current output order (514).

그리고,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현재 출력 순서의 제어 명령이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출력하는 명령인지 확인한다(516).T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confirms whether the control command of the current output order is an instruction output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516).

516단계의 확인결과, 현재 출력 순서의 제어 명령이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출력하는 명령이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현재 출력 순서의 제어 명령을 출력한다(518).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6 that the control command of the current output order is an instruction output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outputs the control command of the current output order (518).

그리고,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현재 출력 순서의 제어 명령이 통합제어 허브에서 출력하는 명령인지 확인한다(520).T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confirms whether the control command of the current output order is a command output from the integrated control hub (520).

516단계의 확인결과, 현재 출력 순서의 제어 명령이 통합제어 허브에서 출력하는 명령이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통합제어 허브(124)로 현재 출력 순서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통합제어 허브(124)에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522).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6 that the control command of the current output order is an instruction output from the integrated control hub,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of the current output order to the integrated control hub 124, 124 to output a control command (522).

그리고,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모든 제어 명령이 출력되었는지 확인한다(524).T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confirms whether all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set have been output (524).

524단계의 확인결과,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모든 제어 명령이 출력되지 않았으면, 514단계로 돌아가서 524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하고,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모든 제어 명령이 출력되면,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524, if all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set have not been output,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returns to step 514 and repeats the process up to step 524, Is outputted, the present algorithm is termin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입력부를 통해서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macro control signal through an input unit in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Referring to FIG. 6,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하기 위해서 제어 명령의 선택이 감지되면(610), 선택된 제어 명령을 임시로 저장한다(612).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temporarily stores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612) if a selection of the control command is detected (610) to register the macro control signal.

그리고,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될 제어 명령의 선택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614).T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confirms whether selection of a control command to be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set is completed (614).

614단계의 확인결과,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될 제어 명령의 선택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610단계로 돌아가서 614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614 that the control command to be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set is not completed,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returns to step 610 and repeats the procedure up to step 614. [

614단계의 확인결과,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될 제어 명령의 선택이 완료 되었으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저장된 제어 명령을 선택된 순서대로 하나의 제어 명령 셋으로 생성한다(616).If it is determined in step 614 that the control commands to be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set have been selected,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generates the stored control commands in one selected control command set in step 616.

그리고,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제어 명령 셋을 실행하는 매크로 버튼의 선택을 감지하면(618), 선택된 매크로 버튼을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으로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한다(620).Then, w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detects the selection of the macro button for executing the control instruction set (618), it sets and transmits the selected macro button as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 set, (62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 리모콘에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등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macro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smart terminal in an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스마트 단말기(110)에서 생성한 매트로 제어 신호와 매트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셋을 수신한다(710).Referring to FIG. 7,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receives a matro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mart terminal 110 from the smart terminal 110 and a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tro control signal (710).

그리고, 통합제어 리모콘(122)은 수신한 매크로 제어 신호와 매트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셋을 통합제어 리모콘(122)에 저장하여 등록한다(720).The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stores the received macro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tro control signal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122 (72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unit,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10; 스마트 단말기
120;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122; 통합제어 리모콘
124; 통합제어 허브
131; TV
132; 셋톱
133~135; 가전
136~138; 사물 인터넷 기기
110; Smart terminal
120;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122;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
124; Integrated control hub
131; TV
132; Set Top
133-135; Home Appliances
136-138; Things Internet Devices

Claims (15)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를 확인하고,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리모콘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허브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상기 통합제어 허브로 전달하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 및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출력하는 상기 통합제어 허브
를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nsing an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checking a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checking an output order of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A control comma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 and a control comma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command,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confirming a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hub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integrated control hub; And
And an integrated control hub for outputt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nd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제어하는 목표 장치의 정보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 장치 정보
를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controlled by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d the device information
And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 및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시간 간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used for outputting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and an output time interval of the control commands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은,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과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통합 제어 리모콘에 포함된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매크로 버튼의 입력을 통해 수신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cro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a smart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 or
Through the input of a macro button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은,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기 전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 셋과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d receiving and registering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instruction set and the control instruction set from the smart terminal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은,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기 전에,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서 감지되는 입력에 따라 제어 명령들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의 매크로 버튼을 선택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includes: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set by selecting control commands according to an input sensed through an input unit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before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The macro button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which detects the input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 허브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출력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hub includes:
And outputs the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리모콘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에 포함된 제어 명령들 중에서 통합제어 허브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
Sensing an input of a macro control signal;
Confirming a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orresponding to the macro control signal;
Confirming an output order of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Checking and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mong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ted according to the output order; And
Checking and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output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hub among the control commands included 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outputted according to the output ord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제어하는 목표 장치의 정보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 장치 정보
를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controlled by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d the device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제어 명령 셋은,
상기 제어 명령들 각각이 출력되는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순서 및 상기 제어 명령들의 출력 시간 간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gistered control command se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used for outputting each of the control commands, an output order of the control commands, and an output time interval of the control commands
A method for remote control in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omprises:
Receiving the macro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제어 리모콘에 매크로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매크로 버튼에 대응하는 매크로 제어 신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매크로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sens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omprises:
Sensing an input of a macro button o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Retrieving a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cro button; And
Detecting the retrieved macro control signal as an inpu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셋과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Before the step of detect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generating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And
Register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in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셋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는 단계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 셋과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의 입력부를 통해서 감지된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어 명령들을 묶어 상기 제어 명령 셋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셋에 대응하는 상기 매크로 제어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상기 통합제어 리모콘의 매크로 버튼을 선택하는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원격 제어하는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generating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comprises:
Receiving and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set and the macro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A macro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set by combining the control command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ense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integrated control remote controller and detecting the input of the macro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t, To choose
A method for remote control in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4.
KR1020170025436A 2017-02-27 2017-02-27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Ceased KR201800988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36A KR20180098823A (en) 2017-02-27 2017-02-27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36A KR20180098823A (en) 2017-02-27 2017-02-27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23A true KR20180098823A (en) 2018-09-05

Family

ID=6359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36A Ceased KR20180098823A (en) 2017-02-27 2017-02-27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82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6918A (en) * 2022-02-15 2022-07-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Internet of things cross-network commun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3146203A1 (en) * 2022-01-25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03A1 (en) * 2022-01-25 2023-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726918A (en) * 2022-02-15 2022-07-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Internet of things cross-network commun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726918B (en) * 2022-02-15 2024-04-0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Internet of things cross-network commun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7899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JP6698027B2 (en)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s,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for home appliances
EP3357254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874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ommand in home network system
US11609541B2 (en) System and method of IOT device control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202494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control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084649B2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EP3276945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JP57494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control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5740082A (en) Getting App List Of Partner Device And Transmitting Selection And Shared Data
KR20150082824A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control apparatus
US7307573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 system
KR101195520B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KR101864276B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US20150163549A1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device, server,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KR20180098823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KR101343918B1 (en) A server to relay a control signal in network, a control system based on said server, a method to relay a control signal in network and a method that a remote control apparatus controls a control target apparatus
US9959782B1 (en) Accessibility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CN10424048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universal remote-control unit function
US10264206B1 (en) Accessibility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JP4604571B2 (en) Operation terminal
KR20160076565A (en) Method for active notification for multi electronic devices interac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JP6115136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14068267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